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337B1 -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 Google Patents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337B1
KR101652337B1 KR1020140119216A KR20140119216A KR101652337B1 KR 101652337 B1 KR101652337 B1 KR 101652337B1 KR 1020140119216 A KR1020140119216 A KR 1020140119216A KR 20140119216 A KR20140119216 A KR 20140119216A KR 101652337 B1 KR101652337 B1 KR 10165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member
float
drop contain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537A (ko
Inventor
정선
Original Assignee
(주)휴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휴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40119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3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수액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수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주입구에서 배출구로 연장되는 관형의 점적용기; 점적용기 내에 설치되되, 점적용기의 연장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체; 및 점적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부유체의 위치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Drip device for injecting linger's solution}
본 발명은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의 섭취가 불가능한 환자, 수술 환자 및 인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영양분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의료용 수액 투여 세트를 통해 환자의 혈관으로 수액을 강제적으로 투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액을 강제적으로 투여하는데 사용되는 수액 투여 세트는 통상적으로 수액이 주입된 링거 병에 삽입되는 수액 도입침을 구비하며 점적되는 수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액 점적통, 수액 점적통에 연결되는 주입 호스, 주입 호스의 끝단에 연결되어 인체의 혈관에 주사되는 주사기 및 주입 호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혈관으로 주입되는 수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수액 주입량 조절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수액을 공급받는 동안 보호자 또는 간호사 등이 링거액의 양을 눈으로 확인하고, 수액 용기에 든 수액이 소진되는 경우에 새로운 수액 용기로 교체한다.
하지만, 보호자 또는 간호사가 수액 용기 교체 시기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수액이 다 들어간 후 공기가 혈관으로 들어가거나, 환자의 혈액이 주사기와 주입 호스를 통해 역류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수액 투여 과정에서 수액의 투여량 및 투여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잔여량을 관찰하기 위해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와 배려가 요구되었고, 수액이 일정량 남으면 간호사가 수액 용기를 미리 빼어 교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액의 주입이 완료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액의 액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수액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수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주입구에서 배출구로 연장되는 관형의 점적용기; 점적용기 내에 설치되되, 점적용기의 연장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체; 및 점적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부유체의 위치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부유체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알림부는: 점적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로기판; 부유체의 자석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전달받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점적용기의 일측에는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점적용기는 내부에 점적용기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고, 점적용기는 격벽에 의하여 수액이 수집되는 제1공간 및 접속단자가 설치되며 수밀영역의 제2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는 배출구에 근접하여 지지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는 배출구에 근접하여 점적용기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는 배출구에 근접하여 제2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는 점적용기의 내벽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는 제1공간의 격벽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의 단면은 H형, ㄷ자형, 직사각형, 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유체의 외측면은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부유체의 내측면은 지지부재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점적용기의 배출구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액의 점적량을 조절하는 수액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액조절수단의 상부면에는 배출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점적공이 형성된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점적공은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점적공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고수단은 무선통신모듈를 포함하며, 무선통신모듈은 감지부에서 전달한 신호를 수신하는 송신기; 송신기에서 전달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기; 및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의 액위 감지장치는 점적용기 내에 부유체가 수액량에 따라 지지대를 슬라이딩하고, 부유체가 알림부의 감지부에 근접하게 되면 알림부의 경고수단이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수액용기 내 수액의 투여가 완료되었음을 경고음을 통하여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수액량에 따라 이동하는 부유체가 흔들림 없이 지지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액량의 감소에 따른 부유체의 위치를 감지부에서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와 무선 통신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에 설치되는 수액조절장치의 탄성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의 지지부재와 부유체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도 3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도 4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수액 투여 세트는 수액이 저장되는 수액 용기(100), 및 수액 용기(100)에서 집수된 수액량을 측정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200)의 일측 부분에는 수액이 저장되는 수액 용기(100)에 삽입되는 수액 도입침(1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수액 도입침(110)이 구비된 반대쪽 부분에는 인체의 혈관에 주사되는 주사기(120)가 단부에 구비된 주입 호스(13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와 무선 통신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에 설치되는 수액조절장치의 탄성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200)는 점적용기(210), 지지부재(220), 부유체(230), 및 알림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점적용기(210)는 수액 용기(100)에서 주입되는 수액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일측에 수액이 주입되는 주입구(212)가 형성되고 타측에 수액이 배출되는 배출구(2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점적용기(210)는 주입구(212)에서 배출구(214)로 연장되는 관 형상으로, 구체적으로 손이 작은 사람들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점적용기(210)의 주입구(212)는 수액 용기(100)에 삽입되는 수액 도입침(1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점적용기(210)의 배출구(214)는 주입 호스(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점적용기(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이 집수되는 하나의 공간만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이 집수되는 제1공간(216) 및 수밀영역의 제2공간(218)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따른 점적용기(210')는 내부에 점적용기(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219)을 포함할 수 있고, 제1공간(216) 및 제2공간(218)은 격벽(219)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지지부재(220)는 도 3의 점적용기(210) 내부 또는 도 4의 점적용기(210')에 제1공간(216)에 설치되되, 점적용기(210, 210')의 연장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20)는 도 3의 점적용기(210)의 내벽 또는 도 4의 점적용기(210')의 제1공간(216)의 격벽(219)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부유체(230)는 지지부재(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점적용기(210, 210') 내 집수되는 수액의 표면에 부유체(230)가 접촉하므로, 부유체(230)는 수액량에 의해 지지부재(2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부유체(230)의 내부에는 자석(232)이 구비될 수 있다.
