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085B1 -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085B1
KR101650085B1 KR1020150029975A KR20150029975A KR101650085B1 KR 101650085 B1 KR101650085 B1 KR 101650085B1 KR 1020150029975 A KR1020150029975 A KR 1020150029975A KR 20150029975 A KR20150029975 A KR 20150029975A KR 101650085 B1 KR101650085 B1 KR 10165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inner space
blowing fan
convex portion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철
이의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02B10/2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제 1 요(凹)부 및 제 1 철(凸)부가 교대로 형성된 제 1 투명창과, 상기 제 1 요부 및 제 1 철부의 면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광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과, 상기 제 1 투명창의 하단에 연속하여 배치되어 건물 외벽에 부착되며, 상기 제 1 요부 및 제 1 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요부 및 제 2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철부 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집열판과,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투명창 후면에 부착되는 제 2 투명창과, 상기 제 1 투명창의 상측에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제 1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철부와 상기 제 2 투명창 사이에 의해 제 1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철부와 상기 건물 외벽 사이에 의해 제 2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제 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제 1 내부 공간을 거쳐 실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HYBRID ELECTRIC HEAT SYSTEM FOR MULTI STAGE TYPE USING PHOTOVOLTAIC AND SOLAR HEAT}
본 발명은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등의 빛이 투과 가능하고 요철이 형성된 투명창의 표면에 광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투과형 PV(Photovoltaic) 모듈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고, 동시에 투명창 하단에 요철이 형성된 집열판을 배치하여 집열되는 태양열로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전기 및 열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에너지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로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에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석유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경제 발전에 큰 어려움이 있고, 온실가스 배출규제의 의무화로 인해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제한하는 기술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및 연료전지 등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가 주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태양광 발전은 별도의 발전기 없이 태양전지 등의 태양광 발전 모듈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거용, 차량, 통신용 기기 등 그 대상이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쾌적한 생활을 위해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실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냉난방에너지는 건축물의 벽체를 통해 외부로 유출 또는 환기시에 손실되는 부분으로 인해 에너지 소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건물의 단열을 위한 방법으로 벽체 시공시 내부 또는 어느 일측에 단열패널을 형성하여 건물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열손실을 축소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도 환기시에는 내부의 에너지가 외부로 그대로 유출되어 실내온도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더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90175호는 태양열 취득을 위한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는 단열패널의 외부 금속판이 태양열에 의해 외기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겨울철 실내 난방에 활용함으로써, 난방부하를 감소시키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난방을 향상시키고 실내와 실외의 공기차를 줄여 열손실을 축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 또는 여름철 데워진 외부금속판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이격공간 사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수단으로 송풍팬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추가로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내와 실외가 차단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실내조명 사용량이 증가하여 소모되는 전력이 증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단에 태양광 등의 빛이 투과 가능하고 요철이 형성된 투명창을 배치하고 표면에 광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투과형 PV(Photovoltaic)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고, 동시에 투명창 하단에 요철이 형성된 집열판을 배치하여 집열되는 태양열로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전기 및 열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은,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제 1 요(凹)부 및 제 1 철(凸)부가 교대로 형성된 제 1 투명창과, 상기 제 1 요부 및 제 1 철부의 면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광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과, 상기 제 1 투명창의 하단에 연속하여 배치되어 건물 외벽에 부착되며, 상기 제 1 요부 및 제 1 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요부 및 제 2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철부 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집열판과,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투명창 후면에 부착되는 제 2 투명창과, 상기 제 1 투명창의 상측에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제 1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철부와 상기 제 2 투명창 사이에 의해 제 1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철부와 상기 건물 외벽 사이에 의해 제 2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제 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제 1 내부 공간을 거쳐 실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은, 상기 집열판이 태양열에 의한 집열로 상기 제 2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를 예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은, 상기 제 1 내부 공간 및 제 2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예열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인 경우, 