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825B1 -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825B1
KR101651825B1 KR1020160044586A KR20160044586A KR101651825B1 KR 101651825 B1 KR101651825 B1 KR 101651825B1 KR 1020160044586 A KR1020160044586 A KR 1020160044586A KR 20160044586 A KR20160044586 A KR 20160044586A KR 101651825 B1 KR101651825 B1 KR 101651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acket
piece
guide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항구
Original Assignee
(주)기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기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4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가 제공된다. 제공된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는 공동주택 출입구의 상부 벽체에 고정브라켓이 설치,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에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봉이 마련된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의 양측에 설치되며, 전방에 구비된 연결편의 양단에 한 쌍의 가이드블럭이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의 하단에 상기 지지봉이 삽입, 연결되는 다수의 결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의 내벽에 가이드홈이 마련된 틀체유닛; 상기 가이드홈에 서로 대칭을 이루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면에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벽에 만곡진 호형상을 갖는 다수의 탄성편이 마련된 2조 1쌍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유닛과 가이드유닛 사이에 소정각도 힌지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양단에 힌지핀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핀의 단부에 스토퍼가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의 외면에 상기 탄성편이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마련되고, 전방에 요홈이 마련되고 후방에 상기 요홈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결돌기가 마련된 다수의 차폐유닛; 상기 다수의 차폐유닛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유닛의 힌지핀과 힌지핀 사이에 연결된 연결링크; 상기 고정유닛과 틀체유닛을 벽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유닛의 고정브라켓 단부와 틀체유닛의 가이드블럭 단부에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연장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의 단부에 설치홀을 갖는 설치브라켓이 마련된 설치유닛 및 상기 차폐유닛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유닛의 상방에 설치된 그물망유닛을 포함하여 낙하방지대에 적재된 이물질 및 쓰레기를 용이하게 배출함은 물론, 낙하물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Fall prevention of apartment enteranc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출입구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기술과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은 좀 더 쾌적한 생활을 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에 좁은 토지의 활용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물을 고층으로 건축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아파트를 포함한 각종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토지의 활용도와 생활의 질적 향상을 이룰 수는 있었으나, 고층 건물의 상위층에서 실수나 고의로 생활 용품이 떨어져 보행자가 크게 다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537호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낙하물 수거대"는 건축물의 외벽에 별도의 낙하물 수거대를 설치하여 낙하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537호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낙하물 수거대"는 높은 시공비용이 소요되나, 그 설치효율이 낮아 건축물의 시공비용만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종래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 중 거주자들이 출입이 빈번한 출입구에만 콘크리트 슬래브를 설치하여 출입구를 이용하는 거주자들을 우수나 낙하물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면에는 일반적으로 상부층에서 투기한 쓰레기 등이 적재되어 매우 지저분하고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5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동주택 출입구의 상부를 마감하는 낙하방지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하방지대에 적재된 이물질 및 쓰레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하물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유닛의 상부에 별도의 그물망을 설치함으로써, 낙하물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폐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그물망의 장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정,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 출입구의 상부 벽체에 고정브라켓이 설치,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에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봉이 마련된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의 양측에 설치되며, 전방에 구비된 연결편의 양단에 한 쌍의 가이드블럭이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의 하단에 상기 지지봉이 삽입, 연결되는 다수의 결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의 내벽에 가이드홈이 마련된 틀체유닛;
상기 가이드홈에 서로 대칭을 이루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면에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벽에 만곡진 호형상을 갖는 다수의 탄성편이 마련된 2조 1쌍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유닛과 가이드유닛 사이에 소정각도 힌지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양단에 힌지핀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핀의 단부에 스토퍼가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의 외면에 상기 탄성편이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마련되고, 전방에 요홈이 마련되고 후방에 상기 요홈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결돌기가 마련된 다수의 차폐유닛;
