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196B1 -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196B1
KR101650196B1 KR1020090108534A KR20090108534A KR101650196B1 KR 101650196 B1 KR101650196 B1 KR 101650196B1 KR 1020090108534 A KR1020090108534 A KR 1020090108534A KR 20090108534 A KR20090108534 A KR 20090108534A KR 101650196 B1 KR101650196 B1 KR 101650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nsation
distance
display
unit
gra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773A (ko
Inventor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1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 표시패널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이 영역별로 모델링된 파라미터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를 기준으로 보상값을 달리하고 보상값을 기초로 표시패널에 공급할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화질, 모델링, 표시장치,

Description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Quality Improvement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는 텔레비전(TV)이나 비디오 등의 가전분야에서 노트북(Note book)과 같은 컴퓨터나 핸드폰과 등과 같은 산업분야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표시장치는 제작 후 휘도나 색도 등이 표시패널 상에 정상으로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 테스트 과정이 진행된다. 표시패널의 테스트 과정에서 나타나는 화질 결함 중 표시불량은 주로 제조 공정이나 공정 편차 등에 의해 발생한다.
종래에는 위와 같이 표시패널 상에 나타나는 표시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영상 보상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그런데, 종래 영상보상 방법의 경우 표시불량이 발생한 픽셀의 위치정보, 보상값을 보유하기 위한 저장공간 및 신호처리부 등이 요구되는데 이는 불량의 개수 또는 크기가 커질수록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적 비용 증가가 따랐다. 또한, 종래 영상보상 방법의 경우 표시불량이 발생한 픽셀의 영역을 구분하고 그 주변에 위치하는 모든 픽셀에 동일한 보상값이 적용되어 실질적인 보상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시패널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을 매끄럽게 보정할 수 있는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패널; 표시패널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이 영역별로 모델링된 파라미터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를 기준으로 보상값을 달리하고 보상값을 기초로 표시패널에 공급할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보상부는, 중심좌표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강보상, 중보상 및 약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보상값을 생성할 수 있다.
모델링된 영역은, 표시불량 영역의 불량 유형에 따라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마름모 및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파라미터는, 모델링된 영역 내에 포함된 표시불량 영상에 대한 계조보상치와,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와, 중심좌표와 인접하는 표시불량 영상 간의 거리변수와, 계조보상치에 대한 증감을 결정하는 증감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는, 파라미터에 포함된 계조보상치를 참조하여 보상할 계조의 단계를 판단하는 계조판단부와, 파라미터에 포함된 중심좌표를 참조하여 모델링된 영역 내에 포함된 표시불량 영상의 거리를 연산하는 거리연산부와, 파라미터에 포함된 거리변수를 참조하여 보상할 계조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와, 파라미터에 포함된 증감변수를 참조하여 보상할 계조에 대한 계조의 증감을 결정하는 증감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는, 거리변수와 거리연산부로부터 연산된 거리를 참조하여 보상할 계조의 강약을 결정하는 강약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강약 결정부는, 보상할 계조가 중심좌표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강보상, 중보상 및 약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보상값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패널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역의 영상을 측정하는 단계; 표시불량 영역의 영상을 영역별로 모델링하는 단계; 모델링된 영역에 대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파라미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에 공급할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화질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모델링 단계는,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강보상영역, 중보상영역 및 약보상영역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설정 단계는, 모델링된 영역 내에 포함된 표시불량 영상에 대한 계조보상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를 추출하는 단계와, 중심좌표와 인접하는 표시불량 영상 간의 거리변수를 추출 하는 단계와, 계조보상치에 대한 증감변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패널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을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영역에 대한 파라미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이와 연동하는 보상부를 이용하여 장치(예컨대, ASIC 등) 및 메모리의 용량 저감이 가능한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불량 영상에 대해 순차적으로 보상값의 크기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 영상 데이터를 매끄럽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시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타이밍제어부, 보상부(CMP), 메모리부(MEM), 스캔구동부(SDRV), 데이터구동부(DDRV) 및 표시패널(PNL)을 포함한다.
