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277B1 -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 Google Patents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277B1
KR101650277B1 KR1020150132352A KR20150132352A KR101650277B1 KR 101650277 B1 KR101650277 B1 KR 101650277B1 KR 1020150132352 A KR1020150132352 A KR 1020150132352A KR 20150132352 A KR20150132352 A KR 20150132352A KR 101650277 B1 KR101650277 B1 KR 10165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block
block
protrusion
centr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회
Original Assignee
김성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회 filed Critical 김성회
Priority to KR102015013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04B33/135Combustion residues, e.g. fly ash, incineration waste
    • C04B33/1355Incineration residues
    • C04B33/1357Sewage sludge ash or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중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하천의 연약지반에도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비중의 단위체를 조립에 의해 하천의 바닥에 수중에서 설치하되 황토분말 등이 내포된 단위체 보호블록들의 조립체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황토성분에 의해 하천의 수질이 정화처리되도록 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천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친환경적으로 하천의 바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으로 적용되어 베이스 프레임이나 구속바에 의해 내부 일정영역에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다수 개로 하천의 바닥에 안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대규모의 군락 등으로 수생 동,식물에 대한 서식영역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Manufacturing method for aquatic animal/plant protection block having green algae prevention function and aquatic animal/plant protection block thereof}
본 발명은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중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하천의 연약지반에도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비중의 단위체를 조립에 의해 하천의 바닥에 수중에서 설치하되 황토분말 등이 내포된 단위체 보호블록들의 조립체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황토성분에 의해 하천의 수질이 정화처리되도록 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천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친환경적으로 하천의 바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으로 적용되어 베이스 프레임이나 구속바에 의해 내부 일정영역에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다수 개로 하천의 바닥에 안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대규모의 군락 등으로 수생 동,식물에 대한 서식영역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물이란 없어서는 안 되는 꼭 필요한 요소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우리에게는 걱정 없는 풍부한 자원이었으며, 그래서 우리는 마구 물을 낭비하고 훼손하는 등 물의 중요성을 알지 못했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각종환경이 무관심과 이기주의적 발전을 위한 폐해로 인하여 오염되고 파괴되어 우리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우리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물은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소재가 되었고 물에 대한 정의와 해석 또한 활발한 연구를 통해 속속 밝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수질오염의 원인을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낸다면 첫째로는 과다한 오염물질의 배출을 들 수 있으며, 둘째로는 순환용량의 부족을 들 수 있으며, 셋째로는 강수량의 계절적 편중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둘째와 셋째는 자연적인 조건으로서 개선하는 데는 제약이 있으며, 수질오염을 줄이는 길은 첫째 원인 즉,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수밖에 없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오염물질의 배출 등으로 인하여 하천 등에는 녹조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도시인구가 급증하고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각종 생산활동과 인간생활이 또한 다원화되고 경제가 발전하면서 소비활동이 커졌다.
모든 인간활동이 고도산업화에 따라 양적으로 많고, 그리고 질적으로 매우 악질인 물질들이 배출되어 상수원을 오염시키고 있다.
실로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버려지는 쓰레기와 하수 중에도 과거에는 없었던 합성세제와 각종 화학물질들이 배출되고 있다.
