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099B1 -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 - Google Patents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099B1
KR101651099B1 KR1020160070056A KR20160070056A KR101651099B1 KR 101651099 B1 KR101651099 B1 KR 101651099B1 KR 1020160070056 A KR1020160070056 A KR 1020160070056A KR 20160070056 A KR20160070056 A KR 20160070056A KR 101651099 B1 KR101651099 B1 KR 10165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creen
neck
p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김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석 filed Critical 김형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099B1/ko
Priority to PCT/KR2016/01545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885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는, 테두리부가 마련되고 테두리부 안쪽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모니터 본체; 복수로 구성되면서, 상기 모니터 본체의 수용부에 대응하여 수용되는 화면부; 및 상기 화면부가 수용부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화면부와 수용부를 연결하는 신축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MONITOR FOR PREVENTING FORWARD HEAD POSTURE}
본 발명은 모니터 사용시 안정적인 목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북목 증후군(forward head posture)은 목을 앞으로 뺀 자세를 말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체 목뼈 수가 7개인데 정상적으로는 귀가 어깨뼈봉우리와 같은 수직면 상에 있고 7개의 목뼈는 앞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서 배열되어 있다. 이를 경추 전만이라고 한다. 거북목 자세는 아래쪽 목뼈는 과하게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위쪽 목뼈와 머리뼈는 머리를 젖히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목뼈 전만이 소실되고 머리가 숙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개가 앞으로 빠진 자세이다. 이러한 거북목 자세는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 컴퓨터 모니터는 화면의 위치 조절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모니터 사용자는 모니터 화면을 더욱 가깝게 보기 위해 고개를 앞으로 내밀면서 목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목자세를 지속적으로 취할 경우 목의 커브가 점점 일직선으로 변해 정상적인 C자 모양의 범주를 벗어난 거북목 증후군이나 목 뼈 사이 디스크가 본래 자리에서 이탈해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목디스크 등과 같은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9590호는 "모니터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모니터 화면 쪽으로 목을 뺀 거북목 자세를 취하지 않도록 모니터 화면을 사용자의 눈 쪽으로 당길 수 있는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는, 테두리부가 마련되고 테두리부 안쪽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모니터 본체; 복수로 구성되면서, 상기 모니터 본체의 수용부에 대응하여 수용되는 화면부; 및 상기 화면부가 수용부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화면부와 수용부를 연결하는 신축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2개의 링크 연결점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X자 형상으로 교차된 크로스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링크를 복수로 연결하여 일 방향으로 늘어놓고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안테나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부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 한 쌍의 화면부를 듀얼 모니터로 사용하거나 또는 좌우 한 쌍의 화면부를 서로 밀착시켜 하나의 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부는 정면 전체가 영상 출력이 가능한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에 의하면, 모니터 화면을 사용자의 눈 쪽으로 끌어올 수 있어 사용자의 목이 거북목이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어느 한쪽의 화면부가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양쪽의 화면부 모두가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한 쌍의 화면부를 듀얼 모니터로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한 쌍의 화면부를 하나의 모니터로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에 수용된 화면부를 바라볼 때의 사용자 목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화면부를 바라볼 때의 사용자 목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는, 테두리부(11) 및 테두리부(11)의 안쪽에 수용부(12)가 구비되는 모니터 본체(10), 수용부(12)에 수용되는 복수의 화면부(20) 및 화면부(20)와 수용부(12)를 연결하는 신축부재(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모니터 본체(10)는 사각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외곽 테두리부(11) 및 외곽 테두리부(11)의 안쪽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화면부(20)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2)를 포함한다. 수용부(12)는 수용되는 화면부(20)에 부합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화면부(20)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좌우 한 쌍의 화면부(20)는 모니터 본체(10)의 수용부(12)에 대응하여 수용된다. 화면부(20)는 LED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모니터는 일반 램프를 대신해 LED가 광원이 되어 직접 패널에 빛을 내는 백라이트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일반 LCD 모니터보다 전력소비가 낮고 화질이 좋으며 얇은 두께와 저 발열, 모니터 화면의 변색이 덜한 장점이 있다.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는 화면부(20)는 동일 크기와 모양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재(30)는 개별 화면부(20)와 수용부(12)를 연결한다. 신축부재(30)는 2개의 링크 연결점(32)에서 회동 가능하게 교차 연결되는 크로스 링크(31)들이 조합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신축부재(30)는 크로스 링크(31)을 복수로 연결하여 일 방향으로 늘어놓고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로 형성된다. 크로스 링크(31)는 "X"와 같은 형상으로 교차되게 연결된다. 링크 연결점(32)은 힌지축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축부재(30)는 신장 축소가 가능한 안테나와 같은 구조일 수도 있다. 신축부재(30)와 화면부(20)는 볼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신축부재(30)와 수용부(12)는 볼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볼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경우 화면부(20)를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화면부(20)는 신축부재(30)에 의해 수용부(12)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 가능하다. 화면부(20)가 수용부(12)에 수용되면 신축부재(30)의 길이는 축소된다. 반대로 화면부(20)를 수용부(12)로부터 벗어나도록 잡아당기면 X자 형태의 크로스 링크(31)가 링크 연결점(3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펴지기 때문에 신축부재(30)의 길이가 신장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화면부(20)는 듀얼 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화면부(20)를 밀착시켜 하나의 모니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좌우 한 쌍의 화면부(20)는 정면 전체를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출력영상이 가려지는 테두리부가 없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다음은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모니터 본체(10)의 수용부(12)에 화면부(20)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모니터 사용자는 모니터 화면을 더욱 가깝게 보기 위해 고개를 앞으로 내밀면서 목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 거북목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모니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목에 과도한 물리가 가해져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으로 이러질 수 있다.
이러한 거북목을 방지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화면부(20)를 사용자의 눈 쪽으로 당긴다. 이와 같이 화면부(20)를 사용자의 눈 쪽으로 당길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 화면을 더욱 가깝게 보기 위해 고개를 앞으로 내밀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목이 화면부(20) 쪽으로 쏠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안정된 목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거북목을 예방할 수 있다.
모니터 사용 후에는 도 6과 같이 사용자 눈 쪽으로 당겨져 있던 화면부(20)를 모니터 본체(10)의 수용부(12)에 들어가도록 원위치 시킨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는, 모니터 화면을 사용자의 눈 쪽으로 당길 수 있다. 이로 인해 목의 커브가 점점 일직선으로 변해 정상적인 C자 모양의 범주를 벗어난 거북목 증후군이나, 목 뼈 사이 디스크가 본래 자리에서 이탈해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목디스크 등과 같은 질병으로부터 사용자의 목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모니터 본체 11:테두리부
12:수용부 20:화면부
30:신축부재 31:크로스 링크
32:링크 연결점

