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777B1 -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 - Google Patents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777B1
KR101653777B1 KR1020167013503A KR20167013503A KR101653777B1 KR 101653777 B1 KR101653777 B1 KR 101653777B1 KR 1020167013503 A KR1020167013503 A KR 1020167013503A KR 20167013503 A KR20167013503 A KR 20167013503A KR 101653777 B1 KR101653777 B1 KR 10165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usch
preamble
pucch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420A (ko
Inventor
위안졔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6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를 제공한다. 사용자 기기는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의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을 결정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는 그 결정된 전송 상황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 기기가 랜덤 액세스가 이차 셀을 통해 실행될 때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는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UPLINK TRANSMISSION POWER DETERMIN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업링크 전송 전력 방법 및 사용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셀 집성의 특징(Carrier Aggregation, CA로 약칭)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는 복수의 셀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종래기술에서, 사용자 기기는 일차 셀을 통해 랜덤 액세스를 실행하여 업링크 동기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신호가 상이한 셀들을 통해 기지국에 송신되는 전송 경로는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부의 셀을 통해 사용자 기기에 의해 기지국에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는 중계 노드를 통과해야 하지만, 다른 셀들을 통해 기지국에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는 중계 노드를 통과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는 1차 셀만을 통해 랜덤 액세스를 실행함으로써 업링크 동기화를 달성할 수 없고, 랜덤 액세스는 2차 셀을 통해 실행되어야 업링크 동기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종래기술에는 사용자 기기가 랜덤 액세스가 이차 셀을 통해 실행될 때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업링크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가 랜덤 액세스가 2차 셀을 통해 실행될 때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한 관점에서,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의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결정된 전송 상황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사용자 기기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의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셀 결정 유닛; 및
상기 결정된 전송 상황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력 결정 유닛
을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는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의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을 결정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는 그 결정된 전송 상황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랜덤 액세스가 이차 셀을 통해 실행될 때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사용자 기기가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이라 약칭),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로 약칭),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로 약칭),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로 약칭), 시분할 동기부호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SCDMA로 약칭),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로 약칭) 네트워크 또는 롱텀에볼루션 어드밴스트(LTE Advanced, LTE-A로 약칭), 및 후속의 발전된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시스템"은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GSM 네트워크, GPRS 네트워크, 또는 CDMA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일 수 있거나, 또는 WCDMA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NodeB)일 수 있거나, LTE 네트워크 또는 LTE-A 네트워크 내의 진화 노드 B(Evolved Node B, eNB로 약칭)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1: 사용자 기기는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 업링크 전송의 전송 상황을 결정한다.
업링크 전송의 전송 상황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로 약칭),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로 약칭), 및 음성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로 약칭)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102: 사용자 기기는 그 결정된 전송 상황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결정된 전송 상황이 PUCCH, PUSCH, 또는 SRS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면, 사용자 기기는 2차 셀의 최대 허용 전력, 프리앰블의 목표 수신 전력, 및 2차 셀의 목표 경로 손실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1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리앰블의 제1 전송 전력은 프리앰블의 목표 수신 전력과 2차 셀의 목표 경로 손실과의 합과, 2차 셀의 최대 허용 전력 간의 최솟값일 수 있으며, 즉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1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PPRACH(i)=min{PCMAX,c(i),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PLc} (1)
여기서, i는 서브프레임, 즉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c는 셀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c(i)는 2차 셀의 최대 허용 전력, 즉 서브프레임 i 내의 2차 셀의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는 프리앰블의 목표 수신 전력을 나타내며, PLc는 2차 셀의 목표 경로 손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면, 사용자 기기는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사용자 기기가, 상기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 상기 PUCCH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사용자 기기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 최대 허용 전력, 및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에 따라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은 최대 허용 전력과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 간의 차이 및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 중 최솟값일 수 있으며, 즉 사용자 기기는 식(3)에 따라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PPUCCH(i)=min{PPUCCH_0(i),(PCMAX(i)-PPRACH(i))} (3)
여기서, PPUCCH(i)는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 즉 서브프레임 i의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사용자 기기가, 상기 PUCCH 외에, 상기 PUSCH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사용자 기기는 최대 허용 전력, PUCCH의 제1 전송 전력, 및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에 따라,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SCH의 제1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PUSCH의 전송 전력은 최대 허용 전력에서 PUCCH의 제1 전송 전력 및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감산한 것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고, 즉 사용자 기기는 식(4)에 따라 PUSCH의 제1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01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02
