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132B1 - Cup plate - Google Patents

Cup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132B1
KR101650132B1 KR1020150022659A KR20150022659A KR101650132B1 KR 101650132 B1 KR101650132 B1 KR 101650132B1 KR 1020150022659 A KR1020150022659 A KR 1020150022659A KR 20150022659 A KR20150022659 A KR 20150022659A KR 101650132 B1 KR101650132 B1 KR 10165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pport plate
auxiliary
present
coas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의범
Original Assignee
이의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범 filed Critical 이의범
Priority to KR102015002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1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plate improved to be used as a cup cover except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a cup and to be kept in a lying state. The cup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p support plate where the bottom of a cup is placed; a catching protrusion part which protrudes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cup supporting plate; and a recessed groove part which is formed by crossing at least a part of the catching protrusion part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cup and allows the cup to be placed in a lying state.

Description

컵받침 {CUP PLATE}Coasters {CUP PLATE}

본 발명은 컵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받치거나 덮개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된 컵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컵받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st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asters which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a cup or as a cover, and which can stably store used cups.

일반적으로 컵은 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로, 일례로 커피, 차, 물 등의 고온의 음료가 담겨질 수 있다.In general, the cup is a container for storing drinks, for example, high-temperature beverages such as coffee, tea, and water.

이러한 컵은 컵받침에 올려져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컵받침은 컵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목적 외에도 컵받침은 고온의 음료가 담겨진 컵의 열로 인한 사용자 상해와 컵이 놓여지는 주변물의 손상 등을 방지하고, 컵으로부터 떨어지는 음료 등을 받을 수 있으며, 저온의 음료가 담겨짐에 따라 컵의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이 떨어짐에 의한 주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Such a cup can be used by being put on a cup holder, thereby preventing the cup from slipping. Further,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slip of the cup, the cup support can prevent damage to the user's body caused by the heat of the cup containing the high-temperature beverage, damage to the surrounding of the cup, etc., It is use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e to dropping of water droplets on the surface of the cup as a low-temperature beverage is contained therein.

이러한 컵받침은, 컵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통상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외에도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기도 한다.The cup base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up, and is usual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but may also be formed of a polygon such as a quadrangle.

그런데, 종래의 컵받침은 단순히 컵을 받치는 용도 외에는 다른 기능이 부여되지 않아 사용성이 높지 않다. 또한, 최근에는 커피 등을 담는 용기로 머그컵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머그컵의 사용환경에 적합한 컵받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asters do not have other functions except for simply supporting the cup, so that the usability is not high. In recent years, mugs are increasingly used as containers for storing coffee and the like, and accordingly, development of a coasters suitable for the use environment of the mugs has been deman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컵을 받치는 용도 외에도 컵의 덮개로 사용이 가능하고, 컵을 뉘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컵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coasters which can be used as a cover of a cup in addition to the support of the cup and can be stored in a separate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컵받침은 컵의 밑바닥이 안착되는 컵지지판; 상기 컵지지판의 외둘레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컵이 뉘어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기 컵의 외형에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걸림턱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는, 상기 컵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걸림턱부에 각각 형성된 메인요홈; 및 두 개의 상기 메인요홈이 이어지도록 상기 컵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된 서브요홈;을 구비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p support comprising: a cup support plate on which the bottom of the cup is seated; An engagemen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support plate; And a recessed portion formed at least across the engagemen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up so that the cup is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up is seated in the recessed state, Respectively; And a sub-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up support plate so that the two main grooves are continuous.

삭제delete

또한, 상기 요홈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 및 깊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ss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width and depth from the front to the back.

또한, 상기 요홈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컵의 안착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ss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for preventing slippage when the cup is seated.

또한, 상기 요홈부가 형성된 전방 일측에 상기 컵지지판에 대해 인출 가능토록 제공되는 보조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p support plate may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 front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to be drawn out to the cup support plate.

또한, 상기 보조받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으로부터 흘러내린 이물질이 저장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recess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and storing foreign matter flowing from the cup.

또한, 상기 컵지지판의 외둘레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 걸림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p support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engagement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support plate.

