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086B1 -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086B1
KR101655086B1 KR1020140172916A KR20140172916A KR101655086B1 KR 101655086 B1 KR101655086 B1 KR 101655086B1 KR 1020140172916 A KR1020140172916 A KR 1020140172916A KR 20140172916 A KR20140172916 A KR 20140172916A KR 101655086 B1 KR101655086 B1 KR 101655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centration unit
access points
access point
d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470A (ko
Inventor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어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어컴
Priority to KR102014017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0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검침 기술에 있어서, 특히 다수 액세스포인트가 설치되는 복합 공간에 대해 2차원이 아닌 3차원적 공간 해석을 통해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최적 위치를 선정해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 액세스포인트(AP)와 통신하는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위치를 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에 기준하여 상기 다수 액세스포인트(AP)들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들을 나타내는 3차원 맵을 모델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델링된 3차원 맵에서 상기 다수 액세스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제거하거나 신규 액세스포인트의 증설에 따른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추가하면서 각 액세스포인트에 대한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해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유닛(DCU)의 가상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method for selecting optimal position of DCU}
본 발명은 원격 검침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 액세스포인트가 설치되는 복합 공간에 대해 2차원이 아닌 3차원적 공간 해석을 통해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최적 위치를 선정해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검침은 공동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열량 등 각종 계량기의 사용량을 검침원이 직접 세대를 방문하지 않고 검침 센터에서 자동으로 검침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원격 검침 기술은 멀리 떨어진 지점의 측정 대상으로부터 측정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검침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검침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공해감시, 방범, 방재, 전력, 상수도, 가스 계통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의 원격 검침 기술에는 측정 대상에 의해 측정된 사용량을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을 통해 전송하고, 다수 액세스포인트에서 전송된 검침데이터를 데이터집중유닛(DCU)에서 수집하여 검침 센터로 전송하게 된다.
데이터집중유닛과 다수 액세스포인트 간에는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각 액세스포인트 별로 가시거리(line of sight) 및/또는 전파수신강도(RSSI)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전달 특성을 확인하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데이터집중유닛을 고정 설치한 후에 필요한 위치에 액세스포인트를 증설 또는 제거하는 구조이다. 또한, 데이터집중유닛의 설치 위치를 선정함에 있어서 액세스포인트와의 관계를 2차원적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아파트와 같이 복수 층의 건물에 대한 공간 해석에 적합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2차원적 공간 해석에 의하여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 건물에 대한 원격 검침 설비를 구축한 경우에, 데이터집중유닛과 다수 액세스포인트 간의 데이터 전송 구조를 2차원의 평면 구조로만 고려한 체 높이에 대한 부분을 간과하여 해석하기 때문에 데이터집중유닛이 데이터 송수신에 적합하지 못한 위치에 설치되어 특정 액세스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수신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거나 불필요한 설비가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다수 액세스포인트가 설치되는 복합 공간에 대해 3차원적 공간 해석을 통해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최적 위치를 선정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의 특징은, 다수 액세스포인트(AP)와 통신하는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위치를 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에 기준하여 상기 다수 액세스포인트(AP)들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들을 나타내는 3차원 맵을 모델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델링된 3차원 맵에서 상기 다수 액세스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제거하거나 신규 액세스포인트의 증설에 따른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추가하면서 각 액세스포인트에 대한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해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유닛(DCU)의 가상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3차원 맵을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 액세스포인트(AP)들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들을 각 액세스포인트 별 전파수신강도로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는 각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파수신강도에 따른 유효 값을 분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효 값은 각 액세스포인트를 구비하는 검침유닛에 의해 측정된 검침데이터를 해당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정상 수신하는 전파수신강도(RSSI)의 최소 값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효 값은 각 액세스포인트를 구비하는 검침유닛에 의해 측정된 검침데이터를 해당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정상 수신하는 전파수신강도(RSSI)의 평균 값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델링된 3차원 맵에서 다수의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이 중첩되는 액세스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제거한 후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유닛(DCU)의 가상 위치를 변경하되, 상기 변경된 가상 위치 중에서 각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검침데이터가 정상 수신되기 위한 전파수신강도를 가지는 가상 위치를 상기 최적 설치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설치를 선정함에 있어서 다수 액세스포인트가 설치되는 복합 공간에 대해 평면적 공간 해석이 아닌 3차원적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다수 액세스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수신율이나 설비 비용에 최적인 데이터집중유닛의 설치 위치 선정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을 위해 모델링되는 3차원 맵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절차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을 위해 모델링되는 3차원 맵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절차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절차를 설명한다.