는 PUS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즉 모든 셀의 PUSCH의 전송 전력의 합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식(5) 및 식(6)에 따라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SCH의 제2 전송 전력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03
PPUSCH,j(i)=min{PPUSCH,j_0(i),(PCMAX(i)-PPUCCH(i)-PPRACH(i))} (6)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04
는 PUSCH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즉 업링크 시그널링을 가지는 셀을 제외한 셀들의 PUCCH의 전송 절력의 합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SCH,j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사용자 기기가, 상기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 상기 PUS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사용자 기기는 식(7)에 따라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SCH의 제3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05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06
는 PUSCH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식(8) 및 식(9)에 따라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SCH의 제4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07
PPUSCH,j(i)=min{PPUSCH,j_0(i),(PCMAX(i)-PPRACH(i))} (9)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08
는 PUSCH의 제4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즉 업링크 시그널링을 가지는 셀을 제외한 셀들의 PUSCH의 전송 전력의 합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SCH,j_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상기 PUC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면, 사용자 기기는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프리앰블의 제3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고; PUCCH의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CCH의 제2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PUCCH의 전송 전력이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인 것으로 결정하고, 여기서 PUCCH의 결정된 전송 전력은 PUCCH의 제3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고,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프리앰블의 제4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고, 이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식(12)에 따라 PUC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CCH의 제4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PPUCCH(i)=min{PPUCCH_0(i),(PCMAX(i)-PPRACH(i))} (12)
여기서, PPUCCH(i)는 PUCCH의 제4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PUCCH의 전송 전력이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PUCCH의 그 결정된 전송 전력은 PUCCH의 제5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식(13)에 따라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프리앰블의 제6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P'PRACH(i)=min{PPRACH(i),(PCMAX(i)-PPUCCH(i))} (13)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6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낸다.
사용자 기기가, 상기 PUS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PUS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사용자 기기는 PUSCH의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SCH의 제5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PUSCH의 전송 전력이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SCH의 전송 전력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PUSCH의 결정된 전송 전력은 PUSCH의 제6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식(14)에 따라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SCH의 제7 전송 전력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식(15) 및 식(16)에 따라 PUC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SCH의 제8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09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0
는 PUSCH의 제7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1
PPUSCH,j(i)=min{PPUSCH,j_0(i),(PCMAX(i)-PPUCCH(i)-PPRACH(i))} (16)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2
는 PUSCH의 제8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즉 업링크 시그널링을 가지는 셀을 제외한 셀들의 PUSCH의 전송 전력의 합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SCH,j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PUSCH의 전송 전력이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여기서, PUSCH의 결정된 전송 전력은 PUSCH의 제9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식(17)에 따라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프리앰블의 제7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3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7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4
는 PUSCH의 제9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상기 PUC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면, 사용자 기기는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프리앰블의 제8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8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USCH의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결정하며, 이는 PUSCH의 제 10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PUSCH의 전송 전력이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SCH의 전송 전력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PUSCH의 그 결정된 전송 전력은 PUSCH의 제11 전송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거나,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식(20)에 따라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이는 PUSCH의 제12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식(21) 및 식(22)에 따라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5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6
는 PUSCH의 제1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7
PPUSCH,j(i)=min{PPUSCH,j_0(i),(PCMAX(i)-PPRACH(i))} (22)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8
