KR101655958B1 - 개인 통합형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개인 통합형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958B1
KR101655958B1 KR1020150045469A KR20150045469A KR101655958B1 KR 101655958 B1 KR101655958 B1 KR 101655958B1 KR 1020150045469 A KR1020150045469 A KR 1020150045469A KR 20150045469 A KR20150045469 A KR 20150045469A KR 101655958 B1 KR101655958 B1 KR 101655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grated
sentence
radio
conten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오경식
김성민
황경태
송형근
조돈일
김수진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개인 통합형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통합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소스 키워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소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항목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일련의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립트를 TTS(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 통합형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TEGRATED INFORMATION USING VO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음성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단말 장치,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거나 다운로드 받는 등의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의 종류가 너무 방대한 가운데 사용자가 자신의 상황에 맞는 컨텐츠를 매번 검색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뿐 만 아니라, 컨텐츠를 검색하는데 검색 시간이 길어지고 검색 자체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정보 제공의 편의를 위한 기술의 일 예로, 한국공개번호 제10-2010-0053135호(공개일 2010년 05월 20일)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근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양한 컨텐츠를 오디오 효과와 합성하여 개인별 맞춤형 통합 정보로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상황이나 성향에 맞추어 컨텐츠를 조합하여 음성을 통해 전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소스 키워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소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항목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일련의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립트를 TTS(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 시스템이 개인 맞춤형 통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소스 키워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소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항목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일련의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립트를 TTS(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배열하고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소스 키워드를 수집한 후 상기 소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항목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일련의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스크립트를 TTS(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항목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별 맞춤형 통합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를 일일이 찾거나 검색할 필요가 없이 일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관심 분야의 정보를 다양한 오디오 효과와 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정보 전달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상황이나 성향에 따라 컨텐츠를 조합하여 음성을 통해 자동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더욱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간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합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립트 생성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항목에 따른 문장 형식과 완성 문장의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재생하는 과정의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사용자 관심 분야의 정보를 음성을 통해 전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분야, 사용자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분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간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101)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01) 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을 포함하여,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100)과 관련된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라디오 앱'이라 칭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1)은 라디오 앱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라디오 앱이 설치된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101)을 대상으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특히,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관심 분야의 정보들을 조합하여 음성을 통해 전달하는 개인 라디오 기능을 제공한다. 라디오 앱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스크립트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과, 생성된 스크립트를 TTS(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라디오 앱은 PC 환경은 물론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포털 서비스 앱, 검색 앱, 뮤직 앱 등)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합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정보 제공 루틴(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생성부(211)와 재생부(212) 및 연결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정보 제공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생성부(211)와 재생부(212) 및 연결부(213)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생성부(211)와 재생부(212) 및 연결부(213)는 도 3의 단계들(310~330)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생성부(211)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에 대하여 컨텐츠 항목 별로 소스 키워드를 수집한 후 수집된 소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위한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는 날씨, 일정, 교통, 뉴스, 영화, 소설, 회화, 핫토픽 키워드, 북마크, 상식, 광고 등 일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문화적 소재를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생성부(211)는 개인 맞춤형 라디오에 대한 재생 요청 시점에 컨텐츠 항목 별 소스 키워드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고, 혹은 일정 주기마다 컨텐츠 항목 별 소스 키워드를 수집하여 사전에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211)는 사용자 관심 분야나 사용자 상황에 맞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스크립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항목을 선정하여 배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크립트 생성을 위한 컨텐츠 항목 및 컨텐츠 항목의 배열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혹은 사용자 상황에 맞게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생성부(211)는 CP(content provider)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스크립트 구성을 위해 필요한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생성부(211)는 일부 컨텐츠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의 개인 성향(예컨대, 검색 패턴, 컨텐츠 소비 패턴 등), 위치, 환경 설정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특화된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에 특화된 컨텐츠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개인 정보(예컨대, 나이, 성별 등)는 물론, 인터넷 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 가능한 성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예컨대, 거주지, 자주 가는 목적지(예컨대, 회사 등), 관심 분야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할 수 있다.
