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289B1 -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 Google Patents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289B1
KR101652289B1 KR1020150010691A KR20150010691A KR101652289B1 KR 101652289 B1 KR101652289 B1 KR 101652289B1 KR 1020150010691 A KR1020150010691 A KR 1020150010691A KR 20150010691 A KR20150010691 A KR 20150010691A KR 101652289 B1 KR101652289 B1 KR 10165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liquid
correction
discharge
adjust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644A (ko
Inventor
어중수
한규준
권희철
Original Assignee
어중수
한규준
권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중수, 한규준, 권희철 filed Critical 어중수
Priority to KR102015001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2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에 관한 것으로서, 수정액이 저장되는 수정액저장부와; 상기 수정액저장부의 선단에 일정길이 결합되며, 수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수정액배출부와; 상기 수정액배출부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공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수정액의 배출폭을 조절하는 배출폭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CORRECTOR PEN TO CONTROL EMISSION WIDTH OF CORRCTOR LIQUID}
본 발명은 수정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수정액이 배출되는 배출폭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정펜에 관한 것이다.
수정펜은 고무지우개로 지워지지 않는 잉크류를 이용한 글씨를 지울 때 사용된다. 수정펜은 휘발성의 용매가 혼합된 수정액이 충진된 튜브와, 수정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로 구성된다. 수정펜의 일례가 등록실용신안 제20-0290245호 "수정펜"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수정펜은 수정액이 액상이므로 건조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넓은 범위를 수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수정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정테잎이 사용된다. 수정테잎의 일례가 공개특허 제10-2006-0109178호 "펜타입의 수정테잎"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수정테잎은 테잎을 부착하여 수정할 부분을 커버한다. 그런데, 수정테잎은 폭이 정해져 있으므로 그 폭보다 좁은 면적을 수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수정부분이 찢어질 경우 보기에 지저분해보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정액을 사용하지만 수정테잎과 같이 사용이 간편하고 수정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정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조절한 수정액의 배출폭이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수정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정액의 외부 누설을 차단할 수 있는 수정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정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정펜은, 수정액이 저장되는 수정액저장부와; 상기 수정액저장부의 선단에 일정길이 결합되며, 수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수정액배출부와; 상기 수정액배출부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공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수정액의 배출폭을 조절하는 배출폭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정액배출부는 상면에 상기 배출공과 수평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된 조절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폭조절부는, 상기 조절슬릿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조절슬릿에 삽입되는 이동버튼과; 일단부는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내벽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버튼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버튼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공을 차폐하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절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형성된 안내홈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버튼은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바닥면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는 홈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막은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막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슬릿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홈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버튼은 상기 요철홈에 대응되는 높이에 탄성적으로 돌출 및 함몰되며 상기 이동버튼의 상기 조절슬릿에 대한 위치를 고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조절슬릿의 하부를 커버하여 수정액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고무재질의 가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에는 상기 이동버튼이 이동되는 절개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정펜은 배출폭조절부에 의해 수정액이 배출되는 수정액배출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버튼을 본인이 희망하는 수정액배출폭으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수정액배출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정액배출부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수정액이 얇게 도포되어 수정액의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어 사용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조절슬릿에 이동버튼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수정액배출폭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조절슬릿의 하부에 가스켓이 구비되어 조절슬릿을 통한 수정액의 누설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펜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펜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펜의 수정폭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펜(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정펜(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수정펜(100)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른 수정펜(100)은 수정액이 수용되는 수정액저장부(110)와, 수정액저장부(1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수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정액배출부(120)와, 수정액배출부(120)의 내부에 결합되어 수정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폭을 조절하는 배출폭조절부(130)와, 수정액배출부(120)를 개폐하는 캡(150)을 포함한다.
수정액저장부(110)는 수정액이 저장된다. 수정액저장부(110)는 내부에 수정액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수정액저장부(1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정액을 수정액배출부(12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수정액저장부(11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며 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튜브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정액저장부(110)의 선단에는 결합관(111)이 일정길이 연장형성된다. 결합관(111)에 수정액배출부(120)가 결합되고, 결합관(111)을 통해 수정액저장부(110) 내부의 수정액이 수정액배출부(120)로 공급된다.
