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445B1 -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 - Google Patents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1445B1 KR101651445B1 KR1020150170582A KR20150170582A KR101651445B1 KR 101651445 B1 KR101651445 B1 KR 101651445B1 KR 1020150170582 A KR1020150170582 A KR 1020150170582A KR 20150170582 A KR20150170582 A KR 20150170582A KR 101651445 B1 KR101651445 B1 KR 1016514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air
- angle adjusting
- angle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QDOXWKRWXJOMAK-UHFFFAOYSA-N dichromium trioxide Chemical compound O=[Cr]O[Cr]=O QDOXWKRWXJOMA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KRVSOGSZCMJSLX-UHFFFAOYSA-L chromic acid Substances O[Cr](O)(=O)=O KRVSOGSZCMJSLX-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AWJWCTOOIBYHON-UHFFFAOYSA-N furo[3,4-b]pyrazine-5,7-dione Chemical compound C1=CN=C2C(=O)OC(=O)C2=N1 AWJWCTOOIBYHO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477 desulfu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23556 desulfu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LIKFHECYJZWXFJ-UHFFFAOYSA-N dimethyldichlorosilane Chemical compound C[Si](C)(Cl)Cl LIKFHECYJZWXF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676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24 ceramic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60 Gray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94 micro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40 phys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72 Acryl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037 TiAl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AQRGUVFOMOMEM-UHFFFAOYSA-N butene Natural products CC=CC IAQRGUVFOMOM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NNRSPGTAMTISX-UHFFFAOYSA-N chro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Cr].[Ni] VNNRSPGTAMTIS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9 discoloration preven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NKHSLKYRMDDNQ-UHFFFAOYSA-N halofenozid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N(C(C)(C)C)NC(=O)C1=CC=C(Cl)C=C1 CNKHSLKYRMDD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3 white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2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에 연결되어서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와, 일단이 배기덕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판과, 배기덕트 및 각도조절판에 결합되고 각도조절판의 힌지점을 이루는 각도조절볼트와, 각도조절볼트에 체결되어서 각도조절판을 배기덕트에 고정하는 체결너트로 이루어진 배기각도조절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도조절볼트 및 체결너트를 풀고 조이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 각도조절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풍 각도 조절이 매우 간편하고, 온풍을 원하는 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도조절볼트 및 체결너트를 풀고 조이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 각도조절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풍 각도 조절이 매우 간편하고, 온풍을 원하는 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케이스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서,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우스 또는 양계장 내부를 최적의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온풍기의 과열을 방지시킬 수 있는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축가에서는 동절기에 축사에서 가축(소, 돼지, 육계) 등을 사육할 때, 생장에 적합한 환경(온도, 습도)을 조성하기 위해 온풍기 등의 난방시스템을 설치하여, 생장에 알맞는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면서 축산물을 사육하게 된다.
이러한 난방시스템은 주로 비닐하우스나 가축용 축사를 난방하는 방법으로, 열풍기를 사용하는 열풍기 방식과 온수 보일러를 이용한 라디에이터 방식의 난방 방식이 있다.
