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979B1 -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979B1
KR101651979B1 KR1020150113980A KR20150113980A KR101651979B1 KR 101651979 B1 KR101651979 B1 KR 101651979B1 KR 1020150113980 A KR1020150113980 A KR 1020150113980A KR 20150113980 A KR20150113980 A KR 20150113980A KR 101651979 B1 KR101651979 B1 KR 10165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data
file
editing
motion
gam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일진
윤태수
박홍식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은 다양한 파일포맷의 동영상에 4D 모션 체어의 동작을 위한 모션데이터를 연동시키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동영상에 모션데이터를 입히는 작업이 범용적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유니티 게임엔진에서 제작되지 않아 카메라 패스 정보가 없는 동영상 파일에 대해서도 유니티 게임엔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카메라 패스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모션데이터 생성 및 편집}을 통해 모션데이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되고 편집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은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제작되지 않은 비(非)유니티 동영상 파일(1)이 파일변환 프로그램(100)에 의해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실행가능한 설정 파일포맷의 동영상 변환파일(2)로 변환되는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단계와; 유니티 게임엔진(200)에 구비되는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이 활성화되고, 동영상 변환파일(2)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에서 실행되면서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을 생성되는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와;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이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로 변환되는 초기 모션데이터 변환단계와; 동영상 변환파일(2)과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에서 실행되고,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을 실시간으로 보게 되는 작업자에 의해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실시간 편집되는 편집용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6)이 생성되며, 편집용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6)이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7)로 변환되는 초기 모션데이터 편집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Description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Method for inputting motion data by converting file format of moving image in Unity game engine}
본 발명은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파일포맷의 동영상에 4D 모션 체어의 동작을 위한 모션데이터를 연동시키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동영상에 모션데이터를 입히는 작업이 범용적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유니티 게임엔진에서 제작되지 않아 카메라 패스 정보가 없는 동영상 파일에 대해서도 유니티 게임엔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카메라 패스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모션데이터 생성 및 편집}을 통해 모션데이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되고 편집될 수 있도록 하는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감상하게 되는 각종 동영상 화면과 연동되어 설정패턴의 모션동작을 구현하는 체감형 시뮬레이터 기술이 현재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체감형 시뮬레이터 기술은 모션체어를 이루는 모션베이스로 동영상과 연동된 모션데이터가 입력되면서 각종 모션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16337호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에서의 카메라 모션 프레임 생성 툴, 그리고 이를 이용한 CMF 파일 생성 방법",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16334호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이를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을 통해 유니티 게임엔진에서 제작되는 4D 펀 라이드 콘텐츠(4D Fun Ride contents)나 5D 건 라이드 콘텐츠(5D Gun Ride contents)의 기본 모션데이터(CMF)가 콘텐츠 내 카메라 패스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생성되고, 유니티 게임엔진에 구비된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에서 기본 모션데이터를 편집하여 최종 모션데이터 파일(MOT)로 생성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상기 출원특허는 카메라 패스 정보를 기반으로 모션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임에 따라 유니티 게임엔진에서 제작되지 않아 카메라 패스 정보가 없는 동영상 파일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97995호 "4D 영화 상영을 위한 모션 데이터 기반의 영상 획득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한 4축 조이스틱 장치를 이용한 모션 데이터 생성시스템"에서는 모션베이스와 유사하게 생긴 조이스틱을 작업자가 영상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직접 조작하여 모션데이터를 제작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조이스틱에 의한 모션데이터 제작기술은 정교한 모션 제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일정하게 진동하는 모션을 제작할 때, 조이스틱을 조정하는 사람의 손으로는 일정한 진동을 넣는 것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부분적으로 모션데이터의 수정이 필요할 때에는 수정할 부분의 전/후 모션 데이터값을 일부러 0, 0, 0으로 만들어서 수정해야 함에 따라, 모션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를 보면서 작업자가 조이스틱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조이스틱의 위치값을 그래프로만 볼 수 있어 작업자의 의도와 다르게 조이스틱이 움직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한편, 마야 2009에서도 모션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는데, 제작된 모션데이터의 부분 수정이 불가능하여 작업 상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한 조이스틱에 의한 모션데이터 제작기술이나 마야 2009에서의 모션데이터 제작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모션을 생성하기 위해 사전에 실시해야하는 변환 및 추출 작업들에 번거로움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16337호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에서의 카메라 모션 프레임 생성 툴, 그리고 이를 이용한 CMF 파일 생성 