표시패널(PNL)은 플라즈마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 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및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PNL)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트랜지스터기판과 컬러필터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인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표시패널(PNL)은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며 데이터라인들(DL1~DLn)과 스캔라인들(SL1~SLm)의 교차부마다 형성된 화소 어레이(SP)를 포함한다. 화소 어레이(SP)는 트랜지스터(TFT), 커패시터(Cst) 및 액정셀(Clc)을 포함한다. 화소 어레이(SP)의 액정셀(Clc)은 트랜지스터(TFT)를 통해 데이터전압을 충전하는 화소전극(1)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과, 공통전극(2)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의 전압차에 의해 구동되며 미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투과양을 조정하여 영상 데이터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캔구동부(SDRV)는 타이밍제어부(TCN)로부터 공급된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GSP, GSC, GOE)에 응답하여 스캔전압을 순차적으로 쉬프트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스캔라인들(SL1~SLm)에 스캔신호(또는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mini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규격의 RGB 데이터와 mini LVDS 클럭에 따라 디지털 형태의 RGB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병렬 데이터 전송 체계로 변환된 디지털 형태의 RGB 데이터를 극성제어신호(POL)에 응답하여 정극성/부극성 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정 극성/부극성 RGB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데이터라인들(DL1~DLn)에 공급한다.
타이밍제어부(TCN)는 외부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RGB 데이터와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도트 클럭(CLK) 등의 타이밍신호와 같은 시스템신호(SYS)를 입력받는다. 타이밍제어부(TCN)는 데이터의 전송경로 상에서 EMI와 데이터전압의 스윙폭을 줄이기 위하여, mini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3개의 RGB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구동부(DDRV)에 전송한다. 타이밍제어부(TCN)는 타이밍신호(Vsync, Hsync, DE, CLK)를 이용하여 데이터구동부(DDRV)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SSC, SOE, POL) 등과 같은 구동신호와, 스캔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GSP, GSC, GOE) 등과 같은 스캔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제어부(TCN)는 6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RGB 데이터가 60×i(i는 양의 정수)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표시패널(PNL)의 화소 어레이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GSP, GSC, GOE)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SSC, SOE, POL)의 주파수를 60×i Hz의 프레임 주파수 기준으로 체배할 수 있다.
메모리부(MEM)는 표시패널(PNL)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이 영역별로 모델링된 파라미터(PMT)가 저장된다. 메모리부(MEM)는 타이밍제어부(TCN)의 내부에 포함된 내부 메모리 또는 타이밍제어부(TCN)의 외부에 포함된 외부 메모리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파라미터(PMT)에는 모델링된 영역 내에 포함된 표시불량 영상에 대한 계조보상치(PMT1)와,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PMT2)와, 중심좌표와 인접하는 표시불량 영상 간의 거리변수(PMT3)와, 계조보상치에 대한 증감을 결정하는 증감변수(PMT4)가 포함된다.
보상부(CMP)는 메모리부(MEM)에 저장된 파라미터(PMT)를 참조하여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PMT2)를 기준으로 보상값을 달리하고 보상값을 기초로 표시패널(PNL)에 공급할 영상 데이터를 보정한다. 보상부(CMP)는 타이밍제어부(TCN)의 내부 로직에 포함되거나 타이밍제어부(TCN)의 외부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PNL)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을 영역별로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영역에 대해 파라미터(PMT)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표시패널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을 영역별로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영역에 대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과 같이 영상 측정장치(CPU)에 연결된 측정기(CAM)를 이용하여 표시패널(PNL)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을 파악한다. 표시불량 영상이란 정상 표시부에 비해 휘도가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표시얼룩, 부정형 표시얼룩, 표시얼룩과 정상 표시부 사이의 경계부 또는 정상 표시부에 비해 휘도가 높은 램프 휘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영상 측정장치(CPU)를 통해 표시불량 영상에 대한 파악이 완료되면 표시불량 영상을 영역별로 모델링한다. 이때, 모델링하는 방법은 모델링되는 영역을 원형으로 설정하고,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표시불량의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C)를 기준으로 강보상영역(CH)과 약보상영역(CL)이나 강보상영역(CH), 중보상영역(CM) 및 약보상영역(CL)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보상영역은 보상의 정도를 더욱 세분화시킬 수 있도록 보상영역 내에서도 적어도 하나의 보상영역이 분할될 수 있다.