먼저, 온수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 방식은 비닐하우스 내에 온수가 제공되는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배관에 라디에이터를 연결하며,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상기 배관 및 라디에이터로 공급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그 일 예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0-364호(2000. 1. 15)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열풍기 방식의 일 예로서, 국내 등록 실용신안공보 20-249860호(2001. 9. 27)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일체형 구조의 온풍난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온풍난방기는 내부에 버너와 열교환기 등을 갖추고 있으며, 상부 그릴에는 열풍을 순환시키는 송풍기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온풍기는 송풍방향이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작업장의 상황에 맞게 송풍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없었다. 종래 온풍기의 송풍 각도를 조절하려면 온풍기 전체의 설치 각도를 조절해야 하며, 이에 따라 그 작업이 매우 힘들고 번거로웠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서,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스 또는 양계장 내부를 최적의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온풍기의 과열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난반사시켜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한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각도가 어느 방향을 이루든지 배기통로는 항상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실내 상부의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조절부; 케이스에 설치되어서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배기각도조절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내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온도감지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며; 가열부는, 히터봉이 케이스의 바닥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서, 케이스의 상부에서 케이스의 내부 바닥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히터봉들에 부딪히면서 난반사되므로 케이스 내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의 다른 특징은, 유입량조절부는, 가열된 실내의 상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유입덕트와, 공기유입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공기유입덕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공기유입덕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댐퍼축과, 댐퍼축에 설치되고 공기유입덕트 내에 위치되어서 댐퍼축의 회전시 공기유입덕트의 통로를 개폐하여서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와, 댐퍼축의 일단에 결합되어서 댐퍼축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의 또 다른 특징은, 배기각도조절부는, 케이스에 연결되어서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와, 일단이 배기덕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판과, 배기덕트 및 각도조절판에 결합되고 각도조절판의 힌지점을 이루는 각도조절볼트와, 각도조절볼트에 체결되어서 각도조절판을 배기덕트에 고정하는 체결너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의 또 다른 특징은, 배기각도조절부는, 일측이 케이스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케이스 내부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각도를 조절하는 배기덕트와, 케이스 및 배기덕트에 체결되고 배기덕트의 힌지점을 이루는 각도조절볼트와, 각도조절볼트에 체결되어서 배기덕트를 케이스에 고정하는 체결너트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케이스에 연결되어서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와, 일단이 배기덕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판과, 배기덕트 및 각도조절판에 결합되고 각도조절판의 힌지점을 이루는 각도조절볼트와, 각도조절볼트에 체결되어서 각도조절판을 배기덕트에 고정하는 체결너트로 이루어진 배기각도조절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도조절볼트 및 체결너트를 풀고 조이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 각도조절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풍 각도 조절이 매우 간편하고, 온풍을 원하는 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된 실내의 상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유입덕트와, 공기유입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댐퍼축에 설치되고 공기유입덕트 내에 위치되어서 댐퍼축의 회전시 공기유입덕트의 통로를 개폐하여서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로 이루어진 유입량조절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송풍팬을 작동시킨 후 댐퍼를 조절하면 공기유입덕트의 통로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입량조절부를 조절하여서 케이스에 공기 유입량을 감소시키면, 케이스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가열부와의 열교류가 충분히 이루어지므로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유입량조절부를 조절하여서 케이스에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키면, 케이스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그만큼 가열부와의 열교류가 감소되므로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므로 유입량조절부를 조절하여서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온도감지센서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된다. 따라서, 외부온도감지센서는,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고 회로기판에 연결되어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며, 실내의 온도가 세팅 온도를 초과하면 가열부가 오프(off)되도록 하고, 내부온도감지센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로기판에 연결되어서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며, 온풍기 내부의 온도가 세팅 온도를 초과하면 가열부가 오프(off)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하우스 또는 양계장 내부를 최적의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온풍기의 과열을 방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열부는, 히터봉이 케이스의 바닥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서, 케이스의 상부에서 케이스의 내부 바닥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히터봉들에 부딪히면서 난반사되므로 케이스 내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케이스의 바닥에 부딪힌 후 지그재그로 배열된 히터봉에 부딪히면서 난반사되므로 케이스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케이스 내부의 공기 체류시간이 연장된다. 그러므로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케이스 내부에서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므로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기각도조절부는, 일측이 케이스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케이스 내부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각도를 조절하는 배기덕트와, 케이스 및 배기덕트에 체결되고 배기덕트의 힌지점을 이루는 각도조절볼트 및 체결너트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도조절볼트 및 체결너트를 풀고 조이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 배기덕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 전체가 회동되면서 송풍각도가 조절되므로 송풍각도가 어느 방향을 이루든지 배기통로는 항상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며, 이에 따라 송풍량 및 송풍속도의 변화없이 송풍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유입량조절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들
도 4는 배기각도조절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들
도 5는 가열부의 배치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단면도
도 6은 배기각도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유입량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8은 역전방지나사받이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유입량조절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들
도 4는 배기각도조절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들
도 5는 가열부의 배치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단면도
도 6은 배기각도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유입량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8은 역전방지나사받이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유입량조절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배기각도조절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들이고, 도 5는 가열부의 배치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배기각도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는, 케이스(10), 유입량조절부(20), 배기각도조절부(30), 가열부(40), 외부온도감지센서(15), 내부온도감지센서(1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이러한 케이스(10)의 상부에는 유입량조절부(20)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10)의 일측에는 배기각도조절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는 회로기판(도시안됨)이 내장되어 있고,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온풍기를 제어하도록 회로기판에 연결된 전원스위치(12)와, 히터스위치(13), 온도조절부(11)가 설치된다.
