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257B1 -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257B1
KR101650257B1 KR1020140186288A KR20140186288A KR101650257B1 KR 101650257 B1 KR101650257 B1 KR 101650257B1 KR 1020140186288 A KR1020140186288 A KR 1020140186288A KR 20140186288 A KR20140186288 A KR 20140186288A KR 101650257 B1 KR101650257 B1 KR 101650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measuring instrument
measurer
extension rod
curv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280A (ko
Inventor
정병용
장승우
최민석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2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5/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3/00Geometrical instruments
    • Y10S33/02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가공물의 직경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곡선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측정자가 구비되고, 양측 측정자는 곡선프레임의 측면으로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대형 가공물의 선반 가공시 심압대 센터를 분리하지 않고 심압대측 단면의 원형 가공부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측정 및 가공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diameter of large work}
본 발명은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물과 가공장치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가공 부분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의 터빈이나 제너레이터의 축은 직경이 큰 대형 축으로서 일반적인 마이크로미터나 버니어 캘리퍼스로는 직경 측정이 불가하다.
따라서 대형 가공물 측정용으로 만들어진 별도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내경 및 외경을 측정하고 있다.
종래의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기(1)와, 측정기(1)의 일측 단부에 선택적으로 연장 설치 가능한 연장봉(2)과, 측정기(1)의 타측 단부와 연장봉(2)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측정단(3,4)을 포함한다. 측정기(1)측 측정단(3)은 이동 가능하고 연장봉(2)측 측정단(4)은 고정되어 있다.
측정단(3,4)에는 대형 가공물의 직경 측정면에 접촉하는 측정자(3a,4a)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가공물(W)의 측정면(도시된 예는, 내경 측정의 일예이다.)에 측정자(3a,4a)를 접촉시키고, 측정기(1)의 눈금을 읽어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의 직경을 측정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는 양쪽 측정단(3,4)의 사이를 측정기(1) 및 연장봉(2)이 직선으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대형 가공물(W)이 선반에 장착하여 가공중인 대형 축이고 그 일단의 원형 가공부의 직경을 측정하고자 할 때, 연장봉(2)이 심압대 센터(tail stock center)(C)에 간섭되어 심압대 센터(C)가 세팅된 상태에서는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실례로 발전소용 터빈 로터의 래빗 핏(rabbit fit)이나 제너레이터 로터의 팬 링 핏(fan ring fit) 가공 중에 가공 부분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선반의 심압대 센터(C)를 분리한 후에 측정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정확한 치수로 가공하기 위해서 심압대 센터 분리와, 직경 측정, 심압대 센터 재 결합 과정을 반복해야만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심압대 센터 재 결합시 미세한 위치 변화가 발생하여 가공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품질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형 가공물(축)의 선반 가공시 심압대 센터를 분리하지 않고도 심압대 센터 결합부위에 형성된 원형 가공부의 직경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된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형 곡선프레임과, 상기 곡선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된 측정기와, 상기 곡선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된 연장봉과, 상기 측정기의 스핀들에 장착되고, 단부에 직선 막대 형상의 측정자가 구비된 이동측정단과, 상기 연장봉의 일단에 장착되고, 단부에 직선 막대 형상의 측정자가 구비된 고정측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은 서로 다른 길이로 복수 개 구비되어 측정 부위의 치수에 맞는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측정단의 측정자와 고정측정단의 측정자가 상기 곡선프레임의 측면을 향해 돌출 가능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곡선프레임의 일단에 측정기장착부가 형성되고, 측정기장착부에 내주면이 경사 형성된 원형의 테이퍼홀이 형성되며, 상기 측정기의 몸체 외측에 테이퍼홀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원형의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테이퍼부가 테이퍼홀에 삽입되는 상태로 측정기가 측정기장착부에 장착되며, 측정기장착부에서 측정기는 회전 가능하다.
상기 곡선프레임의 타단에 연장봉장착부가 형성되고, 연장봉장착부에 일측이 막힌 원형의 연장봉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봉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연장봉이 연장봉홀에 삽입되는 상태로 연장봉장착부에 설치되며, 연장봉장착부에서 연장봉은 회전 가능하다.