특히, 도시에서의 세차장, 세탁소, 가내공업 및 서비스업체에서도 각종 유해성 화학물질을 배출, 농촌에서는 과도하게 농약을 사용, 또한 각종 공장 및 산업장에서 수많은 유독성 물질 등으로 인하여 상수원을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국민은 상수원수질에 의심을 갖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쾌적한 환경과 맑은 물에 대한 국민의 욕구에 부응하고 경제의 지속적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수질보전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상수원의 수질이 양호하여야 상수처리도 간편하고 그 수질의 안전성도 보장이 된다. 그러나 상수원의 수질 오염이 심하면 그에 따라 비용이 많이 드는 고도 정수처리 과정을 거치는 하천 정화 시설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하천 정화 시설보다 친환경적으로 하천을 자정할 수 있는 구조를 상류에 설치하여 다양한 수생식물과 수생생물들이 서식하게 하여 자연적으로 하천수를 정화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하천을 개발한다는 명목하에 무분별한 정비를 하여 오히려 하천의 자정능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오염물질의 배출 등으로 인한 수질오염에 의하여 하천 등에 녹조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하천의 바닥에 수생식물 및 수생동물의 서식 및 보호를 위한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설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단면 상반부는 콘크리트층으로, 단면 하반부는 다공질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되며, 체결고리를 갖는 금속프레임이 다공질 콘크리트층에 매입 설치되어 블록 본체를 구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은 특히,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층의 기공에는 고압 분사에 의해 황토, 거름, 키토산, 종자, 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충전시킴으로써, 블록 자체에서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생식물 보호블록에 있어서는, 블록의 단면 하반부인 다공질 콘크리트층에 분사에 의해 황토 등을 분사할 경우,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층 저부에 황토가 단순히 코팅되는 상태로 부착되어, 하천수 등에 의해 상기 황토가 쉽게 유실되는 관계로, 식물의 식생에 커다란 영향을 받을 수 없게 됨은 물론, 특히 블록 상반부의 콘크리트층에 의해 지면의 수초 등의 수생식물이 식생할 수 없게 되어, 환경 친화적인 하천의 제방 등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블록의 단면 하반부인 다공질 콘크리트층에는 금속 프레임을 매입하여 설치하는 관계로,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작이 어렵게 되면서도, 하천수 또는 빗물 등과 쉽게 접하게 되는 금속의 산화에 따른 녹의 발생에 의해, 수초 등의 수생식물 및 어류 등의 수생동물의 서식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며, 이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하천의 생태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하천의 바닥에 단위체를 조립에 의해 수중에서 설치하는 한편, 황토분말 등이 내포된 블록들의 조립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수중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군락 등의 대규모 수생식물 서식영역을 조성하거나 수생동물의 서식영역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황토성분에 의해 하천의 수질이 정화처리되도록 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천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친환경적으로 하천의 바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16387호 2006.08.21.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45083호 2006.11.03.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중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하천의 연약지반에도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작은 비중의 단위체를 조립에 의해 하천의 바닥에 수중에서 설치하되 황토분말 등이 내포된 단위체 보호블록들의 조립체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황토성분에 의해 하천의 수질이 정화처리되도록 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천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친환경적으로 하천의 바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으로 적용되어 베이스 프레임이나 구속바에 의해 내부 일정영역에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다수 개로 하천의 바닥에 안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대규모의 군락 등으로 수생 동,식물에 대한 서식영역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은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을 제조하되, 슬러지 20 내지 37 중량%, 패각 10 내지 25 중량%, 점토 10 내지 27 중량%, 황토혼합물 25 내지 42 중량%, 세라믹 15 내지 25 중량% 및 경화제 3 내지 10 중량%를 준비 및 혼합하여 원료를 얻는 원료 준비단계; 상기 원료 준비단계를 거쳐 준비된 원료를 각각의 성형틀에 수용시켜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의 3가지 타입의 블록으로 성형하는 블록 성형단계; 상기 블록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의 3가지 타입 블록을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되는 터널식 건조로를 통화시키면서 70~50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쳐 건조된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의 3가지 타입 블록을 950~1,350℃의 소성로에서 30분 동안 소성하는 소성단계; 및 상기 소성단계를 거쳐 소성된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의 3가지 타입 블록을 10분 동안 질소 냉각하는 냉각단계를 수행하여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상기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료 준비단계에서의 슬러지는 석분슬러지 50 중량% 및 하수슬러지 50 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료 준비단계에서의 황토혼합물은 황토 60 내지 80 중량%와, 활성탄 10 내지 30 중량%와, 고화제 2 내지 6 중량% 및 물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제공됨이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은 하천 바닥면 상에 수중에서 조립 설치되어 수생식물의 서식상태를 보호함과 동시에 하천의 수질을 정화처리하는 것으로, 하천 바닥면 상에 안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블록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하부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블록본체의 상부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상부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블록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상부연결돌기가 연결되는 하부연결대가 돌출 형성되어, 하부에 둘레방향으로 상기 하부보호블록이 복수 개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중앙블록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기 하부연결대와 대응되어 복수 개로 상부연결대가 돌출 형성되는 중앙보호블록; 상기 중앙보호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블록본체의 하부 일측에 상기 중앙블록본체의 상부연결대와 연결되는 하부연결돌기가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보호블록과 대향되어 상기 중앙보호블록의 상부에 복수 개로 연결설치되는 상부보호블록; 및 상기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을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연결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이 상기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링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에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절개라인을 벌려 상기 상부연결돌기와 하부연결대, 상기 상부연결대와 하부연결돌기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되며, 내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돌기가 