유입량조절부(2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실내 상부의 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유입량조절부(20)는, 공기유입덕트(21), 송풍팬(22), 댐퍼축(24), 댐퍼(23), 작동레버(26)로 이루어진다.
공기유입덕트(21)는, 가열된 실내의 상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된다. 공기유입덕트(21)가 케이스(10)의 측면에 설치된다면 바닥에 깔린 먼지들이 공기유입덕트(21)로 쉽게 유입되지만, 공기유입덕트(21)가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입구가 실내의 상부면을 향하도록 위치되므로 바닥의 먼지가 쉽게 유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먼지의 유입으로 인한 온풍기의 고장, 화재 등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덕트(21)가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가 실내의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므로 실내의 상부 공기가 케이스(10)로 유입된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 중 바닥의 찬 공기보다 온도가 높은 실내의 상부 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므로 열효율이 향상된다.
송풍팬(22)은, 공기유입덕트(21)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케이스(10) 내부로 공급한다.
댐퍼축(24)은, 공기유입덕트(2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공기유입덕트(2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댐퍼(23)는, 댐퍼축(24)에 설치되고 공기유입덕트(21) 내에 위치되어서 댐퍼축(24)의 회전시 공기유입덕트(21)의 통로를 개폐하여서 케이스(1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작동레버(26)는, 댐퍼축(24)의 일단에 결합되어서 댐퍼축(24)을 회전시킨다.
배기각도조절부(30)는, 케이스(10)에 설치되어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한다.
이러한 배기각도조절부(30)는, 배기덕트(31), 각도조절판(32), 각도조절볼트(33) 및 체결너트(34)로 이루어진다.
배기덕트(31)는, 케이스(10)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된다.
각도조절판(32)은, 일단이 배기덕트(3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각도를 조절한다.
각도조절볼트(33)는, 배기덕트(31) 및 각도조절판(32)에 결합되고 각도조절판(32)의 힌지점을 이룬다. 체결너트(34)는, 각도조절볼트(33)에 체결되어서 각도조절판(32)을 배기덕트에 고정한다.
가열부(4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내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부(40)는, 히터봉(41)이 케이스(10)의 바닥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서, 케이스(10)의 상부에서 케이스(10)의 내부 바닥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히터봉(41)들에 부딪히면서 난반사되므로 케이스(10) 내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비된다.
외부온도감지센서(15)는, 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고 회로기판에 연결되어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며, 실내의 온도가 세팅 온도를 초과하면 가열부가 오프(off)되도록 한다.
내부온도감지센서(14)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로기판에 연결되어서 케이스(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며, 온풍기 내부의 온도가 세팅 온도를 초과하면 가열부(40)가 오프(off)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전원스위치(12)를 켜고 히터스위치(13)를 켜면 가열부(40)의 히터봉(41)이 작동되고 유입량조절부(20)의 송풍팬(22)이 작동된다.
송풍팬(22)이 작동되면 실내의 공기가 유입량조절부(20)의 공기유입덕트(21) 내부로 유입되고 케이스(10)의 바닥으로 송풍되며 케이스(10)의 바닥에 부딪힌 공기를 다수의 히터봉(41)들을 지나면서 열교환된 후 배기각도조절부(30)의 배기덕트(31)로 배출된다. 이때 온도조절부(11)를 작동시켜서 히터봉(41)의 발열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입량조절부(20)의 작동레버(26)를 작동시키면 공기유입덕트(21) 내의 댐퍼(23)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지그재그로 배열된 히터봉(41)들에 부딪히면서 난반사되며 난반사된 공기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와류가 발생되며, 새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들에 의해 난반사된 공기들은 밀려서 배기덕트(31)로 배출된다.
