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716B1 - 통신 제어 방법 및 중소 규모 기지국 - Google Patents

통신 제어 방법 및 중소 규모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716B1
KR101651716B1 KR1020127024411A KR20127024411A KR101651716B1 KR 101651716 B1 KR101651716 B1 KR 101651716B1 KR 1020127024411 A KR1020127024411 A KR 1020127024411A KR 20127024411 A KR20127024411 A KR 20127024411A KR 101651716 B1 KR101651716 B1 KR 10165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operation rang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026A (ko
Inventor
료 사와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0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05PBS [Private Base St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제어 방법 및 중소 규모 기지국을 제공한다. 통신 단말기 또는 대규모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신호를 해석해서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종류의 동작 범위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종류의 동작 범위 중에서 선택한 동작 범위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

Description

통신 제어 방법 및 중소 규모 기지국{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SMALL-OR-MEDIUM-SCALE BASE STATION}
본 발명은, 통신 제어 방법 및 중소 규모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로서,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가 제안되고 있다. 이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는, 매크로 셀 내에서, 복수 종류의 중소 규모 기지국이, 오버레이 송신 또는 스펙트럼 쉐어링을 행함으로써 공존하는 네트워크이다. 중소 규모 기지국으로서는, RRH(Remote RadioHead) 셀 기지국, 핫 존 기지국(Pico/micro cell eNB), 펨토셀 기지국(Home eNB) 및 중계 장치(중계 기지국)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 중소 규모 기지국은,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와 매크로 셀 기지국 간의 링크 품질을 보강하기 위한 동작, 에리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동작, 통신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한 동작 또는 독자 셀을 운영하기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중소 규모 기지국의 동작을 고정 네트워크 측에서 제어하는 기술은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고정 네트워크 측은, 중소 규모 기지국의 슬립 모드를 관리함으로써, 중소 규모 기지국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중소 규모 기지국의 일례로서의 중계 장치가,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R1-090015, "Consideration on Relay. ppt", China Potevio, CATT, Jan 2009
여기서, 하나의 중소 규모 기지국에, 복수 종류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이 실장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와 매크로 셀 기지국 간의 링크 품질을 보강하기 위한 동작 및 에리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동작의 양쪽에 대응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이 개발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중소 규모 기지국의 동작을 고정 네트워크 측에서 제어하는 경우에는, 복수 종류의 동작에 대응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이 상황에 따른 적절한 동작을 즉시 실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소 규모 기지국에서 자율적으로 동작 범위를 선택하여, 선택한 동작 범위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도 개량된 통신 제어 방법 및 중소 규모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 또는 대규모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신호를 해석해서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종류의 동작 범위 중 어느 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종류의 동작 범위 중에서 선택한 동작 범위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 종류의 동작 범위는, 상기 통신 단말기와 상기 대규모 기지국 간의 링크 보강을 위한 제1 동작 범위, 용량 향상을 위한 제2 동작 범위, 통신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제3 동작 범위 및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이 셀 운영을 행하는 제4 동작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와 상기 대규모 기지국 간의 링크 품질이 소정 기준을 하회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혼잡도가 상한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분포가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는 경우에 상기 제3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 및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셀 에리어 외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4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범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과 상기 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의 중계 동작 또는 CoMP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범위는, 오버레이 송신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동작 범위는, 상기 중계 동작 또는 셀 운영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과의 접속이 유선 접속뿐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동작 범위 및 상기 제4 동작 범위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과의 접속이 무선 접속뿐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동작 범위, 상기 제2 동작 범위 및 상기 제3 동작 범위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과의 접속이 무선 접속 및 유선 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동작 범위, 상기 제2 동작 범위, 상기 제3 동작 범위 및 상기 제4 동작 범위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대규모 기지국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을 관리하는 네트워크는,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에 의한 통신이 원인이 되는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 회피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 또는 대규모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무선 신호를 해석해서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종류의 동작 범위 중 어느 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복수 종류의 동작 범위 중에서 선택한 동작 범위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소 규모 기지국이 자율적으로 동작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한 동작 범위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중소 규모 기지국의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체 동작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4는 오버레이 송신 중에 고려해야 할 간섭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동작 범위의 선택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동작 범위의 선택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동작 범위의 선택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동작 범위의 선택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커버리지 확장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의 구체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조정 가능한 SINR의 범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참조 번호 뒤에 다른 문자를 붙여서 서로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필요에 따라 통신 단말기(20A, 20B 및 20C)와 같이 구별한다. 단,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 참조 번호만 붙인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A, 20B 및 20C)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통신 단말기(20)라고 칭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항목 순서로 당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개요
2. 동작 범위의 선택에 사용되는 정보
3. 각 동작 범위의 내용
4. 동작 범위의 선택 방법
5. 관리 서버에 의한 감시
6. 정리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개요>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은,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관리 서버(16)와, 통신 단말기(20A 내지 20D)와, 중소 규모 기지국(30A 내지 30D)을 포함한다.