내향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보호블록은 상기 상부연결돌기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연결링의 고정돌기가 삽입고정되는 제1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중앙보호블록은 상기 하부연결대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연결링의 고정돌기가 삽입고정되는 제2고정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대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연결링의 고정돌기가 삽입고정되는 제3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상부보호블록은 상기 하부연결돌기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연결링의 고정돌기가 삽입고정되는 제4고정홈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중에서 상기 연결링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돌기와 하부연결대 또는 상기 상부연결대와 하부연결돌기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시, 상기 상부연결돌기와 하부연결대 또는 상기 상부연결대와 하부연결돌기가 밀착된 부분으로부터 수중의 물이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연결링이 긴밀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보호블록은 상기 상부연결돌기의 단부 면상에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제1유동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중앙보호블록은 상기 하부연결대의 단부 면상에 상기 제1유동홈과 대응되어 제2유동홈이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연결대의 단부 면상에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제3유동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상부보호블록은 상기 하부연결돌기의 단부 면상에 상기 제3유동홈과 대응되어 제4유동홈이 함몰 형성되며, 수중에서 상기 연결링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돌기와 하부연결대 또는 상기 상부연결대와 하부연결돌기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시, 상기 제1유동홈과 제2유동홈에 의해 형성된 공간 또는 상기 제3유동홈과 제4유동홈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수중의 물이 외부로 방출되면서 상기 연결링이 긴밀하게 밀착고정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연결링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에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절개라인을 벌려 상기 상부연결돌기와 하부연결대, 상기 상부연결대와 하부연결돌기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에 절개라인이 형성되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보호블록의 하부블록본체, 중앙보호블록의 중앙블록본체, 상부보호블록의 상부블록본체는 각기 표면에 다수의 함몰홈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함몰 형성됨이 양호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은 상기 연결링에 의해 상기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이 각기 4개, 1개, 4개로 상호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는 한편, 중공의 판 상으로 둘레를 따라 면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공이 다수 개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이 해저면 상에 안착된 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보호블록이 복수 개로 안착 고정되되, 상기 보호블록 중 하부보호블록의 하부지지돌기가 상기 설치공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보호블록이 복수 개로 안착 고정된 후 내부 공간에 상기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 또는 보호블록이 다수 개로 삽입 배치되어 군락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은 상기 연결링에 의해 상기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이 각기 4개, 1개, 4개로 상호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는 한편,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구속 바에 의해 평면에서 봤을 때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구속 바의 상호 마주하는 내측 구속공간의 하천 바닥면 상에, 상기 보호블록이 다수 개로 삽입 배치되어 군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중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하천의 연약지반에도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비교적 작은 비중의 단위체를 조립에 의해 하천의 바닥에 수중에서 설치하되 황토분말 등이 내포된 단위체 보호블록들의 조립체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황토성분에 의해 하천의 수질이 정화처리되도록 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천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친환경적으로 하천의 바닥에 적용될 수 있다.
셋째, 연결링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상부보호블록으로 적용되어 베이스 프레임이나 구속바에 의해 내부 일정영역에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다수 개로 하천의 바닥에 안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대규모의 군락 등으로 수생 동,식물에 대한 서식영역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및 상부보호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요부인 하부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요부인 중앙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요부인 상부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하천 바닥에 설치시 수생식물이 군락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 하부보호블록의 하부가 고정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하천 바닥에 설치시, 수생식물이 군락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하천 바닥에 설치시 수생식물이 군락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수 개의 보호블록이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둘레를 구속하는 구속 바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에 대한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어 수생식물의 서식을 위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하부보호블록, 중앙보호블록 및 상부보호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을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요부인 하부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요부인 중앙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요부인 상부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의 제조방법은 연결링(15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으로 구성된 보호블록(100)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은 크게 분류하여, 원료 준비단계(S110), 블록 성형단계(S120), 건조단계(S130), 소성단계(S140) 및 냉각단계(S150)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으로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원료 준비단계(S110)는 슬러지 20 내지 37 중량%, 패각 10 내지 25 중량%, 점토 10 내지 27 중량%, 황토혼합물 25 내지 42 중량%, 세라믹 15 내지 25 중량% 및 경화제 3 내지 10 중량%를 준비 및 혼합하여 원료를 얻는 과정으로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원료 준비단계(S110)에서의 슬러지는 석분슬러지 50 중량% 및 하수슬러지 50 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원료 준비단계(S110)에서의 황토혼합물은 황토 60 내지 80 중량%와, 활성탄 10 내지 30 중량%와, 고화제 2 내지 6 중량% 및 물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황토는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아 수질 오염에 대한 위험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수생 동,식물이 