수정액배출부(120)는 수정액저장부(110)로부터 공급된 수정액을 외부로 배출한다. 수정액배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본체(121)와, 배출본체(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123)을 포함한다. 배출본체(121)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수정액저장부(110)로부터 공급된 수정액이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수정액배출부의 선단에는 수정액(F)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129)이 개방형성된다. 배출공(129)은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높이가 넓게 도시했으나, 수정액(F)이 얇게 도포될 수 있도록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정액(F)이 얇게 도포될 수록 건조시간이 짧아져 사용이 편리해질 수 있다.
배출본체(121)의 배출공(129) 측 바닥면에는 안내홈(121a)이 일정길이 함몰형성된다. 안내홈(121a)에는 배출폭조절부(130)의 이동버튼(131)의 홈결합돌기(131d)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판(123)에는 안내홈(1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절슬릿(125)이 구비된다. 조절슬릿(125)은 배출폭조절부(130)의 이동버튼(131)이 이동되는 이동로로 작용한다. 조절슬릿(125)은 상판(123)에 배출공(129)에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조절슬릿(125)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홈(125a)이 형성된다. 요철홈(125a)에는 반원 또는 삼각형 형태의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요철홈(125a)은 이동버튼(131)의 탄성부재(131e)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이동버튼(131)이 조절슬릿(125)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가스켓(140)은 상판(123)의 바닥면에 조절슬릿(125)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결합되어 조절슬릿(125)의 하부를 커버한다. 이에 의해 조절슬릿(125)을 통해 수정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배출폭조절부(130)는 수정액배출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출공(129)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수정액이 배출되는 폭을 조절한다. 배출폭조절부(130)는 조절슬릿(125)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버튼(131)과, 수정액배출부(120)의 내벽면과 이동버튼(131)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이동버튼(131)의 이동에 연동하여 배출공(129)을 차폐하는 차단막(133)을 포함한다.
이동버튼(131)은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액배출부(120)의 상부로 노출되는 버튼본체(131a)와, 버튼본체(131a)의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수정액배출부(120) 내부로 삽입되는 버튼지지기둥(131b)과, 버튼지지기둥(131b)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홈결합돌기(131d)와, 이동버튼(131)의 측면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이동되며 요철홈(125a)에 걸림결합되는 탄성부재(131e)를 포함한다.
버튼본체(131a)와 버튼지지기둥(131b) 및 홈결합돌기(131d)는 일체로 형성된다. 버튼본체(131a)의 하부에는 슬릿결합홈(131c)이 형성된다. 슬릿결합홈(131c)은 상판(123)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동버튼(131)이 조절슬릿(12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버튼지지기둥(131b)은 수정액배출부(120)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홈결합돌기(131d)는 버튼지지기둥(131b)의 바닥에서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다. 홈결합돌기(131d)는 안내홈(121a)에 삽입되어 버튼본체(131a)의 이동방향에 따라 안내홈(121a)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본체(131a)에 외력을 가하면 안내홈(121a)을 따라 홈결합돌기(131d)가 이동되며 버튼지지기둥(131b)이 수정액배출부(120) 내부 공간을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탄성부재(131e)는 버튼지지기둥(131b)에서 요철홈(125a)을 향해 결합되어 이동버튼(131)이 조절슬릿(125) 상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조절슬릿(125)에 요철홈(125a)이 없고 이동버튼(131)에 탄성부재(131e)가 없는 경우, 이동버튼(131)이 조절슬릿(125) 상에 위치가 고정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정액을 배출하는 과정 중에 외력이 작용해 이동버튼(131)의 위치가 희망하는 수정액배출폭과 상이하게 벗어나면 수정액이 넓게 또는 좁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부재(131e)와 요철홈(125a)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이동버튼(131)의 위치가 사용자가 희망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탄성부재(131e)는 요철홈(125a)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31e)는 버튼지지기둥(131b)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반원형태의 판스프링으로 구비된다. 탄성부재(131e)는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탄성부재(131e)는 버튼지지기둥(131b)에 형성된 탄성부재유입공(131g)으로 유입되고, 양단부가 탄성부재지지공(131f)에 걸림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사용자가 이동버튼(131)에 외력을 탄성부재(131e)의 탄성한계 보다 큰 외력을 가해 조절슬릿(125)을 따라 이동시키면, 탄성부재(131e)는 함몰된 항태로 요철홈(125a)을 따라 이동한다.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도 1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1e)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며 요철홈(125a)에 걸림결합된다. 이에 따라 이동버튼(131)의 위치가 조절슬릿(125)에 고정된다.