매크로 셀 기지국(10)은, 매크로 셀 내에 존재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 및 통신 단말기(20)의 스케줄링 정보를 관리하고, 이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중소 규모 기지국(30) 및 통신 단말기(20)와 통신하는 대규모 기지국이다.
관리 서버(16)는, 매크로 셀 기지국(10)이 형성하는 셀의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각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하고, 이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 셀 기지국(10)이 형성하는 셀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관리 서버(16)의 기능은, 매크로 셀 기지국(10) 또는 어느 하나의 중소 규모 기지국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6)는, MME(Mobile Management Entity)나 게이트웨이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단말기(20)는, 중소 규모 기지국(30) 또는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통신하는 유저 단말기이다. 이 통신 단말기(20)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일 수 있고, PC(Personal Computer)일 수도 있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복수의 동작 범위에서 현재 상황에 적합한 동작 범위를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동작 범위에 따라 통신 단말기(20)와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중소 규모 기지국(30A)은,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통신 단말기(20A) 간의 통신 링크가 소정 품질을 하회하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통신 단말기(20A) 간의 통신 링크를 보강하기 위한 동작 범위(동작 범위 A)에 따라 통신을 행한다.
또한, 중소 규모 기지국(30B)은, 매크로 셀의 혼잡도가 소정 기준을 상회하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리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동작 범위(동작 범위 B)에 따라 통신 단말기(20B)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중소 규모 기지국(30C)은, 통신 단말기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한 동작 범위(동작 범위 C)에 따라 통신 단말기(20C)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중소 규모 기지국(30D)은, 중소 규모 기지국(30D) 및 통신 단말기(20D)가 매크로 셀의 범위 외인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독자 셀을 운용함으로써(동작 범위 D), 통신 단말기(20D)에 통신 기회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의 전체 동작을,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구성에 맞춰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무선 통신부(310)와, 네트워크 통신부(320)와, 정보 취득부(330)와, 동작 범위 선택부(340)와, 통신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310)는 통신 단말기(20)와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네트워크 통신부(320)는 매크로 셀 기지국(10)이나 관리 서버(16) 등의 네트워크 측과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의 전체 동작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 기지국(10)은, 매크로 셀 운용 정보를 취득하여, 매크로 셀 운용 정보를 관리 서버(16)에 보고한다(S104). 예를 들어, BER/PER, 재송 횟수, 스루풋 평균값 등의 통계값이나 트래픽 정보 등이 매크로 셀 운용 정보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관리 서버(16)가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동작을 개시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구체적으로는, 관리 서버(16)에는 각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위치 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관리 서버(16)는, 어떤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통신 에리어 내로 통신 단말기(20)가 이동한 경우에 당해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동작을 개시시킨다고 판단한다. 관리 서버(16)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동작 개시를 지시한다(S112).
그 후,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무선 통신부(310)가, 통신 단말기(20)나 매크로 셀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예를 들어, 프리앰블, 파일럿 신호, 레퍼런스 신호)를 수신한다(S116, S120). 그리고, 정보 취득부(330)가, 무선 통신부(310)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해석함으로써, 동작 범위의 선택을 위해서 사용하는 정보를 취득한다(S124). 또한, 정보 취득부(330)는 네트워크 통신부(320)를 통하여 관리 서버(16)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계속해서,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정보 취득부(330)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범위 A 내지 동작 범위 D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범위를 선택한다(S128). 그 후,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선택한 동작 범위를 관리 서버(16)에 통지하여, 관리 서버(16)로부터 동작 파라미터(예를 들어, 송신 전력, 슬롯, 송신 레이트)를 취득한다(S132).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통신 제어부(350)는 동작 범위 선택부(340)에 의해 선택된 동작 범위에 따라, 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된 동작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무선 통신부(310)의 제어를 개시한다(S136). 그 후, 관리 서버(16)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의한 통신을 감시하고, 예를 들어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의한 통신이 간섭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을 지시하고, 간섭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에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동작 정지를 지시한다(S14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현재 상황에 적합한 동작 범위를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따라서,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환경의 변동을 즉시 동작 범위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사항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2. 동작 범위의 선택에 사용되는 정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이하의 정보 (1) 내지 정보 (6)을 동작 범위의 선택을 위해서 사용한다.