잘살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활성탄은 상기 황토와 마찬가지로 음이온을 발생하여 녹조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질 정화 및 생물 탈취 기능을 함으로써 황토혼합물에 사용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황토혼합물에 사용되는 상기 활성탄을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음이온 발생량이 매우 미약할 뿐만 아니라 수질 정화 및 생물 탈취 기능이 매우 미약하며 3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상기 활성탄은 10 중량% 내지 30 중량% 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화제를 2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수중에서 황토가 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6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강도는 강해지나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고화제는 2중량% 내지 6 중량% 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황토혼합물을 통하여, 특히 황토 및 활성탄으로부터 수생 동,식물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음이온이 발생함으로써 수생 동,식물이 서식하기에 최적의 장소를 제공함과 동시에 녹조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하천의 수질 정화 및 생물 탈취 효과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은 하천 바닥면 상에 수중에서 조립 설치되어 수생식물의 서식상태를 보호함과 동시에 하천의 수질을 정화처리하는 단위체 보호블록들의 조립체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은 크게 분류하면,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 및 연결링(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보호블록(110)는 하천 바닥면 상에 안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블록본체(111)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하부지지돌기(11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블록본체(111)의 상부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상부연결돌기(11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은 중앙블록본체(121)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상부연결돌기(113)가 연결되는 하부연결대(123)가 돌출 형성되어, 하부에 둘레방향으로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이 복수 개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중앙블록본체(121)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기 하부연결대(123)와 대응되어 복수 개로 상부연결대(12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보호블록(130)은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블록본체(131)의 하부 일측에 상기 중앙블록본체(121)의 상부연결대(125)와 연결되는 하부연결돌기(135)가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보호블록(110)과 대향되어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의 상부에 복수 개로 연결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링(150)은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을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은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이 각기 4개, 1개, 4개로 상호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은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이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링(15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에 절개라인(151)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절개라인(151)을 벌려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되며, 내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돌기(155)가 내향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은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연결링(150)의 고정돌기(155)가 삽입고정되는 제1고정홈(113a)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은 상기 하부연결대(123)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연결링(150)의 고정돌기(155)가 삽입고정되는 제2고정홈(123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대(125)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연결링(150)의 고정돌기(155)가 삽입고정되는 제3고정홈(125a)이 함몰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보호블록(130)은 상기 하부연결돌기(135)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연결링(150)의 고정돌기(155)가 삽입고정되는 제4고정홈(135a)이 함몰 형성된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은 수중에서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또는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시,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또는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부분으로부터 수중의 물이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연결링(150)이 긴밀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은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의 단부 면상에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제1유동홈(113b)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은 상기 하부연결대(123)의 단부 면상에 상기 제1유동홈(113b)과 대응되어 제2유동홈(123b)이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연결대(125)의 단부 면상에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제3유동홈(125b)이 함몰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보호블록(130)은 상기 하부연결돌기(135)의 단부 면상에 상기 제3유동홈(125b)과 대응되어 제4유동홈(135b)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및 상부보호블록(130)의 세부구성을 통하여, 수중에서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또는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시, 상기 제1유동홈(113b)과 제2유동홈(123b)에 의해 형성된 공간 또는 상기 제3유동홈(125b)과 제4유동홈(135b)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수중의 물이 외부로 방출되면서 상기 연결링(150)이 긴밀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연결링(15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에 절개라인(151)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절개라인(151)을 벌려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에 절개라인(151)이 형성되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의 하부블록본체(111), 중앙보호블록(120)의 중앙블록본체(121), 상부보호블록(130)의 상부블록본체(131)는 각기 표면에 다수의 함몰홈(111a, 121a, 131a)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다수의 함몰홈(111a, 121a, 131a)은 특히, 불규칙한 크기로 함몰 성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하천 바닥에 설치시 수생식물이 군락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 하부보호블록의 하부가 고정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하천 바닥에 설치시, 수생식물이 군락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예시도이다.
도 7 및 8을 함께 참조하면,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은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이 각기 4개, 1개, 4개로 상호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된다.
