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322B1 -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322B1
KR101653322B1 KR1020160032649A KR20160032649A KR101653322B1 KR 101653322 B1 KR101653322 B1 KR 101653322B1 KR 1020160032649 A KR1020160032649 A KR 1020160032649A KR 20160032649 A KR20160032649 A KR 20160032649A KR 101653322 B1 KR101653322 B1 KR 10165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uch button
standby power
outle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헌
김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필
Priority to KR102016003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금형의 개발과 제작비용을 포함하는 제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가 개시된다. 콘센트의 회로기판에는 터치 버튼이 실장되고, 본체 커버에서 플러그 삽입구를 제외한 부분에서 터치 버튼이 노출되며, 노출된 터치 버튼에 대응하는 마감 커버의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터치 버튼이 동작한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UTOMATICALLY}
본 발명은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형의 개발과 제작비용을 포함하는 제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에 관련한다.
대기전력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기기에서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를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가 개발되었다.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는 필연적으로 외부에서의 조작을 위해 인터페이스 보드가 구비되어야 하고,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모듈, 인터페이스 보드와 대기전력 차단 모듈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보드, 그리고 각 모듈 및 보드에 저전압 직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AC/DC 컨버터 모듈이 구비된다.
이러한 여러 부품 중 특히 인터페이스 보드는 콘센트의 전면으로 각 버튼 및 LED 등이 노출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공간을 할애하여 이를 콘센트 전면 덮개까지 연장하여야 한다.
그 결과,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경우, 일반 콘센트와 달리 가령 버튼과 상태표시등을 고려한 마감 커버를 별도로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파트와 같은 공용주택에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의무적으로 일정 비율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일반 콘센트에 적용되는 마감 커버와는 다른 종류의 마감 커버를 일일이 금형 제작해야 한다.
따라서, 금형의 개발과 제작을 위한 비용이 지나치게 늘어나고, 수많은 종류의 금형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비가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가령 2구나 3구 등 수구별로 동일한 모델에 대해서 동일한 마감 커버를 적용할 수 있다면 제품의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모델에 대해서는 동일한 마감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컨트롤러가 실장된 회로기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플러그 삽입구가 구비된 본체 커버 및 상기 본체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여 관통구멍이 형성된 마감 커버로 구성된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에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터치 버튼이 실장되고, 상기 본체 커버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터치 버튼이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터치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마감 커버의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터치 버튼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터치 버튼의 작동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부의 제어하에 기설정된 색상으로 점등하여 대기전력 차단모드와 상시모드 중 어떤 모드로 동작하는지 그리고 설정상태인지 등을 알려주는 상태표시 램프와, 원격지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가 대기전력 차단모드와 상시모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IR 수신센서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측벽의 돌출부의 상단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투광부재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관측되며, 상기 투광부재의 내부에서 인접하여 상기 상태표시 램프가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버튼은, 상기 본체 커버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노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버튼으로부터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차단 콘센트의 동작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일반 콘센트에 적용되는 마감 커버와 동일한 마감 커버를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용 마감 커버로 적용할 수 있어 마감 커버를 위해 별도로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용 마감 커버의 금형의 개발과 제작을 위한 비용을 줄이고, 금형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비를 줄임으로써 획기적으로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의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마감 커버를 분리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회로기판에 구비된 컨트롤러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의 마감 커버를 분리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100)는, 보디(130)와 하우징(140)이 결합되어 구성된 본체와, 보디(130)에 결합되고 플러그 삽입구(121, 122)가 구비된 본체 커버(120) 및 본체 커버(120)에 결합되고 관통구멍(111, 112)이 형성된 마감 커버(110)로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