예열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하도록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은, 상기 동작 제어부가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가 상기 송풍팬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은,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이 광 투과형 PV(Photovoltaic)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은, 상기 제 1 투명창 및 제 2 투명창으로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은, 상기 동작 제어부가 상기 온도 검출 센서를 통해 검출된 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1 투명창의 상측에 구비되는 배출용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예열된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에 따르면, 상단에 태양광 등의 빛이 투과 가능하고 요철이 형성된 투명창을 배치하고 표면에 광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투과형 PV(Photovoltaic)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고, 동시에 투명창 하단에 요철이 형성된 집열판을 배치하여 집열되는 태양열로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전기 및 열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에 따르면, 상단의 투명창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을 간접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을 이루는 제 1 투명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을 이루는 집열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을 이루는 제 1 투명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을 이루는 집열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이하,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이라 함)(10)은 제 1 투명창(100)과 이 제 1 투명창(100)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건물 외벽(20)에 부착되는 집열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투명창(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 광, 예를 들어, 태양광이 투과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제 1 요(凹)부(101) 및 제 1 철(凸)부(102)가 교대로, 즉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투명창(100)은 하나의 판재를 절첩함으로써, 굴곡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투명창(100)의 각 일면(예를 들어, 전면 또는 후면)에는 광 투과형 PV(Photovoltaic) 모듈로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모듈(110)이 장착될 수 있다. 이 태양광 발전 모듈(110)은 태양광의 광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투명창(100)의 후면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투명창(100)의 전면에 걸쳐 제 2 투명창(120)이 부착될 수 있다. 이 제 2 투명창(120)도 제 1 투명창(100)과 동일한 광이 투과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투명창(100)의 후면에 제 2 투명창(120)이 부착됨으로써, 제 1 투명창(100)의 각 제 1 철부(102)와 제 2 투명창(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제 1 내부 공간(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제 1 내부 공간(130)은 후술하는 예열된 공기의 이동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투명창(100), 태양광 발전 모듈(110) 및 제 2 투명창(120)을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태양광을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의 간접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집열판(200)은 제 1 투명창(100)의 하단에 연속하여 배치되고, 건물 외벽(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집열판(2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투명창(100)을 이루는 제 1 요부(101) 및 제 1 철부(10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 2 요(凹)부(201) 및 제 2 철(凸)부(202)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 2 철부(202)를 이루는 각 면, 예를 들어, 전면 및 양측면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집열판(200)이 건물 외벽(20)에 부착됨으로써, 집열판(200)의 각 제 2 철부(202)와 건물 외벽(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제 2 내부 공간(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내부 공간(220)이 형성됨으로써, 집열판(200)의 제 2 철부(202)에 형성된 통공(21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이 제 2 내부 공간(220)으로 유입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집열판(200)을 통한 태양열의 집열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예열 즉, 데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내부 공간(220)에서 예열된 공기는 대류 현상으로 인해, 제 2 내부 공간(220)과 연통되는 제 1 투명창(100)의 제 1 내부 공간(1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1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투명창(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송풍팬(300), 동작 제어부(400) 및 온도 검출 센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00)은 각각의 제 1 내부 공간(130)과 연결되고 있고, 집열판(200)에서 예열되어 제 1 내부 공간(130)으로 이동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검출 센서(500)는 제 1 내부 공간(130) 또는 제 2 내부 공간(220)이나 제 1 내부 공간(130) 및 제 2 내부 공간(220) 모두에 배치되어,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400)에서는 온도 검출 센서(500)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확인하여, 설정된 온도, 즉 실내 난방을 위해 설정된 온도인 경우, 예열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하도록 송풍팬(300)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400)는 태양광 발전 모듈(110)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가 송풍팬(300)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송풍팬(300)의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기브리드 전열 시스템(1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1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투명창(100)의 상단에 배출용 송풍팬(6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제어부(400)에서는 온도 검출 센서(500)를 통해 검출된 공기, 즉 예열된 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보다 높은 경우, 예를 들어, 여름철 실내 냉방으로 인해 예열된 공기를 실내로 제공하지 않는 경우, 구비되는 배출용 송풍팬(6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예열된 공기를 실내로 제공하지 않고,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에 구비되는 동작 제어부에서는 설정된 온도에 따라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나, 온도 설정 외에 실내 환기를 위해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100 : 제 1 투명창 101 : 제 1 요(凹)부
102 : 제 1 철(凸)부 110 : 태양광 발전 모듈
