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817B1 - Board Holder - Google Patents

Board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817B1
KR101652817B1 KR1020140064479A KR20140064479A KR101652817B1 KR 101652817 B1 KR101652817 B1 KR 101652817B1 KR 1020140064479 A KR1020140064479 A KR 1020140064479A KR 20140064479 A KR20140064479 A KR 20140064479A KR 101652817 B1 KR101652817 B1 KR 10165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ounting
present
hanging
boar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4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6861A (en
Inventor
김석준
박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교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교구
Priority to KR102014006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817B1/en
Publication of KR2015013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8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8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드 홀더는 보드를 세워 거치하는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치부, 그리고 보드를 걸어 보관하는 보드걸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에 부착 후 테이블 상면의 면적을 전혀 차지하지 않으므로 테이블 사용에 방해가 되지 않고, 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드를 걸어 보관할 수 있는 보드걸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보드 보관 시에 분실의 우려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The boar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including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and fixing the board and a bracket extended from the side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board hanging portion for mounting and holding the board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ccupy an area of the top surface of the table after being attached to the tabl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table and has a board hanging structure capable of hanging the board when not in use, There is little fear of loss in the city.

Description

보드 홀더 {Board Holder}{Board Holder}

본 발명은 테이블에 설치할 수 있는 보드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를 게시하거나 필기할 수 있는 보드를 책상이나 테이블의 상면에 세워 지지하거나, 하부에 걸어 보관할 수 있는 보드 홀더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 holder that can be installed on a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ard holder capable of holding a board capable of posting or writing information on a top surface of a desk or a table,

종래 사무실이나 학교 등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사안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필기를 위하여 화이트 보드나 흑판 또는 아크릴판 등의 보드들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보드들은 보통 벽면에 고정 설치하거나, 보드를 고정하는 프레임이 있는 스탠드에 거치시켜 사용하여 왔다.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boards such as a whiteboard, a blackboard, and an acrylic plate have been used for writing in order to explain a problem to others in an office or a school. These boards are usually fixed on a wall, or mounted on a stand with a frame that fixes the board.

그런데 소규모 회의 때 사용되는 소형 보드들은, 참석자의 시야에 잘 들어오는 근거리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테이블에 부착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보드를 장착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However, it is desirable to install the small boards used in the small-sized conference at a short dista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attendees. Therefore, a technique of mounting the boards using the auxiliary devices attached to the tables has been proposed.

이러한 종래기술로서, 일본 특개2003-70581호 및 일본 특개평8-282189호와 같이 보드를 꽂아 세울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보드 지지구를 형성하여, 이를 테이블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70581 and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First Publication No. Hei 8-282189 disclose a technique of forming a board holding region on which a board is formed by inserting a board, .

그런데 상기 일본 특개2003-70581호 및 일본 특개평8-282189호와 같은 종래 기술은 보드지지구를 테이블 상면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테이블 상면의 일정 면적은 사용할 수 없게 되고, 회의가 아닌 다른 작업용도로 테이블을 사용할 때에는 보드 지지구가 작업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s such as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70581 and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8-282189, since the boarded area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 certain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can not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ard holding area interferes with the operation.

다른 종래기술로는, 일본 특개평8-16919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테이블의 다리에 보드 지지체를 결합시키고, 상기 보드 지지체 상부에는 보드를 잡아주는 클리핑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board support is coupled to a leg of a table and a clipping device for holding a board is provided on the board support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169198 .

그런데, 이 종래기술은 보드 지지체의 하부에 테이블 다리와 결합하는 결합장치를 구성해야하고, 보드 지지체를 상부에는 보드를 잡는 클리핑장치를 또 설치해야하는 등, 장치 전체의 구성이 대단히 복잡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제조시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requires a coupling device to be coupled with a table leg at a lower portion of the board support, and a clipping device for holding the boar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ard support is very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economical efficiency in manufacturing.

그리고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도 4에 도시된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3- 0005677호와 같이, 책상 테두리에 끼워 결합되는 커플러(2)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 홈(4)에 화이트보드(1)를 꽂아 세우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In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3- 0005677 shown in FIG. 4, a white board 1 (see FIG. 4) is provided in an engagement groove 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coupler 2, ) Is proposed.

이 종래 기술은 구성이 간단하고 책상에 부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화이트 보드(1)에 별도의 결합 바(3)를 형성하여야만 장착이 가능하고, 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이 보드를 보관할 수 있는 구성이 커플러(2)에 없으므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별도의 보관 장소에서 보드를 찾아 와야 하는 불편이 있고, 보드의 분실이 일어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This prior ar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be attached to a desk, but it can be mounted only when a separate coupling bar 3 is formed on the white board 1, and the board can be stor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board needs to be found in a separate storage place every time it needs to be us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ard is easily lost.