생성부(211)는 컨텐츠 항목 별로 수집된 소스 키워드를 라디오 재생을 위해 구체적이고 완전한 텍스트 문장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성부(211)는 컨텐츠 항목 각각에 대하여 소스 키워드를 포함하는 연관 문장을 추가하고 연속되는 컨텐츠 항목 사이에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중간 문장을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컨텐츠를 통합한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스크립트 생성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320)에서 재생부(212)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해 자동 생성된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재생부(212)는 단계(310)에서 생성된 스크립트를 TTS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한 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개인화 된 라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재생부(212)는 개인 맞춤형 라디오 재생 시 배경 음악을 합성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재생부(212)는 스크립트의 TTS 음성과 태깅된 상황 별 배경 음원을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재생부(212)는 컨텐츠 항목 별로 스크립트에 포함된 소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황에 맞는 배경 음원을 선택한 후 TTS 음성과 합성하여 재생할 수 있다.
재생부(212)는 사용자 수동 명령에 의해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실행하거나 특정 동작이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재생부(212)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통한 요청 시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재생부(212)는 사용자 설정 환경에 제공되는 알람이 종료되면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재생부(212)는 뮤직 어플리케이션의 플레이리스트 재생 중 일정 시점에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리스트 재생 중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예컨대, 뉴스 속보 발생 시, 일정 알림 시, 기상 알림 시, 교통 변화 시 등) 다음 곡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해당 정보에 대한 라디오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재생부(212)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뮤직 어플리케이션에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트랙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추가하여 뮤직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에서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가장 먼저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실행할 수 있다.
재생부(212)는 개인 맞춤형 라디오 재생 중 일정 시점에 음성 광고를 추천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재생부(212)는 사용자의 검색 패턴이나 컨텐츠 소비 패턴 등의 성향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 맞춤형 라디오 재생 중에 음성 광고를 추천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맞춤형 라디오 재생 중에 재생되는 음성 광고의 경우 일정 시간(n초) 이상 재생되는 경우에 유효 노출 광고로 처리될 수 있다.
재생부(212)는 개인 맞춤형 라디오 재생 중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 음성을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라디오와 관련된 메뉴(예컨대, 라디오 종료, 라디오 이어 듣기, 컨텐츠 더 듣기, 광고 재생 중단 등)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부(212)는 개인 맞춤형 라디오 재생 중 사용자가 '그만'이라고 말하면 라디오 재생을 중단할 수 있으며, 개인 맞춤형 라디오 재생 중간에 음성 광고가 재생되는 경우 사용자가 '그만'이라고 말하면 광고 재생이 중단되고 라디오 재생을 이어갈 수 있다.
단계(330)에서 연결부(213)은 개인 맞춤형 라디오의 재생이 종료되거나 중단되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연결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213)은 개인 맞춤형 라디오의 재생이 종료되거나 중단되면 개인 맞춤형 라디오의 재생 이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부(213)은 개인 맞춤형 라디오의 재생이 종료되거나 중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결부(213)은 개인 맞춤형 라디오의 재생이 종료되거나 중단되면 개인 맞춤형 라디오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맞춤형 라디오가 뮤직 어플리케이션에 트랙으로 삽입된 경우 개인 맞춤형 라디오 종료 시 뮤직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트랙이 실행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 항목에 대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립트 생성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립트 생성 과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생성부(211)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401)에서 생성부(211)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스크립트 생성을 위한 컨텐츠 항목(이하, '대상 항목'이라 칭함)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성부(211)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 항목(예컨대, 오늘의 날씨, 실시간 교통 상황, 이 시간 주요 뉴스 등)을 대상 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성부(211)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 가능한 검색 패턴이나 컨텐츠 소비 패턴 등의 사용자 성향에 기반하여 사용자 관심 분야의 컨텐츠 항목을 대상 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생성부(211)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컨텐츠 갱신 시점을 기준으로 최근 일정 시간 이내에 컨텐츠 갱신 이력이 있는 컨텐츠 항목을 대상 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생성부(211)는 단계(401)에서 선택된 대상 항목을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성부(211)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순서로 대상 항목을 배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성부(211)는 컨텐츠 항목 별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 혹은 컨텐츠 항목에 대한 사용자 상황에 따라 대상 항목을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눈이나 