는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즉 업링크 시그널링을 가지는 셀을 제외한 셀들의 PUSCH의 전송 전력의 합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SCH,j_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사용자 기기는 PUSCH의 전송 전력이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SCH의 전송 전력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PUSCH의 결정된 전송 전력은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식(23)에에 따라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전송 전력은 프리앰블의 제11 전송 전력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19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0
는 PUSCH의 제8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SCH,C(i)는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SRS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면, 그리고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이 0이면, 사용자 기기는 SRS의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는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의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을 결정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는 그 결정된 전송 상황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랜덤 액세스가 이차 셀을 통해 실행될 때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사용자 기기가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방법에 대해 일련의 동작의 조합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동작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일부의 단계는 본 발명에 따라 따라 다른 순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 당업자라면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모드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관련 동작 및 모듈은 본 발명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그 자체로 강조될 수 있으며, 특정한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邦?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는 셀 결정 유닛(21) 및 전력 결정 유닛(22)을 포함한다. 셀 결정 유닛(21)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의 업링크 전송의 전송 상황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업링크 전송의 전송 상황은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이다. 전력 결정 유닛(22)은 그 결정된 전송 상황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의 기능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기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 결정 유닛(21)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PUCCH, PUSCH, 또는 SRS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면, 전력 결정 유닛(21)은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1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PPRACH(i)=min{PCMAX,c(i),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PLc} (1)
여기서, i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즉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c(i)는 2차 셀의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는 프리앰블의 목표 수신 전력을 나타내며, PLc는 2차 셀의 목표 경로 손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셀 결정 유닛(21)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면,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셀 결정 유닛(21)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PUC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면,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식(3)에 따라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PPUCCH(i)=min{PPUCCH_0(i),(PCMAX(i)-PPRACH(i))} (3)
여기서, PPUCCH(i)는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셀 결정 유닛(21)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PUS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을 더 포함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식(4)에 따라 PUSCH의 제1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1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2
는 PUS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즉 모든 셀의 PUSCH의 전송 절력의 합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식(5) 및 식(6)에 따라 PUSCH의 제2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3
PPUSCH,j(i)=min{PPUSCH,j_0(i),(PCMAX(i)-PPUCCH(i)-PPRACH(i))} (6)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4
는 PUSCH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즉 업링크 시그널링을 가지는 셀을 제외한 PUSCH의 전송 전력의 합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SCH,j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셀 결정 유닛(21)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PUS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면,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은 식(7)에 따라 PUSCH의 제3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5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6
는 PUSCH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식(8) 및 식(9)에 따라 PUSCH의 제4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7
PPUSCH,j(i)=min{PPUSCH,j_0(i),(PCMAX(i)-PPRACH(i))} (9)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8
는 PUSCH의 제4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SCH,j_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셀 결정 유닛(21)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은, PUC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3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PUCCH의 제2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PUCCH의 제3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3 전송 전력은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이고, 프리앰블의 제4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식(12)에 따라 PUCCH의 제4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PPUCCH(i)=min{PPUCCH_0(i),(PCMAX(i)-PPRACH(i))} (12)
여기서, PPUCCH(i)는 PUCCH의 제4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PUCCH의 제5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5 전송 전력은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이고, 식(13)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6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P'PRACH(i)=min{PPRACH(i),(PCMAX(i)-PPUCCH(i))} (13)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6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셀 결정 유닛(21)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은, 상기 PUC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면,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PUSCH의 제5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PUSCH의 제6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6 전송 전력은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SCH의 전송 전력이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식(14)에 따라 PUSCH의 제7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하거나, 또는 식(15) 및 식(16)에 따라 PUCCH의 제8 전송 전력을 추가로 결정하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29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0
