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617B1 - 공중부양 테이블 - Google Patents

공중부양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617B1
KR101649617B1 KR1020150033120A KR20150033120A KR101649617B1 KR 101649617 B1 KR101649617 B1 KR 101649617B1 KR 1020150033120 A KR1020150033120 A KR 1020150033120A KR 20150033120 A KR20150033120 A KR 20150033120A KR 101649617 B1 KR101649617 B1 KR 101649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ex
horizontal holding
a1c1b1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복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체형이 아닌 분리된 프레임 구조를 가지면서도 균형 조절 수단이 마련되어 공중 부양의 세련된 미적 효과가 연출될 수 있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이 절곡되는 강성 봉의 일단에, 상기 강성 봉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삼각뿔의 세 모서리를 이루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과 동일하되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제1프레임에 대응되는 연장부 끝단이 제1프레임의 상기 삼각뿔 내부에 위치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두 연장부 끝단을 연결하는 하중지지 로프 및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로 저면이 지지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두 삼각뿔 중 하나의 각 꼭짓점을 대향되는 삼각뿔의 인접 꼭짓점과 연결하는 수평유지 로프를 더 포함하며, 제1 및 제2프레임 각각에서, 연장부 끝단을 지나면서 강성 봉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과 수직으로 만나는 직선은 상기 삼각형의 무게중심에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테이블의 프레임이 강성 지지구조를 탈피함으로써 상판이 공중에 부양되는 듯한 날렵함과 산뜻한 심미감을 주는 디자인이 실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중부양 테이블{Levitation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체형이 아닌 분리된 프레임 구조를 가지면서도 균형 조절 수단이 마련되어 공중 부양의 세련된 미적 효과가 연출될 수 있는 공중부양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은 인간이 주거생활을 시작하던 시기부터 인류 생활의 편리를 위한 필수 물품이 되어 왔다.
테이블은 기본적으로 바닥으로 지지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부의 상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종래의 테이블은 모두 바닥과 상판 사이에 상판의 하중이 지지되기 위한 일체형 또는 견고하게 연결되는 분리형 프레임이 있게 된다.
그리고 중력 법칙에 의하여 일체형 프레임을 탈피하여 상판 또는 상판을 지지하는 부위만을 공중에 부양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테이블의 디자인은 항상 지면과 연결되는 프레임이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게 되는 한계를 지닌다. 설령 별도의 프레임이 없더라도 벽면에 의하여 상판의 하중이 지지되는 등 반드시 상판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상판의 하중을 버티는 프레임 자체가 육중한 중력의 느낌을 줄 수밖에 없으며 바닥으로부터 부양되는 느낌의 상판의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가지는 테이블은 현재로서는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공중으로 부양되는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중간에 연결이 끊어지는 느낌을 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특별한 기술적 수단이 필요하나, 현재로서는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가진 테이블은 찾아볼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58745호(등록일자: 2014. 10. 3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274호(등록일자: 2006. 03. 30)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9642호(공개일자: 2006. 09. 20)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바닥과 상판을 연결하는 강성 프레임의 구조를 탈피하여 테이블의 상판이 바닥에서부터 공중 부양 되는 산뜻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가지는 공중부양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부양 테이블은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강성 봉의 중앙이 절곡되어 가상의 삼각뿔의 밑면의 두 변을 이루며, 상기 강성 봉의 일단부에서 가상의 삼각뿔의 상부 꼭짓점 까지 연장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으로서, 제1프레임에 대하여 거울상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제1프레임의 연장부에 대응되는 연장부의 끝단이 제1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삼각뿔 내부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연장부 끝단과 제2프레임의 연장부 끝단을 연결하는 하중지지 로프 및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강성 봉으로 저면이 지지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두 삼각뿔 중 하나의 밑면의 각 꼭짓점을 대칭되는 나머지 삼각뿔의 밑면의 인접하는 두 꼭짓점과 연결하는 수평유지 로프가 더 포함되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테이블의 평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또는 제2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삼각뿔은 프레임이 외부의 힘에 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평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부 꼭짓점에서 밑면으로 뻗어나가는 직선이 밑면의 무게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삼각뿔이 정사면체인 경우이다.
한편, 각각의 수평유지 로프는 길이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수평유지 로프에는 장력 조절기가 마련되어 장시간의 불균형한 하중이나 외력에 의하여 테이블의 평형이 흐트러질 경우 수평유지 로프의 길이 조절로 다시 평형이 유지될 수 있다.
혹은 인접하는 두 수평유지 로프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로프일 수 있는데 이 경우 하나의 로프마다 장력 조절기가 하나씩 마련됨으로써 장력 조절기의 소요 개수가 절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의 제작방법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강성 봉이 가상의 삼각뿔의 상부 꼭짓점 에서부터 연결되어 밑면의 두 변을 이루도록 두 지점에서 절곡되는 형상으로 제1프레임을 제작하는 제1단계와, 제1프레임과 동일한 제2프레임을 제작하여 제1프레임에 거울상으로 대칭되게 배치하되,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삼각뿔의 상부 꼭짓점을 제1프레임으로 이루지는 삼각뿔 내부에 위치시키고, 하중지지 로프로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각의 상부 꼭짓점을 연결하는 제2단계와, 제1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삼각뿔의 밑면의 각 꼭짓점을 제2프레임의 대응되는 밑면의 두 인접 꼭짓점에 수평유지 로프로 연결하는 제3단계 및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하고, 상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위에 상판을 올리는 제4단계로 기본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은 강철 또는 복합재료로 일체로 성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프레임 각각에서, 세 번째 등분의 끝단을 지나면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등분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과 수직으로 만나는 직선은, 상기 삼각형의 무게중심에서 만나도록 제작한다.
