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796B1 -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한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한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796B1
KR101653796B1 KR1020150075757A KR20150075757A KR101653796B1 KR 101653796 B1 KR101653796 B1 KR 101653796B1 KR 1020150075757 A KR1020150075757 A KR 1020150075757A KR 20150075757 A KR20150075757 A KR 20150075757A KR 101653796 B1 KR101653796 B1 KR 10165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nnecting member
intermediate connecting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환
박은성
신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엔텍
Priority to KR102015007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질량체,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자계를 형성하는 마그넷부,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며 전류의 공급에 따라 전계를 형성하는 코일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마그넷부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 및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질량체에 고정되어 상기 질량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부는 같은 극성이 서로 인접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연통 연결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중간연결부재,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상면과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부재 중 중간연결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마그넷부재를 접합하는 상부 접합부,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하면과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부재 중 중간연결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마그넷부재를 접합하는 하부 접합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상기 상부 마그넷부재와 상기 하부 마그넷부재를 접합하는 연통 접합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한 진동모터 {Vibration Motor of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of Modified Shape}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하여 마그넷부재와 중간연결부재의 접합력을 강화시킨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전자기장의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해 주는 장치이다.
자기장 속에서 도체가 놓여있을 때, 이 도체가 특정 방향으로 운동을 하면 도체내부에는 전류가 유기되어 흐르게 된다.
반대로 도체 내에 전류를 흘리면 특정한 방향으로 힘을 받아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기적 원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하고, 도체를 구성한 후 전류를 공급하면 이 도체가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넷과 전류를 공급받는 코일은 모터의 필수 구성요소이며, 직선적인 힘인 추력을 발생하는 진동모터도 예외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진동모터에서는 자력의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해 같은 극의 마그넷부재를 마주보게 하고 그 사이에 자력을 차폐하는 중간연결부재를 넣어 접합하는 형태의 마그넷부를 형성한다.
이때 중간연결부재와 상하부 두 개의 마그넷부재를 접착제로 접합하게 되는데 상부의 접착면에 충분한 접착제를 바른 뒤 상부의 마그넷이 압착하면 접합제가 흘러내리도록 한다.
이는 중간연결부재 상부의 접합부와 하부의 접합부가 연결되어 접합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종래의 중간연결부재는 단면이 방사형으로 제작되어 상부의 마그넷부재와 접합 시 접합제가 측면의 모든 면으로 분산되어 흘러내린다.
이는 하부의 접착부까지 연결되는 양이 미미하여 접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57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마그넷부의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한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모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질량체,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자계를 형성하는 마그넷부,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며, 전류의 공급에 따라 전계를 형성하는 코일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마그넷부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 및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질량체에 고정되어 상기 질량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부는 같은 극성이 서로 인접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연통 연결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중간연결부재.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상면과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부재 중 중간연결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마그넷부재를 접합하는 상부 접합부,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하면과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부재 중 중간연결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마그넷부재를 접합하는 하부 접합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상기 상부 마그넷부재와 상기 하부 마그넷부재를 접합하는 연통 접합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외면의 가상 연장선이 상기 상부 마그넷부재 및 상기 하부 마그넷부재와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내측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홈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돌출된 접합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유도홈이 있어 상기 개구부로 상기 상부 접합부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면과 상기 댐퍼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댐퍼가 상기 마그넷부를 누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모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진동모터에서 마그넷부의 마그넷부재와 중간연결부재를 접합할 때 중간연결부재에 적어도 일부의 연통 연결된 개구부를 두어 상부 접합부가 개구부가 형성된 영역으로 집중적으로 흘러내리게 하여 연통 접합부를 가지며, 연통 접합부가 상부 접합부와 하부 접합부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접합력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진동모터에서 마그넷부의 마그넷부재와 중간연결부재를 접합할 때 중간연결부재의 접합면에 패턴을 형성하여 패턴을 형성하지 않은 접합면 보다 접합부를 많이 포함하여 접합력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진동모터에서 마그넷부의 마그넷부재와 중간연결부재를 접합할 때 중간연결부재의 접합면에 접합부를 개구부로 유도하는 홈이 있어 상부 접합부가 개구부가 형성된 영역으로 집중적으로 흘러내리게 유도하여 연통 접합부를 형성하며, 연통 접합부가 상부 접합부와 하부 접합부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접합력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진동모터에서 마그넷부가 케이스 내부의 하면과 케이스 내부의 상면에 부착된 댐퍼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댐퍼가 마그넷부를 가압하여 함몰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의 구성요소에서 접합부를 제외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를 분해하여 가상의 연결선을 표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중간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9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의 상면에 패턴을 형성한 사시도;
도 10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의 상면에 유도홈이 있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의 형태를 변형한 예를 표현한 평면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와 댐퍼의 접촉면을 확대하여 표현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는 케이스(100), 댐퍼(200), 스프링(300), 마그넷부(400), 질량체(500) 및 코일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00)는 일반적인 소형 진동모터의 케이스(100)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술한 댐퍼(200), 스프링(300), 마그넷부(400), 질량체(500) 및 코일부(600)를 내장하여 유기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스(100)는 원형의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후술하는 마그넷부(400)와 코일부(600)에 의해 질량체(500)가 움직이면 진동이 발생되도록 지지한다.