데이터집중유닛(DCU)는 다수 액세스포인트(AP)와 통신하여, 그 다수 액세스포인트(AP)에 구비되는 검침유닛에 의해 측정된 검침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를 선정함에 있어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시뮬레이션 절차를 통해 진행된다.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최적 위치 선정을 위해, 먼저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위치를 가상으로 설정한다(S10). 도 2의 3차원 맵에서는 XYZ축의 0점을 데이터집중유닛의 기본 위치로 정의한다.
이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위치가 설정된 데이터집중유닛에 기준하여 다수 액세스포인트(AP)들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들을 나타내는 3차원 맵을 모델링한다(S20). 도 2에는 4개의 액세스포인트에 대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나타낸 것으로, A 내지 D의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나타낸다.
특히, 3차원 맵을 모델링할 때는, 다수 액세스포인트(AP)들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들을 각 액세스포인트 별 전파수신강도(RSSI)로 나타낼 수 있다.
이어, 모델링된 3차원 맵에서 다수 액세스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제거하거나 신규 액세스포인트의 증설에 따른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추가하면서 각 액세스포인트에 대한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S30).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한 분석의 예로는, 각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파수신강도에 따른 유효 값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유효 값은 각 액세스포인트를 구비하는 검침유닛에 의해 측정된 검침데이터를 해당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정상 수신하는 전파수신강도(RSSI)의 최소 값일 수 있으며, 또는 각 액세스포인트를 구비하는 검침유닛에 의해 측정된 검침데이터를 해당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정상 수신하는 전파수신강도(RSSI)의 평균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유효 값의 정의는 전파수신강도의 최소 값 또는 평균 값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전파수신강도의 최대 값도 포함될 수 있다.
이어,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데이터집중유닛(DCU)의 가상 위치를 변경하면서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한다(S40).
보다 상세하게,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할 시에는, 모델링된 3차원 맵에서 다수의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이 중첩되는 액세스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제거 또는 추가한 후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데이터집중유닛(DCU)의 가상 위치를 변경한다. 즉, 데이터집중유닛(DCU)의 가상 위치를 변경하면서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가 전술된 유효 값의 범위에 만족하는 지를 검사한다(S41, S42).
