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758B1 -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758B1
KR101655758B1 KR1020150181918A KR20150181918A KR101655758B1 KR 101655758 B1 KR101655758 B1 KR 101655758B1 KR 1020150181918 A KR1020150181918 A KR 1020150181918A KR 20150181918 A KR20150181918 A KR 20150181918A KR 101655758 B1 KR101655758 B1 KR 10165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terminal
user
information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필
김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좋은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좋은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좋은넷
Priority to KR102015018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다중 구조의 펜스를 설정하여 사용자에 대한 위치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 확인 시스템은, 설정된 영역을 커버링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비콘 단말기; 상기 비콘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비콘 단말기의 ID 정보 및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RSSI 정보를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비콘 단말기에 대한 비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에 적합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Beacon Signal of Multi-Fence Structur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콘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다중 구조의 펜스를 설정하여 사용자에 대한 위치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기 사이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설정거리 내에 위치한 사용자 간 정보를 주고받거나, 설정구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술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의 광범위한 보급에 따라 스마트 폰과의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 폰 근거리 통신 기술로 주목받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대신 비콘(Beacon)이 점차 그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비콘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고 스마트 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비콘은 건물내 최대 50m 이상의 반경까지 단말기(스마트 폰을 포함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할 수 있어, 단말기에 직접 태그할 필요 없이도 비콘 단말기가 설치된 특정 장소나 매장에 방문객들이 입장하는 순간 안내 서비스가 제공되거나 모바일 쿠폰이 지급될 수 있다. 또한, 비콘은 저전력의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마트 폰 배터리 소모량도 적은 장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 폰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수단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GPS 수신기는 건물 내부, 고층빌딩이 많은 도심지역, 지하 주차장, 지하철 및 터널 등지에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GPS의 경우 수십 미터의 오차가 발생한다. 반면, 비콘은 이보다 정교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고, 특히 실내에서의 스마트 폰 사용자의 위치 파악에 유리하다. 가령, 같은 건물이더라도 위치에 따라 다른 내용의 안내와 쿠폰 등을 받을 수 있으며, 걸어가는 방향으로 매장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들 덕분에 전세계적으로 비콘 시스템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매장과 슈퍼마켓 등에서 제공되기 시작한 비콘 서비스는 스마트 폰 사용자들이 상점에 들어서면 즉석에서 상품정보를 확인하거나 할인쿠폰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상품정보나 할인쿠폰이 스마트 폰으로 전송되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비콘 단말기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국내등록특허 10-1489863호, 10-1501032호 등에 제시되고 있다.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단말기(10)가 비콘 신호를 전송하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2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해당 비콘의 아이디(ID)와 신호 세기(RSSI)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하고, 서버(3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매장의 상품정보나 할인쿠폰과 같은 서비스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 이때, 비콘 단말기(10)는 건물 내부 공간에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비콘 단말기(10)가 복수개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된다. 각 비콘 단말기(10)는 소정 범위까지 신호를 전송하므로, 사용자 단말기(20)는 두 개 이상의 비콘 단말기(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콘 단말기(10)와의 거리 정보뿐만 아니라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가 제1비콘 단말기(10-1)와 제2비콘 단말기(10-2)의 신호 중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는 각 비콘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들 비콘 신호 정보를 서버(도 1의 30)로 전송하면, 서버(30)에서는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즉, 단말기 소지자)가 제1비콘 단말기(10-1)와 제2비콘 단말기(10-2) 사이의 특정 영역(A)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해당 단말기로의 접근 여부에 대한 정보만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지만, 다수의 비콘 단말기가 신호가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비콘 단말기로의 접근 여부뿐만 아니라 접근 방향(즉, 위상)에 대한 정보까지 포함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비콘 단말기를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에 이르는 단일 펜스(Tx 펜스)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는 이웃하는 비콘 단말기의 신호 중첩 영역으로 파악하므로, 단일 펜스 구조의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는 신호 중첩 영역의 수가 한정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를 나타낸다. 