상기 다수의 차폐유닛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유닛의 힌지핀과 힌지핀 사이에 연결된 연결링크;
상기 고정유닛과 틀체유닛을 벽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유닛의 고정브라켓 단부와 틀체유닛의 가이드블럭 단부에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연장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의 단부에 설치홀을 갖는 설치브라켓이 마련된 설치유닛 및
상기 차폐유닛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유닛의 상방에 설치된 그물망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유닛은,
상기 연결편의 상부에 연장, 돌출되며, 단부에 상기 공동주택의 출입구 측과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1 걸림홈이 마련된 제1 연결브라켓;
상기 공동주택의 출입구측 벽체에 설치, 고정되며, 전방에 체결홀을 갖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된 결속브라켓;
상기 걸림편의 상단에 설치되며, 후방에 상기 걸림편에 안착되는 격자편이 마련되고, 상기 격자편의 전방측 단부에 제2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격자편의 후방측 단부에 체결홀이 마련된 제2 연결브라켓;
상기 걸림편에 전방측 단부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측 단부가 상기 체결홀에 체결된 장력조절볼트 및
상기 제1 연결브라켓과 제2 연결브라켓 사이에 연결되며, 전방측 단부에 상기 제1 걸림홈에 삽입되는 제1 연결봉이 마련되고, 후방측 단부에 상기 제2 걸림홈에 삽입되는 제2 연결봉이 마련된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낙하방지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하여 낙하방지대에 적재된 이물질 및 쓰레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낙하물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유닛의 상부에 별도의 그물망을 설치함으로써, 낙하물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폐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그물망의 장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정,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중 차폐유닛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중 그물망유닛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100)는 공동주택 출입구의 상부 벽체(1)에 설치, 고정된 고정유닛(110), 상기 고정유닛의 양측에 설치된 틀체유닛(120), 상기 틀체유닛(120)에 연결된 가이드유닛(130), 상기 가이드유닛(130)과 가이드유닛(130) 사이에 연결된 차폐유닛(140), 상기 차폐유닛(140)과 차폐유닛(140) 사이에 연결된 연결링크(150), 상기 고정유닛(110)과 틀체유닛(120)에 마련된 설치유닛(160) 및 상기 차폐유닛(140)의 상방에 설치된 그물망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유닛(110)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고정유닛(110)은 공동주택 출입구의 상부 벽체(1)에 고정브라켓(111)이 설치,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11)의 내측에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봉(113)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틀체유닛(120)은 상기 차폐유닛(140)을 설치하기 위한 기본 틀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틀체유닛(120)은 상기 고정유닛(110)의 양측에 설치되며, 전방에 구비된 연결편(121)의 양단에 한 쌍의 가이드블럭(123)이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블럭(123)의 하단에 상기 지지봉(113)이 삽입, 연결되는 다수의 결속홀(12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123)의 내벽에 가이드홈(127)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틀체유닛(120)은 상기 결속홀(125)에 삽입된 지지봉(113)을 통해 견고한 설치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가이드유닛(130)은 2조 1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차폐유닛(140)을 소정간격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가이드유닛(130)은 상기 가이드홈(127)에 서로 대칭을 이루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면에 수용홈(131)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131)의 내벽에 만곡진 호형상을 갖는 다수의 탄성편(133)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140)은 공동주택 출입구의 상방을 개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차폐유닛(140)은 상기 가이드유닛(130)과 가이드유닛(130) 사이에 소정각도 힌지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양단에 힌지핀(141)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핀(141)의 단부에 스토퍼(142)가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142)의 외면에 상기 탄성편(133)이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145)이 마련되고, 전방에 요홈(146)이 마련되고 후방에 상기 요홈(146)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결돌기(147)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연결링크(150)는 상기 다수의 차폐유닛(140)들이 일체가 되도록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연결링크(150)는 상기 차폐유닛(140)의 힌지핀(141)과 힌지핀(141)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설치유닛(160)은 상기 고정유닛(110)과 틀체유닛(120)을 벽체(1)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설치유닛(160)은 상기 고정유닛(110)의 고정브라켓(111) 단부와 틀체유닛(120)의 가이드블럭(123) 단부에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연장편(16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장편(161)의 단부에 설치홀(163)을 갖는 설치브라켓(165)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설치유닛(160)은 상기 설치브라켓(165)을 벽체(1)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설치홀(163)에 앵커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111)과 틀체유닛(120)을 벽체(1)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한편, 상기 그물망유닛(170)은 상기 차폐유닛(140)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그물망유닛(170)은 상기 차폐유닛(140)의 상방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그물망유닛(170)은 제1 연결브라켓(171), 결속브라켓(175), 제2 연결브라켓(176), 장력조절볼트(P) 및 그물망(L)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연결브라켓(171)은 상기 연결편(121)의 상부에 연장, 돌출되며, 단부에 상기 공동주택의 출입구 측과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1 걸림홈(145)이 마련된다.