한편, 모델링된 영역은 표시불량 영역의 불량 유형에 따라 도 6의 (a) 내지 (f)와 같이 삼각형(a), 사각형(b), 마름모(c), 오각형(d), 육각형(e) 및 다각형(f)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 모델링 과정을 기초로 메모리부(MEM)에 저장할 파라미터(PMT)를 생성한다. 파라미터(PMT)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델링된 영역 내에 포함된 표시불량 영상에 대한 계조보상치(PMT1)와,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PMT2)와, 중심좌표와 인접하는 표시불량 영상 간의 거리변수(PMT3)와, 계조보상치에 대한 증감을 결정하는 증감변수(PMT4)가 포함된다.
위와 같은 형태로 표시불량 영상을 영역별로 모델링을 하고 각각의 파라미터(PMT)를 생성하면, 이후의 보상 과정에서 중심좌표(C)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강보상, 중보상 및 약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보상값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상값 생성시 각 파라미터(PMT) 별로 보상값의 순차적인 변화를 주도록 증감을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영상 데이터를 매끄럽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보상부(CMP)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보상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부(CMP)는 계조판단부(121), 강약 결정부(125) 및 증감결정부(127)을 포함하는 보상 데이터 연산부(120)와 좌표연산부(130), 거리연산부(140), 위치판단부(150)를 포함한다.
계조판단부(121)는 메모리부(MEM)로부터 공급된 계조보상치(PMT1)를 참조하여 보상할 계조의 단계를 판단한다. 계조판단부(121)에는 미리 정해진 휘도 레벨별 보상값을 기준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RGB)에 대해 적합한 보상 계조 레벨을 일차적으로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강약 결정부(125)는 거리변수(PMT3)와 거리연산부(140)로부터 연산된 거리를 참조하여 계조판단부(121)로부터 출력된 보상할 계조의 강약을 결정한다. 거리연산부(140)로부터 공급된 거리 값과 메모리부(MEM)에 저장된 거리변수(PMT3)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보상의 정도 예컨대, 강보상과 약보상이나 강보상, 중보상 및 약보상 중 하나로 보상값을 결정한다. 일례로, 거리 값과 거리변수(PMT3)가 "거리 < 강보상 영역"일 경우 보상값은 표시불량의 중심좌표(C)에 포함되므로 강보상으로 결정될 것이다. 이와 달리, 거리 값과 거리변수(PMT3)가 "(거리 > 강보상 영역) && (거리 < 약보상 영역)"일 경우 보상값은 표시불량의 중심좌표(C)로부터 멀리 떨어진 주변부에 포함되므로 약보상으로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강약 결정부(125)는 보상할 계조에 대해 중심좌표(C)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강보상, 중보상 및 약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보상값을 갖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증감결정부(127)는 메모리부(MEM)로부터 공급된 증감변수(PMT4)와 거리연산 부(140)를 참조하여 계조판단부(121)로부터 출력된 보상할 계조에 대한 계조의 증감을 결정한다. 증감결정부(127)를 사용하면 보상의 정도에 따라 결정된 보상값이 동일 데이터 보상으로 인한 계단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증감결정부(127)는 계조판단부(121)와 증감결정부(127)에 의해 보상할 계조에 대한 보상의 정도가 결정된 후, 정해진 값에 따른 기울기(Gradient)를 갖도록 보상값을 증감하여 영상 데이터가 매끄럽게 보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좌표연산부(130)는 제어신호(SYS)로부터 매 클록마다 수평좌표(X)와 수직좌표(Y)를 연산하여 영상 데이터의 좌표를 산출해 낸다. 좌표연산부(130)는 수평좌표(X)를 산출하기 위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활성화(Active) 구간 내에 포함된 클록(CLK)의 수를 카운트하고 이후,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휴지(Passive) 구간 내에서는 카운트된 클록(CLK)을 리셋(Reset)할 수 있다. 또한, 좌표연산부(130)는 수직좌표(Y)를 산출하기 위해, 수직 동기신호(Vsync)의 활성화 구간 내에 포함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이후, 수직 동기신호(Vsync)의 휴지 구간 내에서는 카운트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을 리셋할 수 있다.