상기 측정기장착부에 측정기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구비되고, 클램프는 측정기장착부의 외부에 위치되는 레버와, 레버에 편심 연결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측정기장착부에 형성된 암나사홀에 나사체결된 가압축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봉장착부에 연장봉을 고정하는 클램프가 구비되고, 클램프는 연장봉장착부의 외부에 위치되는 레버와, 레버에 편심 연결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연장봉장착부에 형성된 암나사홀에 나사체결된 가압축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기와 연장봉의 단부에, 측정자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을 갖추어 대형 가공물의 측정면에 인접한 면에 접촉함으로써 측정자의 측정면 접촉을 보조하는 가이드가 설치된다.
삭제
상기 측정자는 내경 측정용 측정자와 외경 측정용 측정자가 별개로 제작되어 구비된다.
상기 곡선프레임은 내측 반경이 양쪽 측정자 사이의 최대 거리의 반값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곡선프레임의 양단에 측정단이 구비된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선반 가공중인 대형 가공물의 심압대측 면 원형 가공부의 직경을 측정할 때 측정장치와 심압대 센터가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심압대 센터를 분리하지 않고도 대형 가공물의 원형 가공부 직경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측정을 위해 심압대를 분리하고, 다시 가공을 위해 심압대를 재 결합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회피할 수 있게 되어, 공정 진행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심압대 재 결합시 발생하는 미세한 결합 위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가공 정밀도가 향상되어 가공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종래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I-I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는, 대형 곡선프레임(10)과, 곡선프레임(10)의 일단에 설치된 측정기(20)와, 측정기(20) 일단의 스핀들에 설치된 이동측정단(30)과, 곡선프레임(10)의 타단에 설치된 고정측정단(40)을 포함한다.
곡선프레임(10)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정밀한 측정과 용이한 취급을 위해 변형이 없고 가벼운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곡선프레임(10)은 양단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강도 향상을 위해 내주면과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된 리브(11,12)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 단면(I-I선 단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자 형상을 갖는다.
곡선프레임(10)에는 중량 감소를 위해 복수의 천공부(13)가 형성된다.
곡선프레임(10)의 일측 단부에는 원통형의 측정기장착부(14)가 형성된다. 측정기장착부(14)에는 원형의 테이퍼홀(14a)이 관통 형성된다. 즉, 측정기장착부(14)의 내주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정기(20)는 2점 접촉 측정용 막대형 마이크로미터로서 상용 제품으로 시판된 것을 사용한다.
측정기(20)의 몸체 일부에는 상기 테이퍼홀(14a)에 삽입 안착되는 원형의 테이퍼부(21)가 형성된다. 따라서, 테이퍼부(21)가 테이퍼홀(14a)에 삽입 안착되는 상태로 측정기(20)가 측정기장착부(14)에 설치된다. 설치 상태의 고정은 클램프(15)에 의해 이루어진다.(클램프 구조는 후술함)
측정기(20)는 다이알 인디케이터(22)를 구비하여 일정한 측정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직경 측정시 최정점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 가능하다.
측정기(20)는 딤블(23)의 회전 조작에 따라 일측 단부로 돌출되어 직선 이동하는 스핀들(24)에 이동측정단(30)이 장착된다.
곡선프레임(10)의 타측 단부에는 원통형의 연장봉장착부(16)가 형성된다. 연장봉장착부(16)에는 이동측정단(30)쪽으로만 개방된 원형의 연장봉홀(16a)이 형성된다.
연장봉(50)은 동일 치수의 원형 봉들이며,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여러 개 구비된다. 연장봉(5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측정단(40)이 장착된다.
고정측정단(40)이 장착된 연장봉(50)은 연장봉홀(16a)에 삽입되고, 클램프(17)로 고정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작업자는 측정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연장봉(50)을 골라 사용할 수 있다. 연장봉(50)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상호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봉(50)들은 서로 나사 체결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4와 도 5에는 가장 짧은 연장봉을 매개로 장착된 고정측정단(40)은 실선으로 도시하고, 나머지는 점선으로 도시하여 연장봉(50)의 길이에 따라 고정측정단(40)의 위치가 변경됨을 나타내었다.