비 소식이 있는 경우 날씨 항목을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배열할 수 있고, 출퇴근 시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회사 간 도로 구간의 교통 상황이 좋지 않은 경우 교통 정보를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배열할 수 있으며, 1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일정이 있는 경우 일정을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배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생성부(211)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 가능한 검색 패턴이나 컨텐츠 소비 패턴 등에 따른 사용자 관심도 순으로 대상 항목의 우선 순위를 적용하여 배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생성부(211)는 컨텐츠 갱신 시점 순으로 대상 항목의 우선 순위를 적용하여 배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생성부(211)는 앞서 설명한 배열 기준 중 둘 이상의 기준을 조합하여 대상 항목을 배열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하나의 기준에 따른 우선 순위가 동일한 둘 이상의 항목에 대하여 다른 기준을 추가 적용하여 최종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눈이나 비 소식이 있는 가운데 1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일정이 있는 경우 일정과 날씨 중 일정이 사용자 관심도가 더 높은 컨텐츠 항목이라면 최종적으로 일정 항목을 날씨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배열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생성부(211)는 대상 항목 별로 컨텐츠 주요 키워드로서 소스 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성부(211)는 대상 항목에 해당되는 컨텐츠 서버로 컨텐츠를 요청하여 해당 컨텐츠의 주요 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다. 생성부(211)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성향, 설정 정보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의 주요 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 정보의 경우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날씨 데이터로서, 관측 시각, 상태, 기온, 전일 기온 차이, 체감 온도, 단위시간 강수량, 누적 강수량, 풍향, 풍속 습도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일정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위 기간(예컨대, 당일, 당일+익일, 일주일 등)의 일정으로 제목, 시작 시간, 종료시간, 장소, 설명 등을 수집할 수 있다. 교통 정보의 경우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목적지까지의 교통 정보로서, 출발지와 목적지 간 구간, 소통 상황, 소요 시간, 거리, 정보 업데이트 시각, 택시 요금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뉴스의 경우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한 주요 뉴스로서, 뉴스 기사 제목과 기사 링크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단계(404)에서 생성부(211)는 대상 항목의 배열 순서에 따라 소스 키워드를 이용한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서는 컨텐츠 항목에 따라 정해진 문장 형식을 포함하는 문장 DB를 사전에 구축할 수 있으며, 이에 생성부(211)는 상황에 대응되는 문장 형식에 앞서 수집된 소스 키워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완성된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항목에 따른 문장 형식과 완성 문장의 예시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날씨 항목에 대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부(211)는 날씨 항목에 정해진 문장 형식(500)을 읽어오고, 해당 문장 형식(500)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문구(①)를 추가하고, 날씨 정보에서 수집된 소스 키워드 중 현재 날씨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문구(②)와 기온을 나타내는 기온 문구(③)를 추가함으로써 완성 문장(510)을 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날씨 항목에 대한 문장 형식은 소스 키워드를 수집하는 시간 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오전/오후 시간대에는 도 5에서 설명한 문장 형식(500)을 적용하고, 저녁 시간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익일 예보를 나타내는 예보 문구(④)가 추가된 문장 형식(600)을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녁 시간에 생성된 스크립트는 당일 날씨 정보와 함께 익일 예보를 포함하는 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날씨 항목에 대한 문장 형식은 날씨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문구(①)와 현재 날씨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문구(②) 및 날씨 상태에 따른 활동 유의 사항을 나타내는 기타 문구(③)가 포함된 문장 형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장 형식에 따라 위치 문구(①) 및 상태 문구(②)와 함께 날씨 상태에 따른 활동 유의 사항을 나타내는 문구를 추가하여 완성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
일정 항목에 대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부(211)는 일정 항목에 정해진 문장 형식(800)을 읽어오고, 해당 문장 형식(800)에 일정 별 시간과 제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완성 문장(810)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관련 문장 형식(800)에 당일 등록된 일정 개수를 나타내는 일정 개수 문구(①)와, 일정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문구(②)와, 일정 제목을 나타내는 제목 문구(③)를 추가할 수 있다. 일정이 복수 개인 경우 일정 시각 시간을 기준으로 일정 별로 시간 문구(②)와 제목 문구(③)를 순서대로 추가하는 방식으로 완성 문장(810)을 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정 항목에 대한 문장 형식은 소스 키워드를 수집하는 시간 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오전/오후 시간대에는 도 8에서 설명한 문장 형식(800)을 적용하고, 저녁 시간대에는 익일 일정을 포함한 문구가 추가된 문장 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
교통 항목에 대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부(211)는 교통 항목에 정해진 문장 형식(900)을 읽어오고, 해당 문장 형식(900)에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문구(①), 출발지와 목적지를 나타내는 구간 문구(②③), 해당 구간의 교통 상황을 나타내는 교통 상황 문구(④), 도착 예정 시간을 나타내는 예상 시간 문구(⑤)를 추가함으로써 완성 문장(910)을 구성할 수 있다.