거리연산부(140)는 메모리부(MEM)로부터 공급된 중심좌표(C)를 참조하여 모델링된 영역 내에 포함된 표시불량 영상의 거리를 연산한다. 거리연산부(140)는 영상 데이터의 현재 좌표와 중심좌표(C) 간의 거리를 연산할 때, 다음의 수학식 1에 표현된 대각선의 거리를 구하는 공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112009069248866-pat00001
수학식 1에서, Xc, Yc는 메모리부(MEM)에 저장된 표시불량 영상의 중심좌표(C)를 나타내고, X좌표 및 Y좌표는 좌표연산부(130)로부터 공급된 수평좌표(X) 및 수직좌표(Y)를 나타낸다.
위치판단부(150)는 메모리부(MEM)로부터 공급된 거리변수(PMT3)와 거리연산부(140)로부터 공급된 거리 값을 참조하여 보상할 계조의 위치를 판단한다. 위치판단부(150)는 거리변수(PMT3)와 거리 값을 기초로 증감결정부(127)를 통해 결정된 보상값이 보상할 범위에 해당되는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위치판단부(150)는 거리변수(PMT3)와 거리 값을 참조하여 "(거리 < 보상범위)"를 만족하면, 현재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RGB)에 대해 보상값을 적용하여 최종 보정된 영상 데이터(R'G'B)를 출력한다. 이와 달리, "(거리 < 보상범위)"를 불만족하면, 현재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RGB)는 보상 대상으로 보지않으므로 보상값을 미적용하게 된다.
<표시장치의 화질개선 방법>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질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의 화질개선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표시패널(PNL)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역의 영상을 측정한다.(S10)
표시패널(PNL)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역의 영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영상 측정장치(CPU)에 연결된 측정기(CAM)를 이용한다. 표시패널(PNL)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이란 정상 표시부에 비해 휘도가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표시얼룩, 부정형 표시얼룩, 표시얼룩과 정상 표시부 사이의 경계부 또는 정상 표시부에 비해 휘도가 높은 램프 휘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표시불량 영역의 영상을 영역별로 모델링한다.(S13)
영상 측정장치(CPU)를 통해 표시불량 영상에 대한 파악이 완료되면 표시불량 영상을 영역별로 모델링한다. 모델링 단계에서는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C)를 기준으로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때, 모델링하는 방법은 모델링되는 영역을 원형으로 설정하고,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표시불량의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C)를 기준으로 강보상영역(CH)과 약보상영역(CL)이나 강보상영역(CH), 중보상영역(CM) 및 약보상영역(CL)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보상영역은 보상의 정도를 더욱 세분화시킬 수 있도록 보상영역 내에서도 적어도 하나의 보상영역이 분할될 수 있다.
한편, 모델링된 영역은 표시불량 영역의 불량 유형에 따라 도 6의 (a) 내지 (f)와 같이 삼각형(a), 사각형(b), 마름모(c), 오각형(d), 육각형(e) 및 다각형(f)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 모델링된 영역에 대한 파라미터(PMT)를 설정한다.(S15)
파라미터(PMT)는 모델링된 영역 내에 포함된 표시불량 영상에 대한 계조보상치(PMT1)와,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PMT2)와, 중심좌표와 인접하는 표시불량 영상 간의 거리변수(PMT3)와, 계조보상치에 대한 증감을 결정하는 증감변수(PMT4)가 포함된다.
위와 같은 형태로 표시불량 영상을 영역별로 모델링을 하고 각각의 파라미터(PMT)를 생성하면, 이후의 보상 과정에서 중심좌표(C)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강보상, 중보상 및 약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보상값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상값 생성시 각 파라미터(PMT) 별로 보상값의 순차적인 변화를 주도록 증감을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영상 데이터를 매끄럽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파라미터(PMT)를 메모리부(MEM)에 저장한다.(S17)
파라미터(PMT)를 메모리부(MEM)에 저장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영상 측정장치(CPU)를 이용하거나 커넥터와 롬라이터(Rom writer)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파라미터(PMT)가 저장되는 메모리부(MEM)는 타이밍제어부(TCN)의 내부에 포함된 내부 메모리 또는 타이밍제어부(TCN)의 외부에 포함된 외부 메모리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다음, 파라미터(PMT)를 이용하여 표시패널(PNL)에 공급할 영상 데이터를 보정한다.(S19) 이때, 표시장치는 도 7과 같이 보상부(CMP)가 구비된 플라즈마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및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보상부(CMP)는 도 7과 같이 계조판단부(121), 강약 결정부(125) 및 증감결정부(127)을 포함하는 보상 데이터 연산부(120)와 좌표연산부(130), 거리연산부(140), 위치판단부(150)가 포함된다. 한편, 보상부(CMP)의 경우 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영상 측정장치(CPU)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표시패널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을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영역에 대한 파라미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이와 연동하는 보상부를 이용하여 장치(예컨대, ASIC 등) 및 메모리의 용량 저감이 가능한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불량 영상에 대해 순차적으로 보상값의 크기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 영상 데이터를 매끄럽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도.
