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317B1 -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317B1
KR101654317B1 KR1020150124448A KR20150124448A KR101654317B1 KR 101654317 B1 KR101654317 B1 KR 101654317B1 KR 1020150124448 A KR1020150124448 A KR 1020150124448A KR 20150124448 A KR20150124448 A KR 20150124448A KR 101654317 B1 KR101654317 B1 KR 10165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data
ordering
order ev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주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아이베란다주식회사
고영주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베란다주식회사, 고영주, 이승호 filed Critical 아이베란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복수의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목재의 종류 및 두께를 기준으로 주문 이벤트를 분류하는 단계, 기 저장된 목재의 기본 사이즈와, 분류된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사이즈에 기반하여, 재단 후 잔여 목재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주문 이벤트의 조합 및 배치도를 포함하는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도면에 기반하여 주문 이벤트에 대한 재단 요청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ORDERING TIMBER SERVICE}
본 발명은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구를 직접 제작하여 만드는 사용자가 늘어감에 따라, 목재를 판매하는 판매자는 DIY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있으나, 목재를 판 단위로 주문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목재를 재단하고 남은 잔여 목재는 자신이 구매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판 단위로 책정되는 가격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지출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설치용 가구를 제작하기 위한 온라인 주문 방법은, 실측 정보만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제작 도면이 완성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4-0005452호(2014.10.22 공개)에는, 고객이 간단한 실측 정보만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제작 도면이 완성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0-0024413호(2000.05.06 공개)에는, 수요자가 원하는 내용을 수요자가 원하는 용도 및 원하는 형태에 따라 맞춤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가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가구를 만들기 위한 목재를 구입해야 하는데, 목재는 판 단위로 판매되기 때문에, 만약 주문자가 단위 목재 중 일부가 필요하다고 할지라도, 하나의 판 가격을 모두 지불해야 한다. 또한, 재단이 요구되는 경우, 재단 사이즈 및 재단 종류에 따른 가격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가격 책정이 투명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재단 후 버려지는 원목은 주문자가 사용하지 않음에도 가격을 부과하여 원목 구입 및 재단에 불합리한 면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문자의 주문 이벤트를 분류 및 클러스터링하여 동일한 종류 및 두께의 목재는 함께 재단하도록 하되, 잔여 목재의 수는 최소화시키고 사용가능한 잔여목재의 크기는 최대화되도록 재단 디자인을 생성함으로써, 버려지는 원목이 최소화될 수 있고, 잔여 목재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목재의 종류 및 두께를 기준으로 주문 이벤트를 분류하는 단계, 기 저장된 목재의 기본 사이즈와, 분류된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사이즈에 기반하여, 재단 후 잔여 목재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주문 이벤트의 조합 및 배치도를 포함하는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도면에 기반하여 주문 이벤트에 대한 재단 요청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주문자는 자신이 주문하는 사이즈 및 재단 종류에 따라 가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합리적인 가격 도출 및 가격 책정의 투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고, 판매자는 주문자의 주문 이벤트를 분류 및 클러스터링하여 동일한 종류 및 두께의 목재는 함께 재단하도록 하되, 잔여 목재의 수는 최소화시키고 사용가능한 잔여목재의 크기는 최대화되도록 재단 디자인을 생성함으로써, 버려지는 원목이 최소화될 수 있고, 잔여 목재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재 주문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목재 주문 서비스가 웹 페이지 또는 앱 페이지에서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목재 주문 서비스가 웹 페이지 또는 앱 페이지에서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주문자 단말(100),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주문자 단말(100)과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주문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자 단말(100)은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고, 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를 경유하여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100),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주문자 단말(100)은, 목재를 주문하는 주문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주문자 단말(100)은, 목재를 하나의 단위(Unit)로 주문하는 단말일 수도 있고, 재단 사이즈에 따라 가격을 지불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그리고, 주문자 단말(100)은, 주문하는 사이즈에 따른 가격을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주문자 단말(100)은,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주문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문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주문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단위 목재 뿐만 아니라, 목재를 재단 사이즈별로 가격을 측정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 사이트, 앱 사이트,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목재를 판매하되, 재단 사이즈별로 가격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문자 단말(100)의 주문자가 가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목재 종류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잔여 