배기덕트(31)에는 각도조절판(3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덕트(31)를 통과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볼트(33) 및 체결너트(34)를 약간 푼 다음 각도조절판(32)을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키고, 각도조절볼트(33) 및 체결너트(34)를 다시 조이면 조정된 각도가 세팅된다.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내부온도감지센서(14)는 케이스(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서 본 발명의 온풍기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며, 케이스(10) 외부에 설치된 외부온도감지센서(15)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서 실내가 항상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케이스(10)에 연결되어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31)와, 일단이 배기덕트(3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판(32)과, 배기덕트(31) 및 각도조절판(32)에 결합되고 각도조절판(32)의 힌지점을 이루는 각도조절볼트(33)와, 각도조절볼트(33)에 체결되어서 각도조절판(32)을 배기덕트(31)에 고정하는 체결너트(34)로 이루어진 배기각도조절부(30)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도조절볼트(33) 및 체결너트(34)를 풀고 조이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 각도조절판(3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1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풍 각도 조절이 매우 간편하고, 온풍을 원하는 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가열된 실내의 상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유입덕트(21)와, 공기유입덕트(21)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케이스(10)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22)과, 댐퍼축(24)에 설치되고 공기유입덕트(21) 내에 위치되어서 댐퍼축(24)의 회전시 공기유입덕트(21)의 통로를 개폐하여서 케이스(1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23)로 이루어진 유입량조절부(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송풍팬(22)을 작동시킨 후 댐퍼(23)를 조절하면 공기유입덕트(21)의 통로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10)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입량조절부(20)를 조절하여서 케이스(10)에 공기 유입량을 감소시키면, 케이스(1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가열부(40)와의 열교류가 충분히 이루어지므로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유입량조절부(20)를 조절하여서 케이스(10)에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키면, 케이스(1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그만큼 가열부(40)와의 열교류가 감소되므로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므로 유입량조절부(20)를 조절하여서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어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온도감지센서(15)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케이스(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온도감지센서(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외부온도감지센서(15)는, 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고 회로기판에 연결되어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며, 실내의 온도가 세팅 온도를 초과하면 가열부가 오프(off)되도록 하고, 내부온도감지센서(14)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로기판에 연결되어서 케이스(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며, 온풍기 내부의 온도가 세팅 온도를 초과하면 가열부(40)가 오프(off)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하우스 또는 양계장 내부를 최적의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온풍기의 과열을 방지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가열부(40)는, 히터봉(41)이 케이스(10)의 바닥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서, 케이스(10)의 상부에서 케이스(10)의 내부 바닥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히터봉(41)들에 부딪히면서 난반사되므로 케이스(10) 내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케이스(10)의 바닥에 부딪힌 후 지그재그로 배열된 히터봉(41)에 부딪히면서 난반사되므로 케이스(10)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케이스(10) 내부의 공기 체류시간이 연장된다. 그러므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케이스(10) 내부에서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므로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배기각도조절부(5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들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기각도조절부(50)는, 일측이 케이스(10)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케이스(10) 내부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각도를 조절하는 배기덕트(51)와, 케이스(10) 및 배기덕트(51)에 체결되고 배기덕트(51)의 힌지점을 이루는 각도조절볼트(52)와, 각도조절볼트(52)에 체결되어서 배기덕트(51)를 케이스(10)에 고정하는 체결너트(5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도조절볼트(52) 및 체결너트(53)를 풀고 조이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 배기덕트(5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1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51) 전체가 회동되면서 송풍각도가 조절되므로 송풍각도가 어느 방향을 이루든지 배기통로는 항상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며, 이에 따라 송풍량 및 송풍속도의 변화없이 송풍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송풍팬(2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히터봉(41)들 전체에 균일하게 송풍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로써, 이는, 회전축(61)과 팬블레이드(62)로 이루어진 송풍팬(22)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송풍범위확대부(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송풍범위확대부(63)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송풍방향유도부(64)가 설치되어 있고, 송풍범위확대부(63)의 하부에는 송풍방향유도부(64)를 지지하도록 보강대(6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온풍기는, 송풍팬(22)에 의해 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송풍되면 일부의 공기가 송풍방향유도부(64)에 의해 송풍범위확대부(63)의 네 귀퉁이로 유도된다. 따라서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범위확대부(63)의 개방부 전체로 고르게 확산되며, 이에 따라 히터봉(41)들 전체에 고르게 공급된다. 