차단막(133)은 수정액배출부(120)의 내벽면과 이동버튼(131)의 측면에 결합되어 배출공(129)의 개방면적을 조절한다. 차단막(1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수정액배출부(12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막 형태로 형성된다. 차단막(133)은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주름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차단막(133)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은 이동버튼(131)의 이동에 따라 이동버튼(131)과 수정액배출부(120) 내벽면과의 길이가 가변되기 때문이다.
차단막(133)의 일단부(133a)는 수정액배출부(120)의 내벽면에 결합되고, 타단부(133b)는 이동버튼(131)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동버튼(131)이 좌우로 이동되면 이에 연동하여 차단막(133)이 길이가 가변되며 배출공(129)을 차단하게 된다.
가스켓(140)은 조절슬릿(125)의 하부에 결합된다. 가스켓(140)은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된다. 가스켓(140)은 절개선(141)에 의해 절개되고, 절개선(141)을 중심으로 개폐된다. 가스켓(140)은 조절슬릿(125)을 커버하여 수정액배출부(120) 내부의 수정액(F)이 조절슬릿(125)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동버튼(131)은 절개선(141)을 뚫고 수정액배출부(120) 내부로 삽입된다. 사용자가 이동버튼(131)을 가압하면 버튼지지기둥(131b)이 절개선(141)을 따라 이동된다. 이 때, 버튼지지기둥(131b)이 위치된 절개선(141)을 열려지고, 나머지 영역의 절개선(141)은 탄성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수정액이 조절슬릿(125)을 통해 상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차단막(133)의 타단부(133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지지기둥(131b)의 개구(A) 측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막(133)의 타단부(133b)가 개구(A) 측의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버튼지지기둥(131b)에 의해 벌어진 절개선(141)이 차단막(133)의 내부에 속하게 된다. 차단막(133)의 내부는 수정액이 없는 영역이므로 절개선(141)을 통해 수정액의 누설이 없게 된다.
반대로 차단막(133)의 버튼지지기둥(131b)의 차단막(133) 측에 결합되면 버튼지지기둥(131b)에 의해 벌어진 절개선(141)이 차단막(133)을 벗어나 외부에 위치되므로 벌어진 절개선(141)을 통해 수정액이 조절슬릿(125)으로 누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펜(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정펜(100)은 수정액저장부(110)에 수정액배출부(120)가 결합되고, 수정액배출부(120) 내부에 배출폭조절부(130)가 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수정액배출부(120)는 캡(15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한다.
사용자는 수정액을 사용하고자 할 때, 이동버튼(131)을 본인이 수정하고자 하는 잉크 글자의 크기에 대응되게 이동시켜 수정액배출폭(W)을 조절한다. 수정액배출폭(W)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129)에서 차단막(133)이 차단하지 않고 개방된 개구(A)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수정액배출부(120)의 상부로 돌출된 버튼본체(131a)를 조절슬릿(125)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수정액배출폭(W)을 조절한다.
이 때, 조절슬릿(125)의 하부에는 가스켓(140)이 결합되어 조절슬릿(125)을 통한 수정액(F)의 누설이 차단된다.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폭(W1)으로 수정액배출폭을 조절하려면, 이동버튼(131)을 차단막(133)의 일단부(133a)가 결합된 내벽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이동버튼(131)에 외력을 가하면 탄성부재(131e)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이동버튼(131)이 조절슬릿(125)을 따라 이동된다. 이동버튼(131)이 희망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사용자가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31e)가 초기 위치로 탄성복귀하며 요철홈(125a)에 삽입된다.
이동버튼(131)의 이동에 따라 이동버튼(131)에 타단부(133b)가 결합된 차단막(133)이 수정액(F)의 유동공간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차단막(133)은 넓은 수정액배출폭(W1)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폭(W2)으로 수정액을 배출하고자 하면, 차단막(133)이 닫혀지는 방향으로 이동버튼(131)을 가압한다. 이동버튼(131)을 차단막(133)의 일단부(133a)가 결합된 수정액배출부(120) 내측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정액배출폭(W)을 좁게 조절한다.