출발지와 목적지의 구간에 대해서는 실제 도로 상의 교통 상황이 소스 키워드로 수집될 수 있으며, 혹은 단위 구간 별 주행 속도가 수집되는 경우 수집된 수행 속도를 사전에 정해진 교통상황 분류표에 규정된 속도와 비교하여 직접 교통 상황을 확인함으로써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
뉴스 항목에 대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부(211)는 뉴스 항목에 정해진 문장 형식(1000)을 읽어오고, 해당 문장 형식(1000)에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문구(①)와, 이 시각 주요 뉴스로 등록된 뉴스 기사 제목(②)을 추가할 수 있다. 뉴스 기사가 복수 개인 경우 기사 등록 시간을 기준으로 한 최신 기사 순서대로 뉴스 제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완성 문장(1010)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부(211)는 컨텐츠 항목 별로 완성 문장을 생성한 후 문장 DB를 이용하여 완성 문장의 앞과 뒤, 그리고 완성 문장과 완성 문장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중간 문장을 삽입할 수 있다. 생성부(211)는 연속되는 컨텐츠 항목 사이에 상황에 맞도록 적절한 중간 문장을 삽입할 수 있다. 예컨대, 생성부(211)는 날씨 항목 다음에 일정 항목이 배열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씨 항목 문장(1110)과 일정 항목 문장(1120)을 각각 생성한 후 날씨 항목 문장(1110)과 일정 항목 문장(1120) 사이에 중간 문장(1130)을 삽입함으로써 항목 간의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해줄 수 있다.
또한, 생성부(211)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 혹은 컨텐츠 항목에 대한 사용자 상황에 따라 컨텐츠 항목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게 되는데,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컨텐츠 항목에 대하여 중간 문장을 삽입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 맞춤형 라디오의 재생 요청 시 1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일정이 있거나 사용자의 출근길 도로 상황이나 날씨가 안 좋은 경우 일정을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배열하면서 일정 항목 문장(1210)을 생성하고 일정 항목 문장(1210) 앞에 일정이 가장 먼저 배열된 이유 등을 포함하는 중간 문장(1230)을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항목 각각에 대하여 소스 키워드를 포함하는 연관 문장을 구성하고 대상 항목의 배열에 맞는 적절한 중간 문장을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일련적인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재생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통해 설명한 재생부(212)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해 자동 생성된 스크립트를 TTS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한 후 출력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오 앱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1301) 후에 자동 실행되어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재생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의 수동 실행(1302)이나 NFC 태깅(1303) 등을 통한 요청에 따라 실행되어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재생부(212)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 항목의 배열에 따라 일련적으로 생성된 전체 문장을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독립 라디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개인 맞춤형 라디오의 재생이 종료되거나 중단되는 시점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다른 어플리케이션(1304)(예컨대, 뮤직 앱, 회화 앱, 뉴스 리딩 앱 등)이 자동 연결되어 재생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부(212)는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한 TTS 음성과 배경 음악을 합성하여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스크립트 생성 과정에서 컨텐츠 항목 별로 해당 항목과 관련된 배경 음원이 사전에 태깅될 수 있으며, 이후 개인 맞춤형 라디오 재생 시 TTS 음성과 태깅된 상황별 배경 음원을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컨텐츠 항목 별로 해당 항목과 관련된 배경 화면이 사전에 태깅될 수 있고, 이후 개인 맞춤형 라디오 재생 시 TTS 음성과 태깅된 상황별 배경 화면이 라디오 앱의 스킨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재생부(212)는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뮤직 어플리케이션의 플레이리스트로 재생되는 음악 재생형 라디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생부(212)는 컨텐츠 항목 별 스크립트를 개별 음원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컨텐츠 항목 별로 스크립트가 개별로 생성되어 컨텐츠 항목 별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 혹은 컨텐츠 항목에 대한 사용자 상황에 따라 개별 컨텐츠 항목에 대한 TTS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부(212)는 뮤직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음원(1501) 예컨대, 가요 2를 재생하는 도중에 뉴스 속보가 발생하는 경우 다음 음원(가요 3)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해당 뉴스 정보(1502)에 대한 TTS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재생부(212)는 음원(1501) 재생 중 사용자 일정에 대한 알림이 발생하는 경우 다음 음원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해당 일정(1503)에 대한 TTS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재생부(212)는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뮤직 어플리케이션의 트랙으로 삽입된 형태의 라디오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부(212)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뮤직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목록(1600)에 개인 맞춤형 라디오(1601)를 개별 트랙으로 삽입할 수 있고, 재생 목록(1600)이 재생되는 경우 가장 먼저 개인 맞춤형 라디오(1601)를 개별 트랙으로서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 항목의 컨텐츠를 다양한 라디오 형태의 음성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음성을 통해 보다 쉽고 자연스럽게 사용자 관심 분야의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통합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16을 통해 설명한 상세 내용을 바탕으로 보다 단축된 동작들 또는 추가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동작이 조합될 수 있고, 동작들의 순서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6에 도시한 