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331B1 -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331B1
KR101652331B1 KR1020100082801A KR20100082801A KR101652331B1 KR 101652331 B1 KR101652331 B1 KR 101652331B1 KR 1020100082801 A KR1020100082801 A KR 1020100082801A KR 20100082801 A KR20100082801 A KR 20100082801A KR 101652331 B1 KR101652331 B1 KR 101652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eeking
moving picture
mobile terminal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552A (ko
Inventor
조형준
박민철
김휴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3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DB 서버;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Time Seeking)시 설정된 갭(Gap) 시간 후에 버퍼를 할당하며,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그 시킹 요청 발생시점부터 새로운 갭 시간을 적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 의해 갭 시간이 적용된 시점에 시킹 요청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파일을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Video Contents Providing System, Mobile and Playing Method using tho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임의로 재생 시점을 변경하더라도 버퍼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화면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복호화를 원활하게 수행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킹 요청에 대해 실시간으로 처리를 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무선 인터넷의 사용 및 디지털방송의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최근에는 이동하는 도중에 영화나 TV를 시청하거나 음악을 청취하는 기능 외에도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습용 동영상 컨텐츠를 통한 이동 중의 학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방법은 이동 단말기 내에 동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이동 중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과,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전송받아 재생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동 단말기 내에 동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은,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학습하기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저장 용량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용량 또는 많은 수의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된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플레이어를 통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 시점을 임의로 변경하면 버퍼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여 화면이 멈추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복호화가 원활하지 못하여 짧은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킹(seeking) 요청에 대해 실시간으로 처리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임의로 재생 시점을 변경하더라도 버퍼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화면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복호화를 원활하게 수행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킹 요청에 대해 실시간으로 처리를 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DB 서버;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Time Seeking)시 설정된 갭(Gap) 시간 후에 버퍼를 할당하며,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그 시킹 요청 발생시점부터 새로운 갭 시간을 적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 의해 갭 시간이 적용된 시점에 시킹 요청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파일을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경과한 후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그 새로운 요청발생 시점을 초기값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DB 서버;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 설정된 시간을 지연시켜 대응하는 파일을 요청하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새로운 시킹의 발생을 차단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을 해제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 의해 파일이 요청된 시점에 타임 시킹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파일을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 설정된 갭 시간 후에 버퍼를 할당하는 플레이버퍼 할당부; 및 할당된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발생된 시킹 요청 발생시점부터 새로운 갭 시간을 적용하는 갭 재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플레이버퍼 할당부는, 할당된 버퍼의 사용시점이 경과한 후에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발생된 새로운 시킹 요청의 발생시점을 초기값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 설정된 시간을 지연시켜 파일을 요청하는 플레이파일 요청부; 및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새로운 시킹의 발생을 차단하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을 해제하는 시킹 차단/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 설정된 갭 시간 후 버퍼를 할당하는 단계; 및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그 시킹 요청 발생시점부터 새로운 갭 시간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경과한 후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새로운 시킹 요청 발생시점을 초기값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 설정된 시간을 지연시켜 대응하는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및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면 시킹의 발생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은,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임의로 재생 시점을 변경하더라도 버퍼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화면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복호화를 원활하게 수행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킹 요청에 대해 실시간으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에 의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동 단말기에 의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10), 컨텐츠 제공서버(140) 및 DB 서버(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10)는 휴대폰, 노트북, PDA,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하며, 네트워크(120) 또는 이동통신 망(130)을 통해서 컨텐츠 제공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Time Seeking) 시에 설정된 갭(Gap) 시간 후에 버퍼를 할당하고,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그 시킹 요청 발생시점부터 새로운 갭 시간을 적용한다. 여기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이라 함은, 이동 단말기(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플레이어의 바(bar)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작의 시점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갭 시간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이 된 후 버퍼가 할당되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말한다. 즉, 갭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타임 시킹이 실행된 후, 동영상 플레이어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버퍼를 할당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간격을 말한다.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시킹이 요청되면, 이동 단말기(110)는 타임 시킹 시 설정된 갭 시간 후에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버퍼를 할당하며, 시킹 요청신호를 네트워크(120) 또는 이동통신 망(130)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서버(140)에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시점을 설정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시킹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이전의 시킹 요청에 의해 할당된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새로 발생된 시킹 요청의 발생시점부터 설정된 갭 시간을 새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전의 시킹 요청에 의해 할당된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시킹 요청의 발생시점을 초기값으로 적용하여 버퍼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120)는 WiBro(Wireless Broadband),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망뿐만 아니라, VAN(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와 같은 유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동통신 망(13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 WCDMA(Wideband CDMA) 망 등을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에 의해 갭 시간이 적용된 시점에 이동 단말기(110)의 시킹 요청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파일을 이동 단말기(110)의 할당된 버퍼로 전송한다. 이때, DB 서버(150)에는 이동 단말기(110)에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서버(140)는 DB 서버(150)로부터 시킹 요청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파일을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 내에 할당되는 시킹 버퍼에 대응하는 용량의 파일 버퍼를 할당하며, DB 서버(150)로부터 검색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전송할 파일 분량을 파일 버퍼에 저장하고, 파일 버퍼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의 파일을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술한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경우와 달리, 이동 단말기(110)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에 설정된 시간을 지연시켜 대응하는 파일을 컨텐츠 제공서버(14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1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그 차단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공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동영상 컨텐츠의 파일이 요청된 시점에 타임 시킹에 대응하는 파일을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휴대폰, 노트북,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안드로이드(Android)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운영체제, 미들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한데 묶은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서, 세계 각국의 이동통신 관련회사 연합체인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 Open Handset Alliance)'가 개발하여 2007년 11월에 공개하였는데, 실질적으로는 세계적 검색엔진 업체인 구글(Google)이 주도하였으므로 '구글 안드로이드'라고도 한다.