는 PUSCH의 제7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1
PPUSCH,j(i)=min{PPUSCH,j_0(i),(PCMAX(i)-PPUCCH(i)-PPRACH(i))} (16)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2
는 PUSCH의 제8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SCH,j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PUSCH의 제9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9 전송 전력은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SCH의 전송 전력이며, 식(17)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7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3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7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4
는 PUSCH의 제9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셀 결정 유닛(21)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이, 상기 PUCCH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면,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8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8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USCH의 제10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PUSCH의 제11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11 전송 전력은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이며, 프리앰블의 제9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식(1)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식(20)에 따라 PUSCH의 제12 전송 전력을 결정하거나, 또는 식(21) 및 식(22)에 따라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5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6
는 PUSCH의 제1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7
PPUSCH,j(i)=min{PPUSCH,j_0(i),(PCMAX(i)-PPRACH(i))} (22)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8
는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SCH,j_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구체적으로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13 전송 전력은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SCH의 전송 전력이며, 식(23)에 따라 프리앰블의 제11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6048926718-pat00039
여기서,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8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0
는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셀 결정 유닛(21)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은, 상기 SRS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이 0이 아니면, 본 실시예에서의 전력 결정 유닛(22)은 SRS의 전송 전력이 0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의 셀 결정 유닛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의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을 결정하며, 이에 따라 전력 결정 유닛은 그 결정된 전송 상황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랜덤 액세스가 이차 셀을 통해 실행될 때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전송 전력을 사용자 기기가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동작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수 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의 실행 동안 다른 분할 방식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를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의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커플링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식, 기계식 또는 다른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도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의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어 독립 제품으로 시판되거나 사용되면, 이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 기술적 솔루션 또는,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다)에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플래시 디스크, 휴대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변형을 수행하거나, 또는 일부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등가의 대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그렇지만, 이러한 변형 또는 대체는 대응하는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10)

  1.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으로서,
    사용자 기기가,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및 음성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은,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PUCCH 및 PUSCH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함 - ; 및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과 상기 PUCCH 또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PUCCH 또는 PUSCH의 전송 전력과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의 합은 최대 허용 전력을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PUCCH 또는 PUSCH의 전송 전력은 상기 최대 허용 전력에서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뺀 것과 동일한 전력을 초과하지 않음 -
    를 포함하는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은:
    PPRACH(i)=min{PCMAX,c(i),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PLc}
    으로서 결정되고, 여기서 i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CMAX,c(i)는 2차 셀의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는 프리앰블의 목표 수신 전력을 나타내며, PLc는 2차 셀의 목표 경로 손실을 나타내는,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UCCH는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고, 상기 PUCCH의 전송 전력은:
    PPUCCH(i)=min{PPUCCH_0(i),(PCMAX(i)-PPRACH(i))}
    으로서 결정되며, 여기서 PPUCCH(i)는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_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USCH는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고, 상기 PUSCH의 전송 전력은: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1

    으로서 결정되며,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2
    는 PUSCH의 제1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USCH는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고, 상기 PUSCH의 전송 전력은: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3

    으로서 결정되며,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4
    는 PUSCH의 제7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내거나; 또는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5