방법"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16334호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이를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97995호 "4D 영화 상영을 위한 모션 데이터 기반의 영상 획득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한 4축 조이스틱 장치를 이용한 모션 데이터 생성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다양한 파일포맷의 동영상에 4D 모션 체어의 동작을 위한 모션데이터를 연동시키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동영상에 모션데이터를 입히는 작업이 범용적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유니티 게임엔진에서 실행가능한 설정 파일포맷으로 동영상 파일을 변환한 다음, 변환된 동영상의 출력영상을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보면서 유니티 게임엔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의 편집기를 수동조작하여 모션데이터의 생성과 편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유니티 게임엔진에서 제작되지 않아 카메라 패스 정보가 없는 동영상 파일에 대해서도 유니티 게임엔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카메라 패스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모션데이터 생성 및 편집}을 통해 모션데이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되고 편집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제작되지 않은 비(非)유니티 동영상 파일(1)이 파일변환 프로그램(100)에 의해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실행가능한 설정 파일포맷의 동영상 변환파일(2)로 변환되는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단계와; 유니티 게임엔진(200)에 구비되는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이 활성화되고, 동영상 변환파일(2)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에서 실행되면서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을 생성되는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와;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이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로 변환되는 초기 모션데이터 변환단계와; 동영상 변환파일(2)과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에서 실행되고,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을 실시간으로 보게 되는 작업자에 의해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실시간 편집되는 편집용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6)이 생성되며, 편집용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6)이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7)로 변환되는 초기 모션데이터 편집단계를 포함하여, 동영상과 연동된 설정패턴의 모션동작을 구현하는 모션베이스로 입력되는 모션데이터가 비유니티 동영상 파일(1)에 대해서도 유니티 게임엔진(200)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을 통해 생성 및 편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서 상기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단계는 음악 출력이 오프(OFF)된 비(非)유니티 동영상 파일(1)을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의 동영상 시퀀스제어가 가능한 동영상 변환파일(2)로 변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서 상기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단계는 avi 파일포맷의 동영상 변환파일(2)의 파일 확장자가 avi.bytes로 변환되면서 동영상 시퀀스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상기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의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은 DSM파일 포맷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초기 모션데이터 변환단계의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은 DSME파일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서 상기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는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동영상 플레이어(310)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을 실시간으로 보게 되는 작업자에 의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가 수동 조작되면서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이 실시간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서 상기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은 모션베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leg)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레그 포인트(a)와, 복수의 레그 포인트(a)를 연결하는 연결면(b)이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과 겹쳐지면서 출력되도록 하고,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는 모션베이스의 회전축 정보와 복수의 레그 위치값 정보가 그래프 형태로 출력되는 모션데이터 그래픽 구현창(322)과 모션데이터의 생성과 편집을 위한 설정이 수행되는 설정창(321)을 통해 작업자가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 제작을 위한 모션데이터 입력 조작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서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은 모션베이스 회전 동작정보와 모션베이스 업/다운(up/down) 동작정보를 포함하고,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은 모션베이스 회전 동작정보와 모션베이스 업/다운 동작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파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서 상기 초기 모션데이터 편집단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은 동영상 플레이어(310)와 편집기(320)를 포함하되, 동영상 플레이어(310)는 모션베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leg)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레그 포인트(a)와, 복수의 레그 포인트(a)를 연결하는 연결면(b)이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과 겹쳐지면서 출력되도록 하여,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과 레그 포인트(a)와 연결면(b)을 실시간으로 보게 되는 작업자에 의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가 수동 조작되면서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실시간 편집될 수 있도록 하고, 편집기(320)는 모션베이스의 회전축 정보와 복수의 레그 위치값 정보가 그래프 형태로 출력되는 모션데이터 그래픽 구현창(322)과 모션데이터의 생성과 편집을 위한 설정이 수행되는 설정창(321)을 통해 작업자가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 편집을 위한 모션데이터 입력 조작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파일포맷의 동영상에 4D 모션 체어의 동작을 위한 모션데이터를 연동시키고 편집할 수 있어 동영상에 모션데이터를 입히는 작업이 