정보(1): 매크로 셀의 운용 정보
정보(2): 매크로 셀 기지국(10)의 위치 정보
정보(3):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중소 규모 기지국(30) 사이의 통신로 환경
정보(4): 통신 단말기(20)의 위치 정보
정보(5):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페어링
정보(6):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통신 링크의 품질
이하, 상기한 정보의 취득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정보(1): 매크로 셀의 운용 정보
매크로 셀의 운용 정보에는, 매크로 셀의 셀 ID, 셀 서치 리스트, 중심 주파수나 대역 폭을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 및 업링크/다운링크의 트래픽 정보 등이 해당한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관리 서버(16)와의 유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관리 서버(16)로부터 매크로 셀의 운용 정보를 취득한다. 한편,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관리 서버(16)와의 유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매크로 셀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을 복호함으로써 매크로 셀의 운용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이전의 통신 중에 취득해서 메모리에 저장해 둔 주파수 정보 등을 시스템 정보로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관리 서버(16)와의 유선 통신 및 매크로 셀 기지국(10)과의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매크로 셀의 운용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소정의 기준에 따라 한 종류의 통신에 의해 매크로 셀의 운용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무선 접속의 특성이 나빠서 무선 신호의 복호가 곤란할 경우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고, 유선 통신의 레이턴시가 긴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고, 소비 전력의 저감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소비 전력이 적은 쪽의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정보(2): 매크로 셀 기지국(10)의 위치 정보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매크로 셀 기지국(10)의 위치 정보를, 매크로 셀 기지국(10) 또는 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한다. 또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매크로 셀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되는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매크로 셀 기지국(10)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정보(3):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중소 규모 기지국(30) 사이의 통신로 환경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중소 규모 기지국(30) 사이의 통신로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매크로 셀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링크 레퍼런스 신호의 신호 강도나 SINR 등으로부터 추정한다.
정보(4): 통신 단말기(20)의 위치 정보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의 위치 정보를, 고정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한다.
또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로부터 송신되는 업링크 레퍼런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전력에 따라 중소 규모 기지국(30)과 통신 단말기(20) 사이의 위치 관계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의 송신 전력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 통신 단말기(20)의 송신 전력, 패스 손실 및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20)로부터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매크로 셀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PDCCH에 기재되어 있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송신 전력 제어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통신 단말기(20)의 송신 전력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로부터 송신되는 RACH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전력에 따라 중소 규모 기지국(30)과 통신 단말기(20) 사이의 위치 관계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의 송신 전력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 통신 단말기(20)의 송신 전력, 패스 손실 및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20)로부터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프로세스에 있어서 매크로 셀 기지국(10)으로부터 통신 단말기(20)에 송신되는 송신 전력 제어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통신 단말기(20)의 송신 전력을 파악할 수 있다.
정보(5):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페어링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페어링을 나타내는 정보를, 고정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한다.
또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매크로 셀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PBCH, PDCCH를 복호함으로써, 통신 단말기(20)가 어느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접속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6):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통신 링크의 품질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통신 링크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고정 네트워크의 관리 서버(16)로부터 취득한다.
또는, 통신 단말기(20)로부터 복수 회 동일 패턴의 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경우, PUSCH 또는 RACH의 재송신이 반복되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이러한 경우에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통신 링크가 열악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로부터 매크로 셀 기지국(10)에 송신되는 PU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UL 레퍼런스 신호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링크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3. 각 동작 범위의 내용>
이상,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동작 범위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정보(1) 내지 (6)의 취득 방법의 일례를 설명했다. 다음으로, 동작 범위 A 내지 동작 범위 D의 각각의 내용을 설명한다.