이러한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는 상기 보호블록(100)은 중공의 판 상으로 둘레를 따라 면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공(210)이 다수 개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200)이 해저면 상에 안착된 후,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상에 상기 보호블록(100)이 복수 개로 안착 고정되되, 상기 보호블록(100) 중 하부보호블록(110)의 하부지지돌기(112)가 상기 설치공(210)에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상에 상기 보호블록(100)이 복수 개로 안착 고정된 후 내부 공간에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 또는 보호블록(100)이 다수 개로 삽입 배치되어 군락을 형성하도록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사각형상의 중공의 판 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중공의 원 판 상 또는 다각형상의 중공의 판 상 등의 다양한 판형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에서, 특히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은 상기 하부블록본체(111)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하향 돌출 형성되는 상기 하부지지돌기(112)가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의 하부연결대(125)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지지돌기(112)가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의 하부연결대(125)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각 1개의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이 더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이 각기 4개, 1개, 4개로 상호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되,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는 보호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중앙보호블록(120) 등의 블록이 더 연결되는 등,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및 상부보호블록(130)을 다양한 개수로 추가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록들의 다양한 연장 구조로 연결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하천 바닥에 설치시 수생식물이 군락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수 개의 보호블록이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둘레를 구속하는 구속 바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은
연결링(150)에 의해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이 각기 4개, 1개, 4개로 상호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는 한편,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링크(310)에 의해 상호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구속 바(300)에 의해 평면에서 봤을 때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구속 바(300)의 상호 마주하는 내측 구속공간의 하천 바닥면 상에, 상기 보호블록(100)이 다수 개로 삽입 배치되어 군락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속 바(300)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링크(310)는 이웃하는 구속 바(300)의 연결링크(310)와 고정수단을 통하여 연결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속 바(300)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적용되어,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링크(310)에 의해 상호 연결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기 구속 바(300)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 형상 내부 공간에 상기 서식블록(100)이 다수 개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호블록(100)이 다수 개로 군락을 이루도록 상기 구속 바(300)에 의해 구속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구속 바(300)의 두께는 상기 보호블록(100)의 높이를 기준으로 적어도 1/2 이상의 높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이, 구속 바(300)의 두께가 상기 서식블록(100)의 높이를 기준으로 적어도 1/2 이상의 높이로 제공됨으로써 다수 개의 구속 바(300)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 형상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보호블록(100)에 대한 상기 구속 바(300)에 의해 형성된 내측 구속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상기 보호블록(100)에 의해 군락 형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에 대한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어 수생식물의 서식을 위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에 대한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이 각기 4개, 1개, 4개로 상호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이 하천의 바닥 상에 다수 개로 설치되어, 수생식물이나 수생동물의 서식이 하천의 수중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동,식물 보호블록에 의하면, 연결링(15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중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하천의 연약지반에도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작은 비중의 단위체를 조립에 의해 하천의 바닥에 수중에서 설치하되 황토분말 등이 내포된 단위체 보호블록들(110, 120, 130)의 조립체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황토성분에 의해 하천의 수질이 정화처리되도록 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천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친환경적으로 하천의 바닥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링(15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으로 적용되어 베이스 프레임(200)이나 구속바(300)에 의해 내부 일정영역에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을 다수 개로 하천의 바닥에 안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대규모의 군락 등으로 수생 동,식물에 대한 서식영역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보호블록
110: 하부보호블록 111: 하부블록본체
111a: 함몰홈 112: 하부지지돌기
113: 상부연결돌기 113a: 제1고정홈
113b: 제1유동홈
120: 중앙보호블록
121: 중앙블록본체 121a: 함몰홈
123: 하부연결대 123a: 제2고정홈
123b: 제2유동홈 125: 상부연결대
125a: 제3고정홈 125b: 제3유동홈
130: 상부보호블록
131: 상부블록본체 131a: 함몰홈
135: 하부연결돌기 135a: 제4고정홈
135b: 제4유동홈
150: 연결링
151: 절개라인 155: 고정돌기
200: 베이스 프레임 210: 설치공
300: 구속 바 310: 연결링크

Claims (10)