한편 질량체(500)는 스프링(300)과 접하여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한다.
또한 질량체(500)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때 댐퍼(200)에 충격을 주어 진동이 케이스(100) 외부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스프링(3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상기 질량체(500)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신축 방향에 따른 일단은 케이스(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질량체(500)에 고정되어 탄성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300)은 판 형태의 일체로 구성되고, 두 개의 링 형상으로 된 원형의 판이 있으며 상기 원형의 판을 복수 개의 연결판으로 이은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 형상으로 된 두 개의 원형의 판은 각각 외경이 다르다.
그리고 상기 링 형상으로 된 두 개의 원형의 판 중 외경이 큰 원형의 판은 케이스(100) 내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외경이 작은 원형의 판은 질량체(500)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판이 상기 링 형상으로 된 두 개의 판을 나선형태로 연결한다.
한편, 댐퍼(200)는 케이스(100) 내부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100)와 마그넷부(400) 사이에 배치되며, 스프링(300)과 질량체(50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때 케이스(100)와 충돌을 막아 파손이나 소음을 줄여준다.
코일부(600)는 질량체(500)와 연결되며, 전류의 공급에 따라 전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600)는 마그넷부(400)를 일정한 거리에 둘러싸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 받아 전계를 형성하면 마그넷부(400)에서 형성된 자계와 상호작용하여 직선방향으로 미는 힘인 추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코일부(600)와 연결된 질량체(500)를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 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넷부(400)는 케이스(100) 내부의 수용공간의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술한 코일부(600)에 의해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감싸지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넷부(400)는 일반적인 자석이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극성을 가지는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410)가 연속하여 결합되며, 이에 따라 자계를 형성한다.
이때, 복수의 마그넷부재(410) 사이에 중간연결부재(420)가 배치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코일부(600)에 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마그넷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부(600)가 상하이동을 한다.
이는 일반적인 리니어모터의 구동구조와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동작 원리는 생략한다.
상기 마그넷부(400)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및 도3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4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400)의 단면도이다.
도 2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400)는 같은 극성이 서로 인접하도록 상하 방향에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410) 및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410)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면과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연통 연결되는 개구부(426)가 구비된 중간연결부재(4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과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부재(410) 중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마그넷부재(410)를 접합하는 상부 접합부(421),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하면과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부재(410) 중 중간연결부재(42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마그넷부재(410)를 접합하는 하부 접합부(422) 및 상기 개구부(426)에 의해 상기 상부 마그넷부재(410)와 상기 하부 마그넷부재(410)를 접합하는 연통 접합부(423)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넷부(400)의 중간연결부재(420)는 마그넷부재(410)의 일면의 자력을 차폐하여 반대쪽으로 더 강한 자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넷부(400)의 중간연결부재(420)는 니켈, 코발트 등의 강자성체로 도금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접합부(421), 상기 하부 접합부(422) 및 상기 연통 접합부(423)는 상술한 상기 마그넷부(400)와 상기 중간연결부재(420)를 접합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일반적인 접착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접합부(421)는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부에 도포되어 마그넷부재(410)와 접합시키는 구성이다.
그리고 하부 접합부(422)는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하부에서 마그넷부재(410)에 도포되어 접합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 접합부(422)와 상기 상부 접합부(421)는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기 때문에 사이에 위치한 중간연결부재(420) 외부로 돌출되거나 흘러내릴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연결부재(420)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된 개구부(42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접합부(421)와 상기 하부 접합부(422) 사이에 연통 접합부(423)가 형성된다.