그러므로 히터봉(41) 전체에 공기가 균일하게 송풍되므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댐퍼축(24)에는 강도증강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강도증강도포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댐퍼축(24)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댐퍼축(24)의 외주면에 세라믹 도포를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도포는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강도증강도포층이 댐퍼축(24)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강도증강도포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강도증강도포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댐퍼축(24)의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댐퍼축(24)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댐퍼축(24)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도포층은, 댐퍼축(24)의 외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이러한 강도증강도포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댐퍼축(24)의 외주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강도증강도포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도포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강도증강도포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도포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댐퍼축(24)의 외주면에 강도증강도포층이 도포되는 동안 댐퍼축(24)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댐퍼축(24)의 외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댐퍼축(24)의 외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강도증강도포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도포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도포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도포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댐퍼축(24)의 외주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도포층이 형성되므로 댐퍼축(24)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작동레버(26)는, FCD주철로 이루어진다. 이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FCD주철은, 일반 회주철의 용탕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응고과정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된 주철이므로 회주철에 비하여 흑연의 형태가 구상이다. 이러한 FCD주철은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작동레버(26)는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FCD주철을 1600℃ 미만으로 가열하면 전체 조직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며, 1650℃를 초과하여 가열시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된 FCD주철에는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는 바, 마그네슘이 0.3중량%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제를 투입효과가 극히 미미해 지며, 0.7중량%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제의 투입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고가의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제의 마그네슘 혼합비율은 0.3∼0.7중량% 정도가 적합하다.
용융된 FCD주철에 구상화 처리제가 투입되면 이를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다. 구상화 처리 온도가 1500℃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50℃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 효과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 온도는 1500∼1550℃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레버(26)가 FCD주철로 이루어지므로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될 수 있다. 이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케이스(10)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된다.
여기서, 변색부는,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변색부는 케이스(10)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케이스(10)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색부는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케이스(1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10)에 설치된 회로기판 등의 주요 부품을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회로기판 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변색부 위에 도포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색부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도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의 둘레에는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둘레에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므로,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온풍기가 구비된다.
또한, 내부온도감지센서(14) 및 외부온도감지센서(15)의 표면에는 오지시 및 수명단축의 원인이 되는 표면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 도포층이 형성된다. 상기 도포층은 미생물 및 부유물 등의 부착을 억제하여 오지시를 방지하고 내부온도감지센서(14) 및 외부온도감지센서(15)의 사용기간을 반영구적으로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포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용액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을 부피비로 2-5% 용해시켜 도포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의 함량이 2%에 미치지 못하면 도포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5%를 초과하면 도포층이 너무 두꺼워져 효율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용해된 도포액은 도포시간 및 도포두께를 고려하여 용액의 점도가 0.8-2cp(센티포아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점도가 너무 낮으면 도포시간을 오래해야 하며, 점도가 너무 높으면 도포가 두껍게 일어나고 건조가 안되며 또한 불균일한 도포로 인하여 센서의 오지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도포용액으로 내부온도감지센서(14) 및 외부온도감지센서(15)의 표면을 1㎛이하의 두께로 도포한다. 이때, 도포층의 두께가 1㎛를 초과하면 오히려 센서의 감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도포층의 두께를 1㎛이하로 한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두께로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내부온도감지센서(14) 및 외부온도감지센서(15)의 표면에 2-3회 정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각도조절볼트(33)의 풀림 방지용 역전방지나사받이(70)이다. 역전방지나사받이(70)는 볼트머리 하부에 결합되어서 각도조절볼트(33)의 풀림을 방지시키며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와 제2역전방지나사받이(74)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는 상부면에 각도조절볼트(33)의 머리부 저면에 접촉되는 제1톱니(7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각도조절볼트(33)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제1캠면(73)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제2역전방지나사받이(74)는 하부면에 제2톱니(75)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의 제1캠면(73)과 맞물리도록 각도조절볼트(33)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제2캠면(76)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제2역전방지나사받이(74)의 제2톱니(75)가 케이스(10)에 밀착되도록 하고, 연이어 제2역전방지나사받이(74) 위에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를 적층시키되, 제2역전방지나사받이(74)의 제2캠면(76)과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의 제1캠면(73)이 서로 치합되게 적층시킨 후, 이어서 각도조절볼트(33)를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와 제2역전방지나사받이(74)에 끼우고 각도조절볼트(33)를 케이스(10) 및 각도조절판(32)의 구멍(도시안됨)에 끼운 후 체결너트(34)를 각도조절볼트(33)의 수나사부에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각도조절볼트(33)의 머리부 저면에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의 제1톱니(72)가 밀착됨으로써, 각도조절볼트(33)가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결국 각도조절판(32)이 케이스(10)에 견고히 장착된다.