이 때, 이동버튼(131)의 이동에 따라 차단막(133)의 길이가 길어지며 수정액(F)이 좁아진 수정액배출폭(W)으로 이동되도록 수정액의 이동방향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수정액은 배출공(129)에서 차단막(133)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수정액배출폭(W)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정펜은 배출폭조절부에 의해 수정액이 배출되는 수정액배출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버튼을 본인이 희망하는 수정액배출폭으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수정액배출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정액배출부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수정액이 얇게 도포되어 수정액의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어 사용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조절슬릿에 이동버튼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수정액배출폭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수정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수정펜 110 : 수정액저장부
111 : 결합관 120 : 수정액배출부
121 : 배출본체 121a : 안내홈
123 : 상판 125 : 조절슬릿
125a : 요철홈 127 : 가스켓삽입홈
129 : 배출공 130 : 배출폭조절부
131 : 이동버튼 131a : 버튼본체
131b : 버튼지지기둥 131c : 슬릿결합홈
131d : 홈결합돌기 131e : 탄성부재
131f : 탄성부재지지공 131g : 탄성부재유입공
133 : 차단막 133a : 일단부
133b : 타단부 140 : 가스켓
141 : 절개선 150 : 캡

Claims (7)

  1. 수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정펜에 있어서,
    수정액이 저장되는 수정액저장부와;
    상기 수정액저장부의 선단에 일정길이 결합되며, 수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수정액배출부와;
    상기 수정액배출부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공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수정액의 배출폭을 조절하는 배출폭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정액배출부는 상면에 상기 배출공과 수평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된 조절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폭조절부는,
    상기 조절슬릿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조절슬릿에 삽입되는 이동버튼과;
    일단부는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내벽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버튼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버튼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공을 차폐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절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형성된 안내홈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버튼은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바닥면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는 홈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슬릿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홈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버튼은 상기 요철홈에 대응되는 높이에 탄성적으로 돌출 및 함몰되며 상기 이동버튼의 상기 조절슬릿에 대한 위치를 고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액배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조절슬릿의 하부를 커버하여 수정액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고무재질의 가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에는 상기 이동버튼이 이동되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KR1020150010691A 2015-01-22 2015-01-22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KR10165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691A KR101652289B1 (ko) 2015-01-22 2015-01-22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691A KR101652289B1 (ko) 2015-01-22 2015-01-22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644A KR20160090644A (ko) 2016-08-01
KR101652289B1 true KR101652289B1 (ko) 2016-09-02

Family

ID=5670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691A KR101652289B1 (ko) 2015-01-22 2015-01-22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2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06Y1 (ko) 2006-12-08 2008-02-21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을 넓게 도포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283Y2 (ja) * 1993-07-24 1999-11-15 丸十化成株式会社 修正液塗布器
KR20040091873A (ko) * 2003-04-22 2004-11-02 오의진 수정액이 롤러를 통해 유출되는 수정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06Y1 (ko) 2006-12-08 2008-02-21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을 넓게 도포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수정액 폭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Modi-Roller" 카달로그 (Modi Roller로 구글 검색, 검색 조건 2015.01.21 이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644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9961B1 (en) Dripper and drip irrigation tube
AU2010344331B2 (en) Bi-component drip emitter
US2715236A (en) Liquid ejector and applicator
US20140299600A1 (en) Closure Cap for a Product Container, in Particular a Cosmetic Product Container
MXPA04010245A (es) Instrumento de escritura retractable auto-sellante.
EP3050428B1 (en) Drip irrigation tube
US8801310B2 (en) Multiple wiper
KR101652289B1 (ko) 수정액 배출폭 조절이 가능한 수정펜
US10730069B2 (en) Replaceable caulking tip
KR101627227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씰링구조
KR101048688B1 (ko) 액상분필
JP2019511676A (ja) 計量装置用の計量ポンプおよび計量装置
KR102001166B1 (ko) 토출량 조절 튜브형 용기
KR20200002806U (ko) 조절기를 구비한 아이라이너펜
KR20210043540A (ko) 화장품 용기
US3094104A (en) Recorder pen
KR200486479Y1 (ko) 타일 줄눈 보수제 배출캡
JP2021091449A (ja) 塗布体付き容器
CN111776465B (zh) 储液瓶
KR102196409B1 (ko) 기능성 롤러 수정펜
US20190069665A1 (en) Lip tint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of regulating a discharging amount
JP3334372B2 (ja) 筆記具
JP2979331B2 (ja) 液体容器
KR200392774Y1 (ko) 보드용 물펜지우게
CN109907467A (zh) 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