일본 특개2003-70581호 전문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3-70581 일본 특개평8-282189호 전문Japan Special Issue 8-282189 일본 특개평8-169198호 도 10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169198, Figure 10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3-0005677호 도 1 및 도 2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5677, FIGS. 1 and 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테이블 상면의 면적을 차지하지 않고, 테이블 테두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보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ard holder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using a table edge without occupying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또한 보드에 별도의 결합장치가 없어도, 보드 몸체를 바로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의 보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ard hold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oard body can be directly inserted without a separate coupling device on the board.

그리고 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드를 보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보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ard holder including a configuration for storing a board when the board is not in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드 홀더는 보드를 거치하는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치부, 그리고 보드를 걸어 보관하는 보드걸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o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art including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a board and a bracket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board hanger for mounting and holding the board And an engaging portion.

이때 상기 거치홈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mounting grooves are formed of a space formed by a pair of supports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브래킷은 테이블의 상판 아래로 뻗어나가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지고, 이 돌출편에 고정구가 삽입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bracket is made of a protruding piece extending below the upper plate of the table, and a fixing hole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iece

한편, 상기 보드걸개는 상기 거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걸개 연결부에서 전방이나 후방, 혹은 전후방 모두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board hangers may protrude forward, backward, or forward and backward from a hanging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거치부와 상기 걸개부가 접하는 부위에는 보강살을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reinforcing flesh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anging portio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inforce the strength.

본 발명의 보드 홀더는 테이블 테두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고, 부착 후 테이블 상면의 면적을 전혀 차지하지 않으므로 테이블 사용에 방해가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The boar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ply attached using the edge of the tabl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table since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is not occupied at all after the attachment.

또한 본 발명의 보드 홀더는, 결합되는 보드에 별도의 결합용 구조나 구성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보드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보드 몸체를 바로 끼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boar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joining structure or configuration on the board to be joined, it does not hurt the aesthetics of the board, and the board body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board holder.

그리고 본 발명의 보드 홀더는 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드를 걸어 보관할 수 있는 보드걸개 구성을 함께 구비하고 있으므로, 보드 사용을 위해 보드를 찾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보드 보관 시에도 분실의 우려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oar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oard hanging structure capable of holding a board when it is not in use, it is possible to save time for finding a board for use of the boa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almost no.

도 1은 본 발명을 상부 쪽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하부 쪽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례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대한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showing the use of the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all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드 홀더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boar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드 홀더(100)의 구성을 상부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보드 홀더(100)의 구성을 하부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top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oard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oard holder 100 from the bottom.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드 홀더(100)의 구성은 크게 거치부(10)와 걸개부(20)으로 구분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tructure of the board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 mounting portion 10 and a hanging portion 20.

거치부(10)에는, 보드를 끼워 결합하는 방식으로 거치하는 거치홈(13)과 보드 홀더 전체를 테이블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인 브래킷(14)이 구비된다.The mount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13 to be moun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oard is engaged with the board and a bracket 14 as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entire board holder on the table.

구체적으로 구성을 살펴보면, 거치홈(13)은 기다란 직육면체 형상의 한 쌍의 가로장을 가로로 길게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대(11, 12)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단면이 U자형을 이루는 공간부이다.Specifically, the mounting groove 13 includes a pair of support rods 11 and 12, which are formed by horizontally arranging a pair of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rod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support rods And has a U-shaped cross section.

특히 본 발명은 거치홈(13)은 좌우 마구리를 개방하여 둔다. 따라서 보드에 별도의 결합장치가 없더라도, 본 발명의 보드 홀더(100)는 보드를 세워서 보드 테두리 부분을 거치홈(13)에 바로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mounting groove 13 are left open. Therefor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coupling device on the board, the board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oard is erected so that the edge of the board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3. [

도면에는 지지대(11, 12)가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보드를 거치홈(13)에 삽입하면 보드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만일 거치홈(13)에 끼워 결합된 보드가 비스듬히 경사진 각도로 세워지기를 바란다면, 한 쌍의 지지대(11, 12)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여 형성하면 된다.
In the figure, the supports 11 and 12 are shown standing upr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herefore, when the boar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3, the board is vertically erected. If the board fitted to the mounting groove 13 is desired to be raised at an oblique inclination angle, the pair of supports 11 and 12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loor surface.