범용적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 의하면, 유니티 게임엔진에서 제작되지 않아 카메라 패스 정보가 없는 동영상 파일에 대해서도 유니티 게임엔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카메라 패스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모션데이터 생성 및 편집}을 통해 모션데이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되고 편집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모션데이터 생성과 편집 작업효율이 증대되고, 유니티 게임엔진과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의 확장성과 효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순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을 통해 모션데이터가 생성 및 편집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서 사용되는 유니티 게임엔진이 메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서 사용되는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의 화면창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의 동영상 플레이어 화면창을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의 편집기 설정창을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의 편집기의 주요 메뉴를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유니티 게임엔진,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 동영상 파일변환 프로그램, ffmpeg, 동영상 시퀀스 제어, 모션데이터 파일, DSME 파일포맷, DSM 파일포맷, 모션 체어, 모션베이스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은 다양한 파일포맷의 동영상에 4D 모션 체어의 동작을 위한 모션데이터를 연동시키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동영상에 모션데이터를 입히는 작업이 범용적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단계,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 초기 모션데이터 편집단계를 거쳐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동영상과 연동된 설정패턴의 모션동작을 구현하는 모션베이스로 입력되는 모션데이터가 비유니티 동영상 파일(1)에 대해서도 유니티 게임엔진(200)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을 통해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 및 편집되도록 한다.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단계는 도 2에서와 같이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제작되지 않은 비(非)유니티 동영상 파일(1)이 파일변환 프로그램(100)에 의해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실행가능한 설정 파일포맷의 동영상 변환파일(2)로 변환되는 단계이다. 파일변환 프로그램으로는 ffmpeg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단계는 음악 출력이 오프(OFF)된 비(非)유니티 동영상 파일(1)을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의 동영상 시퀀스제어가 가능한 동영상 변환파일(2)로 변환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avi 파일포맷의 동영상 변환파일(2)의 파일 확장자가 avi.bytes로 변환되면서 동영상 시퀀스제어가 가능한 시퀀스제어용 동영상 변환파일(3)이 생성되도록 한다.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는 도 4에서와 같이 유니티 게임엔진(200)에 구비되는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이 활성화되고, 동영상 변환파일(2)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에서 실행되면서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을 생성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의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은 DSM파일 포맷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는 도 5에서와 같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동영상 플레이어(310)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을 실시간으로 보게 되는 작업자에 의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가 수동 조작되면서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이 실시간 제작되도록 한다.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은 모션베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leg)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레그 포인트(a)와, 복수의 레그 포인트(a)를 연결하는 연결면(b)이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과 겹쳐지면서 도 6에서와 같이 동영상 플레이어(310)의 화면창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는 모션베이스의 회전축 정보와 복수의 레그 위치값 정보가 그래프 형태로 출력되는 모션데이터 그래픽 구현창(322)과 모션데이터의 생성과 편집을 위한 설정이 수행되는 설정창(321)을 통해 작업자가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 제작을 위한 모션데이터 입력 조작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플레이어(310)의 화면창을 통해 출력되는 복수개의 레그 포인트(a)와 연결면(b)은 작업자의 모션데이터 입력에 대응하는 모션동작을 실시간으로 구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자신이 입력한 모션데이터에 의한 모션동작을 곧바로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하고 정밀한 모션데이터 제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에서 사용되는 유니티 게임엔진(200)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16334호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카메라 모션 프레임 에디터 툴, 이를 기반으로 한 CMF 및 MOT 파일 에디팅 방법"에서 제안되고 있는 기술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
초기 모션데이터 변환단계는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이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로 변환되는 단계이다.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은 모션베이스 회전 동작정보와 모션베이스 업/다운(up/down) 동작정보를 포함하고,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은 모션베이스 회전 동작정보와 모션베이스 업/다운 동작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파일이다. 여기서 초기 모션데이터 변환단계의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은 DSME파일 포맷으로 이루어진다. DSM파일 포맷의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은 모션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수정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DSM파일 포맷의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은 원본값에서 X축, Z축, 업/다운(up/down) 값에 의해 실시간으로 모션베이스의 레그 위치값을 변경하기 때문에 각각의 레그 위치값을 편집할 수 없으므로, DSM파일 포맷의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이 DSME파일 포맷의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로 변환되는 것이다.