도 3 내지 도 6은 표시패널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을 영역별로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영역에 대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보상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질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TCN: 타이밍 제어부 DDRV: 데이터구동부
SDRV: 스캔구동부 PNL: 표시패널
CMP: 보상부 MEM: 메모리부
121: 계조판단부 125: 강약 결정부
127: 증감결정부 120: 보상 데이터 연산부
130: 좌표연산부 140: 거리연산부
150: 위치판단부

Claims (10)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나타난 표시불량 영상이 영역별로 모델링된 파라미터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상기 모델링된 영역 내에서 불량 정도가 가장 심한 중심좌표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보상값을 달리하고 상기 보상값을 기초로 상기 표시패널에 공급할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모델링된 영역 내에 포함된 상기 표시불량 영상에 대한 보상할 계조를 일차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휘도 레벨별 보상값을 기준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상 계조 레벨을 갖는 계조보상치와, 상기 중심좌표와, 상기 중심좌표와 상기 중심좌표와 인접하는 표시불량 영상 간의 거리에 따라 강보상과 약보상 또는 강보상, 중보상 및 약보상 중 하나로 보상값을 결정하는 거리변수와, 상기 계조보상치의 상기 보상 계조 레벨에 대한 증감을 결정하는 증감변수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부는,
    상기 계조보상치를 참조하여 보상할 계조의 단계를 판단하는 계조판단부와, 상기 중심좌표를 참조하여 상기 모델링된 영역 내에 포함된 상기 표시불량 영상의 거리를 연산하는 거리연산부와, 상기 거리변수를 참조하여 보상할 계조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와, 상기 증감변수를 참조하여 상기 보상할 계조에 대한 계조의 증감을 결정하는 증감결정부와, 상기 거리변수와 상기 거리연산부로부터 연산된 거리를 참조하여 상기 보상할 계조의 강약을 결정하는 강약 결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된 영역은,
    상기 표시불량 영상의 불량 유형에 따라 원형,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약 결정부는,
    상기 보상할 계조가 상기 중심좌표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강보상, 중보상 및 약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보상값을 갖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108534A 2009-11-11 2009-11-11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 KR101650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534A KR101650196B1 (ko) 2009-11-11 2009-11-11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534A KR101650196B1 (ko) 2009-11-11 2009-11-11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773A KR20110051773A (ko) 2011-05-18
KR101650196B1 true KR101650196B1 (ko) 2016-08-23

Family

ID=4436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534A KR101650196B1 (ko) 2009-11-11 2009-11-11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123B1 (ko) * 2016-03-10 2023-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얼룩 검사 장치, 이의 구동 방법 및 얼룩 보정값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56059B1 (ko) * 2016-10-07 2024-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머리 장착형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98B1 (ko) * 2001-12-17 2008-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703939B1 (ko) * 2005-07-27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101264718B1 (ko) * 2007-04-02 2013-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의 표시결함 보상방법 및 장치
KR101286537B1 (ko) * 2007-06-14 2013-07-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결함을 보상하기 위한 영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773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50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10565953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changing frame frequency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330166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97270B1 (ko) 표시 패널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CN107784988B (zh) 液晶显示装置和液晶显示装置的局部调光的方法
US2006014598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flicker of the same
US2009000230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40240246A1 (en) Display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Thereof
US9189999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liquid cryst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20130003217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068516B2 (en) Display device having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50002202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232178B1 (ko) 평판표시장치의 표시결함 보상방법 및 장치
KR2016006539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84547A (ko) 곡면 액정 표시 장치
US85703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9288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4006000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50196B1 (ko) 표시장치와 이의 화질개선 방법
KR20160083368A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10748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3971943B (zh) 一种显示驱动方法及其装置、显示装置
KR20110030215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50015646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568261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