또한, 댐퍼축(24)의 양단에는 황동이나 청동 재질의 부시(25)가 끼워지며, 이 부시에는 부시(25)의 표면에 형성되며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 위에 형성되며 고경질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Ti, Cr, Zr, Cu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금속물질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두께가 0.1 내지 1.0㎛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황동 또는 청동으로 이루어진 부시(25)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물질의 중간층은 고경질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도포층이 양호하게 접합되도록 하는 중간매체로서, 그 두께는 얇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0.1㎛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세라믹 도포층의 접합이 양호하게 달성되지 못하므로, 상기 중간층은 0.1㎛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1.0㎛이상인 경우에는 별다른 특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1.0㎛로 제한하였다.
상기 도포층 바람직하게는 TiN, TiAlN, CrN, ZrN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고경질 세라믹으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두께가 0.5 내지 5.0㎛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세라믹 도포층은 황동 또는 청동으로 이루어진 부시(25)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그 두께가 최소 0.5㎛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도포층의 두께가 5.0㎛이상인 경우에는 별다른 특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5.0㎛로 제한하였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금속물질의 중간층은 또는 경질 세라믹의 도포층은 스퍼터링이나 음극아크 방전을 이용한 물리기상 증착(PVD)공정을 이용하여 진공증착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황동 또는 청동으로 이루어진 부시(25)의 표면 경도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고온 산업설비 분야 또는 부식환경에서 사용가능한 황동 또는 청동으로 이루어진 부시(25) 등의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흡음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로는 니들펀치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니들펀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천연 섬유 등이 있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3 ~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가 0.3㎜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5㎜를 초과하면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이 저감되어 케이스(10)의 스페이스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단점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g/m2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1000g/m2 을 넘으면 케이스(10)의 경량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데시텍스 미만에서는 저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렵고, 쿠션성도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30데시텍스를 넘으면 고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15데시텍스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흡음층이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므로 송풍팬(22)의 구동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10 : 케이스 11 : 온도조절부
12 : 전원스위치 13 : 히터스위치
14 : 내부온도감지센서 15 : 외부온도감지센서
20 : 유입량조절부 21 : 공기유입덕트
22 : 송풍팬 23 : 댐퍼
24 : 댐퍼축 25 : 부시
26 : 작동레버 30,50 : 배기각도조절부
31,51 : 배기덕트 32 : 각도조절판
33,52 : 각도조절볼트 34,53 : 체결너트
40 : 가열부 41 : 히터봉
61 : 회전축 62 : 펜블레이드
63 : 송풍범위확대부 64 : 송풍방향유도부
65 : 보강대 70 : 역전방지나사받이
71 : 제1역전방지나사받이 72 : 제1톱니
73 : 제1캠면 74 : 제2역전방지나사받이
75 : 제2톱니 76 : 제2캠면
12 : 전원스위치 13 : 히터스위치
14 : 내부온도감지센서 15 : 외부온도감지센서
20 : 유입량조절부 21 : 공기유입덕트
22 : 송풍팬 23 : 댐퍼
24 : 댐퍼축 25 : 부시
26 : 작동레버 30,50 : 배기각도조절부
31,51 : 배기덕트 32 : 각도조절판
33,52 : 각도조절볼트 34,53 : 체결너트
40 : 가열부 41 : 히터봉
61 : 회전축 62 : 펜블레이드
63 : 송풍범위확대부 64 : 송풍방향유도부
65 : 보강대 70 : 역전방지나사받이
71 : 제1역전방지나사받이 72 : 제1톱니
73 : 제1캠면 74 : 제2역전방지나사받이
75 : 제2톱니 76 : 제2캠면
Claims (4)
-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실내 상부의 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조절부(20);