초기 모션데이터 편집단계는 동영상 변환파일(2)과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에서 실행되고,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을 실시간으로 보게 되는 작업자에 의해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실시간 편집되는 편집용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6)이 생성되며, 편집용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6)이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7)로 변환되는 단계이다. 초기 모션데이터 편집단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은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와 동일한 것으로, 동영상 플레이어(310)와 편집기(3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동영상 플레이어(310)는 모션베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leg)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레그 포인트(a)와, 복수의 레그 포인트(a)를 연결하는 연결면(b)이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과 겹쳐지면서 출력되도록 하여,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과 레그 포인트(a)와 연결면(b)을 실시간으로 보게 되는 작업자에 의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가 수동 조작되면서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실시간 편집될 수 있도록 한다.
편집기(320)는 모션베이스의 회전축 정보와 복수의 레그 위치값 정보가 그래프 형태로 출력되는 모션데이터 그래픽 구현창(322)과 모션데이터의 생성과 편집을 위한 설정이 수행되는 설정창(321)을 통해 작업자가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 편집을 위한 모션데이터 입력 조작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동영상 플레이어(310)의 화면창을 통해 출력되는 복수개의 레그 포인트(a)와 연결면(b)은 작업자의 모션데이터 편집에 대응하는 모션동작을 실시간으로 구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자신이 편집한 모션데이터에 의한 모션동작을 곧바로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하고 정밀한 모션데이터 편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기(320)의 설정창(321)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에 표기된 메뉴항목을 숫자별에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번 메뉴항목] "DSM파일 선택"은 기존에 만들어진 DSM 파일을 로드하여 편집용으로 변환한다.
[2번 메뉴항목] "0-900 범위 옮기기"는 기존 DSM이 레그별로 0-900범위를 넘어설 경우 0-900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변환하는 항목으로, 변환 후 모션 패턴은 거의 변화가 없지만 민감도가 증가할 수 있다.
[3번 메뉴항목] "0-900 자르기"는 기존 DSM이 레그별로 0-900범위를 넘어설 경우 0-900 영역 이외의 값은 한계 값으로 치환하는 항목으로, 변환 후 모션 패턴은 거의 변화가 없지만 민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4번 메뉴항목] "원래대로"는 DSM 원본 값으로 되돌린다.
[5번 메뉴항목] "DSM/DSM.txt"는 최초의 DSM파일과 편집 후 생성하는 DSM파일간의 오차범위를 검산하기 위해 DSM을 txt파일로 저장한다.
[6번 메뉴항목] "DSME 편집용 파일 로드"는 편집을 위해 편집용 파일(.DSME)로 로드한다.
[7번 메뉴항목] "DSME 편집용 파일 저장"은 편집 후 편집용 파일(.DSME)로 저장한다.
[8번 메뉴항목] "DSM 파일 저장"은 현재 편집용 데이터를 구현되는 DSM파일포맷으로 저장한다
[9번 메뉴항목] "X-Axis reset"는 편집기능 중 X축 회전 값을 전부 리셋한다.
[10번 메뉴항목] "Z-Axis reset"는 편집기능 중 Z축 회전 값을 전부 리셋한다.
[11번 메뉴항목] "UpDownPos Center Reset"는 편집기능 중 레그 업/다운(up/down)값을 중간 값(0)으로 리셋한다.
[12번 메뉴항목] "UpDownPos Bottom Reset"는 편집기능 중 레그 업/다운(up/down)값을 최하단(-1)으로 리셋한다.
[13번 메뉴항목] "3축LEG Reset"은 DSM데이터 중 레그별 위치값을 최하단 값으로 리셋한다.
[14번 메뉴항목] "LEG1 Reset"은 DSM데이터 중 레그 1 위치값을 최하단 값으로 리셋한다.
[15번 메뉴항목] "LEG2 Reset"은 DSM데이터 중 레그 2 위치값을 최하단 값으로 리셋한다.