만약, 변경된 가상 위치 중에서 각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검침데이터가 정상 수신되기 위한 전파수신강도를 가지면(유효 값 범위를 만족하면), 해당 가상 위치를 최적 설치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S43).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A 내지 D의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에서 B와 C 영역과 중첩되는 D 영역을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으로서 제거한 후에 데이터집중유닛의 가상 위치를 변경하면서 데이터 전달 특성을 분석한다. 그 분석 결과가 유효 값 범위를 만족하면, 해당 가상 위치를 최적 설치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 액세스포인트들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3차원 맵으로 모델링한 후 중첩되는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제거하면서 데이터 전달 특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데이터집중유닛의 설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다수 액세스포인트(AP)와 통신하는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위치를 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에 기준하여 상기 다수 액세스포인트(AP)들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들을 나타내는 3차원 맵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3차원 맵에서 상기 다수 액세스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제거하거나 신규 액세스포인트의 증설에 따른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추가하면서 각 액세스포인트에 대한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으로써 각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파수신강도에 따른 유효 값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각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파수신강도에 따른 유효 값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유닛(DCU)의 가상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데이터집중유닛(DCU)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델링된 3차원 맵에서 다수의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이 중첩되는 액세스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을 제거한 후 상기 데이터집중유닛으로의 데이터 전달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 해당하는 각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파수신강도에 따른 유효 값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유닛(DCU)의 가상 위치를 변경하되,
    상기 변경된 가상 위치 중에서 각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검침데이터가 정상 수신되기 위한 전파수신강도를 가지는 가상 위치를 상기 최적 설치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맵을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 액세스포인트(AP)들에 의한 전파수신 커버리지영역들을 각 액세스포인트 별 전파수신강도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값은 각 액세스포인트를 구비하는 검침유닛에 의해 측정된 검침데이터를 해당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정상 수신하는 전파수신강도(RSSI)의 최소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값은 각 액세스포인트를 구비하는 검침유닛에 의해 측정된 검침데이터를 해당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정상 수신하는 전파수신강도(RSSI)의 평균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6. 삭제
KR1020140172916A 2014-12-04 2014-12-04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KR101655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16A KR101655086B1 (ko) 2014-12-04 2014-12-04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16A KR101655086B1 (ko) 2014-12-04 2014-12-04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470A KR20160067470A (ko) 2016-06-14
KR101655086B1 true KR101655086B1 (ko) 2016-09-07

Family

ID=5619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916A KR101655086B1 (ko) 2014-12-04 2014-12-04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64A (ko) 2019-05-10 2020-11-18 (주)매트론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KR20230143052A (ko) * 2022-04-04 2023-10-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최소 출력량을 최대화하는 머신러닝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02B1 (ko) * 2008-12-30 2011-09-30 주식회사 케이티 건물 내부의 전파 환경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64A (ko) 2019-05-10 2020-11-18 (주)매트론 데이터 집중장치용 크래들
KR20230143052A (ko) * 2022-04-04 2023-10-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최소 출력량을 최대화하는 머신러닝 방법 및 시스템
KR102619807B1 (ko) 2022-04-04 2024-01-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최소 출력량을 최대화하는 머신러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470A (ko)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6834B2 (ja) 無線スペクトル使用情報の提示
CN105993183B (zh) 用于在无线电网络的配置中使用功能图协助的方法和工具
CN104853379B (zh) 一种无线网络质量评估方法及装置
US11849475B2 (en) Locating external interference in a wireless network
US108202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based on property information of an object
EP34978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ng communication channel in consideration of material and contours of objects
US9942775B2 (en) Signal localization and mapping
CN1273892C (zh) 有效观察和比较通信网络系统性能的系统和方法
WO2020117930A1 (en) Locating external interference in a wireless network
CN108124267A (zh) 基站自动规划方法及装置
CN111919221B (zh) 用于处理图像的方法和装置
CN111426345A (zh) 分布式电缆沟道环境监测系统、方法、计算机设备
CN102984745A (zh) Wi-Fi AP位置及路径损耗模型的联合估测方法
US11777805B2 (en) Self-configuring wireless networks
KR101655086B1 (ko) 데이터집중유닛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US20150257156A1 (en) Dynamic radio frequency mapping
CN105723748A (zh) 无线电信道利用
CN110519767A (zh) 一种NB-IoT覆盖预测方法及装置
KR102373673B1 (ko) 구조물의 전파 인입부를 고려한 통신 환경 분석 및 망 설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792826B (zh) 信号干扰分析方法及装置
Šolc et al. Network design for the LOG-a-TEC outdoor testbed
JP6030976B2 (ja) 無線通信局位置推定装置、無線通信局位置推定方法及び無線通信局位置推定プログラム
Kulawiak et al. Dynamic signal strength mapping and analysis by means of 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ancia et al. Efficient urban coverage for relay aided smart energy wireless networks
Paulson Prediction of diversity statistics on terrestrial microwave li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