일 예로, 두 개의 비콘 단말기가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중첩 영역(A)만 발생되고(도 2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비콘 단말기가 설치되는 경우 아홉 개의 중첩 영역(ab, bc, cd, da, abc, abd, bcd, cab, abcd)만 발생되어, 하나 또는 아홉 개의 요소에 의해서만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므로, 정확성에 한계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충전 전원으로 구동되는 비콘 단말기가 전원이 소멸되는 경우, 전원이 소멸된 비콘 단말기는 작동되지 않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순간이 발생되고, 관리자는 비콘 단말기의 전원이 소멸된 후에 조치를 취하게 되는 관리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국내등록특허 10-1489863호(2015.02.05.등록공고, 비콘 단말기 및 그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국내등록특허 10-1501032호(2015.03.13.등록공고,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비콘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 사용자 위치 파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 단말기의 전원이 소멸되기 전에 미리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내부 충전 전원의 소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단절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사용자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 확인 시스템은, 설정된 영역을 커버링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비콘 단말기; 상기 비콘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비콘 단말기의 ID 정보 및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RSSI 정보를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비콘 단말기에 대한 비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에 적합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분되는 각 영역의 최대 범위는 상기 비콘 단말기가 커버링하는 신호 송신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위치 확인 시스템 상기 비콘 단말기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는 단말기 자체의 잔류 전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 확인 방법은, 비콘 단말기의 신호 송신 범위(Tx 펜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비콘 단말기의 신호 송신 범위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신호 수신 범위(Micro 펜스)를 상기 비콘 단말기와 거리에 따라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펜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각 비콘 단말기가 다중 펜스 구조를 이루어, 이웃하는 비콘 단말기가 각 펜스 영역에 따라 신호 중첩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 파악을 위한 요소가 확대되어 위치 파악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일반적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 송신 시스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Tx 펜스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Micro 펜스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은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비콘 단말기(100), 비콘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신호 영역에서 해당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비콘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비콘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사이의 신호 전송은 저전력의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단말기(200)와 서버(300) 사이의 신호 전송은 3G, 4G, LTE 등의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콘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에 설정되며, 소정의 범위 영역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비콘 단말기(100)는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며, 각 단말기는 해당 단말기의 비콘 ID를 포함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영역 범위까지 전송하여, 비콘 시스템에서 송신기(Broadcaster)로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비콘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시간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부 등을 구비한다.
한편, 비콘 단말기(100)는 상용 전원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설치 위치에 구애를 받지 않도록 내부의 충전 전원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비콘 단말기(100)는 내부 전원이 소멸되는 경우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게 되고, 해당 단말기 근처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여 서비스 제공이 단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콘 단말기(100)는 단말기의 ID 정보와 함께 단말기 자체의 잔류 전원 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즉, 비콘 단말기(100)는 전송되는 신호 패킷 일부를 비콘 단말기의 잔류 전원 정보에 대한 데이터 비트로 할당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다중 비트(또는 바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신호 패킷에 대하여 3비트를 잔류 전원 정보를 위한 데이터 비트로 할당하는 경우, 단말기의 잔류 전원이 10%이하(000), 10 ~ 20%(001), 20 ~ 30%(010), 30 ~ 40%(011), 40 ~ 50%(100), 50 ~ 60%(101), 60 ~ 70%(110) 및 70%이상(111)으로 구분되도록 설정하여 전송함으로써, 서버(300)에서 단말기의 잔류 전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잔류 전원은 단말기 자체에 표시될 수 있으나, 비콘 단말기는 전원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잔류 전원을 확인하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잔류 전원 정보를 비콘 신호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를 서버(20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 교체와 같은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비콘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서버(300)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내장된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직접 소지하는 것으로 비콘 시스템에서 수신기(Recevser)로 기능을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비콘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비콘 단말기의 ID 정보, 잔류 전원 정보 및 신호의 세기(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비콘 단말기(100) 및 서버(300)와 통신이 이루어지고, 각종 신호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미리 설치된다.