이 실시 예에서, 본체는 하우징(140)과 하우징(140)에 결합되는 보디(130)로 이루어지는데, 보디(130)와 하우징(140)이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보디(13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대기전력 차단 모듈이 실장된 회로기판(132)과 구동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며, 구동 어셈블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로기판(132)의 적절한 위치에는 터치 버튼(133), 상태표시 LED(134) 및 IR 수신센서(135)가 실장되며,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터치 버튼(133)은 조작자의 손가락과 같은 대상물의 터치에 의해 동작하는 버튼이나 스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령 정전방식의 터치 버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태표시 LED(134)는 터치 버튼(133)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하에 기설정된 색상으로 점등하여 대기전력 차단모드와 상시모드 중 어떤 모드로 동작하는지 그리고 설정상태인지 등을 알려주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R 수신센서(135)는 원격지의 리모트 컨트롤러(리모컨)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달하여, 가령 제어부로 하여금 대기전력 차단 상태에서 복귀하도록 하거나 대기전력 차단모드와 상시모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4는 회로기판(132)에 구비된 컨트롤러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설정부(30)는 터치 버튼(133)으로부터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1회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현재 차단상태라면 전원 복귀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현재 상시모드라면 차단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설정하며, 3초간 지속된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현재 접속된 전기기기의 대기전력값을 설정하고, 연속 3회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시전원으로 전환하는 것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조건의 설정은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설정이 완료된 후 터치 버튼(133)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부(10)는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전원부(20)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대기전력 차단모듈의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전원제어부(40)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콘센트 전원을 제어한다.
<본체 커버>
본체 커버(120)는 2개의 플러그 삽입구(121, 122)를 구비하는데, 개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 실시 예에서, 플러그 삽입구(121)는 상시용으로 사용되고, 플러그 삽입구(122)는 대기/상시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플러그 삽입구(122)의 측벽의 돌출부(126)의 상단에 개구(124)가 형성되고, 이 개구(124)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부재(125)가 끼워지는데, 플러그 삽입구(122)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투광부재(125)는 외부에서 관측된다.
투광부재(123)에 내부에는 보디(130)의 회로기판(132)에 실장된 상태표시 LED(124)와 IR 수신센서(135)가 인접하여 대응하는데, 이와 같이, 투광부재(125)를 통하여 보디(130)에 설치된 상태표시 LED(134)가 발광하는 것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일반 콘센트에 적용되는 불투명한 마감 커버(110)를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현재 어떤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 커버(120)의 플러그 삽입구(121, 122) 사이에는 관통구멍(123)이 형성되어 보디(130)의 터치 버튼(133)이 관통구멍(12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 실시 예에서, 관통구멍(123)은 플러그 삽입구(121, 122) 사이에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러그 삽입구(121, 122)를 제외한 어느 부분에서라도 형성될 수 있다.
<마감 커버>
마감 커버(110)는 플러그 삽입구(121, 122)에 대응하여 관통구멍(111, 112)이 형성되며, 본체 커버(120)의 전면에 결합된다.
마감 커버(110)에는 단지 관통구멍(111, 112)만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반 콘센트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각 구성부분들은 서로 조립되는데, 가령 보디(130)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하우징(140)에 결합되고, 보디(130)의 전면에 본체 커버(120)가 결합한다.