(동작 범위 A)
동작 범위 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통신 단말기(20A) 간의 통신 링크를 보강하기 위한 통신이 포함된다. 상기 통신의 일례로서, 중계 통신 및 매크로 셀 기지국(10)과의 CoMP(Coordinated Multiple) 송수신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동작 범위 A에 따라 동작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다른 리소스(시간-주파수 슬롯)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보강해야 할 링크의 송수신 데이터의 중계 통신 또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상태에서의 CoMP 송수신을 행한다. 한편, 동작 범위 A에 따라 동작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다른 리소스를 취득하지 않을 경우, 보강해야 할 링크의 송수신 데이터를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CoMP 송수신한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Radio On Fiber나 X2_IF 등의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연계할 수 있다.
(동작 범위 B)
동작 범위 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리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통신이 포함된다. 상기 통신의 일례로서, 오버레이 송신(혹은, 언더레이 송신)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오버레이 송신은, 매크로 셀 기지국(10) 또는 매크로 셀 내의 어느 한쪽의 중소 규모 기지국과 동일한 시간-주파수 슬롯을 이용해서 행하는 통상의 기지국 동작이다. 오버레이 송신은, 중계 통신이나 CoMP와는 다른 동작이다. 오버레이 송신용 슬롯에는, 매크로 셀 기지국(10)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매크로 셀 기지국(10)이 PBCH, Sync.ch 및 PUCCH/PDCCH의 송신에 이용하는 슬롯과는 다른 슬롯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오버레이 송신은, 매크로 셀 내의 타 통신과의 간섭을 초래하므로,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오버레이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도 4는, 오버레이 송신 중에 고려해야 할 간섭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소 규모 기지국(30B)이 통신 단말기(20B)와의 통신을 위해서 오버레이 송신을 행하면, 중소 규모 기지국(30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가 간섭파로서 매크로 셀 기지국(10) 및 통신 단말기(20X)에 도달한다.
여기서, 중소 규모 기지국(30B)은, 매크로 셀 기지국(10)과의 사이의 패스 손실(전파로) 정보에 기초하여, 중소 규모 기지국(30B)이 매크로 셀 기지국(10)에 부여하는 간섭 레벨을, 송신 전력으로부터 패스 손실을 감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소 규모 기지국(30B)은, 통신 단말기(20X)와의 사이의 패스 손실에 기초하여, 중소 규모 기지국(30B)이 통신 단말기(20X)에 부여하는 간섭 레벨을, 송신 전력으로부터 패스 손실을 감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중소 규모 기지국(30B)은, 매크로 셀 기지국(10) 및 통신 단말기(20X)에 부여하는 간섭 레벨이, 매크로 셀 기지국(10) 및 통신 단말기(20X)의 간섭 허용량을 하회하도록 송신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오버레이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오버레이 송신을 행할 때에, 주위의 통신 단말기(20)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주위의 통신 단말기(20)에 관한 정보(위치 정보, ID, UL 송신 예약 슬롯 정보 등)을 매크로 셀 기지국(10)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또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PDCCH를 수신해서 통신 단말기(20)의 예약 슬롯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PUSCH의 레퍼런스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20)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중소 규모 기지국(30)과 통신 단말기(20) 사이의 통신로 환경을, 통신 단말기(20)의 예약 슬롯 정보를 취득한 후에, PUSCH의 레퍼런스에 기초하여 추정할 수 있다.
(동작 범위 C)
동작 범위 C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한 통신이 포함된다. 상기한 통신의 일례로서, 중계 통신 및 오버레이 송신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동작 범위 C에 따라 동작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다른 리소스(시간-주파수 슬롯)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보강해야 할 링크의 송수신 데이터의 중계 통신 또는 독자 셀의 운용을 행한다. 한편, 동작 범위 C에 따라 동작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다른 리소스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매크로 셀에 대한 오버레이 송신을 행한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오버레이 송신 중에, 송신 전력 제어나 빔 스티어링을 행함으로써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동작 범위 D)
동작 범위 D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독자 셀을 운용하기 위한 통신이 포함된다. 따라서, 동작 범위 D에 따라 동작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취득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최대 송신 전력 등의 송신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독자 셀을 운용한다.