  1.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식물 보호블록(10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결링(15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을 제조하되,
    슬러지 20 내지 37 중량%, 패각 10 내지 25 중량%, 점토 10 내지 27 중량%, 황토혼합물 25 내지 42 중량%, 세라믹 15 내지 25 중량% 및 경화제 3 내지 10 중량%를 준비 및 혼합하여 원료를 얻는 원료 준비단계(S110);
    상기 원료 준비단계(S110)를 거쳐 준비된 원료를 각각의 성형틀에 수용시켜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의 3가지 타입의 블록으로 성형하는 블록 성형단계(S120);
    상기 블록 성형단계(S120)를 통해 성형된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의 3가지 타입 블록을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되는 터널식 건조로를 통화시키면서 70~50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단계(S130);
    상기 건조단계(S130)를 거쳐 건조된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의 3가지 타입 블록을 950~1,350℃의 소성로에서 30분 동안 소성하는 소성단계(S140); 및
    상기 소성단계(S140)를 거쳐 소성된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의 3가지 타입 블록을 10분 동안 질소 냉각하는 냉각단계(S150)를 수행하여 연결링(15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준비단계(S110)에서의 슬러지는 석분슬러지 50 중량% 및 하수슬러지 50 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준비단계(S110)에서의 황토혼합물은 황토 60 내지 80 중량%와, 활성탄 10 내지 30 중량%와, 고화제 2 내지 6 중량% 및 물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4. 하천 바닥면 상에 수중에서 조립 설치되어 수생식물의 서식상태를 보호함과 동시에 하천의 수질을 정화처리하는 것으로,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조립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100)에 있어서,
    하천 바닥면 상에 안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블록본체(111)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하부지지돌기(11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블록본체(111)의 상부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상부연결돌기(113)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블록본체(121)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상부연결돌기(113)가 연결되는 하부연결대(123)가 돌출 형성되어, 하부에 둘레방향으로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이 복수 개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중앙블록본체(121)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기 하부연결대(123)와 대응되어 복수 개로 상부연결대(125)가 돌출 형성되는 중앙보호블록(120);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블록본체(131)의 하부 일측에 상기 중앙블록본체(121)의 상부연결대(125)와 연결되는 하부연결돌기(135)가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보호블록(110)과 대향되어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의 상부에 복수 개로 연결설치되는 상부보호블록(130); 및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을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연결링(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이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링(15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에 절개라인(151)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절개라인(151)을 벌려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되며, 내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돌기(155)가 내향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은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연결링(150)의 고정돌기(155)가 삽입고정되는 제1고정홈(113a)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은 상기 하부연결대(123)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연결링(150)의 고정돌기(155)가 삽입고정되는 제2고정홈(123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대(125)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연결링(150)의 고정돌기(155)가 삽입고정되는 제3고정홈(125a)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상부보호블록(130)은 상기 하부연결돌기(135)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연결링(150)의 고정돌기(155)가 삽입고정되는 제4고정홈(135a)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수중에서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또는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시,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또는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부분으로부터 수중의 물이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연결링(150)이 긴밀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은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의 단부 면상에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제1유동홈(113b)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중앙보호블록(120)은 상기 하부연결대(123)의 단부 면상에 상기 제1유동홈(113b)과 대응되어 제2유동홈(123b)이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연결대(125)의 단부 면상에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제3유동홈(125b)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상부보호블록(130)은 상기 하부연결돌기(135)의 단부 면상에 상기 제3유동홈(125b)과 대응되어 제4유동홈(135b)이 함몰 형성되며,
    수중에서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또는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시, 상기 제1유동홈(113b)과 제2유동홈(123b)에 의해 형성된 공간 또는 상기 제3유동홈(125b)과 제4유동홈(135b)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수중의 물이 외부로 방출되면서 상기 연결링(150)이 긴밀하게 밀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15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에 절개라인(151)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절개라인(151)을 벌려 상기 상부연결돌기(113)와 하부연결대(123), 상기 상부연결대(125)와 하부연결돌기(135)가 밀착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에 절개라인(151)이 형성되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호블록(110)의 하부블록본체(111), 중앙보호블록(120)의 중앙블록본체(121), 상부보호블록(130)의 상부블록본체(131)는 각기 표면에 다수의 함몰홈(111a, 121a, 131a)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블록(100)은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이 각기 4개, 1개, 4개로 상호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는 한편,