서버(300, Server)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 영역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300)에는 각 비콘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 비콘 단말기가 설치된 매장의 서비스 정보, 이벤트 정보, 할인 정보 등의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비콘 단말기 정보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위치의 매장에 대한 서비스, 이벤트, 할인 등의 정보나 모바일 쿠폰 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비콘 단말기의 잔류 전원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비콘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수신하고 그 결과를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비콘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펜스 설정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시스템은 비콘 단말기(100)가 대략 50m 반경의 범위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50m의 수신 영역 내에서 각각 50m, 10m, 1m 범위 내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대한 ID 정보와 신호 수신 영역을 Far, Near, Immediate로 분류한 RSSI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콘 단말기(10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다중 영역에 분류하여 수신하는 구조는 비콘 단말기(100)에서 다중 펜스 구조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다중 펜스 구조의 신호 송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 수신 시스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두 개의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신호 수신 시스템을 나타내었고, 도 5b는 네 개의 비콘 단말기를 이용한 신호 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가 이중 펜스 구조로 비콘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비콘 단말기에서 이중 펜스 구조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비콘 단말기(100)가 설치되는 경우 각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A1/A2 및 B1/B2와 같이 이중 펜스 영역을 갖게 되고, 이들 단말기에서 신호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만을 살펴보면, A1B2, A2B2, A2B1과 같이 3개의 영역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비콘 단말기(100)가 설치되는 경우 각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A1/A2, B1/B2, C1/C2 및 D1/D2와 같이 이중 펜스 영역을 갖게 되고, 이들 단말기에서 신호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만 살펴보면, A1B2, A2B2, A2B1, B1C2, B2C2, B2C1, C1D2, C2D2, C2D1, A2D1, A2D2, A1D2, A1B2D2, A2B2D2, A2B1C2, A2B2C2, B2C1D2, B2C2D2, A2C2D1, A2C2D2, A2B2C2D2와 같이 21개의 영역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 수신 시스템에서는 비콘 단말기들의 신호 중첩 영역이 더욱 세분화되어 신호 중첩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나 위치 파악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된다. 또한, 서버는 각 위치에 대하여 더욱 세분화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Tx 펜스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의 Micro 펜스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 펜스의 설정은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비콘 단말기(100)의 Tx 펜스가 설정된 후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비콘 단말기(100)의 신호를 각 단계에 따라 수신하기 위한 Micro 펜스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Tx 펜스 설정은 비콘 단말기(100)의 신호 송신 범위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비콘 단말기(100)는 5M, 20M, 50M, 75M 반경 범위로 구분되는 4단계의 송신 범위를 갖도록 제조된다. 이와 같이 4단계의 송신 범위를 갖는 비콘 단말기는 이웃하는 단말기와의 거리, 설치 영역의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특정 반경의 범위 내에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Tx 펜스가 설정된다. 이러한 Tx 펜스 설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Tx 펜스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S11), 해당 비콘 단말기(100)의 송신 가능한 Tx 펜스 단계를 확인하고(S12), 비콘 단말기가 소정의 영역까지 비콘 신호를 송신하도록 특정 단계의 Tx 펜스를 선택하는 과정(S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Micro 펜스 설정은 Tx 펜스 영역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200)가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Micro 펜스는 다중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Micro 펜스의 설정은 서버(300)의 펜스 설정부에서 이루어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Micro 펜스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S21), 비콘 단말기(100)의 Tx 펜스를 입력하고(S22), 사용자 단말기(200)의 펜스 범위를 설정한다(S23).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정되는 Micro 펜스 범위는 최대 영역의 값이 비콘 단말기(100)의 Tx 펜스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Tx 펜스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첫번째 Micro 펜스 범위가 설정된 후, Micro 펜스 범위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S24) 다른 값의 Micro 펜스 범위를 설정하여 다중 구조의 펜스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Micro 펜스 설정과 추가는 동일한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특정 범위의 Micro 펜스가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펜스를 추가하는 공정이 별도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중 구조의 Micro 펜스에서 가장 넓은 범위의 Micro 펜스는 Tx 펜스와 일치하게 되며, 추가되는 Micro 펜스는 Tx 펜스보다 작은 영역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Tx 펜스 범위 내에서 Micro 펜스를 추가함으로써,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은 다중 펜스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비콘 단말기
200 : 사용자 단말기(스마트 폰)
300 : 서버

Claims (4)

  1. 설정된 영역을 커버링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비콘 단말기;
    상기 비콘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비콘 단말기의 ID 정보 및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RSSI 정보를 상기 비콘 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라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신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비콘 단말기에 대한 비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에 적합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비콘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RSSI 정보를 상기 비콘 단말기의 송신 범위인 Tx 펜스 영역과, 상기 Tx 펜스 영역 이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Micro 펜스 영역의 다중 펜스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단말기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는 단말기 자체의 잔류 전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4. 비콘 단말기의 신호 송신 범위(Tx 펜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비콘 단말기의 신호 송신 범위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신호 수신 범위(Micro 펜스)를 상기 비콘 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비콘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Tx 펜스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상기 Micro 펜스 영역을 포함하는 다중 펜스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신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위치 정보로 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는 복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다중 펜스 영역의 위치 정보에서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방법.