또한, 상기 보조 걸림턱부에 제공되는 슬립 방지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lip prevention pad provided on the auxiliary latching ja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컵을 받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컵의 상부를 덮는 덮개로 사용시 이물질의 투입이나 컵에 담긴 음료의 온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컵을 뉘어서 보관시 컵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컵의 세척후 컵을 경사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컵 내부에 잔류된 물 등이 쉽게 배수될 수 있어, 컵을 청결한 상태로 보관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cup as a lid fo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cup. When the cup is used as a lid,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up, Stable storage is possible by preventing shaking. Further, the cup can be stored in an inclined state after cleaning the cup, so that water or the like remaining in the cup can be easily drained, so that the cup can be kept in a clean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에 컵이 놓여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에 컵이 뉘어서 보관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이 컵을 덮도록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물받이부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물받이부가 인출된 상태의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물받이부가 인출된 상태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B-B선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물받이부가 인출되어 뉘어진 컵을 보관하는 상태의 사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in a state where a cup is placed on a coas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s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oas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coas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as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in a state where a cup is stored in a cup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where a cup-shaped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ver a cup;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s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coasters is drawn 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bottom view of the cup-c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receiving portion is pulled out.
FIG. 12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coasters is drawn 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water-receiving portion of a cup-shaped c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to store a divided cup;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에 컵이 놓여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에 컵이 뉘어서 보관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in a state where a cup is placed on a cup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coas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as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in a state where a cup is stored in a cup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컵받침(1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의 밑바닥이 안착되는 컵지지판(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p support 1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p support plate 20 on which the bottom of the cup 1 is seated, as shown in Figs.

이러한 컵지지판(20)은, 컵(1)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통상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외에도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up support plate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up 1 and is general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but it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quadrangle.

그리고 컵지지판(20)의 외둘레에는 상측 방향으로 걸림턱부(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부(30)는 컵지지판(20)에 안착된 컵(1)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제공되며, 컵(1)으로부터 흘러내린 음료 등의 이물질이 컵받침(10)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a latching jaw 30 may protrude upwardl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support plate 20. [ The stopping jaw 30 is provided to prevent the cup 1 which is seated on the cup supporting plate 20 from moving outward and the foreign substances such as a beverage flowing down from the cup 1 flow out of the coasters 10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실시예의 컵받침(10)은 컵(1)이 뉘어진 상태로 안착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컵(1)을 지지하는 요홈부(40)가 제공될 수 있다.The cup suppor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40 for supporting the cup 1 so as not to be shaken when the cup 1 is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up 1 is laid.

요홈부(40)는 컵(1)의 외형에 대응하여 적어도 걸림턱부(30)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The recessed groove portion 40 may be formed at least across the engaging jaw portion 3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up 1.

예컨대, 컵받침(20)은 걸림턱부(30)의 높이가 충분히 높을 경우, 요홈부(40)가 걸림턱부(3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도 컵(1)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up support 20 can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cup 1 even when the recessed portion 30 is formed only in the engaging jaw 30 when the height of the engaging jaw 30 is sufficiently high.

한편, 걸림턱부(30)의 높이가 충분히 높지 않을 경우, 요홈부(40)는 컵지지판(20)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요홈부(4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30) 및 걸림턱부(30)의 요홈부와 연장되는 컵지지판(20)을 함께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홈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지지판(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걸림턱부(30)에 각각 형성된 메인요홈(40a)과, 두 개의 상기 메인요홈(40a)이 이어지도록 컵지지판(20)의 상면에 형성된 서브요홈(40b)을 구비할 수 있다.
When the height of the latching jaw 30 is not sufficiently high, the recessed portion 40 needs to be formed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cup supporting plate 20, It can be formed across the recessed jaws 30 and the recessed grooves of the engaging jaws 30 and the extending cup support plate 20 together.
2, the recessed portion 40 includes a main groove 40a formed in the latching jaw 30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cup support plate 20 therebetween, And a sub-groove 40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support plate 20 so that the sub-grooves 40a are continuous.