케이스(10)에 설치되어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배기각도조절부(30);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내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40);
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어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온도감지센서(15);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케이스(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온도감지센서(14)를 포함하며;
가열부(40)는, 히터봉(41)이 케이스(10)의 바닥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서, 케이스(10)의 상부에서 케이스(10)의 내부 바닥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히터봉(41)들에 부딪히면서 난반사되므로 케이스(10) 내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비되고;
유입량조절부(20)는,
가열된 실내의 상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유입덕트(21)와, 공기유입덕트(21)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케이스(10)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22)과, 공기유입덕트(2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공기유입덕트(2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댐퍼축(24)과, 댐퍼축(24)에 설치되고 공기유입덕트(21) 내에 위치되어서 댐퍼축(24)의 회전시 공기유입덕트(21)의 통로를 개폐하여서 케이스(1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23)와, 댐퍼축(24)의 일단에 결합되어서 댐퍼축(24)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26)로 이루어지며;
배기각도조절부(30)는,
케이스(10)에 연결되어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31)와, 일단이 배기덕트(3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판(32)과, 배기덕트(31) 및 각도조절판(32)에 결합되고 각도조절판(32)의 회전중심이 되는 각도조절볼트(33)와, 각도조절볼트(33)에 체결되어서 각도조절판(32)을 배기덕트에 고정하는 체결너트(34)로 이루어지고;
공기유입덕트(21)에는 회전축(61)과 팬블레이드(62)로 이루어진 송풍팬(22)이 설치되어 있고, 송풍팬(22)의 하부에는 송풍팬(2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히터봉(41)들 전체에 균일하게 송풍되도록 송풍범위확대부(63)가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범위확대부(63)의 내부에는 송풍방향유도부(64)가 설치되어 있고, 송풍범위확대부(63)의 하부에는 송풍방향유도부(64)를 지지하도록 보강대(65)가 설치되어 있으며;
댐퍼축(24)에는 강도증강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강도증강도포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댐퍼축(24)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되고, 강도증강도포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도포되며, 상기 실링재의 도포 두께는 0.3∼0.5㎛이고;
작동레버(26)는, FCD주철로 이루어지되, 상기 FCD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0)의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되되, 상기 변색부는,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케이스(10)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되며;
케이스(10)의 둘레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내부온도감지센서(14) 및 외부온도감지센서(15)의 표면에는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 도포층이 형성되되, 상기 도포층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용액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을 부피비로 2-5% 용해시켜 도포액을 제조하고, 상기 도포액의 점도가 0.8-2cp(센티포아제)이며;
각도조절볼트(33)에는 각도조절볼트(33)의 풀림 방지용 역전방지나사받이(70)가 결합되되, 상기 역전방지나사받이(70)는 볼트머리 하부에 결합되어서 각도조절볼트(33)의 풀림을 방지시키며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와 제2역전방지나사받이(74)로 구성되고,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는 상부면에 각도조절볼트(33)의 머리부 저면에 접촉되는 제1톱니(7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각도조절볼트(33)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제1캠면(73)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제2역전방지나사받이(74)는 하부면에 제2톱니(75)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제1역전방지나사받이(71)의 제1캠면(73)과 맞물리도록 각도조절볼트(33)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제2캠면(76)이 형성되며;