[16번 메뉴항목] "LEG3 Reset"은 DSM 데이터 중 레그 3 위치값을 최하단 값으로 리셋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기(320)는 도 8에서와 같이 "SelectDsmLeg" 메뉴항목을 통해 레그 별 변화곡선의 표시 여부를 조정할 수 있으며, 도 9에서와 같이 "SelectGraph" 메뉴항목을 통한 그래프 드로잉에 의해 각 레그 위치값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바를 이동하게 되면, 동영상이 시퀀스 형태로 검색되면서 원하는 위치의 동영상 화면을 볼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기(320)는 도 10에서와 같이 "그래프 편집키" 메뉴항목을 통해 모션데이터 그래픽 구현창(322)의 그래프를 편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은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실행가능한 설정 파일포맷으로 동영상 파일을 변환한 다음, 변환된 동영상의 출력영상을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보면서 유니티 게임엔진(200)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를 수동조작하여 모션데이터의 생성과 편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제작되지 않아 카메라 패스 정보가 없는 비유니티 동영상 파일(1)에 대해서도 유니티 게임엔진(200)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을 통해 모션데이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성되고 편집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비유니티 동영상 파일 2 : 동영상 변환파일
3 : 시퀀스제어용 동영상 변환파일 4 :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
5 :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 6 : 편집용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
7 :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 100 : 파일변환 프로그램
200 : 유니티 게임엔진 300 :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
310 : 동영상 플레이어 320 : 편집기
321 : 설정창 322 : 모션데이터 그래픽 구현창
a : 레그 포인트 b : 연결면

Claims (7)

  1.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제작되지 않은 비(非)유니티 동영상 파일(1)이 파일변환 프로그램(100)에 의해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 실행가능한 설정 파일포맷의 동영상 변환파일(2)로 변환되되, 음악 출력이 오프(OFF)된 비(非)유니티 동영상 파일(1)을 유니티 게임엔진(200)에서의 동영상 시퀀스제어가 가능한 동영상 변환파일(2)로 변환하게 되고, avi 파일포맷의 동영상 변환파일(2)의 파일 확장자가 avi.bytes로 변환되면서 동영상 시퀀스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단계와;
    유니티 게임엔진(200)에 구비되는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이 활성화되고, 동영상 변환파일(2)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에서 실행되면서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이 생성되되,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은 DSM파일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와;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이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로 변환되되,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은 DSME파일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초기 모션데이터 변환단계와;
    동영상 변환파일(2)과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에서 실행되고,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이 실시간 편집되는 편집용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6)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에 의해 생성되며, 편집용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6)이 수정 모션데이터 파일(7)로 변환되는 초기 모션데이터 편집단계를 포함하여,
    동영상과 연동된 설정패턴의 모션동작을 구현하는 모션베이스로 입력되는 모션데이터가 비유니티 동영상 파일(1)에 대해서도 유니티 게임엔진(200)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을 통해 생성 및 편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는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동영상 플레이어(310)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에 대응하는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이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 조작에 의해 실시간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모션데이터 생성단계의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은 모션베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leg)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레그 포인트(a)와, 복수의 레그 포인트(a)를 연결하는 연결면(b)이 동영상 변환파일(2)의 출력영상과 겹쳐지면서 출력되도록 하고,
    모션데이터 편집프로그램(300)의 편집기(320)는 모션베이스의 회전축 정보와 복수의 레그 위치값 정보가 그래프 형태로 출력되는 모션데이터 그래픽 구현창(322)과 모션데이터의 생성과 편집을 위한 설정이 수행되는 설정창(321)을 통해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 제작을 위한 모션데이터 입력 조작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4)은 모션베이스 회전 동작정보와 모션베이스 업/다운(up/down) 동작정보를 포함하고,
    편집용 초기 모션데이터 파일(5)은 모션베이스 회전 동작정보와 모션베이스 업/다운 동작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7. 삭제
KR1020150113980A 2015-08-12 2015-08-12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KR10165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80A KR101651979B1 (ko) 2015-08-12 2015-08-12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80A KR101651979B1 (ko) 2015-08-12 2015-08-12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979B1 true KR101651979B1 (ko) 2016-08-29

Family