200 : 집열판 201 : 제 1 요(凹)부
202 : 제 1 철(凸)부 210 : 통공
300 : 송풍팬 400 : 동작 제어부
500 : 온도 검출 센서 600 : 배출용 송풍팬

Claims (7)

  1.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제 1 요(凹)부 및 제 1 철(凸)부가 교대로 형성된 제 1 투명창;
    상기 제 1 요부 및 제 1 철부의 면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광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를 발생하고, 광 투과형 PV(Photovoltaic) 모듈로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모듈;
    상기 제 1 투명창의 하단에 연속하여 배치되어 건물 외벽에 부착되며, 상기 제 1 요부 및 제 1 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요(凹)부 및 제 2 철(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철부 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태양열에 의한 집열로 상기 제 2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를 예열시키는 집열판;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투명창 후면에 부착되는 제 2 투명창;
    상기 제 1 투명창의 상측에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제 1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송풍팬;
    상기 제 1 투명창의 상측에 구비되어 예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용 송풍팬;
    상기 송풍팬 및 배출용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및
    상기 제 1 내부 공간 및 제 2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예열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철부와 상기 제 2 투명창 사이에 의해 제 1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철부와 상기 건물 외벽 사이에 의해 제 2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은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제 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제 1 내부 공간을 거쳐 실내에 제공하며,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온도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인 경우, 예열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하도록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 검출 센서를 통해 검출된 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배출용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예열된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가 상기 송풍팬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창 및 제 2 투명창으로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7. 삭제
KR1020150029975A 2015-03-03 2015-03-03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KR10165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975A KR101650085B1 (ko) 2015-03-03 2015-03-03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975A KR101650085B1 (ko) 2015-03-03 2015-03-03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085B1 true KR101650085B1 (ko) 2016-08-23

Family

ID=5687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975A KR101650085B1 (ko) 2015-03-03 2015-03-03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0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265B1 (ko) * 2017-03-30 2018-10-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립형 태양열 신선외기 난방 및 온수예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JP2021147965A (ja) * 2020-03-23 2021-09-27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太陽光発電集熱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11A (ja) * 1995-07-11 1997-01-28 Hiroshi Wada 太陽熱集熱装置
JP2007132024A (ja) * 2005-11-08 2007-05-31 Daiwa House Ind Co Ltd 太陽熱利用の暖房外壁構造
KR20130024620A (ko) * 2011-08-31 2013-03-08 박정식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창호
KR20140141763A (ko) * 2013-05-30 2014-12-11 신용식 태양광 발전용 건축 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11A (ja) * 1995-07-11 1997-01-28 Hiroshi Wada 太陽熱集熱装置
JP2007132024A (ja) * 2005-11-08 2007-05-31 Daiwa House Ind Co Ltd 太陽熱利用の暖房外壁構造
KR20130024620A (ko) * 2011-08-31 2013-03-08 박정식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창호
KR20140141763A (ko) * 2013-05-30 2014-12-11 신용식 태양광 발전용 건축 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265B1 (ko) * 2017-03-30 2018-10-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립형 태양열 신선외기 난방 및 온수예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JP2021147965A (ja) * 2020-03-23 2021-09-27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太陽光発電集熱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289B1 (en) Integrated thermal module and back plat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s
WO2010026415A2 (en) Photovoltaic cell apparatus
KR101650085B1 (ko)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다단 구조형 하이브리드 전열 시스템
KR101518243B1 (ko) 하이브리드형 태양열 집열장치
JP200631902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並びにこの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具えてなる窓材、建材および建築物
CN101892795A (zh) 一种发汗传热式太阳能光伏光热联用窗
KR101256374B1 (ko)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비한 가로등
KR101079642B1 (ko) 태양열과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WO2015017879A1 (en) A power generating window assembly
KR101998222B1 (ko) 태양광 수광을 통한 발열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 벽체 시스템
CN106196919A (zh) 一种太阳能干燥装置
CN204923185U (zh) 自运行太阳能供暖装置
CN105723613A (zh) 具有太阳能能源单元的建筑结构及向建筑供热、电的方法
CN203654538U (zh) 多参数控制智能热通道光伏幕墙
KR20090010754U (ko) 태양광발전 온실
CN217054938U (zh) 一种光伏采暖遮阳一体化窗及系统
CN102110733A (zh) 一种太阳能光伏光热联用装置
KR101265204B1 (ko) 태양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자립형 신선 외기 난방시스템
KR101569675B1 (ko) 태양 빛과 열을 동시활용한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CN208487677U (zh) 一种光伏光热一体机系统
CN210405220U (zh) 太阳能热电联产装置
CN102561729A (zh) 自采暖太阳能单体建筑
KR101243383B1 (ko) 태양광발전 겸용 이중창호
CN107931046B (zh) 一种烘干设备及其太阳能烤漆烘干方法
CN104712109A (zh) 建筑外立面光伏发电与可调节外遮阳一体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