댐퍼축(24)의 양단에는 황동이나 청동 재질의 부시(25)가 끼워지며, 부시(25)에는 부시(25)의 표면에 형성되며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중간층과, 상기 중간층 위에 형성되며 고경질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도포층이 도포되며, 상기 중간층은 Ti, Cr, Zr, Cu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금속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0.1~1.0㎛이며;
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흡음층이 도포되되,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니들펀치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3 ~ 15㎜이고,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0582A KR101651445B1 (ko) | 2015-12-02 | 2015-12-02 |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0582A KR101651445B1 (ko) | 2015-12-02 | 2015-12-02 |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1445B1 true KR101651445B1 (ko) | 2016-08-26 |
Family
ID=5688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0582A KR101651445B1 (ko) | 2015-12-02 | 2015-12-02 |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144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90043A (zh) * | 2020-12-23 | 2021-05-14 | 国视农实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智慧农场管理系统 |
KR20210120762A (ko) | 2020-03-27 | 2021-10-07 | 배성순 | 양계장의 양계활동공간영역의 공기정화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37660U (ko) * | 1989-04-19 | 1990-11-16 | ||
KR20010107063A (ko) * | 2000-05-25 | 2001-12-07 | 김해수 | 공조 공기 토출 방향 및 각도 가변 기능을 갖는 토출구 |
JP2009275993A (ja) * | 2008-05-15 | 2009-11-26 | Dairitsu:Kk | ダンパ |
KR101049059B1 (ko) * | 2010-07-23 | 2011-07-15 | 유용석 | 열전도 효율이 우수한 전기온풍기 |
-
2015
- 2015-12-02 KR KR1020150170582A patent/KR1016514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37660U (ko) * | 1989-04-19 | 1990-11-16 | ||
KR20010107063A (ko) * | 2000-05-25 | 2001-12-07 | 김해수 | 공조 공기 토출 방향 및 각도 가변 기능을 갖는 토출구 |
JP2009275993A (ja) * | 2008-05-15 | 2009-11-26 | Dairitsu:Kk | ダンパ |
KR101049059B1 (ko) * | 2010-07-23 | 2011-07-15 | 유용석 | 열전도 효율이 우수한 전기온풍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0762A (ko) | 2020-03-27 | 2021-10-07 | 배성순 | 양계장의 양계활동공간영역의 공기정화장치 |
CN112790043A (zh) * | 2020-12-23 | 2021-05-14 | 国视农实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智慧农场管理系统 |
CN112790043B (zh) * | 2020-12-23 | 2022-07-26 | 国视农实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智慧农场管理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1445B1 (ko) | 하우스 및 양계장 온풍기 | |
KR101688964B1 (ko) | 태양광모듈 효율 증대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 |
JP3864705B2 (ja) | 熱放射性表面処理材 | |
JP2624291B2 (ja) | 遠赤外線ヒータ | |
AU2003206643B2 (en) | Plane metal component | |
PT1204486E (pt) | Processos para o revestimento de um substrato metalico com uma composicao de revestimento electrodepositada e para a secagem do mesmo | |
CN1775870A (zh) | 一种基于红外辐射体的抗腐蚀、节能涂料 | |
CN108065749A (zh) | 一种在水性陶瓷不粘涂层上形成油墨标记的方法和不粘锅具及其制造方法 | |
KR101031841B1 (ko) | 풍량, 풍속, 풍향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냉방기 겸 항온항습기 | |
KR101657458B1 (ko) | 공장 고도창문 자동개폐장치 | |
KR20160064459A (ko) | 고체 연료를 사용한 난방기의 역화방지용 연소장치 | |
KR200285061Y1 (ko) | 벽난로 전면유리의 그을음 방지장치 | |
JP6466077B2 (ja) | 塗装金属板 | |
CN209431891U (zh) | 一种热能回收利用的不粘锅涂料高温烧结炉 | |
CN109163574A (zh) | 一种热能回收利用的不粘锅涂料高温烧结炉 | |
JPS6334431A (ja) | 空気調和機 | |
JPH11335596A (ja) | 遠赤外線輻射型抗菌脱臭性塗料組成物、基板、フィルム及び遠赤外線輻射パネル | |
KR200256548Y1 (ko) | 원적외선 건조기 | |
KR101625438B1 (ko) | 농산물 건조기 및 그 건조방법 | |
CN220321408U (zh) | 一种炉具节能防风罩 | |
CN212883183U (zh) | 一种均匀热烘干的涂装室 | |
CN218993406U (zh) | 烟道降温装置 | |
CN219940382U (zh) | 一种空气炸锅 | |
CN215062887U (zh) | 一种可调节冷却风分布的直燃式热风炉炉膛 | |
JPS5862437A (ja) | 赤外線放射複合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