<4. 동작 범위의 선택 방법>
이상, 중소 규모 기지국(30)에의 실장이 상정되는 동작 범위 A 내지 동작 범위 D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으로,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의한 동작 범위의 선택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우선, 매크로 셀 기지국(10) 또는 관리 서버(16)와, 중소 규모 기지국(30) 사이의 접속 관계를 확인한다.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 기지국(10) 또는 관리 서버(16)와, 중소 규모 기지국(30) 사이의 접속이 유선 접속만인 경우, 동작 범위 A 및 동작 범위 D 중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한다(S408). 동작 범위 A 및 동작 범위 D 중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 기지국(10) 또는 관리 서버(16)와, 중소 규모 기지국(30) 사이의 접속이 유선 접속 및 무선 접속의 양쪽인 경우(S412), 동작 범위 A 내지 동작 범위 D 중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한다(S416). 동작 범위 A 내지 동작 범위 D 중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방법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 기지국(10) 또는 관리 서버(16)와, 중소 규모 기지국(30) 사이의 접속이 무선 접속뿐인 경우(S412), 동작 범위 A, 동작 범위 B 및 동작 범위 C 중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한다(S420). 동작 범위 A, 동작 범위 B 및 동작 범위 C 중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방법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동작 범위 A 및 동작 범위 D 중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상기 정보(1) 및 정보 (6)이 취득 가능한 경우(S504),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여, 주위의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링크 품질이 열악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508).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주위의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링크 품질이 열악한 경우에는, 링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작 범위 A를 선택한다(S512).
한편,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정보 (1) 및 정보 (6)을 취득할 수 없지만, 정보 (1), (2) 및 (4)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S516),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여, 중소 규모 기지국(30) 및 통신 단말기(20)가 모두 매크로 셀의 범위 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중소 규모 기지국(30) 및 통신 단말기(20)가 모두 매크로 셀의 범위 외인 경우, 통신 단말기(20)에 통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 범위 D를 선택한다(S524).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S516에 있어서 정보 (1), (2) 및 (4)를 취득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및, S520에 있어서 중소 규모 기지국(30) 및 통신 단말기(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매크로 셀의 범위 내라고 판단한 경우, 어느 동작 범위도 선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에 대한 송신 동작을 행하지 않고, 초기 상태로 이행한다(S528).
도 7은,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동작 범위 A, 동작 범위 B 및 동작 범위 C 중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다른 슬롯을 확보할 수 있고(S604), 또한 정보 (1) 및 (6)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S608),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여, 주위의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링크 품질이 열악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612).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주위의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링크 품질이 열악한 경우에는 동작 범위 A를 선택한다(S616).
한편,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S612에 있어서 링크 품질이 열악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또한, 정보 (1) 내지 (6)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S620),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20)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4). 예를 들어,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 내의 복수의 통신 단말기(20)의 매크로 셀 기지국(10)으로부터의 거리의 평균값이 소정값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통신 단말기(20)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통신 단말기(20)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는 경우,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해, 동작 범위 C를 선택한다(S628).
또한,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다른 슬롯을 확보할 수 없고, 또한, 정보 (1) 내지 (6)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S636),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 셀의 혼잡도가 소정 기준을 상회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40). 그리고,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의 혼잡도가 소정 기준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 에리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작 범위 B를 선택한다(S644).
한편, 매크로 셀의 혼잡도가 소정 기준을 상회하고 있지 않은 경우,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통신 단말기(20)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648).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통신 단말기(20)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는 경우,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해, 동작 범위 C를 선택한다(S628).
또한,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S620 또는 S636에 있어서 정보 (1) 내지 (6)을 취득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및, S624 또는 S648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20)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어느 동작 범위도 선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에 대한 송신 동작을 행하지 않고, 초기 상태로 이행한다(S632).
도 8은,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동작 범위 A 내지 동작 범위 D 중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다른 슬롯을 확보할 수 있고(S704), 또한 정보 (1) 및 (6)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S708), 상기한 정보에 기초하여, 주위의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링크 품질이 열악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712).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주위의 통신 단말기(20)와 매크로 셀 기지국(10) 사이의 링크 품질이 열악한 경우에는 동작 범위 A를 선택한다(S716).
한편,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정보 (1) 및 정보 (6)을 취득할 수 없지만, 정보 (1), (2) 및 (4)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S720),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중소 규모 기지국(30) 및 통신 단말기(20)가 모두 매크로 셀의 범위 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24).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중소 규모 기지국(30) 및 통신 단말기(20)가 모두 매크로 셀의 범위 외인 경우, 통신 단말기(20)에 통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 범위 D를 선택한다(S728). 한편, 중소 규모 기지국(30) 및 통신 단말기(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매크로 셀의 범위 내인 경우, S752의 판단이 행해진다.