목재의 수량이 최소화되도록 재단 디자인을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잔여 목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이후 주문이 접수될 때, 잔여 목재를 사용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자에게는 재단 사이즈별로 가격이 책정 및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합리적인 가격 및 편의를 제공하고, 재단자 및 판매자에게는 잔여 목재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버리는 목재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생산자, 판매자 및 주문자가 모두 윈윈할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재단된 디자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주문자 단말(100)으로부터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수신된 목재의 종류 및 요구 사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주문자 단말(100)에서 요구한 재단이 완료되면, 완료 데이터 및 배송 데이터를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재 주문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목재 주문 서비스가 웹 페이지 또는 앱 페이지에서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목재 주문 서비스가 웹 페이지 또는 앱 페이지에서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분류부(320), 생성부(330), 출력부(340), 데이터베이스화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목재 주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주문자 단말(100)로 전송하면, 주문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목재 주문 서비스 프로그램이 주문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주문자 단말(100),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복수의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이벤트는, 재단 길이, 수량, 목재 종류, 요구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310)는, 주문 이벤트가 수신되기 전에,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목재 종류, 재단 길이 및 수량을 기재하는 경우, 재단비 및 합계 금액을 주문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주문자 단말(100)에서 목재 종류, 재단 길이 및 수량에 따른 금액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문자 단말(100)에서 주문자는 자신이 입력한 파라미터에 따라 재단비 및 합계 금액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수신부(310)는, 복수의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할 때,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목재의 사이즈 및 두께를 포함하는 재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을 주문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이벤트는 잔여 목재 동봉 옵션을 포함하고,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목재의 종류 및 두께를 기준으로 주문 이벤트를 분류할 때, 잔여 목재 동봉 옵션이 포함된 주문 이벤트는 제외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 이벤트는, 주문자 단말(100)에서 가로 길이(Width), 세로 길이(Length), 높이(Height), 두께(Thickness), 재단 수량, 목재 종류, 가공 종류, 가공 길이, 가공 개수, 옵션 종류 및 옵션 개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의 선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주문자 단말(100)에서 선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이 산출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10)는, 복수의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할 때,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목재의 사이즈 및 두께를 포함하는 재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목재의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단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을 주문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분류부(320)는,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목재의 종류 및 두께를 기준으로 주문 이벤트를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분류부(320)에서 종류 및 두께를 기준으로 주문 이벤트를 분류하는 이유는, 목재를 재단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종류 및 두께를 가지는 주문 이벤트끼리 함께 분류를 해야 하기 때문이며, 동일한 종류 및 두께를 가진 목재라면, 사이즈별로 재단 디자인만 생성하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 주문자는 스프러스 판재, 두께 30mm를 주문했고, B 주문자는 스프러스 판재, 두께 20mm를 주문했다면, A와 B 주문자의 주문 이벤트를 함께 분류 및 클러스터링될 수 없다. 만약, A와 B 주문자가 동일한 두께의 동일한 목재를 주문한 경우라면, A와 B의 주문 이벤트는 함께 분류 및 클러스터링될 수 있다. 이는, 목재 재단을 위한 선 분류작업이며, 단위 목재를 주문한 경우가 아니어야 한다. 만약, A가 C*D 사이즈의 판재를 단위 목재로 주문(1 장 전부) 했다면, A의 주문은 다른 주문자의 주 이벤트와 분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분류부(320)에서는 주문 이벤트가 단위 목재가 아니어야 하고, 동일한 종류 및 두께의 목재를 주문한 주문 이벤트끼리 클러스터링을 실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생성부(330)는 기 저장된 목재의 기본 사이즈와, 분류된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사이즈에 기반하여, 재단 후 잔여 목재의 수량이 최소화 및 크기가 최대화되는 주문 이벤트의 조합 및 배치도를 포함하는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100 크기의 단위 목재로부터 A 주문자의 10*100의 주문, B 주문자의 30*100의 주문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총 40*100의 크기를 100*100의 목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잔여 목재는 60*100가 될 수 있다. 이때, A와 B 주문자의 주문을 어떻게 단위 목재에 배치하느냐에 따라 잔여 목재의 활용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와 B의 주문에 따른 재단을 다르게 할 경우, 잔여 목재의 활용도는 높아질수도 낮아질 수도 있다. 