이때, 본체 커버(120)의 개구(124)에 인접하여 상태표시 LED(134)와 IR 수신센서(135)가 위치하고, 터치 버튼(133)은 본체 커버(120)의 관통구멍(123)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이어, 본체 커버(120)의 개구(124)에 투광부재(125)가 끼워져 상태표시 LED(134)와 IR 수신센서(135)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체 커버(120)의 전면에 마감 커버(110)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의 동작에 대해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콘센트(100)의 동작 조건은 상기한 예에 따라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콘센트(100)가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자가 터치 버튼(133)에 대응하는 마감 커버(110)의 해당 부분을 1회 터치하면 전원이 복귀되어 콘센트가 차단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태표시 LED(134)는 가령 녹색으로 발광하여 현재 콘센트(100)가 대기전력 차단모드로 동작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터치 버튼(133)에 대응하는 마감 커버(110)의 해당 부분을 연속하여 3회 터치하면, 제어부(10)는 해당 조건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여 콘센트(100)를 상시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태표시 LED(133)가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하는 경우, IR 수신센서(135)는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0)에 전달하고, 제어부(10)는 현재 모드(가령, 상시모드)를 다른 모드(가령, 대기전력 차단모드)로 전환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터치 버튼을 적용하고, 대기전력 차단모드와 상시모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 LED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플러그 삽입구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일반 콘센트에 적용되는 마감 커버와 동일한 마감 커버를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용 마감 커버로 적용할 수 있어 마감 커버를 위해 별도로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용 마감 커버의 금형의 개발과 제작을 위한 비용을 줄이고, 금형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비를 줄임으로써 획기적으로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의 원가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110: 마감 커버
120: 본체 커버
121, 122: 플러그 삽입구
123: 관통구멍
124: 개구
125: 투광부재
126: 돌출부
130: 보디(body)
132: 회로기판
133: 터치 버튼
134: 상태표시 LED
135: IR 수신센서
140: 하우징

Claims (5)

  1.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컨트롤러가 실장된 회로기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플러그 삽입구가 구비된 본체 커버; 및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여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덮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터치 버튼이 실장되고,
    상기 본체 커버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터치 버튼이 상기 본체 커버의 전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마감 커버에 의해 덮인 상기 터치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마감 커버의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터치 버튼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터치 버튼은, 상기 본체 커버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5. 청구항 1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버튼으로부터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차단 콘센트의 동작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KR1020160032649A 2016-03-18 2016-03-18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KR10165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49A KR101653322B1 (ko) 2016-03-18 2016-03-18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49A KR101653322B1 (ko) 2016-03-18 2016-03-18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322B1 true KR101653322B1 (ko) 2016-09-01

Family

ID=5694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649A KR101653322B1 (ko) 2016-03-18 2016-03-18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3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787B1 (ko) * 2012-06-05 2012-11-15 주식회사 웰바스 인공지능 자동 절전시스템
JP2013214488A (ja) * 2012-03-06 2013-10-17 Akuto Kk コンセントユニット
KR20150097881A (ko) * 2014-02-18 2015-08-27 주식회사 중원파워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4488A (ja) * 2012-03-06 2013-10-17 Akuto Kk コンセントユニット
KR101201787B1 (ko) * 2012-06-05 2012-11-15 주식회사 웰바스 인공지능 자동 절전시스템
KR20150097881A (ko) * 2014-02-18 2015-08-27 주식회사 중원파워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4153B (zh) 用于接通/关断房屋的一组或全部灯或电器的方法和设备
KR100992294B1 (ko) 콘센트
TW480507B (en) Intelligent switch device and its wiring system
KR100909598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KR100909790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KR100760279B1 (ko)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AU2013100505A4 (en) Power Outlet Socket Sensor Switch
KR101653322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KR101041432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553249A1 (en) Floor unit, floor and internet of things-based home system
US20200133431A1 (en) Pcb with integrated touch sensors
CN113811055A (zh) 非接触手势控制墙壁开关及其操作方法、系统
CN105867201A (zh) 一种智能开关
CN112114525B (zh) 一种具有重置无线智能灯光功能的控制方法
KR100955244B1 (ko) 조명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
KR101610331B1 (ko)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200391718Y1 (ko) 댁내 조명 일괄 소등 스위치 구조
US11949193B2 (en) Leakage current protection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
CN112310753A (zh) 一种智能插座、智能插座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204807967U (zh) 一种带wifi功能的可计量智能控制电路
CN214305492U (zh) 集成交互式电容感应水龙头
CN211849806U (zh) 一种带电容式接近开关的智能马桶
CN109216089B (zh) 一种触控船型开关,设定方法,及电路控制器件
CN215069706U (zh) 一种单火线智能遥控开关及开关遥控器
KR100869047B1 (ko) 다기능 재실관리 시스템용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