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298B1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298B1
KR101652298B1 KR1020140121720A KR20140121720A KR101652298B1 KR 101652298 B1 KR101652298 B1 KR 101652298B1 KR 1020140121720 A KR1020140121720 A KR 1020140121720A KR 20140121720 A KR20140121720 A KR 20140121720A KR 101652298 B1 KR101652298 B1 KR 101652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elastic
piezoelectric element
damper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714A (ko
Inventor
정승현
오화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2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298B1/ko
Priority to US14/638,326 priority patent/US9700917B2/en
Publication of KR2016003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4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H02N2/046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for conversion into rotary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3/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0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variable reluctance type
    • H02K37/08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variable reluctance type with rotors axially facing the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specially adapted for damping motor oscillations, e.g. for reducing hun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3Assembling devices that include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7Membrane type
    • H10N30/2048Membrane type having non-plana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Abstract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가 설치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압전소자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웨이트와, 상기 설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변형에 의한 변위 방향을 변화시키며 상호 대향 배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 및 상기 웨이트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댐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정상 구동 시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두께를 가지는 진동발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Vibrator}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음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피에조 소자를 이용한 진동발생장치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피에조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변위가 발생하는 역압전효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발생된 변위로 진동자의 웨이트를 움직이도록 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한편, 외부 충격에 의하여 진동자의 웨이트가 비정상적으로 진동되는 경우 웨이트와 타 구성부품 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고 부품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부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댐퍼부재는 진동자의 정상적인 진동 시 진동자의 변위를 제약하여 진동량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06-0000894호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면서도 진동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가 설치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압전소자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웨이트와, 상기 설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변형에 의한 변위 방향을 변화시키며 상호 대향 배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 및 상기 웨이트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댐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정상 구동 시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면서도 진동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설치부재와 탄성부재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댐퍼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탄성부재(120), 탄성부재(130), 압전소자(140), 웨이트(150) 및 댐퍼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탄성부재(120)가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한편, 하우징(110)은 도 2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가 개방된 케이스(112)와, 케이스(112)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114)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케이스(112)는 하단부가 개방된 원형의 박스 형상을 가지며, 브라켓(114)은 케이스(112)에 조립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10) 내에 상기한 탄성부재(120), 설치부재(130), 압전소자(140), 웨이트(150) 및 댐퍼부재(16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반경 방향이라 함은 도 1에서 좌,우 방향, 즉 하우징(110)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우징(1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또는 하우징(110)의 중심으로부터 하우징(110)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하 방향은 하우징(110)의 저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는 방향과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주방향 하우징(1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탄성부재(120)는 설치부재(130)에 연결되어 설치부재(130)의 변형에 의한 변위 방향을 변화시키며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20)는 하우징(110)의 브라켓(114)에 설치되며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도 3 및 도 4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4)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122)와, 제1 탄성부재(122)에 설치되어 제1 탄성부재(122)와 함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2 탄성부재(1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2 탄성부재(122,124)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단지 외측 고리부(122a,124a)의 굴곡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탄성부재(122)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고 제2 탄성부재(124)의 설명은 제1 탄성부재(122)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제1 탄성부재(122)는 외측고리부(122a), 연결부(122b), 내측 고리부(122c) 및 접합부(122d)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 고리부(122a)는 고리 형상을 가지며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외측 고리부(122a)는 접합부(122d)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브라켓(114)과 평행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며 연결부(122b)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측 고리부(122a)가 브라켓(114)에 접합되는데, 외측 고리부(122a)의 연결부(122b)가 형성되는 영역이 브라켓(114)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122b)는 외측 고리부(122a)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22b)는 일예로서, 상호 12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122b)는 외측 고리부(122a)로부터 3개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고리부(122c)는 연결부(122b)에 연결되며 고리 형상을 가진다. 한편, 내측 고리부(122c)는 외측 고리부(122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 고리부(122c)는 굴곡을 가지지 않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내측 고리부(122c)는 연결부(122b)을 통해 외측 고리부(122a)에 연결될 수 있다.