ID=5688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980A KR101651979B1 (ko) 2015-08-12 2015-08-12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9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95A (ko) 2016-12-28 2018-07-0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관련 물리량 측정센서 기반 모션데이터 생성방법
KR20180082257A (ko) 2017-01-10 2018-07-1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물리량 측정기반 모션데이터 생성-편집시스템 및 모션데이터 편집 프로그램 장치
KR102094397B1 (ko) * 2019-04-19 2020-03-27 (주)코어센스 유니티 프로젝트 내 모션센서 장비를 통한 애니메이션 익스포트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2558A (ja) * 2005-03-09 2006-09-21 Microsoft Corp 拡張コンテンツビルドパイプライン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257508A (ja) * 2006-03-24 2007-10-04 Oki Electric Ind Co Ltd アニメーション生成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97995B1 (ko) 2013-11-21 2014-06-27 (주)브이아이앰 4d 영화 상영을 위한 모션 데이터 기반의 영상 획득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한 4축 조이스틱 장치를 이용한 모션 데이터 생성시스템
KR20140094173A (ko) * 2013-01-21 2014-07-30 이정훈 특정 모션 패턴디자인 범위설정 에디터 및 그 방법
KR20140116334A (ko) 2013-03-22 2014-10-02 유승훈 커뮤니티 생성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16337A (ko) 2013-03-22 2014-10-02 주식회사 포스코 광폭쉬트파일 방음벽 및 방음벽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2558A (ja) * 2005-03-09 2006-09-21 Microsoft Corp 拡張コンテンツビルドパイプライン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257508A (ja) * 2006-03-24 2007-10-04 Oki Electric Ind Co Ltd アニメーション生成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94173A (ko) * 2013-01-21 2014-07-30 이정훈 특정 모션 패턴디자인 범위설정 에디터 및 그 방법
KR20140116334A (ko) 2013-03-22 2014-10-02 유승훈 커뮤니티 생성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16337A (ko) 2013-03-22 2014-10-02 주식회사 포스코 광폭쉬트파일 방음벽 및 방음벽 공법
KR101397995B1 (ko) 2013-11-21 2014-06-27 (주)브이아이앰 4d 영화 상영을 위한 모션 데이터 기반의 영상 획득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한 4축 조이스틱 장치를 이용한 모션 데이터 생성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95A (ko) 2016-12-28 2018-07-0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관련 물리량 측정센서 기반 모션데이터 생성방법
KR20180082257A (ko) 2017-01-10 2018-07-1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물리량 측정기반 모션데이터 생성-편집시스템 및 모션데이터 편집 프로그램 장치
KR101881565B1 (ko) * 2017-01-10 2018-07-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물리량 측정기반 모션데이터 생성-편집시스템 및 모션데이터 편집 프로그램 장치
KR102094397B1 (ko) * 2019-04-19 2020-03-27 (주)코어센스 유니티 프로젝트 내 모션센서 장비를 통한 애니메이션 익스포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5802B2 (en) Collaborative multi-modal mixed-reality system and methods leveraging reconfigurable tangible user interfaces for the production of immersive, cinematic, and interactive content
US7561159B2 (en) Control of animation timeline
CN110070594B (zh) 一种演绎时实时渲染输出的三维动画制作方法
KR101651979B1 (ko) 유니티 게임엔진의 동영상 파일포맷 변환 기반 모션데이터 입력방법
KR20130094861A (ko) 화상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120037400A (ko) 입체 영화용 시청자 중심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2530326A5 (ko)
JP2013114424A (ja) 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装置、情報処理装置、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方法、画面表示方法、および画面設定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CN111524221A (zh) 基于Unity平台的虚拟仿真实验制作系统
JP201102390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6462992B (zh) 用于对机器人运动进行编辑及再生的装置、方法及记录介质
US8028232B2 (en) Image processing using a hierarchy of data processing nodes
JP2006221489A (ja) Cgアニメーション製作システム
US9558578B1 (en) Animation environment
CN104731535A (zh) 几何物体的制作方法及3d打印系统
KR20110107428A (ko) 컨텐츠 제작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기기 및 그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15228071A (ja) 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出力方法及び3次元物体製造システム
JP2011221718A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74914B1 (ko) 출판만화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제작방법
De Goussencourt et al. A game engine as a generic platform for real-time previz-on-set in cinema visual effects
CN102663795A (zh) 基于web网页的2.5D角色动画实现方法及其系统
KR101022130B1 (ko) 게임 시나리오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JP6201501B2 (ja) 動画編集装置、動画編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051997A (ko)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12803A1 (en) Method for visual differencing with at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