알림부(240)는 회로기판(242), 감지부(244), 경고수단(246), 및 배터리(24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점적용기(210)의 일측에는 회로기판(242)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단자(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단자(249)는 도 3의 점적용기(210)의 외측 또는 도 4의 점적용기(210')의 제2공간(218)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접속단자(24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242)은 도 3의 점적용기(210)의 외주면 또는 도 4의 점적용기(210')의 제2공간(218)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244)는 부유체(230)의 자석(232)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배출구(214)에 근접하여 지지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배출구(214)에 근접하여 점적용기(210)의 외주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배출구(214)에 근접하여 도 4의 점적용기(210')의 제2공간(218)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부유체(230)의 자석(232)과 감지부(244) 사이의 거리가 대략 3mm 정도로 자석(232)이 감지부(244)에 근접하게 되면, 감지부(244)는 자석(232)을 감지하여 신호를 경고수단(246)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44)로는 MR 센서 또는 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고수단(246)은 감지부(244)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전달받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부저, 멜로디박스, 또는 표시등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휴대폰 또는 별도의 단말기로 문자 또는 벨 소리를 통하여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44)의 신호를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휴대폰으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접속단자(249)에 무선통신모듈(270)이 결합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270)은 배터리(272), 송신기(274), 수신기 제어부(276)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휴대폰(278)에는 무선통신모듈(270)의 송신기(274)에서 전달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신기는 휴대폰 이외의 별도의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점적용기(210, 210')의 하부, 즉 배출구(214)에는 배출구(214)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액의 점적량을 조절하는 수액조절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액조절수단(250)은 배출구(214)에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252)와, 배출구(214)와 몸체(25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254)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254)의 상부 중심에는 점적용기(210)의 저면과 결합되는 결합부(25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작부(254)와 몸체(252)에는 배출구(214)에 대응하는 유동구(25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54)의 상부면에는 배출구(214)와 연통되는 복수의 점적공(262)이 형성된 탄성부재(260)가 설치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60)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점적공(262)은 탄성부재(260)에 원형으로 배열되며, 점적용기(210)에서 주입 호스(130)로 유동되는 수액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점적공(262)은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의 지지부재와 부유체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0)의 단면은 H형, ㄷ자형, 직사각형, 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유체(230)의 외측면은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부유체(230)의 내측면은 지지부재(22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도 3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의 작동 방법을 도시하며, 도 8b는 본 발명의 도 4에 따른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 용기(100)에서 점적용기(210, 210')의 주입구(212)로 수액이 점적되어 점적용기(210, 210') 내에는 수액이 집수될 수 있다(A).