    PPUSCH,j(i)=min{PPUSCH,j_0(i),(PCMAX(i)-PPRACH(i))}
    으로서 결정되며,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6
    는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PUSCH,j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6. 사용자 기기로서,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2차 셀을 제외한 다른 셀 상에서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및 음성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황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셀 결정 유닛 - 상기 셀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상황은,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PUCCH, PUSCH, 및 SRS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PUCCH 및 PUSCH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함 - ; 및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과 상기 PUCCH 또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결정 유닛 - 상기 PUCCH 또는 PUSCH의 전송 전력과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의 합은 최대 허용 전력을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PUCCH 또는 PUSCH의 전송 전력은 상기 최대 허용 전력에서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뺀 것과 동일한 전력을 초과하지 않음 -
    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결정 유닛은,
    PPRACH(i)=min{PCMAX,c(i),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PLc}
    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i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CMAX,c(i)는 2차 셀의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는 프리앰블의 목표 수신 전력을 나타내며, PLc는 2차 셀의 목표 경로 손실을 나타내는, 사용자 기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UCCH는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고,
    상기 전력 결정 유닛은,
    PPUCCH(i)=min{PPUCCH_0(i),(PCMAX(i)-PPRACH(i))}
    에 따라 상기 PUC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며, 여기서 PPUCCH(i)는 PUCCH의 제1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는 PUC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2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사용자 기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USCH는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고,
    상기 전력 결정 유닛은,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7

    에 따라 상기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8
    는 PUSCH의 제12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며,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사용자 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USCH는 상기 2차 셀 상에서 전송될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중 제1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셀 상에서 전송되어야 하고,
    상기 전력 결정 유닛은,
    Figure 112016048926718-pat00049
    -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50
    는 PUSCH의 제7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PUCCH(i)는 PUCCH의 제3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5 전송 전력을 나타냄 -
    에 따라 상기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력 결정 유닛은,
    Figure 112016048926718-pat00051

    PPUSCH,j(i)=min{PPUSCH,j _ 0(i),(PCMAX(i)-PPRACH(i))} - 여기서 w(i)는 가중 인자를 나타내고 그 값 범위는 [0, 1]이며, c는 셀을 나타내고,
    Figure 112016048926718-pat00052
    는 PUSCH의 제13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PCMAX(i)는 최대 허용 전력을 나타내고, PPRACH(i)는 프리앰블의 제10 전송 전력을 나타내며, PPUSCH,j _ 0(i)는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업링크 시그널링를 가지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나타냄 -
    에 따라 상기 PUS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
KR1020167013503A 2011-10-09 2012-09-26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 KR101653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302787.3 2011-10-09
CN201110302787.3A CN103037492B (zh) 2011-10-09 2011-10-09 上行发送功率确定方法及用户设备
PCT/CN2012/081974 WO2013053288A1 (zh) 2011-10-09 2012-09-26 上行发送功率确定方法及用户设备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559A Division KR101625941B1 (ko) 2011-10-09 2012-09-26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420A KR20160063420A (ko) 2016-06-03
KR101653777B1 true KR101653777B1 (ko) 2016-09-09

Family

ID=480238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559A KR101625941B1 (ko) 2011-10-09 2012-09-26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
KR1020167013503A KR101653777B1 (ko) 2011-10-09 2012-09-26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559A KR101625941B1 (ko) 2011-10-09 2012-09-26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9326172B2 (ko)
EP (3) EP3668163B1 (ko)
KR (2) KR101625941B1 (ko)
CN (3) CN105873205B (ko)
BR (1) BR112014008451B1 (ko)
ES (1) ES2587878T3 (ko)
PL (1) PL3668163T3 (ko)
WO (1) WO2013053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3205B (zh) * 2011-10-09 2020-04-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发送功率确定方法及用户设备
US9414409B2 (en) * 2012-02-06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006010B (zh) * 2015-07-28 2021-11-05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基站、终端、接收方法及发送方法
CN108432302B (zh) 2015-12-31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信息发送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8202014A1 (en) * 2017-05-05 2018-11-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of power control for uplink transmission
CN110089162B (zh) * 2017-06-16 2023-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对上行链路传输的功率控制的方法和系统
CN109787728B (zh) * 2017-11-13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传输方法及终端
KR102414678B1 (ko) 2018-01-08 202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213012B (zh) * 2018-02-28 2021-11-2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EP3905797A4 (en) * 2019-02-01 2022-03-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DIRECT ACCESS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56982A1 (en) * 2022-08-09 2024-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 power control for uplink sign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0716A1 (de) 2009-08-21 2011-02-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detektieren des fahrspurwechsels eines fahrzeugs und zur aktivierung eines insassenschutzmittels