KR1020150181918A 2015-12-18 2015-12-18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18A KR101655758B1 (ko) 2015-12-18 2015-12-18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18A KR101655758B1 (ko) 2015-12-18 2015-12-18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758B1 true KR101655758B1 (ko) 2016-09-09

Family

ID=5693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918A KR101655758B1 (ko) 2015-12-18 2015-12-18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37A (ko) * 2016-12-28 2018-07-06 김동호 지진 대비용 출입문 자동 개폐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573A (ko) * 2004-08-18 2006-02-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구역 기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특정구역별 개인화 정보 제공 및 이동 통신 단말기 기능 제어방법
KR20060025444A (ko) * 2004-09-16 200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04308A (ko) * 2005-07-04 2007-01-09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방법
KR20100068589A (ko) * 2008-12-15 2010-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그비 네트워크에서의 다중 pan 중첩 회피 방법
KR101489863B1 (ko) 2014-08-28 2015-02-05 주식회사 이도링크 비콘 단말기 및 그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01032B1 (ko) 2014-06-16 2015-03-13 변상현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573A (ko) * 2004-08-18 2006-02-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구역 기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특정구역별 개인화 정보 제공 및 이동 통신 단말기 기능 제어방법
KR20060025444A (ko) * 2004-09-16 200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04308A (ko) * 2005-07-04 2007-01-09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상품 정보 제공 서비스방법
KR20100068589A (ko) * 2008-12-15 2010-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그비 네트워크에서의 다중 pan 중첩 회피 방법
KR101501032B1 (ko) 2014-06-16 2015-03-13 변상현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89863B1 (ko) 2014-08-28 2015-02-05 주식회사 이도링크 비콘 단말기 및 그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37A (ko) * 2016-12-28 2018-07-06 김동호 지진 대비용 출입문 자동 개폐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7200B (zh) 一种基于方位定向的定位监听装置及室内定位系统
EP2715389B1 (en)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and location based modification of computing device applications
EP283968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area-network-assisted location determination
US11044587B2 (en) Real-time lo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s
CN103069778B (zh) 用于定位的方法、移动设备及系统
US101719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mobile device by using bluetooth signal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TWI354806B (en) Local location-tracking system
KR20120091898A (ko) 모바일카드 결제 시스템과 연동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
WO2020210268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and using ultra-wideband local area networks (lans)
KR100594120B1 (ko) 위치 측정을 위한 가시광선 통신 시스템과 그 위치 측정방법 및 그를 이용한 양방향 정보 전송 방법
KR101267405B1 (ko) 실내 측위를 위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MX2011013174A (es) Activacion de aplicaciones de servicio basadas en ubicacion.
KR101655758B1 (ko) 다중 펜스 구조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70897A (ja) 屋内装置及び測位方法
US8280355B1 (en)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the veloc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ALIKOVA et al. Use of iBeacon technology for safe movement of disabled people
KR101600259B1 (ko)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의 근접도를 기초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JP5176346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位置特定中間装置及び位置特定方法
KR20170027124A (ko) 실내 중계기 기반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3188607A (zh) 定位系统和定位方法
KR101090033B1 (ko) Wpan기반의 자재 및 공구의 실시간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
JP5554813B2 (ja) 測位システム及び測位方法
US118440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o-location
JP6011078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