안드로이드는 리눅스(Linux) 2.6 커널을 기반으로 강력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포괄적 라이브러리 세트, 풍부한 멀티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폰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한다.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인 '윈도우'에 비유할 수 있는데, 이동통신 단말기에 안드로이드를 탑재하여 인터넷과 메신저 등을 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 가전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연동성도 갖추고 있다.
안드로이드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모바일'이나 노키아의 '심비안' 등과 차별화되는 것은 완전 개방형 플랫폼이라는 점이다. 종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와 서비스업체마다 운영체제가 달라 개별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였다. 이에 비하여 안드로이드는 기반 기술인 '소스 코드'를 모두 공개함으로써 누구라도 이를 응용하여 소프트웨어와 기기를 만들어 판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공개된 소스 코드를 확장, 대체 또는 재사항하여 사용자들에게 풍부하고 통합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드로이드폰이라고도 하며, 이 플랫폼에서 응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거래하는 온라인 공간을 안드로이드 마켓이라고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10), 플레이버퍼 할당부(220) 및 갭 재할당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동영상 플레이어라고도 일컬으며, 이동 단말기(200)의 제조 과정에서 탑재되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플레이버퍼 할당부(220)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 설정된 갭 시간 후에 버퍼를 할당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하여 타임 시킹을 하면, 기 설정된 갭 시간 후에 버퍼를 할당하고 시킹 요청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140)로 전송한다.
만일, 이전의 시킹 요청에 의해 할당된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갭 재할당부(2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새로 발생된 시킹 요청의 발생시점부터 설정된 갭 시간을 새로 적용하여 버퍼 1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갭 재할당부(230)에 의해 버퍼를 할당하는 방법은 플레이버퍼 할당부(220)에 의해 버퍼를 할당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갭 재할당부(230)는 플레이버퍼 할당부(220)와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갭 재할당부(230)와 플레이버퍼 할당부(22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반면에, 이전의 시킹 요청에 의해 할당된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플레이버퍼 할당부(220)는 새로운 시킹 요청의 발생시점을 초기값으로 적용하여 버퍼 2를 할당할 수도 있다.
할당된 버퍼에 저장되는 동영상 컨텐츠 파일은 OpenCore 버퍼에 순차적으로 전송되며, OpenCore 코덱에 따라 복호화될 수 있다. 여기서, OpenCore는 안드로이드의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로서, 다른 이름으로는 일반적으로 PacketVideo라고도 불리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버퍼 및 코덱은 일 예를 기재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4는 도 1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4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410), 플레이파일 요청부(420) 및 시킹 차단/해제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410)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영상 플레이어라고도 일컬으며, 이동 단말기(200)의 제조 과정에서 탑재되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플레이파일 요청부(420)는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에 설정된 시간을 지연시켜 컨텐츠 제공서버(150)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 파일을 요청한다.
시킹 차단/해제부(430)는 설정된 시간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을 해제하여 새로운 시킹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전의 시킹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 파일이 수신되어 기 할당된 버퍼에 저장된 상태에서 동영상 플레이어의 실행이 수신되면 해당 학습 컨텐츠의 재생을 위해 플레이 버퍼를 할당한다. 그러나, 버퍼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불가능한 상태 예컨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아 기 할당된 버퍼에 동영상 컨텐츠의 저장이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시킹 차단/해제부(430)는 새로운 시킹에 의한 동영상의 재생을 차단하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새로운 시킹에 의한 동영상의 재생의 차단을 해제하여 컨텐츠 제공서버(14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 파일을 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601).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의 제조 과정에서 탑재되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플레이버퍼 할당부(220)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S603), 설정된 갭 시간 후에 버퍼를 할당한다(S605).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하여 타임 시킹을 하면, 기 설정된 갭 시간 후에 버퍼를 할당하고 시킹 요청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140)로 전송한다.