CN102123437A (zh) 2011-03-03 2011-07-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功率余量上报和调度子帧的方法、系统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84626A (zh) * 2001-04-29 2002-12-11 华为技术有限公司 公共分组信道(cpch)的随机接入传输方法
CN101567713B (zh) 2008-04-25 2012-10-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时分双工系统中上行传输功率的确定方法、系统及装置
CN101309228B (zh) * 2008-07-02 2013-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物理随机接入信道频域初始位置的设置方法
CN101448308A (zh) * 2008-12-30 2009-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上行共享信道发送功率控制方法
EP2553986B1 (en) * 2010-04-01 2016-09-07 Sun Patent Trust Transmit power control for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s
CN101674661B (zh) * 2009-10-14 2011-12-07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长期演进系统中的随机接入方法
EP2362699A1 (en) * 2010-02-22 2011-08-31 Nokia Siemens Networks Oy Power headroom reports for uplink carrier aggregation
RU2559201C2 (ru) * 2010-04-01 2015-08-10 Панасоник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Корпорэйшн оф Америка Управление мощностью передачи для физических каналов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CN102104905B (zh) * 2010-08-13 2014-02-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载波聚合场景下的功率余量上报方法和设备
TW201731266A (zh) * 2011-05-10 2017-09-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獲德次胞元上鏈定時校準方法及裝置
CN102202415B (zh) 2011-05-18 2019-01-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随机接入信道的传输方法和系统
EP2721881A1 (en) * 2011-06-17 2014-04-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wireless devic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WO2013009052A2 (ko) * 2011-07-11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949221B2 (en) * 2011-07-27 2018-04-17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multi-cell communications
KR101748107B1 (ko) * 2011-07-29 2017-06-1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파워 제어 방법 및 단말 장치
JP5927801B2 (ja) * 2011-08-02 2016-06-01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端末および通信方法
US9949211B2 (en) * 2011-08-24 2018-04-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PUCCH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for same
ES2663837T3 (es) * 2011-09-21 2018-04-17 Lg Electronics Inc. Dispositivo terminal de control de potencia de transmisión de señal de enlace ascendente, y procedimiento para el mismo
US9794887B2 (en) * 2011-09-30 2017-10-17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method fo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base station apparatus which can set appropriate uplink transmission power
JP5813444B2 (ja) * 2011-09-30 2015-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N105873205B (zh) * 2011-10-09 2020-04-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发送功率确定方法及用户设备
CN114245444A (zh) * 2011-11-04 2022-03-2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在与多个定时提前关联的多个分量载波上无线传输的功率控制的方法和装置
US8964780B2 (en) * 2012-01-25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Sounding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206181B2 (en) * 2012-01-30 2019-02-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multaneous transmission in multiple timing advance groups
JP6031293B2 (ja) * 2012-08-03 2016-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512008B2 (en) 2014-01-17 2019-12-17 Idac Holdings, Inc. 3GPP MMW access link system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0716A1 (de) 2009-08-21 2011-02-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detektieren des fahrspurwechsels eines fahrzeugs und zur aktivierung eines insassenschutzmittels
CN102123437A (zh) 2011-03-03 2011-07-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功率余量上报和调度子帧的方法、系统及设备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
Multiple Timing Advances for Carrier Aggre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8163A1 (en) 2020-06-17
US20140219126A1 (en) 2014-08-07
CN105873204B (zh) 2019-12-17
US9326172B2 (en) 2016-04-26
ES2587878T3 (es) 2016-10-27
EP3096551B1 (en) 2019-11-13
BR112014008451B1 (pt) 2019-04-24
KR20160063420A (ko) 2016-06-03
US20170339591A1 (en) 2017-11-23
KR20140066248A (ko) 2014-05-30
US20160205634A1 (en) 2016-07-14
US9769691B2 (en) 2017-09-19
EP3096551A1 (en) 2016-11-23
US10382990B2 (en) 2019-08-13
CN103037492B (zh) 2016-06-29
CN105873205B (zh) 2020-04-03
PL3668163T3 (pl) 2022-04-04
CN105873205A (zh) 2016-08-17
EP2753114A1 (en) 2014-07-09
BR112014008451A2 (pt) 2017-04-11
US10911965B2 (en) 2021-02-02
US20190342779A1 (en) 2019-11-07
CN105873204A (zh) 2016-08-17
KR101625941B1 (ko) 2016-05-31
EP2753114B1 (en) 2016-06-01
EP3668163B1 (en) 2021-11-24
EP2753114A4 (en) 2014-07-30
WO2013053288A1 (zh) 2013-04-18
CN103037492A (zh) 2013-04-10
BR112014008451A8 (pt)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77B1 (ko) 업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사용자 기기
US9924473B2 (en) Compens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CoMP system
US10009859B2 (en) Transmit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D2D communication
CN111565470A (zh) 2步骤随机接入
US11019629B2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2804430B1 (en) Uplink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EP3468264B1 (en) Method and device for power allocation
US20190239257A1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1769900B (zh) 一种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的调度方法及装置
WO2021056511A1 (en) Retransmission of msgb in two-step random access procedure
CN107708211B (zh) 用于多用户叠加传输的通信方法以及相应的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2673680B (zh) 功率确定方法、装置及设备
EP2963960B1 (en) Cell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centralized controller
CN111800813B (zh) 一种窄带信号干扰的检测方法及装置
CN112399573B (zh) 一种波束分配方法及装置
KR101581149B1 (ko) 스케줄링 허가 처리 방법 및 사용자 장비
CN106171017B (zh) 信号传输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