또한,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 기지국(10)과 다른 슬롯을 확보할 수 없고, 또한, 정보 (1) 내지 (6)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S740),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 셀의 혼잡도가 소정 기준을 상회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44).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매크로 셀의 혼잡도가 소정 기준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 에리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작 범위 B를 선택한다(S748).
한편, 매크로 셀의 혼잡도가 소정 기준을 상회하고 있지 않은 경우,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통신 단말기(20)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52).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통신 단말기(20)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는 경우,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해, 동작 범위 C를 선택한다(S748).
또한, 동작 범위 선택부(340)는, S732 또는 S740에 있어서 정보 (1) 내지 (6)을 취득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및, S752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20)의 분포가 매크로 셀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등에는, 어느 동작 범위도 선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단말기(20)에 대한 송신 동작을 행하지 않고, 초기 상태로 이행한다(S736).
<5. 관리 서버에 의한 감시 및 제어>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동작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한 동작 범위에 따라 통신을 개시한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통신을 개시하면, 관리 서버(16)가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통신을 감시하고, 필요에 따라 간섭 회피 제어를 행한다. 이하, 당해 사항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오버레이 송신을 행하는 경우]
관리 서버(16)는, 동작 범위 B 또는 C에 따라 오버레이 송신을 행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으로부터의 통신 상황에 관한 리포트를 감시한다. 통신 상황에 관한 리포트는, 예를 들어 BER/PER, 재송 횟수 또는 스루풋 평균 등의 통계값이나, 트래픽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버레이 송신을 행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다른 중소 규모 네트워크에 근접하고 있고, 에리어 스루풋 등의 지표값이 일정 레벨보다 낮거나, 급격하게 감소한 경우, 오버레이 송신에 기인하는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16)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오버레이 송신용 다른 리소스가 할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관리 서버(16)는, 다른 리소스가 할당되는 경우, 다른 리소스 및 간섭 부여 대상자의 변경을,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통지한다. 변경 후의 간섭 부여 대상자는, 신규로 센싱 또는 정보 취득을 행하여, 송신 전력 제어를 실행한다. 한편, 관리 서버(16)는, 다른 리소스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동작 정지를 지시한다.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셀 에리어 확장 동작을 행하는 경우]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중계 통신이나 독자 셀의 운용에 의해 셀 에리어를 확장한 경우,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타 통신과의 간섭을 인식하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어,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에리어를 확장하기 위한 통신을 통신 단말기(20A)와 행하면, 중소 규모 기지국(30)이 매크로 셀 기지국(10B)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20Y)에 간섭을 부여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 서버(16)는,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다른 리소스를 할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관리 서버(16)는 다른 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 다른 리소스 및 간섭 부여 대상자의 변경을,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통지한다. 한편, 관리 서버(16)는, 다른 리소스가 할당되지 않을 경우,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동작 정지를 지시한다.
[링크 보강 동작을 행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A)이 오버레이 송신을 행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B)과 인접하는 경우]
중소 규모 기지국(30A)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통신 링크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해 조정 가능한 SINR의 범위가 통상보다도 커진다. 이 경우, 관리 서버(16)는, 링크 보강에 의한 간섭 허용량의 갱신값을 중소 규모 기지국(30B)에 통지하고, 오버레이 송신을 행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B)은 통지된 갱신값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리어 용량의 증가가 한층 더 기대된다.