측정기(20)와 연장봉(50)의 설치 상태 고정은 각각의 클램프(15, 17)에 의해 이루어진다. 두 클램프(15,17)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연장봉(50) 고정용 클램프(17)의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 측정기(20) 고정용 클램프(15)에 관한 설명을 갈음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7)는 레버(17a)와 레버(17a)의 편심된 위치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가압축(17b)으로 이루어진다. 가압축(17b)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연장봉장착부(16)에 관통 형성된 암나사홀(16b)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레버(17a)는 연장봉장착부(16)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어 가압축(17b)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버(17a)의 조작 방향에 따라 나사 작용에 의해 가압축(17b)이 연장봉(50)쪽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전진시 가압축(17b)의 단부가 연장봉(50)을 가압하여 고정하며, 후퇴시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이동측정단(30)과 고정측정단(40)은 각각의 단면에 직선 막대 형상의 측정자(31,41)가 구비된다. 측정자(31,41)는 탈착 가능하며, 내경 측정용 측정자와 외경 측정용 측정자가 각각 준비되어 있어 측정하고자 하는 직경의 종류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내경 측정용 측정자는 설치상태에서 측정면에 접촉하는 면이 측정장치의 외측 방향을 향하게 되고(서로 등짐), 외경 측정용 측정자는 설치상태에서 측정면에 접촉하는 면이 측정장치의 내측 방향을 향한다.(서로 마주 봄)
이동측정단(30)과 고정측정단(40)이 장착되는 측정기(20)의 단부와 연장봉(50)의 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L형 가이드(32,42)가 구비된다. L형 가이드(32,42)는 절곡 부분을 중심으로 일측 직선 부분이 상기 측정자(31,4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이동측정단(30)과 고정측정단(40)의 측정자(31,41)가 가공 부분의 측정면에 접촉될 때 측정자(31,41)에 직교하는 가이드(32,42)의 직선 부분이 측정면에 직각으로 연결된 면에 접촉됨으로써 측정자(31,41)가 측정면에 정확히 접촉되는 것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클램프(15,17)에 의한 고정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측정기(20)와 연장봉(50)은 각각 측정기장착부(14)와 연장봉장착부(16)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측정기(20)와 연장봉(50)을 회전시켜 이동측정단(30)과 고정측정단(40)의 측정자(31,41) 방향을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곡선프레임(10)은 내측 반경(a)이 양쪽 측정자(31,41) 사이의 최대 거리(이동측정단(30)이 측정기(20)쪽으로 최대로 근접되어 있고 고정측정단(40)은 가장 짧은 길이의 연장봉(50)을 매개로 설치된 상태의 거리)의 반값(b)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a > b). 이는, 측정장치가 측정할 수 있는 최대 외경값을 가진 대형 가공물의 외경을 측정할 때 가공물이 곡선프레임(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원형 단면을 가진 대형 가공물(W)을 선반 가공할 때 일단은 주축의 척에 고정하여 회전을 주고, 타단은 심압대 센터(C)로 가압하여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심압대 센터(C)로 지지되는 대형 가공물(W)의 단면에 원형 가공부(예 ; 발전소용 터빈 로터의 래빗 핏(rabbit fit)이나 제너레이터 로터의 팬 링 핏(fan ring fit))를 가공하는 중 그 치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심압대 센터(C)와의 간섭 때문에 심압대 센터(C)를 분리한 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는 양쪽 측정단(30,40) 사이의 공간을 외측으로 우회하는 곡선프레임(10)을 구비하여 양쪽 측정단(30,40)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심압대 센터(C)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형 가공물(W)과 심압대 센터(C) 사이의 공간으로 측정장치를 진입시켜 측정장치를 측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15,17)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측정기(20)와 연장봉(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곡선프레임(10)의 측면 방향으로 측정자(31,4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선 막대 형상의 측정자(31,4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선프레임(1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작업은 측정장치를 대형 가공물(W)과 심압대 센터(C)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기 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측정기(20) 또는 연장봉(50)을 조작하면서 상기 곡선프레임(1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양측 측정자(31,41)를 원형 가공부의 측정면에 접촉시키고 측정기(20)의 눈금을 읽어 원형 가공부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기(20)와 연장봉(50)의 단부에는 측정자(31,41)와 직교하는 직선 부분을 포함한 가이드(32,42)가 구비되어 