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647B1 - 물구나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물구나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647B1
KR101653647B1 KR1020140127787A KR20140127787A KR101653647B1 KR 101653647 B1 KR101653647 B1 KR 101653647B1 KR 1020140127787 A KR1020140127787 A KR 1020140127787A KR 20140127787 A KR20140127787 A KR 20140127787A KR 101653647 B1 KR101653647 B1 KR 101653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shion
shoulder
present
basic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519A (ko
Inventor
손승혁
Original Assignee
손승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혁 filed Critical 손승혁
Priority to KR102014012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6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의 기본프레임; 상기 기본프레임의 후방에 상부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장형성된 ∪형상의 파지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파지프레임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와 상기 끼움구의 상면에 형성된 쿠션부로 이루어진 어깨쿠션이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물구나무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탈착방식의 어깨쿠션으로 인해 상기 어깨쿠션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쉬이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물구나무 운동기구{HAND-STA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구나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방식의 어깨쿠션으로 인해 상기 어깨쿠션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쉬이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물구나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평상시의 인체의 반대자세인 물구나무서기를 하게 되면 혈액순환이 촉진케되므로, 물구나무는 건강유지에 매우 좋은 운동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또 물구나무선자세로 어느 정도 오래 유지해야 좋은 운동효과를 볼 수 있는 바, 종래에는 바닥에다 손바닥을 접촉시키고 발뒷꿈치는 벽면에 접촉되게 물구나무서기를 하여 팔을 쭉 편자세로 유지하게 되므로 이는 노약자나 팔힘이 약한 자는 물구나무선 자세로 오래 있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19243호에는, "한쌍의 안내홈(1A)(1B)과 긴구멍(101)(102)을 형성한 받침판(1)의 일측에는 어깨받침구(2)를 고정하고, 안내홈(1A)(1B)에는 가동어깨받침구(3)를 이동되게 끼워 긴구멍(101)(102)을 통하여 볼트(4)로 조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구는 어깨받침구의 고정으로 인해 특정 성인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즐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탈착방식의 어깨쿠션으로 인해 상기 어깨쿠션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쉬이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물구나무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기구는, ∩형상의 기본프레임; 상기 기본프레임의 후방에 상부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장형성된 ∪형상의 파지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파지프레임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와 상기 끼움구의 상면에 형성된 쿠션부로 이루어진 어깨쿠션이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본프레임의 전방 일측에는 키 측정을 위한 다단봉이 축 결합되되, 상기 다단봉의 외주면에는 눈금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탈착방식의 어깨쿠션으로 인해 상기 어깨쿠션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쉬이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기구(100)는, ∩형상의 기본프레임(110);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후방에 상부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120);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연장형성된 ∪형상의 파지프레임(130);으로 구성되되, 상기 파지프레임(13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141)와 상기 끼움구(141)의 상면에 형성된 쿠션부(142)로 이루어진 어깨쿠션(140)이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본프레임(110)은 바닥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지지력 확보와 함께 미끌림방지를 위한 미끌림방지패드(111,112)는 전방 선단부와 후방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기본프레임(110)과 파지프레임(130)을 연결 및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부로 형성되고 이때 용접 등의 다양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파지프레임(130)은 물구나무서기를 위한 손의 파지와 함께 어깨쿠션(140)의 탈착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파지프레임(130)은 지지프레임(12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상기 어깨쿠션(140)은 파지프레임(130)에 탈착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파지프레임(13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141)와 상기 끼움구(141)의 상면에 형성된 쿠션부(1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쿠션부(142)는 스폰지, 실리콘, 고무 등의 완충소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어깨를 보호하도록 함은 당연하다.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전방 일측에는 키 측정을 위한 다단봉(150)이 축 결합되되, 상기 다단봉(150)의 외주면에는 눈금(151)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단봉(150)은 안테나봉의 구조로 그 외주면에 눈금(151)이 표시되므로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키 측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물구나무 운동기구
110: 기본프레임 120: 지지프레임
130: 파지프레임 140: 어깨쿠션
150: 다단봉

Claims (2)

  1. ∩형상의 기본프레임(110);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후방에 상부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120);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연장형성된 ∪형상의 파지프레임(130);으로 구성되되, 상기 파지프레임(13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141)와 상기 끼움구(141)의 상면에 형성된 쿠션부(142)로 이루어진 어깨쿠션(140)이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물구나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전방 일측에는 키 측정을 위한 다단봉(150)이 축 결합되되, 상기 다단봉(150)의 외주면에는 눈금(151)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 운동기구.
  2. 삭제
KR1020140127787A 2014-09-23 2014-09-23 물구나무 운동기구 KR101653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787A KR101653647B1 (ko) 2014-09-23 2014-09-23 물구나무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787A KR101653647B1 (ko) 2014-09-23 2014-09-23 물구나무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519A KR20160035519A (ko) 2016-03-31
KR101653647B1 true KR101653647B1 (ko) 2016-09-07

Family

ID=5565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787A KR101653647B1 (ko) 2014-09-23 2014-09-23 물구나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0161A1 (de) * 2020-01-07 2021-07-08 Heddies Andresen Handstand-Trainings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491Y1 (ko) 2002-04-29 2002-08-22 황인우 가정용 신장측정기
JP2003190199A (ja) 2001-12-28 2003-07-08 Kiyousuke Okamura 健康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64Y2 (ja) * 1989-07-31 1994-05-02 株式会社新興製作所 ドットマトリクスプリンタ
KR19980029585U (ko) * 1996-11-26 1998-08-17 황두원 어깨 보조식 물구나무서기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199A (ja) 2001-12-28 2003-07-08 Kiyousuke Okamura 健康器具
KR200286491Y1 (ko) 2002-04-29 2002-08-22 황인우 가정용 신장측정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3155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519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287B2 (en) Balance rehabilitation and training apparatus
KR102116336B1 (ko)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DE60023463D1 (de) Gerät zum Trainieren der Körperhaltung
KR101653647B1 (ko) 물구나무 운동기구
CN208678266U (zh) 一种静态平衡训练装置
CN204684544U (zh) 一种多功能体育健身装置
KR101351985B1 (ko) 힙업 운동기구
KR101438054B1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CN107596640A (zh) 一种上身自重作为回复力的下肢康复床
US1670390A (en) Gymnasium apparatus
CN213993865U (zh) 一种便携式脊柱辅助矫正器
CN211383651U (zh) 一种医疗康复训练装置
CN212090160U (zh) 一种骨科护理用腋拐
CN109730872B (zh) 一种新生儿科用保健护理装置
CN213465982U (zh) 一种调节型医疗骨科用康复训练支架
KR102463239B1 (ko)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MX2014001845A (es) Aparato para ejercitar diferentes partes del cuerpo.
US12004614B1 (en) Pole grips
CN210992910U (zh) 一种仰卧起坐健身器材
CN219001039U (zh) 一种脊柱科用助行器
CN213049224U (zh) 一种用于锻炼儿童上肢力量的装置
CN218451847U (zh) 一种定位型瑜伽球
KR20220011942A (ko)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KR200463632Y1 (ko) 안전성이 양호한 롱슬라이더
CN207679678U (zh) 一种多功能双头腋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