    중공의 판 상으로 둘레를 따라 면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공(210)이 다수 개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200)이 해저면 상에 안착된 후,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상에 상기 보호블록(100)이 복수 개로 안착 고정되되, 상기 보호블록(100) 중 하부보호블록(110)의 하부지지돌기(112)가 상기 설치공(21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상에 상기 보호블록(100)이 복수 개로 안착 고정된 후 내부 공간에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 또는 보호블록(100)이 다수 개로 삽입 배치되어 군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블록(100)은 상기 연결링(150)에 의해 상기 하부보호블록(110), 중앙보호블록(120), 상부보호블록(130)이 각기 4개, 1개, 4개로 상호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되는 한편,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링크(310)에 의해 상호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구속 바(300)에 의해 평면에서 봤을 때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구속 바(300)의 상호 마주하는 내측 구속공간의 하천 바닥면 상에, 상기 보호블록(100)이 다수 개로 삽입 배치되어 군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KR1020150132352A 2015-09-18 2015-09-18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KR10165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352A KR101650277B1 (ko) 2015-09-18 2015-09-18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352A KR101650277B1 (ko) 2015-09-18 2015-09-18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277B1 true KR101650277B1 (ko) 2016-08-22

Family

ID=5685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352A KR101650277B1 (ko) 2015-09-18 2015-09-18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3827A (en) * 2017-06-21 2019-01-02 Univ Nottingham Trent Aquatic vegetation restoration device and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013B1 (ko) * 1999-12-28 2002-05-03 김진갑 바이오 세라믹 인공어초 제조용 조성물
KR100527114B1 (ko) * 2003-08-01 2005-11-09 주식회사 해중 인공어초용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16387B1 (ko) 2006-06-01 2006-08-29 주식회사 동호 하천 양안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어류와 수생식물의보호블럭
KR100645083B1 (ko) 2005-12-15 2006-11-10 동산콘크리트산업(주) 황토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KR100798893B1 (ko) * 2007-06-13 2008-01-29 권평곤 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KR20100081893A (ko) * 2009-01-06 2010-07-15 서선남 친환경 개량 테트라포드 제작 및 이를 이용한 해안이나 해중의 구조물로서 시공과 시공후 유지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013B1 (ko) * 1999-12-28 2002-05-03 김진갑 바이오 세라믹 인공어초 제조용 조성물
KR100527114B1 (ko) * 2003-08-01 2005-11-09 주식회사 해중 인공어초용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45083B1 (ko) 2005-12-15 2006-11-10 동산콘크리트산업(주) 황토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KR100616387B1 (ko) 2006-06-01 2006-08-29 주식회사 동호 하천 양안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어류와 수생식물의보호블럭
KR100798893B1 (ko) * 2007-06-13 2008-01-29 권평곤 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KR20100081893A (ko) * 2009-01-06 2010-07-15 서선남 친환경 개량 테트라포드 제작 및 이를 이용한 해안이나 해중의 구조물로서 시공과 시공후 유지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3827A (en) * 2017-06-21 2019-01-02 Univ Nottingham Trent Aquatic vegetation restoration device and method
GB2563827B (en) * 2017-06-21 2022-11-16 Univ Nottingham Trent Aquatic vegetation restoration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250B2 (en) Marine habitat systems
CN105836900B (zh) 一种生态净水系统
KR101309593B1 (ko) 녹조 발생억제와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
KR101650277B1 (ko)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 동,식물 보호블록
KR100582210B1 (ko)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KR100906601B1 (ko) 인공어초
CN212581599U (zh) 一种多功能生态修复设备
KR100633282B1 (ko) 환경 친화적인 자연 정화 침상 하수 처리장
KR101747531B1 (ko) 조립식 패류, 어류, 해조류 서식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738836B1 (ko) 바이오 세라믹 벽돌을 이용한 인공어초
KR101695104B1 (ko) 녹조 방지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생식물 보호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수생식물 보호블록
KR100616387B1 (ko) 하천 양안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어류와 수생식물의보호블럭
KR101579808B1 (ko) 수생식물 생육용 포트
KR101821775B1 (ko) 다기능 해중림초
KR101047454B1 (ko) 생태계 순환을 이용한 인공습지
KR102152613B1 (ko) 안전한 서식환경이 구비된 어류 서식처 및 시공방법
KR20000036996A (ko) 수경 농업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파이프 부체 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방법
KR100234567B1 (ko) 고무 콘크리트를 이용한 환경인공어초
RU2784508C1 (ru) Способ реабилитации водных объектов
KR200258348Y1 (ko) 세라믹 인공어초
CN110818088A (zh) 一种组合为各种造型、图形或字符的生态景观浮岛
JP4184292B2 (ja) 磯根資源増殖ブロック、及び増殖礁
KR200227404Y1 (ko) 어패류용 인공어초
JP4489919B2 (ja) 多孔質の陶磁物の製造方法
KR101357657B1 (ko) 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정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