화면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7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710), 메모리(memory)(17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7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740), 전력 회로(1750) 및 통신 회로(17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1700)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7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20)는 컴퓨터 시스템(17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7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7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7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730)는 컴퓨터 시스템(17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710) 및 메모리(17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710)는 메모리(17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17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7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7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7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7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7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7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7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7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7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7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7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17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1700)은 도 1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1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7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17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항목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별 맞춤형 통합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카테고리의 정보를 일일이 찾거나 검색할 필요가 없이 일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관심 분야의 정보를 다양한 오디오 효과와 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정보 전달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상황이나 성향에 따라 컨텐츠를 조합하여 음성을 통해 자동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더욱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211: 생성부
212: 재생부
213: 연결부

Claims (24)

  1. 컴퓨터로 구현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소스 키워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소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항목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일련의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립트를 TTS(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의 주요 키워드를 상기 소스 키워드로서 수집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항목에 대응되는 문장 형식에 상기 소스 키워드를 추가하여 완성 문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 된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위한 상기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하는 단계는,
    (1) 상기 컨텐츠 항목에 대한 사용자 상황에 따른 우선 순위,
    (2) 사용자와 관련된 인터넷 상의 정보로부터 분석된 관심도에 따른 우선 순위,
    (3) 컨텐츠 갱신 시점에 따른 우선 순위, 및
    (4)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순서에 따른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의 우선 순위를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 항목을 배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정보 및 사용자와 관련된 인터넷 상의 정보로부터 분석된 사용자 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의 주요 키워드를 수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형식은 상기 컨텐츠 항목에 대한 사용자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완성 문장을 생성한 후 완성 문장의 앞과 뒤, 그리고 완성 문장과 완성 문장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문장을 연결하는 중간 문장을 삽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이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자동으로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뮤직 어플리케이션의 플레이리스트 재생 도중에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삽입하여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플레이리스트에서 임의 음원이 재생되는 도중에 특정 컨텐츠 항목에 대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다음 음원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해당 컨텐츠 항목에 대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가 뮤직 어플리케이션에 개별 트랙으로 삽입되고,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개별 트랙으로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항목 별 스크립트에 태깅된 배경 음악을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와 합성하여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의 재생 중 음성 인식을 통해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와 관련된 메뉴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의 재생 중 음성 기반의 추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사용자와 관련된 인터넷 상의 정보로부터 분석된 사용자 성향에 따라 음성 광고를 추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가 재생되기 이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합 정보 제공 방법.