이때 요홈부(40)는 걸림턱부(30) 및 컵지지판(20)에 대해 소정의 두께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essed portion 40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jaw 30 and the cup supporting plate 20. [

바람직하게는 요홈부(40)는 놓여지는 컵(1)의 상부 개방부를 전면방향이라 할 때,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 및 깊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홈부(40)는 전체적으로 전면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cessed portion 40 may be formed so that the width and the depth thereof decrease from the front to the rear when the upper opening of the cup 1 to be place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direction. The recessed portion 40 may be formed as a downwardly inclined shape as a whole.

따라서, 컵(1)은 세척 등을 거쳐 음료 등이 비워진 상태에서 컵받침(10)에 뉘어서 놓여질 수 있으며, 이때, 컵받침(10)의 요홈부(40)에 컵(1)의 외둘레면이 안착되며 안정적으로 뉘어진 상태에서 보관 및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컵받침(10)에 안착된 컵(1)은 건조 과정에서 세척 등에서 나온 물 등이 흘러내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컵(1)에 잔류물이 생기지 않아 더욱 청결하게 컵(1)을 보관할 수 있다.The cup 1 can be placed in the cup holder 10 in a state in which the drink or the like has been emptied through the washing or the lik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1 is placed in the recess groove 40 of the cup holder 10, And can be stored and dried in a stablely divided state. In addition, the cup 1 placed on the cup-shaped cup 10 can flow water or the like discharged from the washing or the like during the drying process, so that no residue is formed in the cup 1, .

또한, 요홈부(40)에는 적어도 일측에 뉘어서 보관되는 컵(1)이 흘러내지 않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재(42)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ssed portion 40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dable member 42 for preventing sliding of the cup 1, which is stored at least on one side thereof, from flowing.

일례로, 미끄럼 방지부재(42)는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큰 수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n-slidable member 42 may include a resin material having a large frictional force such as rubber.

한편, 본 실시예의 컵받침(10)은, 컵지지판(20)의 외둘레에서 하측 방향으로 보조 걸림턱부(36)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aster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formed by protruding auxiliary supporting jaws 36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supporting plate 20. [

이러한 컵받침(10)은, 컵(1)의 상부를 덮을 수 있으며, 이때 보조 걸림턱부(36)가 컵(1)의 주변부에 걸쳐지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asters 10 can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1 and prevent the auxiliary jaws 36 from falling over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up 1. [

또한, 컵받침(10)은 보조 걸림턱부(36)가 실질적으로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컵받침(10)은 보조 걸림턱부(36)가 테이블 등에 놓여진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보조 걸림턱부(36)의 하측에 제공되는 슬립 방지패드(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coasters 10 can be supported by the auxiliary stopping jaws 36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a table or the like. The coasters 10 may further include a slip prevention pad 38 provided below the auxiliary locking step 36 so that the auxiliary locking step 36 does not slip on a table or the like.

슬립 방지패드(38)는 보조 걸림턱부(36)의 하부에 일체로 제공되거나, 다수로 제공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slip prevention pads 38 may be integrall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latching jaw 36 or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tervals.

슬립 방지패드(38)는 마찰력이 높은 고무 등의 수지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slip prevention pad 38, a resin material such as rubber having high frictional force may be used.

본 실시예의 컵받침(10)은 컵(1)을 안정적으로 받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컵받침(10)은 컵(1)을 받치는 기능 외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의 상부를 덮는 덮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컵(1)에 저장된 음료 등의 온도 변화를 막을 수 있고, 이물질이 컵(1)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aster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to stably support the cup 1. [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cup 1, the coaster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as a cover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1,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drink or the like and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falling into the inside of the cup 1. [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10)이 컵(1)을 덮도록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Here,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where the cup-shaped cup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ver the cup 1.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컵받침(10)은 하부면이 컵(1) 상부에 올려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컵받침(10)의 컵지지판(20)이 컵(1)의 상부에 올려지도록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p support 1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p 1. However, the cup support plate 20 of the cup support 10 is used to be rai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p 1 .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컵받침(10)은 컵(1)을 안정적으로 받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컵(1)을 뉘어서 보관 등에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성능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aster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to stably support the cups 1, and can be formed in a form that is easy to store and store the cups 1, It is also possible to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11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물받이부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물받이부가 인출된 상태의 저면도와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받침의 물받이부가 인출되어 뉘어진 컵을 보관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sters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as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water receiving portion is drawn out. 11 and 12 are a bottom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cup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drawn 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up-receiving portion of a cup-shaped c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and a divided cup is stored.