상기 결속브라켓(175)은 상기 공동주택의 출입구측 벽체(1)에 설치, 고정되며, 전방에 체결홀(173)을 갖는 걸림편(17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브라켓(176)은 상기 걸림편(174)의 상단에 설치되며, 후방에 상기 걸림편(174)에 안착되는 격자편(177)이 마련되고, 상기 격자편(177)의 전방측 단부에 제2 걸림홈(145)이 형성되며, 상기 격자편(177)의 후방측 단부에 체결홀(173)이 마련된다.
상기 장력조절볼트(P)는 상기 걸림편(174)에 전방측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측 단부가 상기 체결홀(173)에 체결된다.
상기 그물망(L)은 상기 제1 연결브라켓(171)과 제2 연결브라켓(176) 사이에 연결되며, 전방측 단부에 상기 제1 걸림홈(145)에 삽입되는 제1 연결봉(H1)이 마련되고, 후방측 단부에 상기 제2 걸림홈(145)에 삽입되는 제2 연결봉(H2)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낙하방지대는 그 상부에 적재된 이물질 및 쓰레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폐유닛의 상부에 별도의 그물망을 설치함으로써, 낙하물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중 차폐유닛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중 그물망유닛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100)에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적재되면, 상기 차폐유닛(14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한다.
그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차폐유닛(140)의 상부에 이물질이 적층되면, 상기 다수의 차폐유닛(140)들 중 출입구 측에 위치한 최단부의 차폐유닛(140)을 출입구 측으로 당긴다.
이에, 상기 출입구 측에 위치한 최단부의 차폐유닛(140)을 당기면, 상기 차폐유닛(140)이 연결된 가이드유닛(130)이 가이드홈(127)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차폐유닛(140)들은 연결링크(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유닛(140)들 간에 소정간격 이격되며, 전방에 위치한 차폐유닛(140)의 요홈(146)에서 후방에 위치한 차폐유닛(140)의 연결돌기(147)가 이탈한다.
이후, 상기 차폐유닛(140)을 소정간격 힌지회전시키면, 상기 차폐유닛(140)의 스토퍼(142)에 형성된 걸림홈(145)에는 만곡진 호형상의 탄성편(133)이 걸림, 연결되어 상기 차폐유닛(140)이 소정각도 힌지회전을 이룬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힌지, 회전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차폐유닛(140)을 힌지회전시켜 그 상부에 적재된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한다.
한편, 상기 그물망유닛(17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설치 후 소정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그물망(L)의 장력은 느슨해져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그물망유닛(170)은 상기 장력조절볼트(P)의 회전을 통해 제2 연결브라켓(176)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그물망(L)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차폐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그물망의 장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정,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 : 벽체 110 : 고정유닛
120 : 틀체유닛 130 : 가이드유닛
140 : 차폐유닛 150 : 연결링크
160 : 설치유닛 170 : 그물망유닛

Claims (2)

  1. 공동주택 출입구의 상부 벽체(1)에 고정브라켓(111)이 설치,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11)의 내측에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봉(113)이 마련된 고정유닛(110);
    상기 고정유닛(110)의 양측에 설치되며, 전방에 구비된 연결편(121)의 양단에 한 쌍의 가이드블럭(123)이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블럭(123)의 하단에 상기 지지봉(113)이 삽입, 연결되는 다수의 결속홀(12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123)의 내벽에 가이드홈(127)이 마련된 틀체유닛(120);
    상기 가이드홈(127)에 서로 대칭을 이루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면에 수용홈(131)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131)의 내벽에 만곡진 호형상을 갖는 다수의 탄성편(133)이 마련된 2조 1쌍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유닛(130);
    상기 가이드유닛(130)과 가이드유닛(130) 사이에 소정각도 힌지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양단에 힌지핀(141)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핀(141)의 단부에 스토퍼(142)가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142)의 외면에 상기 탄성편(133)이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145)이 마련되고, 전방에 요홈(146)이 마련되고 후방에 상기 요홈(146)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결돌기(147)가 마련된 다수의 차폐유닛(140);
    상기 다수의 차폐유닛(140)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유닛(140)의 힌지핀(141)과 힌지핀(141) 사이에 연결된 연결링크(150);