접합부(122d)는 연결부(122b)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외측 고리부(122a)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예로서, 접합부(122d)도 연결부(122b)와 마찬가지로 상호 12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접합부(122d)는 외측 고리부(122a)로부터 3개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탄성부재(124)도 제1 탄성부재(122)와 같이 외측 고리부(124a), 연결부(124b), 내측 고리부(124c) 및 접합부(124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 탄성부재(122,124)의 조립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1,2 탄성부재(122,124)는 접합부(122d,124)가 상호 접합되며, 외측 고리부(122a,124a)의 연결부(122b,124b)가 형성된 영역에서 상호 최대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2 탄성부재(122,124)의 외측 고리부(122a,124a)는 굴곡을 가진 고리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외측 고리부(122a,124a) 중 곡률을 가진 부분은 상호 이격 배치되며 평탄하게 형성되는 부분은 상호 접촉된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된 제1,2 탄성부재(122,124)는 진동 발생 시 외측 고리부(122a,124a)의 연결부(122b,124b)가 형성된 영역에서 접촉 또는 최대 이격되면서 진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설치부재(130)에는 압전소자(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부재(130)는 탄성부재(120)에 연결되며 탄성부재(120)와 연계하여 변위 방향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설치부재(130)는 플레이트부(132), 변위방향 변경부(134) 및 고정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132)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압전소자(14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부(132)의 중앙에는 진동 발생 시 공기의 유동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변위방향 변경부(134)는 플레이트부(13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변위방향 변경부(134)는 상호 12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6)는 변위방향 변경부(134)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재(120)에 접합될 수 있다. 일예로서, 고정부(136)는 제2 탄성부재(124)의 접합부(124d)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설치부재(130)의 작동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의해 설치부재(130)의 변위방향 변경부(134)의 하단부 측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압전소자(140)의 중심부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되면 설치부재(130)의 변위방향 변경부(134) 하단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압전소자(140)의 중심부가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압전소자(140)가 변형되면 설치부재(130)의 변위방향 변경부(134)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136)가 접합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124)의 접합부(124d)와, 이에 접합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124)의 접합부(122d)는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설치부재(130)에는 주파수조절부재(138)가 설치될 수 있다. 주파수조절부재(138)는 고리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부(132)의 상면에 접합되는 고리형 바디부(138a)와, 변위방향 변경부(134)에 대응되도록 고리형 바디부(138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보강부(138b)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주파수조절부재(138)가 설치부재(130)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파수조절부재(138)가 설치부재(130)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설치부재(130)의 두께가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압전소자(140)는 설치부재(1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압전소자(140)는 플레이트부(132)의 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압전소자(14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레이트부(13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140)에도 변형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14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압전소자(140)는 중앙부 측이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압전소자(14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압전소자(140)에는 기판이 연결될 수 있다.
웨이트(150)는 탄성부재(120)에 설치되어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웨이트(150)는 일예로서 제2 탄성부재(124)의 상면에 안착되어 접합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트(150)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웨이트(150)의 하단부 측은 내측 고리부(124c)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웨이트(150)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해 비중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텅스텐, 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일한 체적 내에서 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여 진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중량체(150)는 비중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부재(160)는 웨이트(15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댐퍼부재(160)는 탄성부재(120)의 정상 구동 시 복수개의 탄성부재(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된다. 즉, 댐퍼부재(160)의 두께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웨이트(150)가 비정상적으로 진동되는 경우 탄성부재(12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브라켓(114)에 접촉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댐퍼부재(160)는 정상 구동 시에는 브라켓(114)에 접촉되지 않으며, 비정상 구동 시 브라켓(114)에 접촉되는 두께를 가진다.
이에 따라, 진동자인 웨이트(150) 등의 구성부품의 구동변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외부 충격 시 웨이트(150) 등의 구성 부품과 하우징(110)의 접촉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댐퍼부재(160)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일예로서, 댐퍼부재(160)는 외측 고리부(122a,124a)와 내측 고리부(122c,122c) 사이에 배치되도록 웨이트(150)에 설치되되, 연결부(122b,124b)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부재(160)는 일예로서, 6개가 웨이트(150)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댐퍼부재(160)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반구 형상을 가지도록 댐퍼부재(160)가 형성되는 경우 정상 구동 시 댐퍼부재(160)가 브라켓(114)에 접촉되더라도 변위를 제약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과 설치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방지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댐퍼부재(160)가 비정상 구동 시에만 브라켓(114))에 접촉되는 두께를 가지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충격량을 완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정상 구동 시 진동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설치부재와 탄성부재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압전소자(14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압전소자(140)는 중앙부 측이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압전소자(1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압전소자(140)의 가장자리 측이 중앙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측으로 변형된 뒤 하부측으로 반복적으로 변형된다. 즉, 압전소자(140)의 가장자리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하부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40)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부재(130)도 압전소자(140)와 동일하게 변형된다. 즉, 설치부재(130)의 플레이트부(132)도 압전소자(140)와 동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부재(130)의 플레이트(132)의 변형에 의해 변위방향 변경부(134)의 하단부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과 외측으로 반복적으로 변형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120)의 중앙부 측이 인접 배치된 후 상호 이격되도록 진동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호 접합되지 않는 외측 고리부(122a,124a)의 연장부가 형성되는 부분은 상,하로 진동되고, 외측 고리부(122a,124a)의 접합부(122d,124d)가 형성되는 부분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이와 같이 진동되는 경우 댐퍼부재(16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브라켓(114)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댐퍼부재(160)가 정상 구동 시에는 브라켓(114)에 접촉되지 않는 두께를 가지므로, 브라켓(114)에 접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댐퍼부재(160)에 의한 진동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충격에 의한 비정상적인 구동 시 댐퍼부재(160)는 브라켓(114)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웨이트(150) 등의 진동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충격에 의한 충격량을 완화시키면서도 진동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댐퍼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댐퍼부재(260)는 웨이트(15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댐퍼부재(260)는 탄성부재(120)의 정상 구동 시 복수개의 탄성부재(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된다. 즉, 댐퍼부재(260)의 두께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웨이트(150)가 비정상적으로 진동되는 경우 탄성부재(12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브라켓(114, 도 1 참조)에 접촉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댐퍼부재(260)는 정상 구동 시에는 브라켓(114)에 접촉되지 않으며, 비정상 구동 시 브라켓(114)에 접촉되는 두께를 가진다.