<6.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현재 상황에 적합한 동작 범위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소 규모 기지국(30)은, 통신 환경의 변동을 즉시 동작 범위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처리에 있어서의 각 단계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중소 규모 기지국(30) 처리에 있어서의 각 단계는, 흐름도에 기재한 순서와 상이한 순서로 처리되거나, 병렬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중소 규모 기지국(30)에 내장되는 CPU, ROM 및 RAM 등의 하드웨어를, 상술한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각 구성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기억 매체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매크로 셀 기지국은, 매크로 셀 내의 통신 트래픽의 양이나, 통신 단말기(20)나 중소 규모 기지국(30)의 분포에 따라, 매크로 셀의 커버 영역, 이용하는 리소스 양 또는, 수용 가능한 통신 단말기의 수나 중소 규모 기지국의 수를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중소 규모 기지국은 동적으로 제어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에리어 용량의 증가를 위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중소 규모 기지국(30B)이, 매크로 셀 기지국의 매크로 셀의 커버 영역이 동적으로 축소된 결과, 독자 셀을 운용하기 위한 통신을 행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30D)의 동작으로 동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10: 매크로 셀 기지국
20: 통신 단말기
30: 중소 규모 기지국
310: 무선 통신부
320: 네트워크 통신부
330: 정보 취득부
340: 동작 범위 선택부
350: 통신 제어부

Claims (14)

  1. 중소 규모 기지국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통신 단말기 또는 대규모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신호를 해석해서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와 상기 대규모 기지국 간의 링크 보강을 위한 제1 동작 범위, 용량 향상을 위한 제2 동작 범위, 통신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제3 동작 범위 및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이 셀 운영을 행하는 제4 동작 범위 중 2 이상의 동작 범위로부터 어느 하나의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2 이상의 동작 범위로부터 선택한 동작 범위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와 상기 대규모 기지국 간의 링크 품질이 소정 기준을 하회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인, 통신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혼잡도가 상한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인, 통신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분포가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셀 에지에 치우쳐 있는 경우에 상기 제3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인, 통신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 및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셀 에리어 외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4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인, 통신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범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과 상기 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의 중계 동작 또는 CoMP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범위는, 오버레이 송신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동작 범위는, 상기 중계 동작 또는 셀 운영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과의 접속이 유선 접속뿐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동작 범위 및 상기 제4 동작 범위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인, 통신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과의 접속이 무선 접속뿐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동작 범위, 상기 제2 동작 범위 및 상기 제3 동작 범위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인, 통신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과의 접속이 무선 접속 및 유선 접속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동작 범위, 상기 제2 동작 범위, 상기 제3 동작 범위 및 상기 제4 동작 범위에서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인, 통신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규모 기지국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을 관리하는 네트워크는,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에 의한 통신이 원인이 되는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 회피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 방법.
  13. 중소 규모 기지국으로서,
    통신 단말기 또는 대규모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무선 신호를 해석해서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대규모 기지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와 상기 대규모 기지국 간의 링크 보강을 위한 제1 동작 범위, 용량 향상을 위한 제2 동작 범위, 통신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제3 동작 범위 및 상기 중소 규모 기지국이 셀 운영을 행하는 제4 동작 범위 중 2 이상의 동작 범위로부터 어느 하나의 동작 범위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2 이상의 동작 범위로부터 선택한 동작 범위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소 규모 기지국.
  14. 삭제
KR1020127024411A 2010-03-25 2011-01-25 통신 제어 방법 및 중소 규모 기지국 KR101651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0262 2010-03-25
JP2010070262A JP5418353B2 (ja) 2010-03-25 2010-03-25 通信制御方法、および中小規模基地局
PCT/JP2011/051305 WO2011118248A1 (ja) 2010-03-25 2011-01-25 通信制御方法、および中小規模基地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026A KR20130008026A (ko) 2013-01-21
KR101651716B1 true KR101651716B1 (ko) 2016-08-26

Family

ID=4467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411A KR101651716B1 (ko) 2010-03-25 2011-01-25 통신 제어 방법 및 중소 규모 기지국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30084B2 (ko)
EP (1) EP2552146B1 (ko)
JP (1) JP5418353B2 (ko)
KR (1) KR101651716B1 (ko)
CN (1) CN102812739A (ko)
BR (1) BR112012023554A2 (ko)
MY (1) MY180858A (ko)
RU (1) RU2566300C2 (ko)
SG (1) SG184192A1 (ko)
TW (1) TWI451797B (ko)
WO (1) WO2011118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5518B (zh) * 2012-02-20 2018-11-06 索尼公司 通信控制设备、通信控制方法、基站和通信控制系统
JP2014116658A (ja) * 2012-12-06 2014-06-26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150111911A (ko) 2013-01-24 2015-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셀을 추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5075363B (zh) * 2013-02-22 2018-12-14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通信系统、无线电站、无线电终端、通信控制方法和非瞬时计算机可读介质