수직한 지지대(11, 12)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의 브래킷(14)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브래킷(14)이 장방형을 이루는 하나의 돌출편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형상이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필요한 경우 돌출편을 두 개 이상 복수로 갈라서 형성할 수도 있고, 삼각형이나 반월형 같은 다른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A bracket (14)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is formed on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supports (11, 12). In the figure, the bracket 14 is shown as a single protruding piece having a rectangular shape, but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bracket 14 are not limited. That is, if necessary, the projecting pieces may be formed by dividing the projecting pieces into two or more pieces, or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such as a triangular shape or a meniscus shape.

그리고 상기 브래킷(14)에는 고정구멍(15)을 형성한다. 따라서 테이블의 테두리부근 하면에 상기 브래킷(14)의 상면을 접촉시킨 후, 고정구멍(15)의 아래로부터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16)을 박아 넣음으로써, 본 발명의 보드 홀더(100)를 테이블에 부착 할 수 있게 된다. A fixing hole (15) is formed in the bracket (14).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near the edge of the table and then the fixture 16 such as a screw is inserted from below the fixing hole 15 so that the board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table It becomes possible to attach it.

상기 고정구멍은 복수로 형성하여 고정구를 박아 넣는 것이 부착력의 강화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브래킷에 별도의 고정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를 그대로 박아 넣어서 테이블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고정구 대신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fixing holes are formed and the fastener is inserted in order to enhance the adhesive force. Further, if necessary, a fixing member such as a screw may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bracket without forming a separate fixing hole, and the fixing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table, or the fixing member may be attached using an adhesive instead of the fixing member.

걸개부(20)는 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보드걸개(22)가 돌출 형성되고, 이 보드걸개(22) 구성을 거치부(10) 구성과 연결시키는 걸개 연결부(21)를 구성을 구비한다.The board 20 is provided with a board hanging protrusion 22 capable of holding the boards when they are not in use and a hanging connection portion 21 for connecting the board hanging portion 22 with the mounting portion 10 Respectively.

도면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걸개 연결부(21)는 거치부(10)에서 하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편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보드걸개(22)는 상기 걸개 연결부(21)의 일면에서 돌출된 돌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hanging connection portion 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ding piece integrally extended down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board hanging portion 2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anging connection portion 21 As shown in FIG.

그러나 필요한 경우, 걸개부(22)는 후크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 후크의 갈고리부분이 보드걸개(22)가 되고, 후크의 자루부분은 걸개 연결부(21)가 될 것이다.However, if necessary, the hook portion 22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In this case,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becomes the board hangers 22, and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becomes the hanging connection portion 21. [

그리고 걸개부(20)는 반드시 거치부(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별도로 형성한 후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The hanging part 20 is not necessarily extended integrally from the mounting part 10, but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then joined.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걸개 연결부(21)와 거치부(10) 하면의 경계 부분에 삼각바 형태의 덧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덧살은 걸개 연결부(21)에 걸리는 하중에 의하여, 거치부(10) 하면과의 경계 부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력집중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보강살(23)이다.
2, a triangular bar-shaped recess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hanging connection part 2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0. [ The ridge 23 is a reinforcing rib 23 for relieving a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that may occur near the boundary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by a load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1 of the hanging por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보드 홀더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한다.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boar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발명의 보드 홀더(100)는 테이블(40)의 테두리에 밀착시켜 부착한다. 즉, 보드 홀더(100)의 지지대(12) 측면을 테이블(40)의 테두리 측면에 밀착시키고, 브래킷(14)의 상면을 테이블(40)의 상판 하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구멍(15)의 아래로부터 고정구(16)를 박아 테이블(40)에 부착한다.The board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im of the table (40).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40 while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table 12 of the board holder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able 40, The fixture 16 is attached to the table 40 from below.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보드 홀더(100)를 사용할 때는, 보드(30)를 세워 일측 테두리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보드 홀더(100)의 거치홈(13)에 끼워 넣는다. 이렇게 끼워진 보드(3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필기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3, when the board holder 100 is used, the board 30 is raised so that one side edge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3 of the board holder 100 from above to below. The board 30 thus fitted is vertically erected, and is used for writing or the like in this state.

사용이 끝나면, 보드를 거치홈(13)에서 들어 올려 빼낸 후, 보드 홀더(100)의 하부 쪽에 형성된 보드걸개(22)에 보드(30)를 걸어 보관한다. After use, the board is lifted out of the mounting groove 13, and then the board 30 is held by the board hangers 22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ard holder 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보드 홀더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The board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전술된 실시례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o be embraced within their scope.