즉,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접착제인 상기 상부 접합부(421)와 상기 하부 접합부(422)가 상기 개구부(426) 내부로 흘러 들어가 연통 접합부(423)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상하부에 적층 형태로 결합되는 상기 마그넷부재(410)는 각각 상기 상부 접합부(421)와 상기 하부 접합부(422)에 의해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426) 내부로 흘러 들어간 연통 접합부(423)에 의해 안정적으로 접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복수의 마그넷부재(410) 사이에 배치된 중간연결부재(42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400)에서 접합부를 제외하여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400)를 분해하여 가상의 연결선을 표현한 사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의 단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400)의 중간연결부재(420)는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410) 사이에 연통 접합부(423)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따라서 마그넷부재(410)와 중간연결부재(420)가 압착하여 상부 접합부(421)가 흘러 내릴 때 분산되지 않고 개구부(426)로 집중되게 흘러내리도록 하여 연통 접합부(423)를 가지며, 상부 접합부(421)와 하부 접합부(422)를 연결하는 연통 접합부(423)를 가지게 되어 마그넷부재(410)와 중간연결부재(420)의 접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는 외면의 가상 연장선이 상기 상부 마그넷부재(410) 및 상기 하부 마그넷부재(410)와 대응하는 단면을 가진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는 개구부(426)가 둘레를 따라 일부가 중앙으로 함몰되는 홈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마그넷부재(410)와 중간연결부재(420)를 접합할 때 중간연결부재(420)의 외측에 연통 접합부(42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넷부(400)는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 시 개구부(426)에 의해 상부 접합부(421), 하부 접합부(422) 및 연통 접합부(42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마그넷부(400)에 의한 척력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연결부재(4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재(41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중간연결부재(420)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는 개구부(426)가 상술한 바와 달리 둘레에 따름 외측에 홈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중앙에 홀 형태로 개구부(426)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통 접합부(423)는 중간연결부재(420)의 내측에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넷부(40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마그넷부재(410)와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에 있는 상부 접합부(421)를 압착하면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내측으로 연통 접합부(423)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그넷부(400)의 상부 접합부(421)와 하부 접합부(422)를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내측으로 연결하는 연통 접합부(423)를 형성하여 마그넷부재(410)와 중간연결부재(420)의 접합력을 강화시킨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에 형성된 개구부(426)가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에 홀 형태로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에 별도의 패턴이 형성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에 패턴을 형성한 사시도 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에 패턴을 형성한 사시도 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넷부(400)에서 상부 마그넷부재(410)와 접합하는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에 패턴을 형성하면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면 보다 더 많은 양의 상부 접합부(421)를 포함하게 되어 접합력을 강화 시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과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유도홈(428)이 있어 상기 개구부(426)로 상부 접합부(421)를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에 유도홈(428)이 있는 사시도 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에 유도홈(428)이 있는 사시도 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넷부(400)에서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에 개구부(426)를 향하는 유도홈(428)이 있어 상부 접합부(421)가 유도홈(428)을 따라 개구부(426)로 안내되면 유도홈(428)이 없는 상면의 중간연결부재(420)보다 다량의 연통 접합부(423)를 갖게 되어 접합력을 강화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홈(428)은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426)와 연통되도록 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426)가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둘레에 따른 외측에 형성되는 경우, 상면에 상기 유도홈(428)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상부에 도포된 접착제는 상기 유도홈(428)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개구부(426)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26)로 유도된 상기 접착제는 경화되어 상기 연통 접합부(423)를 이루게 된다.