Claims (5)

  1. 테두리부가 마련되고 테두리부 안쪽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모니터 본체; 복수로 구성되면서, 상기 모니터 본체의 수용부에 대응하여 수용되는 화면부; 및 상기 화면부가 수용부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화면부와 수용부를 연결하는 신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부는 정면 전체가 영상 출력이 가능한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방지용 듀얼 모니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2개의 링크 연결점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X자 형상으로 교차된 크로스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링크를 복수로 연결하여 일 방향으로 늘어놓고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방지용 듀얼 모니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안테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방지용 듀얼 모니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 한 쌍의 화면부를 듀얼 모니터로 사용하거나 또는 좌우 한 쌍의 화면부를 서로 밀착시켜 하나의 모니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방지용 듀얼 모니터.
  5. 삭제
KR1020160070056A 2016-04-27 2016-06-07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 KR10165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5452 WO2017188556A1 (ko) 2016-04-27 2016-12-29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15 2016-04-27
KR20160051515 2016-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099B1 true KR101651099B1 (ko) 2016-08-25

Family

ID=5688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056A KR101651099B1 (ko) 2016-04-27 2016-06-07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1099B1 (ko)
WO (1) WO20171885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840A1 (ko) * 2018-12-26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세 교정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30058768A (ko)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현아이디어 모니터 장착용 경추보호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589U (ko) * 1999-05-31 2000-12-26 윤종용 디스플레이의 전후 이동이 가능한 엘씨디 모니터
KR20020022690A (ko) * 1999-06-09 2002-03-27 파노람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 패널 비디오 디스플레이
KR100464265B1 (ko) * 2004-06-03 2005-01-03 코스텔(주) 매립형 다기능 티브이 장치
KR20080063705A (ko) * 2007-11-12 2008-07-07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
KR20080086607A (ko) * 2007-03-23 2008-09-2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모니터 내장형 전자기기
KR20140064156A (ko) * 2012-11-19 2014-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1694A (ko) * 2015-06-08 2015-06-26 노인철 드론을 이용한 수중 탐색 방법
KR101545248B1 (ko) * 2015-01-29 2015-08-20 주식회사 시공문화 이물질 유입 차단을 위한 진열장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589U (ko) * 1999-05-31 2000-12-26 윤종용 디스플레이의 전후 이동이 가능한 엘씨디 모니터
KR20020022690A (ko) * 1999-06-09 2002-03-27 파노람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 패널 비디오 디스플레이
KR100464265B1 (ko) * 2004-06-03 2005-01-03 코스텔(주) 매립형 다기능 티브이 장치
KR20080086607A (ko) * 2007-03-23 2008-09-2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모니터 내장형 전자기기
KR20080063705A (ko) * 2007-11-12 2008-07-07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듀얼 모니터
KR20140064156A (ko) * 2012-11-19 2014-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45248B1 (ko) * 2015-01-29 2015-08-20 주식회사 시공문화 이물질 유입 차단을 위한 진열장
KR20150071694A (ko) * 2015-06-08 2015-06-26 노인철 드론을 이용한 수중 탐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840A1 (ko) * 2018-12-26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세 교정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30058768A (ko)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현아이디어 모니터 장착용 경추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556A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3555B2 (en) Mounting device couplable to a human head
JP4440878B2 (ja) 画像表示装置
US5703605A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9039169B2 (en) Support member for wearable instrument and head-mounted wearable device
CN209879142U (zh) 虚拟现实或增强现实的头戴式视图器
US20180031847A1 (en) Eyeglass-type display apparatus
JP2001108935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7398715B2 (ja) 表示装置
WO2019001575A1 (zh) 可穿戴显示器
JP2004537227A (ja) イメージディスプレイ方法およびイメージディスプレイ装置
WO2021043305A1 (zh) 面罩及头戴式显示设备
JPH03214872A (ja) 眼鏡型網膜直接表示装置
US9134548B1 (en) Retention member for a lens system
CN104166237A (zh) 虚像显示装置
KR101651099B1 (ko) 거북목 방지용 모니터
CN113316738A (zh) 显示装置
WO2018149267A1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显示方法及设备
EP1202104A1 (en) Head mountable display device
WO2022032914A1 (zh) 头戴显示设备支架和智能近眼显示装置
KR20220076711A (ko) 스마트 글라스
JP4341114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CN111929899A (zh) 一种增强现实头戴显示设备
US20080259272A1 (en) Eyewear for Redirected Viewing
Eivazi et al. An inconspicuous and modular head-mounted eye tracker
CN211014847U (zh) 一种头戴式医用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