이에 따라, 진동자인 웨이트(150) 등의 구성부품의 구동변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외부 충격 시 웨이트(150) 등의 구성 부품과 하우징(110, 도 1 참조)의 접촉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댐퍼부재(260)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일예로서, 댐퍼부재(260)는 외측 고리부(122a,124a)와 내측 고리부(122c,122c) 사이에 배치되도록 웨이트(150)에 설치되되, 연결부(122b,124b)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부재(260)는 일예로서, 6개가 웨이트(150)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댐퍼부재(260)는 타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진동발생장치
110 : 하우징
120 : 탄성부재
130 : 설치부재
140 : 압전소자
150 : 웨이트
160, 260 : 댐퍼부재

Claims (12)

  1.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는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가 설치되는 설치부재;
    상기 압전소자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웨이트;
    상기 설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변형에 의한 변위 방향을 변화시키며 상호 대향 배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웨이트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댐퍼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와 함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정상 구동 시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두께를 가지는 진동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진동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는 반구형상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진동발생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탄성부재는 굴곡을 가진 고리 형상의 외측 고리부와, 상기 외측 고리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와,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에 연결되며 고리 형상의 내측 고리부 및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측 고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탄성부재는 상기 접합부에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 측에서 최대로 이격 배치되는 진동발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호 12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원형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변위방향 변경부 및 상기 변위방향 변경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접합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에 설치되는 주파수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조절부재는 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접합되는 고리형 바디부와, 상기 변위방향 변경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보강부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12. 삭제
KR1020140121720A 2014-09-15 2014-09-15 진동발생장치 KR101652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20A KR101652298B1 (ko) 2014-09-15 2014-09-15 진동발생장치
US14/638,326 US9700917B2 (en) 2014-09-15 2015-03-04 Vibrating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20A KR101652298B1 (ko) 2014-09-15 2014-09-15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14A KR20160031714A (ko) 2016-03-23
KR101652298B1 true KR101652298B1 (ko) 2016-08-30

Family

ID=5545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720A KR101652298B1 (ko) 2014-09-15 2014-09-15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00917B2 (ko)
KR (1) KR101652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5910A1 (fr) * 2019-05-06 2020-11-13 Telemaq Moteur piézoélectrique à onde progressive à résolution micrométrique
CN111741148B (zh) * 2020-06-18 2021-09-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367420B1 (ko) * 2021-09-17 2022-02-25 탑인더스트리(주) 지진동 감지 기능을 갖는 내진 구조체, 이를 갖는 수배전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030B1 (ko) * 2012-07-11 2013-03-11 주식회사 로브 복수의 진동전달경로를 갖는 진동 증폭형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자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8974A (ja) * 1988-03-25 1989-10-04 Brother Ind Ltd 超音波モータ
KR100639024B1 (ko) 2004-06-30 2006-10-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압전소자를 이용한 진동발생기
US7969065B2 (en) * 2008-09-09 2011-06-28 Canon Kabushiki Kaisha Vibration wave driving device
KR101250798B1 (ko) * 2009-10-27 2013-04-04 주식회사 로브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US9590166B2 (en) * 2011-10-06 2017-03-07 Hysonic. Co., Ltd. Vibrator equipped with piezoelectric element
KR101320185B1 (ko) * 2012-09-19 2013-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액추에이터
KR101969439B1 (ko) * 2012-12-04 2019-04-16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발생장치
US20140333179A1 (en) * 2013-05-13 2014-11-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KR101319974B1 (ko) * 2013-05-20 2013-10-18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압전 진동 장치
KR20140137722A (ko) * 2013-05-23 2014-12-03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030B1 (ko) * 2012-07-11 2013-03-11 주식회사 로브 복수의 진동전달경로를 갖는 진동 증폭형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14A (ko) 2016-03-23
US20160074907A1 (en) 2016-03-17
US9700917B2 (en)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7376B2 (en) Actuator support structure and pump device
KR101639373B1 (ko) 진동발생장치
JP6278099B2 (ja) 流体制御装置
JP5713471B2 (ja) 振動発生装置
KR101881400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52298B1 (ko) 진동발생장치
US9660173B2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US20140055006A1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KR101783645B1 (ko) 진동 응답속도가 향상된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US10960436B2 (en) Elastic member structure an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the same
US9484521B2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US9833812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O2019073739A1 (ja) ポンプ、流体制御装置
KR102473232B1 (ko) 내구성 강화형 음향소자
KR101367950B1 (ko) 선형진동자
US20160105131A1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1698424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14608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CN113606286A (zh) 一种减振限位装置及设置其的机械设备
US20160082476A1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