도 9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컵받침(110)은 컵지지판(120)과, 이 컵지지판(120)의 외둘레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컵(1)이 뉘어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컵(1)의 외형에 대응하여 컵지지판(120)과 걸림턱부(130)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요홈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9 to 14, the cup support 110 may include a cup support plate 120 and a latching protrusion 1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support plate 120, And a recessed portion 140 formed across the cup supporting plate 120 and the engaging jaw portion 13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up 1 so as to be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up 1 is seated.

또한, 요홈부(140)는 높여지는 컵(1)의 상부 개방부를 전면방향이라 할 때,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 및 깊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cup 1 to be raise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direction, the recessed groove portion 140 may be formed so that the width and depth decrease from the front to the rear.

또한, 요홈부(140)에는 적어도 일측에 뉘어서 보관되는 컵(1)이 흘러내지 않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큰 수지재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부재(142)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ssed groove portion 140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dable member 142 including a resin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al force such as rubber or the like so as to prevent slippage of the cup 1 stored at least on one side.

컵받침(110)은, 컵지지판(120)의 외둘레에서 하측 방향으로 보조 걸림턱부(136)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컵받침(110)은 보조 걸림턱부(136)가 실질적으로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컵받침(110)은 보조 걸림턱부(136)가 테이블 등에 놓여진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보조 걸림턱부(136)의 하측에 제공되는 슬립 방지패드(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asters 110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uxiliary supporting protrusions 136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up supporting plate 120. Therefore, the coasters 110 can be supported by the auxiliary stopping jaws 136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a table or the like. The coasters 110 may further include a slip prevention pad 138 provided below the auxiliary locking step 136 so that the auxiliary locking step 136 does not slip on a table or the like.

또한, 요홈부(140)가 형성된 전방 일측에는 컵지지판(120)에 대해 보조받침부(122)가 슬라이딩 인출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22 may be slidably provided on the cup supporting plate 120 on the front side where the recessed portion 140 is formed.

이를 위해, 컵지지판(120)의 전면 하부에는 보조받침부(122)의 전면부가 수용되도록 단차진 홈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To this end, a stepped groove 121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up supporting plate 120 to receive the front portion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22.

또한, 컵지지판(120)의 하부에는 보조받침부(12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26)이 보조받침부(122)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A rail 126 for guiding sliding movement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22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supporting plate 120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22.

또한, 레일(126)의 하부에는 보조받침부(122)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돌출부(126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받침부(122)에는 이 돌출부와 대응하는 홈부(122a)가 마련될 수 있다.A protrusion 126a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 126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122 and a groove portion 122a may be formed on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122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portion. have.

보조받침부(122)는 레일(126)에 양측이 구속된 상태에서 돌출부(126a)에 의해 하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컵지지판(12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22 is not detached downward by the projecting portion 126a in the state where both sides are constrained to the rail 126 and can be pulled out forward of the cup supporting plate 120. [

바람직하게는 보조받침부(122)에는 컵(1)으로부터 흘러내린 이물질이 저장되도록 오목한 형태의 수용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122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24 having a concave shape so as to store foreign substances flowing from the cup 1.

이러한 구조의 보조받침부(122)는 컵(1)을 뉘어서 보관할 경우,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컵(1)으로부터 흘러내린 물 등의 이물질이 테이블 등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122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used when being pulled out when the cup 1 is stored in a separated stat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water flowing down from the cup 1 from falling on a table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 컵 10: 컵받침
20: 컵지지부 30: 걸림턱부
36: 보조 걸림턱부 38: 슬립 방지패드
40: 요홈부 42: 미끄럼 방지부재
1: cup 10: coasters
20: cup support 30:
36: auxiliary locking jaw 38: slip prevention pad
40: recessed groove 42: non-slip member

Claims (8)