10 : 거치부 11, 12 : 지지대
13 : 거치홈 14 : 브래킷
15 : 고정구멍 16 : 고정구
20 : 걸개부 21 : 걸개연결부
22 : 보드걸개 23 : 보강살
30 : 보드 40 : 테이블
100 : 보드 홀더
10: mounting part 11, 12: supporting part
13: mounting groove 14: bracket
15: Fixing hole 16: Fixing hole
20: Danger part 21: Danger connection part
22: board hangers 23: reinforced flesh
30: Board 40: Table
100: Board holder

Claims (5)

테이블의 테두리부에 설치되며, 보드를 꽂아 세울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보드 홀더에 있어서,

기다란 직육면체 형상의 한 쌍의 가로장을 가로로 길게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대(11, 12)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면이 좌우 마구리가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를 이루어 보드(30)를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거치홈(13)과 상기 지지대(12)의 측면에서 테이블(40)의 상판 아래로 뻗어나가도록 연장 형성된 돌출편으로 이루어진 브래킷(14)을 구비하는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보드(30)를 걸어 보관하는 보드걸개(22)를 구비하는 걸개부(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12)의 측면은 테이블(40)의 테두리 측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브래킷(14)의 상면은 테이블(40)의 상판 하면에 접촉시켜 테이블에 부착함으로써, 부착 후 테이블 상면의 면적을 전혀 차지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홀더.
1. A board holder provided at a rim of a table and having a groove for mounting the board,

A pair of support rods (11, 12) formed by horizontally arranging a pair of elongat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rod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bottom surface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upport rods And a bracket 14 having a mounting groove 13 on which the board 30 can be mounted and a protruding piece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table 12 so as to extend under the upper plate of the table 40. [ (10); and
And a hanging part (20) extending from a lower part of the mounting part (10) and having a board hanging part (22) for hanging and holding the board (30)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table 40 and attached to the table so that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fter attachment The board holder be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ot occupi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64479A 2014-05-28 2014-05-28 Board Holder KR101652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479A KR101652817B1 (en) 2014-05-28 2014-05-28 Board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479A KR101652817B1 (en) 2014-05-28 2014-05-28 Board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861A KR20150136861A (en) 2015-12-08
KR101652817B1 true KR101652817B1 (en) 2016-09-01

Family

ID=5487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479A KR101652817B1 (en) 2014-05-28 2014-05-28 Board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81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29Y1 (en) 2009-11-02 2010-05-03 (주)딥스원 Support Device Structure of a Boar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9198A (en) 1994-12-19 1996-07-02 Sakura Seiki Kk Writing board for meeting
JPH08282189A (en) 1995-04-12 1996-10-29 Nippon Rikagaku Kogyo Kk Portable table message board
JP2003070581A (en) 2001-09-06 2003-03-11 Kokuyo Co Ltd Board holding device
KR20090068999A (en) * 2007-12-24 2009-06-29 선진산업 주식회사 Both name plate and bag hanger for student desk
KR20130005677U (en) 2012-03-20 2013-09-30 조숙희 Desk assembly for child coupling educational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29Y1 (en) 2009-11-02 2010-05-03 (주)딥스원 Support Device Structure of a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861A (en)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887B2 (en) Suspension system
KR101499874B1 (en) Frame geometry of assembled table
KR101300631B1 (en) Table
KR101652817B1 (en) Board Holder
JP3242062U (en) Railing device for drawer baskets with rails for mounting on metal racks
CN210805143U (en) Assembled multi-face display rack
JP2015134050A (en) Multiple-type bookshelf
KR101735070B1 (en) Prefabricated roofing for furniture
CN205547900U (en) Plastics table with frame is strengthened enclosing by metal
CN201675385U (en) Multifunctional combined cabinet
KR200482454Y1 (en) Front bookcase shelf
CN210930565U (en) Laminate supporting component of display rack
CN210930566U (en) Table top board supporting structure of display stand
CN210169362U (en) Large-span conference table
CN216293436U (en) Book shelf
KR20140078294A (en) A self assembly desk
CN217161386U (en) Quick assembly's two-sided data frame
CN203897778U (en) Movable shelf supporting device and movable shelf device
KR200464923Y1 (en) Desk mounted with supporte
US20050023230A1 (en) CD rack system
US20140048502A1 (en) Multifunctional support for assembly furniture
JP4800005B2 (en) Furniture legs
JP2017127435A (en) Shelf protection plate and shelf
CN208676815U (en) A kind of shelf shelf
EP1369057A1 (en) Combination frame structure for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