만일, 이전의 시킹 요청에 의해 할당된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S607), 갭 재할당부(2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새로 발생된 시킹 요청의 발생시점부터 설정된 갭 시간을 새로 적용하여 버퍼 1을 할당할 수 있다(S609). 또한, 이전의 시킹 요청에 의해 할당된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플레이버퍼 할당부(220)는 새로운 시킹 요청의 발생시점을 초기값으로 적용하여 버퍼 2를 할당할 수도 있다(S611).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410)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701).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200)의 제조 과정에서 탑재되거나,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플레이파일 요청부(420)는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임 시킹 시(S703), 설정된 시간을 지연시켜 컨텐츠 제공서버(150)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 파일을 요청한다(S705).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시점을 선택하여 재생을 요청하면(S707), 시킹 차단/해제부(430)는 설정된 시간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시킹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며(S709),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을 해제하여 새로운 시킹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S711). 즉, 시킹 차단/해제부(4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전의 시킹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 파일이 수신되어 기 할당된 버퍼에 저장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새로운 시킹에 의한 동영상의 재생을 차단하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새로운 시킹에 의한 동영상의 재생의 차단을 해제하여 컨텐츠 제공서버(14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 파일을 수신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임의로 재생 시점을 변경하더라도 버퍼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화면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복호화를 원활하게 수행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킹 요청에 대해 실시간으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10, 200, 400: 이동 단말기
120: 네트워크 130: 이동통신 망
140: 컨텐츠 제공서버 150: DB 서버
210, 410: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220: 플레이버퍼 할당부 230: 갭 재할당부
420: 플레이파일 요청부 430: 시킹 차단/해제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타임 시킹 존재 시, 각각의 타임 시킹마다 설정된 갭 시간 후에 버퍼를 할당하는 플레이버퍼 할당부; 및
    할당된 상기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발생된 시킹 요청 발생시점부터 새로운 상기 갭 시간을 적용하는 갭 재할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버퍼 할당부는,
    할당된 상기 버퍼의 사용시점이 경과한 후에 새로운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발생된 상기 새로운 시킹 요청의 발생시점을 초기값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타임 시킹 존재 시, 각각의 타임 시킹마다 설정된 시간을 지연시켜 파일을 요청하는 플레이파일 요청부; 및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새로운 시킹의 발생을 차단하며,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을 해제하는 시킹 차단/해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타임 시킹 존재 시, 각각의 타임 시킹마다 설정된 갭 시간 후 버퍼를 할당하는 단계; 및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되기 전에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그 시킹 요청 발생시점부터 새로운 상기 갭 시간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킹 버퍼의 사용시점이 경과한 후 시킹 요청이 발생하면 새로운 시킹 요청 발생시점을 초기값으로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9.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타임 시킹 존재 시, 각각의 타임 시킹마다 설정된 시간을 지연시켜 대응하는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면 시킹의 발생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KR1020100082801A 2010-08-26 2010-08-26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KR101652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01A KR101652331B1 (ko) 2010-08-26 2010-08-26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01A KR101652331B1 (ko) 2010-08-26 2010-08-26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52A KR20120019552A (ko) 2012-03-07
KR101652331B1 true KR101652331B1 (ko) 2016-08-30

Family

ID=4612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01A KR101652331B1 (ko) 2010-08-26 2010-08-26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557B1 (ko) 2018-03-15 2020-03-16 주식회사 삼십구도씨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3382A1 (en) 2008-05-20 2009-12-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ime-shift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767A (ja) * 2003-06-03 2004-12-24 Funai Electric Co Ltd データ再生装置
KR101015811B1 (ko) * 2003-09-23 2011-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UPnP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KR20090094958A (ko) * 2008-03-04 2009-09-09 김종남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에서의 실시간 장면 전환 검출 구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3382A1 (en) 2008-05-20 2009-12-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ime-shift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52A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3068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storage media for applet state synchronization
KR101979621B1 (ko)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의 전송을 최적화하는 시스템 및 장치
US20160042045A1 (en) Resolving conflicts within saved state data
US2011020912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targeted compilation of source code
US20220174346A1 (en) Video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EP2527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media files
CN111954051A (zh) 一种传输视频音频的方法、设备和系统
US20140237024A1 (en) Network communication devices and file tracking methods thereof
RU265945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качиванием файла в облачном сервисе хранения
US92622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ftware migration in mobile environment
CN111290737B (zh) 用于应用程序开发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2255866A (zh) 一种数据下载方法及装置
CN111435600B (zh) 用于处理音频的方法和装置
US20180249017A1 (en) Data Usage Based Data Transfer Determination
CN112637626B (zh) 推流方法、系统、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127438B (zh) 用于存储数据的方法、装置、服务器和介质
KR101652331B1 (ko)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하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방법
CN103907311A (zh) 来自移动设备的远程访问
JP2019029801A (ja) 再生装置、再生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614089B (zh) 数据访问代码的自动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798147B2 (en) Constraint based controlled seeding
CN111385599A (zh) 视频处理方法和装置
US201303118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execution of video files by readers of electronic publications
CN106328174A (zh) 一种录音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US9681088B1 (en) System and methods for movie digital container augmented with post-processing meta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