이와 달리 도 10의 (b)를 살펴보면 상기 개구부(426)가 홀 형태로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중앙에 형성된 형태로써, 상면에 상기 유도홈(42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홈(428)은 길게 형성되어 끝단부에 상기 개구부(426)가 위치하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개구부(426)가 중앙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도홈(428) 역시 중앙부에만 존재하게 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유도홈(428)이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둘레 끝부분까지 연장되어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에 별도의 유도홈(428)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마그넷부재(410)와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의 접합 시 개구부(426) 내부로 연통 접합부(423)가 유도되어 경화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연결부재(420)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1의 (a)의 경우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에 형성된 개구부(426)가 둘레에 따른 외측에 각이 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중간연결부재(420)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426)의 형상 또는 크기를 변형한 형태로써 상기 연통 접합부(423)의 면적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마그넷부재(410)와의 접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는 상술한 중간연결부재(420)의 개구부(426)가 내측에 하나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426)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호 이격 배치되거나, 불균일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의 (c)는 상술한 중간연결부재(420)의 개구부(426)가 내측과 외측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1을 살펴보면 상기 개구부(426)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통 접합부(423)의 면적을 유지함과 동시에 위치 또는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400)와 댐퍼(200)의 접촉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400)는 케이스(100)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케이스(100) 내부의 하면과 케이스(100) 내부의 상면에 부착된 댐퍼(200) 사이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넷부(400)의 일부가 상기 댐퍼(200) 내부로 함몰되어 가압하며 횡 방향에 따른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마그넷부재(410)가 이탈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일부가 상기 댐퍼(200)를 가압하며 함몰됨으로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케이스 200: 댐퍼
300: 스프링 400: 마그넷부
410: 마그넷부재 420: 중간연결부재
421: 상부 접합부 422: 하부 접합부
423: 연통 접합부 426: 개구부
428: 유도홈 500: 질량체
600: 코일부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질량체;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자계를 형성하는 마그넷부;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며, 전류의 공급에 따라 전계를 형성하는 코일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마그넷부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 및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질량체에 고정되어 상기 질량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부는,
    같은 극성이 서로 인접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부재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연통 연결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유도홈이 형성되는 중간연결부재;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상면과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부재 중 중간연결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마그넷부재를 접합하는 상부 접합부;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하면과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부재 중 중간연결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마그넷부재를 접합하는 하부 접합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의해 상기 상부 마그넷부재와 상기 하부 마그넷부재를 접합하는 연통 접합부;
    를 가지는 진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외면의 가상 연장선이 상기 상부 마그넷부재 및 상기 하부 마그넷부재와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내측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홈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면과 상기 댐퍼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댐퍼가 상기 마그넷부를 누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1020150075757A 2015-05-29 2015-05-29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한 진동모터 KR10165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57A KR101653796B1 (ko) 2015-05-29 2015-05-29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한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57A KR101653796B1 (ko) 2015-05-29 2015-05-29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한 진동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796B1 true KR101653796B1 (ko) 2016-09-05

Family

ID=5693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757A KR101653796B1 (ko) 2015-05-29 2015-05-29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한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7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135A (ja) * 2004-11-30 2006-06-15 Nidec Sankyo Corp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それを用いたバルブ装置
KR101046003B1 (ko) * 2010-11-17 2011-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20130015344A (ko) * 2011-08-03 2013-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KR101388816B1 (ko) * 2012-09-07 2014-04-3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455722B1 (ko) 2013-08-19 2014-11-04 주식회사 오리엔텍 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135A (ja) * 2004-11-30 2006-06-15 Nidec Sankyo Corp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それを用いたバルブ装置
KR101046003B1 (ko) * 2010-11-17 2011-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20130015344A (ko) * 2011-08-03 2013-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KR101388816B1 (ko) * 2012-09-07 2014-04-3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455722B1 (ko) 2013-08-19 2014-11-04 주식회사 오리엔텍 진동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8586B2 (en) Vibration actuator with plate springs sandwiched between a coil holding part and cases
US8786144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8729746B2 (en) Linear vibration device
US7911327B2 (en) Vibration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367402B2 (en) Vibration motor
KR20100046602A (ko) 선형 진동기
CN105207440A (zh) 磁平衡导向线性振动马达
KR20180014261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20220329139A1 (en) Vibration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140918A1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157396B1 (ko) 선형 진동 장치
US20170110948A1 (en) Vibration motor
EP2608373A1 (en) Linear vibration device
KR101987068B1 (ko) 리니어 진동 엑츄에이터
KR101272729B1 (ko) 리니어 진동 모터
JP2013115378A (ja) トランス
KR101455722B1 (ko) 진동모터
KR101653796B1 (ko) 중간연결부재의 형상을 변형한 진동모터
KR101952301B1 (ko)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
KR20160000274A (ko) 진동모터
KR20200140722A (ko) 진동 액추에이터 및 전자기기
US20170110950A1 (en) Vibration motor
KR20150080673A (ko) 선형 진동 모터
KR20130031528A (ko) 선형 진동모터
US20230101894A1 (en) Vibration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