US9713009B2 (en) * 2013-03-15 2017-07-18 Hitachi, Ltd. Dual connectivity of user equipment to macro and small cell in long term evolution system
CN104144478B (zh) * 2013-05-09 2018-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非连续发送节能控制方法、小站、宏站及异构网络
US20180206128A1 (en) * 2015-07-13 2018-07-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an equivalent cell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10656281B2 (en) * 2016-11-10 2020-05-19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detection in shared spectrum channels
US11686852B2 (en) * 2016-11-10 2023-06-27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detection in shared spectrum channels
US10390218B2 (en) 2017-02-17 2019-08-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ally requesting mobile devices to report network information
TWI627871B (zh) * 2017-09-05 2018-06-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網路通訊系統的控制方法與邊緣運算裝置
TWI627872B (zh) * 2017-09-05 2018-06-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具有基地台網管伺服器之網路通訊系統的控制方法與邊緣運算裝置
US10693950B2 (en) * 2017-09-05 2020-06-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ntrol method for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base station network management server and multi-access edge computing ecosystem device
EP3956330A4 (en) 2019-04-18 2023-01-1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UBSTITUTED 2-AMINO-PYRAZOLYL-[1,2,4]TRIAZOLO[1,5A]PY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6423A (ja) * 2005-07-25 2007-02-08 Sony Corp ベース装置、モニタ端末およびリピ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3331B1 (en) * 2000-03-30 2002-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of a communications systems
US7031293B1 (en) * 2001-03-26 2006-04-18 Tropos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increased data throughput in a wireless multi-hop network
IL160120A0 (en) * 2001-07-29 2004-06-20 Yuval Barkan Cellular network system and method
CA2568899C (en) 2004-06-04 2016-10-04 Elvino Silveira Medina De Sousa Autonomous infrastructure wireless networks
WO2006034578A1 (en) * 2004-09-29 2006-04-0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apacity and coverage enhancement in wireless networks with relays
US20070291663A1 (en) * 2006-06-19 2007-12-2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e-free topology generation in relay based wireless networks
GB0616475D0 (en) 2006-08-18 2006-09-27 Fujitsu Ltd Communication systems
US8417255B2 (en) 2007-03-16 2013-04-09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and power control in a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8223683B2 (en) * 2007-10-05 2012-07-17 VIA Telecom, Inc Automatic provisioning of femtocell
KR20090114098A (ko) * 2008-04-29 2009-11-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시스템
US8687588B2 (en) * 2008-07-02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modes for femto cells
WO2010018908A1 (en) 2008-08-11 201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operating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626269A (zh) * 2009-08-17 2010-0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同步发射控制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6423A (ja) * 2005-07-25 2007-02-08 Sony Corp ベース装置、モニタ端末およびリピータ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m Yeoul Choi 외 3명. "Adaptive Coverage Adjustment for Femtocell Management in a Residential Scenario."APNOMS 2009, LNCS 5787, pp. 221-230, 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09292A1 (en) 2012-12-06
JP5418353B2 (ja) 2014-02-19
RU2012140009A (ru) 2014-03-27
CN102812739A (zh) 2012-12-05
TWI451797B (zh) 2014-09-01
BR112012023554A2 (pt) 2017-10-03
EP2552146A1 (en) 2013-01-30
SG184192A1 (en) 2012-10-30
EP2552146B1 (en) 2017-07-26
MY180858A (en) 2020-12-10
RU2566300C2 (ru) 2015-10-20
JP2011205369A (ja) 2011-10-13
WO2011118248A1 (ja) 2011-09-29
EP2552146A4 (en) 2016-05-18
KR20130008026A (ko) 2013-01-21
US9730084B2 (en) 2017-08-08
TW201208451A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16B1 (ko) 통신 제어 방법 및 중소 규모 기지국
US1076394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beam selection
US11350405B2 (en) Enabling exchange of information on radio frame configuration in neighbor cells
CN105247927B (zh) 通信控制装置、通信控制方法、无线电通信系统、基站和终端装置
CN109302720A (zh) 一种选择波束的方法及设备
KR10258551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인접 액세스 포인트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2607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ection of a handover destination
EP3167555B1 (en) A network node and a method therein for performing comp reception of a transmission from a wireless device
US201401193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ctive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KR2014004616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구성 장치 및 방법
JP6301186B2 (ja) セル選択方法、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981089B1 (ko) 이종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9700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할당 선택 방법 및 장치
US10355835B2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
JP5655923B2 (ja) 中小規模基地局
WO2014012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mode switch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19666A1 (en) Methods, System and Access Point of a WLAN for Handling a Wireless Device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US10425931B2 (en)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processing method
JP201403324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上りリンク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