있어, 이동측정단(30)과 고정측정단(40)의 측정자(31,41)가 가공부의 측정면에 접촉될 때 상기 직선 부분이 측정면에 직각으로 연결된 면에 접촉됨으로써 측정자(31,41)가 측정면에 정확히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정 대상 부위의 치수에 맞추어 측정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길이를 갖는 연장봉(50)을 선택 사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직경의 종류(내경 또는 외경)에 따라 측정자(31,41)를 내경 측정용 또는 외경 측정용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측정기(20)와 연장봉(50)은 나사 작용을 이용하는 클램프(15,17)에 의해 각각의 장착부(측정기장착부(14)와 연장봉장착부(16))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측정기(20)의 몸체 외주면에는 테이퍼부(21)가 형성되고, 그 테이퍼부(21)와 동일한 경사도와 크기를 갖는 테이퍼홀(14a)이 측정기장착부(14)에 형성되어, 테이퍼홀(14a)에 테이퍼부(21)가 삽입되는 상태로 측정기(20)가 설치되므로 측정기(20)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측정기(20)를 곡선프레임(10) 상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즉, 테이퍼홀(14a)의 대경부측 개구를 통해 측정기(20)를 최대한 삽입한 후 클램프(15)를 조이면 측정기(20)가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게 고정된다.
이는 연장봉장착부(16)에서도 동일하다. 연장봉장착부(16)에는 일단이 막힌 연장봉홀(16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장봉(50)을 연장봉홀(16a)에 최대한 삽입할 수 있는 데까지 삽입한 후 클램프(17)를 조이면 연장봉(50)이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게 고정된다.
측정기(20)와 연장봉(50)의 조립 위치는 양측 측정자(31,41)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이들을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은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클램프(15,17)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측정기(20)와 연장봉(50)을 회전 조작하여 측정자(31,41)를 곡선프레임(10)의 측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측정상태에서 측정기(20)의 정면(눈금을 읽는 면)이 작업자 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측정 작업을 보다 편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곡선프레임(10)의 내측 반경(a)이 양쪽 측정자(31,41) 사이의 최대 거리의 반값(b)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양쪽 측정자(31,41) 사이의 최대 거리와 같은 직경을 갖는 대형 가공물의 외경 측정시 가공물과 곡선프레임(10)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음으로써 그 외경 측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가공중인 대형 가공물의 직경을 가공장치를 분리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가공장치를 분리하지 않고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가공장치를 재 세팅할 때 위치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가공 품질이 향상되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측정을 실시할 때마다 가공장치를 분리했다가 재 세팅하는 과정이 반복되지 않으므로 제품 가공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곡선 프레임 11,12 : 리브
13 : 천공부 14 : 측정기장착부
14a : 테이퍼홀 15,17 : 클램프
16 : 연장봉장착부 16a : 연장봉홀
20 : 측정기 30 : 이동측정단
40 : 고정측정단 31,41 : 측정자
32,42 : 가이드 50 : 연장봉
C : 심압대 센터 W : 대형 가공물

Claims (9)

  1. 대형 곡선프레임과;
    상기 곡선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된 측정기와;
    상기 곡선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된 연장봉과;
    상기 측정기의 스핀들에 장착되고, 단부에 직선 막대 형상의 측정자가 구비된 이동측정단과;
    상기 연장봉의 일단에 장착되고, 단부에 직선 막대 형상의 측정자가 구비된 고정측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은 서로 다른 길이로 복수 개 구비되어 측정 부위의 치수에 맞는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측정단의 측정자와 고정측정단의 측정자가 상기 곡선프레임의 측면을 향해 돌출 가능하도록 회동될 수 있는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선프레임의 일단에 측정기장착부가 형성되고, 측정기장착부에 내주면이 경사 형성된 원형의 테이퍼홀이 형성되며, 상기 측정기의 몸체 외측에 테이퍼홀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원형의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테이퍼부가 테이퍼홀에 삽입되는 상태로 측정기가 측정기장착부에 장착되며, 측정기장착부에서 측정기는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선프레임의 타단에 연장봉장착부가 형성되고, 연장봉장착부에 일측이 막힌 원형의 연장봉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봉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연장봉이 연장봉홀에 삽입되는 상태로 연장봉장착부에 설치되며, 연장봉장착부에서 