즉, A와 B 주문을 30 간격으로 재단한다고 가정하면, 총 2 개의 잔여 목재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잔여 목재의 활용도는 낮아질 수 있으나, A와 B 주문에 따른 재단을 붙여서(인접) 재단한다고 가정하면, 1 개의 잔여 목재만이 남게 되므로, 잔여 목재의 활용도는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부(330)는, 사용가능면적이 최대화 및 잔여 목재의 수가 최소화되도록 배치에 따른 잔여 목재의 수량 및 크기의 모든 조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든 조합 중 잔여 목재의 수량이 최소화 및 사용가능 크기가 최대화되는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생성된 도면에 기반하여 주문 이벤트에 대한 재단 요청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재단 요청 이벤트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부(350)는, 출력부(340)에서 생성된 도면에 기반하여 주문 이벤트에 대한 재단 요청 이벤트를 출력한 후, 재단 요청 이벤트에 따른 잔여 목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다른 주문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도면을 생성할 때 잔여 목재의 사이즈와, 다른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사이즈에 기반하여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에서 복수의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하기 전에,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도면 디자인 데이터 및 설치 장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설치 장소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도면 디자인 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재생성된 도면 디자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문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장소 데이터는,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설치 장소를 촬영하는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고,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실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설치 장소 데이터의 실측 데이터를 추정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목재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도면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주문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객체 정보 및 디자인 정보에 기반하여 재단된 목재가 결합된 경우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1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자 단말(100)에서 생성된 시뮬레이션 상에서 재단된 목재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경우, 삭제 또는 추가된 목재에 대한 주문 이벤트는 삭제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주문자 단말(100)에서 삭제 또는 추가된 주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삭제 또는 추가된 주문 이벤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시뮬레이션 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금액을 삭제 또는 추가에 따른 금액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된 재단 요청 이벤트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로 전송되고,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은 재단 요청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도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재단 도면은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사이즈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의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주문자 단말(100)에서 주문 이벤트를 생성하여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면, (b)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단위 목재에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사이즈의 목재를 재단하기 위하여 배치를 시작한다. 이때, (c)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잔여 수량이 최소화 및 잔여 목재의 사용가능 크기가 최대화되는 배치에 따른 재단 디자인을 생성하고, 이를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또한, (d) 주문자 단말(100)에서 설치장소 데이터를 전송하고, 도면 디자인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설치 장소 데이터에 맞게 도면 디자인 사이즈를 조정하고, 단위 목재에 재단이 가능하도록 가구의 각 부분을 분리하여 재단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e) 주문자 단말(100)에서 도면 디자인을 수정하는 경우, 주문자 단말(100)은, 수정에 따른 증감된 가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f) 주문자 단말(100)은, 가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닛에 대한 목재비 및 재단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주문자 단말(100)에서 디자인을 수정하는 경우, 수정에 따라 증감된 목재비 및 재단비도 함께 오버레이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주문자 단말(100)에서 사이즈와 수량만 입력하면, 바로 재단비와 합계 금액이 산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해당 목재를 주문하는 경우, 함께 구매가능한 목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는 주문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주문 이벤트에 따라 재단을 한 후 잔여 목재일 수 있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재단 후 잔여 목재에 대한 크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대한 가격은 제외한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자투리 목재, 즉 잔여 목재까지 모두 계산하는 방식도 있는데, 도 5b와 같이 재단 후 남는 잔여 목재에 대한 크기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잔여 목재까지 모두 동봉하여 배송한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5c와 같이, 주문자가 DIY 가구를 만들고자 할 때, 가로, 세로 및 높이만 계산하면, 이에 따라 재단 후 주문자에게 전송하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추가 가공이 존재하는 경우, 도 5d와 같이 추가 가공을 원하는 목재의 사이즈를 기재하면, 재단비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한다(S6100).
그리고 나서,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목재의 종류 및 두께를 기준으로 주문 이벤트를 분류한다(S6200).
또한,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 저장된 목재의 기본 사이즈와, 분류된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사이즈에 기반하여, 재단 후 잔여 목재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주문 이벤트의 조합 및 배치도를 포함하는 도면을 생성한다(S6300).
마지막으로,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생성된 도면에 기반하여 주문 이벤트에 대한 재단 요청 이벤트를 출력한다(S6400).