또한, 지지부재(220)에 결합되는 부유체(230)는 집수된 수액의 상부에 접촉될 수 있고, 배출구(214)를 통하여 수액은 수액조절수단(250)의 유동구(258)를 통하여 주입 호스(13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수액량을 조절하고 싶은 경우, 수액조절수단(250)의 조작부(25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부(254)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60) 또한 회전하게 되며, 탄성부재(260)의 다양한 지름의 점적공(262) 중 환자가 원하는 수액량에 해당하는 지름의 점적공(262)을 유동구(258)와 정렬시킴으로써 수액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수액 용기(100)의 수액이 다 사용된 경우, 점적용기(210) 내 수액의 높이는 점점 낮아지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220)의 부유체(230)도 지지부재(220)를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수액(B)의 높이가 점점 낮아짐에 따라 부유체(230)는 감지부(244)와 근접하게 되면, 감지부(244)는 자석(232)의 위치를 감지하여 경고수단(246)으로 알림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경고수단(246)은 수액 용기(100)를 교체해야 함을 알리는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액의 액위 감지장치는 점적용기 내에 부유체가 수액량에 따라 지지대를 슬라이딩하고, 부유체가 알림부의 경고수단에 근접하게 되면 알림부의 경고수단이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수액용기 내 수액의 투여가 완료되었음을 경고음을 통하여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수액량에 따라 이동하는 부유체가 흔들림 없이 지지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액량의 감소에 따른 부유체의 위치를 감지부에서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210, 210' : 점적용기 212 : 주입구
214 : 배출구 216 : 제1공간
218 : 제2공간 219 : 격벽
220 : 지지부재 230 : 부유체
232 : 자석 240 : 알림부
242 : 회로기판 244 : 감지부
246 : 경고수단 248 : 배터리
249 : 접속단자 250 : 수액조절수단
252 : 몸체 254 : 조작부
256 : 결합부 258 : 유동구
260 : 탄성부재 262 : 점적공

Claims (17)

  1. 일측에 수액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로 연장되는 관형의 점적용기;
    상기 점적용기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점적용기의 연장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체;
    상기 점적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체의 위치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부; 및
    상기 점적용기의 배출구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액의 점적량을 조절하는 수액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액조절수단의 상부면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점적공이 형성된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점적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로기판;
    상기 부유체의 자석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전달받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적용기의 일측에는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수액 공급용 점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적용기는 내부에 상기 점적용기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점적용기는 상기 격벽에 의하여 상기 수액이 수집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접속단자가 설치되며 수밀영역의 제2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여 상기 점적용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배출구에 근접하여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점적용기의 내벽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공간의 격벽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단면은 H형, ㄷ자형, 직사각형, 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외측면은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부유체의 내측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점적공은 원형으로 배열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16. 삭제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무선통신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한 신호를 수신하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에서 전달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KR1020140119216A 2014-09-05 2014-09-05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KR10165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216A KR101652337B1 (ko) 2014-09-05 2014-09-05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216A KR101652337B1 (ko) 2014-09-05 2014-09-05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537A KR20160029537A (ko) 2016-03-15
KR101652337B1 true KR101652337B1 (ko) 2016-08-31

Family

ID=5554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216A KR101652337B1 (ko) 2014-09-05 2014-09-05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470B1 (ko) * 2016-08-24 2019-01-07 노효정 수액 감지 시스템
CN108273154A (zh) * 2018-04-20 2018-07-13 李良杰 便携式输液器
KR102267434B1 (ko) * 2019-05-20 2021-06-21 (의)삼성의료재단 조직 고정용 용기
CN116549798B (zh) * 2023-07-11 2023-09-08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一种便携式湿化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14B1 (ko) * 2006-02-22 2007-07-0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물공급 장치
KR100792805B1 (ko) 2007-01-24 2008-01-14 사단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수액 투여 세트의 액위 감지장치
KR100901852B1 (ko) * 2008-12-09 2009-06-09 김화중 링거액 주입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840A (ko) * 1999-01-15 2000-08-05 윤종용 습식 인쇄기의 잉크 잔량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14B1 (ko) * 2006-02-22 2007-07-0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물공급 장치
KR100792805B1 (ko) 2007-01-24 2008-01-14 사단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수액 투여 세트의 액위 감지장치
KR100901852B1 (ko) * 2008-12-09 2009-06-09 김화중 링거액 주입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537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337B1 (ko)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JP6893540B2 (ja) 経腸栄養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胃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US5222946A (en) Compact intravenous fluid delivery system
CN103127573B (zh) 用于治疗流体输送的可粘着于皮肤的模块化系统
US3667464A (en) Fluid dispensing device
JP7357705B2 (ja) 流体ポートの内部流路表面を濡らして超音波信号送信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40015131A1 (en) Flow restrictio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infusion device
US20100225494A1 (en) Fluid Flow Outage Safety and Warning Device
JP2018500994A (ja) 医薬品を投与するための装置
US20230236055A1 (en) Priming Valve to Induce Appropriate Pressure and Flow Profile and Improve Sensor Readiness
CN113195015A (zh) 微滴滴注腔室
US6673052B2 (en) Nonreturn warning device for an intravenous drip infusion
CN101288787A (zh) 自动报警输液器
KR20180127883A (ko) 링거 수액 주입 제어장치
KR102207495B1 (ko) 수액주사를 맞는 도중에 수액주머니를 휴대하는 장치 및 그 구성방법
KR101855349B1 (ko) 공기 제거용 수액세트
CN109646759A (zh) 一种便携式输液器
CN205434537U (zh) 带警报装置的输液支架
KR102248281B1 (ko) 점적통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니터링 장치
CN106913919A (zh) 背包式输液器
JP7042133B2 (ja) 輸液バッグホルダ及び輸液装置
KR20100129026A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CN204995924U (zh) 高精确测定和控制的自动报警点滴控制器
CN207532602U (zh) 一种医用吊瓶及输液装置
KR101406614B1 (ko) 수액제 공급용 점적(點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