연장봉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장착부에 측정기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구비되고, 클램프는 측정기장착부의 외부에 위치되는 레버와, 레버에 편심 연결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측정기장착부에 형성된 암나사홀에 나사체결된 가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장착부에 연장봉을 고정하는 클램프가 구비되고, 클램프는 연장봉장착부의 외부에 위치되는 레버와, 레버에 편심 연결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연장봉장착부에 형성된 암나사홀에 나사체결된 가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와 연장봉의 단부에, 측정자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을 갖추어 대형 가공물의 측정면에 인접한 면에 접촉함으로써 측정자의 측정면 접촉을 보조하는 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는 내경 측정용 측정자와 외경 측정용 측정자가 별개로 제작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선프레임은 내측 반경이 양쪽 측정자 사이의 최대 거리의 반값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KR1020140186288A 2014-12-22 2014-12-22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KR101650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288A KR101650257B1 (ko) 2014-12-22 2014-12-22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288A KR101650257B1 (ko) 2014-12-22 2014-12-22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280A KR20160076280A (ko) 2016-06-30
KR101650257B1 true KR101650257B1 (ko) 2016-08-22

Family

ID=5635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288A KR101650257B1 (ko) 2014-12-22 2014-12-22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09A (ko) * 2018-12-13 2020-06-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이크로미터를 활용한 테이퍼축 외경 검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2158A (ja) 2010-07-28 2012-02-16 Mitsubishi Heavy Ind Ltd 外側マイクロメータ
CN204027496U (zh) 2014-09-11 2014-12-17 哈尔滨第一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内径测量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022Y1 (ko) * 1999-09-03 2000-02-15 김정산 냉동 캐비넷용 냉동 패널의 조립구조
KR101172581B1 (ko) * 2010-02-02 2012-08-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앤빌을 갖는 마이크로미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2158A (ja) 2010-07-28 2012-02-16 Mitsubishi Heavy Ind Ltd 外側マイクロメータ
CN204027496U (zh) 2014-09-11 2014-12-17 哈尔滨第一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内径测量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09A (ko) * 2018-12-13 2020-06-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이크로미터를 활용한 테이퍼축 외경 검사 방법
KR102379294B1 (ko) 2018-12-13 2022-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이크로미터를 활용한 테이퍼축 외경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280A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09976A (en) Center finding device
CN106862954B (zh) 一种对中夹持装置
CN106403758B (zh) 一种锥面尺寸量具及其使用方法
US10422620B2 (en) Contact-type position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CN213984876U (zh) 一种管件内径直线度和圆度的检测装置
CN203076929U (zh) 一种圆筒内卡装置
KR101650257B1 (ko) 대형 가공물 직경 측정장치
CN107228615A (zh) 一种轴外单键对称度测量装置及测量方法
RU2687078C1 (ru) Нутромер индикаторный
CN103322962A (zh) 用于测量大尺寸钢丝轴承轨道直径的量规及方法
CN103697795A (zh) 齿圈内齿棒间距测量检具
CN104374277A (zh) 孔径量具
KR101489467B1 (ko) 태핑용 드릴 가이드장치
CN106197217B (zh) 一种轴承套圈外径精度准确检测装置
CN108036695A (zh) 一种零件孔检测量具及检测方法
CN105180765A (zh) 内量杠杆式百分表组合镗床找正量具
JP6183484B2 (ja) 内角度測定具
CN202119363U (zh) 测量内径的量尺
CN110081797B (zh) 用于孔、轴带稍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140039945A (ko) 조합형 블록 게이지 측정장치
CN103335578A (zh) 三点测圆仪
CN103921172A (zh) 导向模板的找正方法及其找正组件
CN207515643U (zh) 可检测工件凹槽底端壁厚的外径千分尺
US1475066A (en) Micrometer gauge
US4485704A (en) Instrument attachments for radius work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