이와 같은 도 6의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목재의 종류 및 두께를 기준으로 상기 주문 이벤트를 분류하는 단계; 기 저장된 목재의 기본 사이즈와, 상기 분류된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사이즈에 기반하여, 상기 재단 후 잔여 목재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상기 주문 이벤트의 조합 및 배치도를 포함하는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도면에 기반하여 상기 주문 이벤트에 대한 재단 요청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도면에 기반하여 상기 주문 이벤트에 대한 재단 요청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재단 요청 이벤트에 따른 잔여 목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다른 주문자 단말로부터 다른 주문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도면을 생성할 때 상기 잔여 목재의 사이즈와, 다른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사이즈에 기반하여 도면을 생성하며,
    상기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가능면적이 최대화 및 잔여 목재의 수가 최소화되도록 배치에 따른 잔여 목재의 수량 및 크기의 모든 조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든 조합 중 잔여 목재의 수량이 최소화 및 사용가능 크기가 최대화되는 조합을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도면 디자인 데이터 및 설치 장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치 장소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상기 도면 디자인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성된 도면 디자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주문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치 장소 데이터는,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상기 설치 장소를 촬영하는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실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설치 장소 데이터의 실측 데이터를 추정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목재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도면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객체 정보 및 디자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단된 목재가 결합된 경우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여 상기 주문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에서 상기 생성된 시뮬레이션 상에서 재단된 목재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경우, 상기 삭제 또는 추가된 목재에 대한 주문 이벤트는 삭제 또는 추가하며,
    상기 주문자 단말에서 삭제 또는 추가된 주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삭제 또는 추가된 주문 이벤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시뮬레이션 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금액을 상기 삭제 또는 추가에 따른 금액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복수의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의 사이즈 및 두께를 포함하는 재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의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재단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주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실행되며,
    상기 주문 이벤트는, 상기 주문자 단말에서 가로 길이(Width), 세로 길이(Length), 높이(Height), 두께(Thickness), 재단 수량, 목재 종류, 가공 종류, 가공 길이, 가공 개수, 옵션 종류 및 옵션 개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의 선택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자 단말에서 상기 선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이 산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를 재단하여 주문하는 주문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목재의 사이즈 및 두께를 포함하는 재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재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주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실행되는 것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이벤트는 잔여 목재 동봉 옵션을 포함하고,
    상기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목재의 종류 및 두께를 기준으로 상기 주문 이벤트를 분류할 때, 상기 잔여 목재 동봉 옵션이 포함된 주문 이벤트는 제외하는 것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재단 요청 이벤트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단말은 상기 재단 요청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도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재단 도면은 상기 주문 이벤트에 포함된 재단 사이즈를 오버레이하는 것인,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KR1020150124448A 2015-09-02 2015-09-02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5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448A KR101654317B1 (ko) 2015-09-02 2015-09-02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448A KR101654317B1 (ko) 2015-09-02 2015-09-02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317B1 true KR101654317B1 (ko) 2016-09-06

Family

ID=5694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448A KR101654317B1 (ko) 2015-09-02 2015-09-02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109B1 (ko) * 2018-11-08 2020-05-29 이건환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합판 추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398A (ko) * 2007-09-10 2009-03-13 주식회사 에너매니아 폭 길이 방향 템프릿을 이용한 코일 절단 계획 수립 방법
KR20130010995A (ko) * 2011-07-20 2013-01-30 김진황 판형 재료의 재단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005452U (ko) * 2013-04-11 2014-10-22 서민식 설치용 가구에 관한 온라인 주문 시스템 및 통합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398A (ko) * 2007-09-10 2009-03-13 주식회사 에너매니아 폭 길이 방향 템프릿을 이용한 코일 절단 계획 수립 방법
KR20130010995A (ko) * 2011-07-20 2013-01-30 김진황 판형 재료의 재단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005452U (ko) * 2013-04-11 2014-10-22 서민식 설치용 가구에 관한 온라인 주문 시스템 및 통합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109B1 (ko) * 2018-11-08 2020-05-29 이건환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합판 추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2377B2 (en) Sales order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KR101783476B1 (ko) 원천 데이터 제공에 따른 수익 분배 및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088676A1 (en) Point of sale normalization and extension services
US20130054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bsite synchronization
TW200538977A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creation and direction of a rich-content life-cycle
WO2006071418A2 (en) System and mehod for resource management
CN102084391A (zh) 用于图像识别服务的方法和设备
KR20170076099A (ko) 온라인 쇼핑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 서버
KR101987625B1 (ko) B2b 기반 각 브랜드별 가맹점으로부터 주문발주된 제품의 유통단계를 원스톱 통합 플랫폼으로 구현하는 유니폼 통합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258164A1 (en) Shipping preferences popul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5023048A (zh) 一种旅游服务套餐设计与开放服务发布方法
KR101654317B1 (ko) 목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024270A1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210556B1 (ko) 생산자, 공급자 및 판매자를 온라인 쇼핑몰로 연결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기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5036843A2 (en) Sales order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KR20150068762A (ko) 부동산 매물 관리 서버 및 방법
TWM520695U (zh) 不動產自售的使用者設備及系統
KR101697290B1 (ko)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되는 웹사이트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9932A (ko) 국가간 온라인 거래 시스템
Chia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Pet Cage Ordering System on Web Based Technology
KR20010103102A (ko) 인터넷을 이용한 주문형 가구제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056423A (zh) 一种用于存储数据的方法及系统
CN111861658A (zh) 数据管理方法、终端和存储介质
Duffy et al. Internet marketing and product visualization (IMPV) system: Development and evaluation in support of product data management
JP2016192140A (ja) 団体保険のスマホ手続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