  16. 컴퓨터 시스템이 개인 맞춤형 통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소스 키워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소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항목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일련의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립트를 TTS(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의 주요 키워드를 상기 소스 키워드로서 수집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항목에 대응되는 문장 형식에 상기 소스 키워드를 추가하여 완성 문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 된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위한 상기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배열하고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소스 키워드를 수집한 후 상기 소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항목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일련의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스크립트를 TTS(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재생하는 재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의 주요 키워드를 상기 소스 키워드로서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항목에 대응되는 문장 형식에 상기 소스 키워드를 추가하여 완성 문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 된 개인 맞춤형 라디오를 위한 상기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1) 상기 컨텐츠 항목에 대한 사용자 상황에 따른 우선 순위,
    (2) 사용자와 관련된 인터넷 상의 정보로부터 분석된 관심도에 따른 우선 순위,
    (3) 컨텐츠 갱신 시점에 따른 우선 순위, 및
    (4)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순서에 따른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의 우선 순위를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 항목을 배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 항목 별로 완성 문장을 생성한 후 완성 문장의 앞과 뒤, 그리고 완성 문장과 완성 문장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문장을 연결하는 중간 문장을 삽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이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자동으로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뮤직 어플리케이션의 플레이리스트 재생 도중에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삽입하여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가 뮤직 어플리케이션에 개별 트랙으로 삽입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를 개별 트랙으로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가 재생되기 이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통합형 음성 라디오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연결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50045469A 2015-03-31 2015-03-31 개인 통합형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655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69A KR101655958B1 (ko) 2015-03-31 2015-03-31 개인 통합형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69A KR101655958B1 (ko) 2015-03-31 2015-03-31 개인 통합형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958B1 true KR101655958B1 (ko) 2016-09-08

Family

ID=5695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469A KR101655958B1 (ko) 2015-03-31 2015-03-31 개인 통합형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9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0606A (ja) * 2017-10-04 2020-10-22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ユーザ構成され、カスタマイズされた対話型ダイアログアプリケーション
CN112420038A (zh) * 2020-10-28 2021-02-26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自适应场景判断的智能语音播报方法、装置
US11538474B2 (en) 2019-09-19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539A (ja) * 2007-10-11 2009-04-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09239479A (ja) * 2008-03-26 2009-10-15 Toshiba Corp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06747A (ko) * 2009-03-24 2010-10-0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인터넷 음원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4325A (ko) * 2012-04-09 2013-10-18 김정열 배경음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539A (ja) * 2007-10-11 2009-04-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09239479A (ja) * 2008-03-26 2009-10-15 Toshiba Corp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06747A (ko) * 2009-03-24 2010-10-0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인터넷 음원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4325A (ko) * 2012-04-09 2013-10-18 김정열 배경음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0606A (ja) * 2017-10-04 2020-10-22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ユーザ構成され、カスタマイズされた対話型ダイアログアプリケーション
US11341968B2 (en) 2017-10-04 2022-05-24 Google Llc User-configured and customized interactive dialog application
US11676602B2 (en) 2017-10-04 2023-06-13 Google Llc User-configured and customized interactive dialog application
US11538474B2 (en) 2019-09-19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2420038A (zh) * 2020-10-28 2021-02-26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自适应场景判断的智能语音播报方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927B2 (en) View-based voice interaction method, apparatus, server, terminal and medium
US9111534B1 (en) Creation of spoken news programs
CN109804428B (zh) 计算代理的合成语音选择
JP6567773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のユーザのコンテキストに基づく輸送の自動予約
JP2021064393A (ja) 関連コンテンツを先見的に特定し、タッチ感知デバイス上に表面化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2834810B1 (en) Playback control apparatus, playback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881247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sought by a user
US201602401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221842A1 (en) Technologies for creating, altering, and presenting media content
CN104620317A (zh) 对内容进行调步
US201200787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delivery of multimedia content
CN102017662A (zh) 信息提供系统、信息收发用的终端及信息提供方法
KR20130009754A (ko) 통합형 광고 시스템
CN109981785A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655958B1 (ko) 개인 통합형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478394B1 (ko) 인터넷 만화 컨텐츠에 대해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4166709A (zh) 信息推荐方法和装置
EP3568771A1 (en) User state predictions for presenting information
CN107545018A (zh) 在基于反馈的系统效能确定中的时延降低
CN108900616A (zh) 有声资源的收听方法和装置
US20230036192A1 (en) Live audio advertising bidding and moderation system
KR20160090428A (ko) 주변 센싱 정보에 대한 가격 입찰을 통해 노출 광고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6202087A (zh) 一种信息推荐方法及装置
CN114625699A (zh) 对先前呈现的材料的识别和重构
KR101607919B1 (ko) 메신저에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검색 결과를 정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