    상기 고정유닛(110)과 틀체유닛(120)을 벽체(1)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유닛(110)의 고정브라켓(111) 단부와 틀체유닛(120)의 가이드블럭(123) 단부에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연장편(16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장편(161)의 단부에 설치홀(163)을 갖는 설치브라켓(165)이 마련된 설치유닛(160) 및
    상기 차폐유닛(14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유닛(140)의 상방에 설치된 그물망유닛(170)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유닛(170)은
    상기 연결편(121)의 상부에 연장, 돌출되며, 단부에 상기 공동주택의 출입구 측과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1 걸림홈(145)이 마련된 제1 연결브라켓(171);
    상기 공동주택의 출입구측 벽체(1)에 설치, 고정되며, 전방에 걸림편(174)이 돌출, 형성된 결속브라켓(175);
    상기 걸림편(174)의 상단에 설치되며, 후방에 상기 걸림편(174)에 안착되는 격자편(177)이 마련되고, 상기 격자편(177)의 전방측 단부에 제2 걸림홈(145)이 형성되며, 상기 격자편(177)의 후방측 단부에 체결홀(173)이 마련된 제2 연결브라켓(176);
    상기 걸림편(174)에 전방측 단부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측 단부가 상기 체결홀(173)에 체결된 장력조절볼트(P) 및
    상기 제1 연결브라켓(171)과 제2 연결브라켓(176) 사이에 연결되며, 전방측 단부에 상기 제1 걸림홈(145)에 삽입되는 제1 연결봉(H1)이 마련되고, 후방측 단부에 상기 제2 걸림홈(145)에 삽입되는 제2 연결봉(H2)이 마련된 그물망(L)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KR1020160044586A 2016-04-12 2016-04-12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KR101651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86A KR101651825B1 (ko) 2016-04-12 2016-04-12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86A KR101651825B1 (ko) 2016-04-12 2016-04-12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825B1 true KR101651825B1 (ko) 2016-08-29

Family

ID=5688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586A KR101651825B1 (ko) 2016-04-12 2016-04-12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8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284A (ja) * 1998-03-31 1999-10-12 Nissei Ltd 落下物受けカバー装置
KR200386867Y1 (ko) * 2005-03-24 2005-06-16 쓰리엠안전개발(주) 안전방호망장치
KR100815169B1 (ko) * 2007-11-12 2008-03-19 (주)전인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출입구의 낙하물 방지대
KR100973537B1 (ko) 2010-04-15 2010-08-03 주식회사 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낙하물 수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284A (ja) * 1998-03-31 1999-10-12 Nissei Ltd 落下物受けカバー装置
KR200386867Y1 (ko) * 2005-03-24 2005-06-16 쓰리엠안전개발(주) 안전방호망장치
KR100815169B1 (ko) * 2007-11-12 2008-03-19 (주)전인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출입구의 낙하물 방지대
KR100973537B1 (ko) 2010-04-15 2010-08-03 주식회사 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낙하물 수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117B1 (ko) 방음과 투배수성이 우수한 공공 건축물용 복도 바닥 패널
KR100601790B1 (ko) 건축용 난간 보강구조
KR102026629B1 (ko)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KR100610401B1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0789844B1 (ko)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
KR101651825B1 (ko) 공동주택 출입구의 낙하방지대
KR100892955B1 (ko) 건축물의 낙하물 방지장치용 고정 브라켓
KR1021026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 보강장치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100730797B1 (ko) 아파트 세대별 층간 외벽용 방화장치
KR101470486B1 (ko) 방충망 이탈을 방지하는 창틀용 우수 배수장치
KR200425125Y1 (ko)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WO2003071075A3 (en) Window and window frame structure thereof
KR100815169B1 (ko) 건축물 출입구의 낙하물 방지대
KR101021648B1 (ko) 공동주택의 지하공간 우수유입방지장치
KR101229738B1 (ko) 시스템 창호 난간대 및 이의 설치 방법
JP3054074B2 (ja) ドレインカバー
KR200344467Y1 (ko) 배수관의 악취차단용 트랩
JP2004285651A (ja) 雨水ます
KR200340252Y1 (ko) 창틀 외부커버
KR102368568B1 (ko) 공동주택 건축용 발코니난간의 핸드레일고정장치
KR200191203Y1 (ko)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KR200331502Y1 (ko) 창틀
KR102436893B1 (ko)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가변형 유리 난간대
EP3768932B1 (en) Child window safe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