컵의 밑바닥이 안착되는 컵지지판;
상기 컵지지판의 외둘레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컵이 뉘어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기 컵의 외형에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걸림턱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는,
상기 컵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걸림턱부에 각각 형성된 메인요홈; 및
두 개의 상기 메인요홈이 이어지도록 상기 컵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된 서브요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받침.
A cup support plate on which the bottom of the cup is seated;
An engagemen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support plate; And
And a recessed portion formed at least across the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up so that the cup is seated in a divided state,
Wherein,
A main groove formed at each of the engaging jaws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cup supporting plate therebetween; And
A sub-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up support plate so that the two main grooves are continuous;
And a cup-shaped bas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 및 깊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컵받침.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and depth decrease from the front to the re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컵의 안착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제공되는 컵받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on member for preventing slippage when the cup is seated.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가 형성된 전방 일측에 상기 컵지지판에 대해 인출 가능토록 제공되는 보조받침부를 포함하는 컵받침.
The method of claim 1, 3, or 4,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 front side formed with the recessed portion so as to be drawable with respect to the cup support pla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받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컵으로부터 흘러내린 이물질이 저장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컵받침.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portion and storing a foreign substance flowing from the cup.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지지판의 외둘레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컵받침.
The method of claim 1, 3, or 4,
And an auxiliary engagement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cup support pla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걸림턱부에 제공되는 슬립 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컵받침.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lip prevention pad provided on the auxiliary locking jaw.

KR1020150022659A 2015-02-13 2015-02-13 Cup plate KR101650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59A KR101650132B1 (en) 2015-02-13 2015-02-13 Cup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59A KR101650132B1 (en) 2015-02-13 2015-02-13 Cup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132B1 true KR101650132B1 (en) 2016-08-23

Family

ID=5687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659A KR101650132B1 (en) 2015-02-13 2015-02-13 Cup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13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50A (en) * 1989-05-30 1991-01-10 Yuasa Battery Co Ltd Manufacture of storage battery electrode plates
JP3004450B2 (en) * 1992-03-10 2000-01-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imulated ground drive
KR200341589Y1 (en) * 2003-09-22 2004-02-11 장희동 Slipping protection structure of vessel
KR200430850Y1 (en) * 2006-06-20 2006-11-13 조용희 Support with Lighting Function
KR20090104413A (en) * 2008-03-31 2009-10-06 이창용 Cover For Paper Cup With The Moisture Absorp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50A (en) * 1989-05-30 1991-01-10 Yuasa Battery Co Ltd Manufacture of storage battery electrode plates
JP3004450B2 (en) * 1992-03-10 2000-01-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imulated ground drive
KR200341589Y1 (en) * 2003-09-22 2004-02-11 장희동 Slipping protection structure of vessel
KR200430850Y1 (en) * 2006-06-20 2006-11-13 조용희 Support with Lighting Function
KR20090104413A (en) * 2008-03-31 2009-10-06 이창용 Cover For Paper Cup With The Moisture Absorp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8710A (en) All purpose carrier
EP3166448B1 (en) Combined vessel lid and tea ba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US4864921A (en) Combination mug with integral tea bag receptacle
CA2298380A1 (en) Dinner tray
US7360666B1 (en) Portable food, beverage and utensil holder
US2328599A (en) Device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CA2736835C (en) Stackable cup
RU2009140751A (en) CUP AND COFFEE MACHINE SUPPORT OR SIMILAR DEVICE CONTAINING THE MENTIONAL STAND
US2107381A (en) Serving device
EP0529066A4 (en) Contact lens case
WO2016038568A1 (en) A disposable lid
KR101650132B1 (en) Cup plate
US1587874A (en) Receptacle or holder
US2530736A (en) Child's feeding tray
US20170014016A1 (en) Drying rack
JP2015523123A (en) strainer
KR200481424Y1 (en) Tray Having Holder Function
US7185763B2 (en) Cupholding lap tray
KR200486146Y1 (en) Double container
KR200390158Y1 (en) a cup holder
KR200475347Y1 (en) Artificial cup
KR102569793B1 (en) An Enhanced Stable Type of a Mat for Supporting an Article
KR200359571Y1 (en) The art of ceremonial tea-making table which has a water custody space
JPS5922447Y2 (en) beverage container
KR20170046283A (en) Improved ease-of-use beverage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