이때 제1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삼각뿔의 밑면의 어느 하나의 꼭짓점을 제2프레임의 대응되는 밑면의 두 인접 꼭짓점과 각각 연결하는 수평유지 로프는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 마다 하나의 장력 조절 수단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테이블의 프레임이 강성 지지구조를 탈피함으로써 상판이 공중에 부양되는 듯한 날렵함과 산뜻한 심미감을 주는 디자인이 실현될 수 있다.
둘째, 테이블의 프레임이 강성 지지구조를 탈피하면서도 상판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채택되어 통상의 테이블 처럼 실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테이블의 프레임이 강성 지지구조를 탈피하면서도 장시간 사용에 의한 변형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의 보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력 조절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장기간의 실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의 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뿔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의 각 프레임이 삼각뿔의 모서리를 이루는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의 수평유지 로프가 연결되는 지점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의 제1 및 제2 프레임과 수평유지 로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의 장력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각 삼각뿔의 꼭짓점에 수평유지 로프가 연결되는 두 가지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c는 도 6a의 장력 조절 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체 구조와 각 구성간의 관계를 간략하게 살펴본 후,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이 서로 분리되는 프레임으로 지지되면서도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는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체 구조와 각 구성간의 관계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분리되면서 연결되는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제1, 및 제2프레임(10,20)을 연결하는 하중지지 로프(31) 및 균형조절 로프(41)와, 상판(1)으로 이루어진다.
제1프레임(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강성 봉이 적어도 두 지점 이상에서 절곡되어 기하학적 삼각뿔(A1C1B1O1)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강성 봉이 두 지점(C1,B1)에서 절곡되고, 상기 두 지점(B1,C1)을 경계로 제1 부위(O1B1), 제2 부위(B1C1), 제3 부위(C1A1)로 연속되어 나누어짐으로써 밑면(A1C1B1)과 꼭짓점(O1)을 가지는 가상의 삼각뿔(A1C1B1O1)을 이룬다.
이때 제1 부위(O1B1)는 상기 가상의 삼각뿔(A1C1B1O1)의 꼭짓점(O1)으로부터 밑면(A1C1B1)에 이르는 하나의 모서리(O1B1)에 상응하고, 제1 부위(O1B1)에 연결되는 제2 부위(B1C1)와 제3 부위(C1A1)는 상기 삼각뿔(A1C1B1O1)의 밑면을 형성하는 삼각형(A1C1B1)의 두 변(A1C1,C1B1)에 상응한다.
제2프레임(10)은 제1프레임(10)과 동일한 프레임으로서, 제1프레임(10)과 역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프레임(10)의 꼭짓점(O1)에 대응되는 제2프레임(20)의 꼭짓점(O2)이 제1프레임(10)의 꼭짓점(O1)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과 일체로 강성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상부 프레임의 일 지점이 하부 프레임의 일 지점보다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두 일 지점이 강성부재가 아닌 로프 등의 유연한 부재로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의 하중이 하부 프레임의 일 지점에 의하여 지탱되는 것이다.
참고로 여기서 '꼭짓점'이라고 표현된 것은 하나의 삼각뿔에서 하부에 밑면을 이루는 삼각형이 배치될 때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꼭짓점을 지칭한다. 즉 삼각뿔이 직립될 때의 상부 꼭짓점을 말한다.
이때 하중지지 로프(31)는 제1 및 제2프레임(10,20)으로 이루어지는 두 삼각뿔(A1C1B1O1,A2C2B2O2)에서 서로의 내부에 위치되는 꼭짓점(O1,O2) 끼리 연결하는 로프이다.
또한 균형지지 로프(41)는 제1 및 제2프레임(10,20)으로 이루어지는 두 삼각뿔(A1C1B1O1,A2C2B2O2)에서 서로의 외부에 위치되는 꼭짓점(A1,C1,B1,A2,C2,B2) 끼리 연결하는 로프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 지점은 B2 및 C2와 각각 연결되고, C1은 A2 및 B2와 각각 연결되며, B1은 A2 및 C2와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판(1)은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 이 상부와 하부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때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20) 중 어느 하나로 저면이 지지된다. 도 3에서는 제1프레임(10)이 하부에 배치되므로 상판(1)은 제2프레임(20)이 이루는 가상의 삼각뿔(A2C2B2O2)의 밑면(A2C2B2)에 의해 그 하중이 지지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1 또는 제2프레임(10,20)으로 형성되는 두 삼각뿔(A1C1B1O1,A2C2B2O2)에서 각 삼각뿔에 내포되는 꼭짓점(O1,O2)을 연결하는 직선은 나머지 꼭짓점(A1,C1,B1,A2,C2,B2)으로 형성되는 두 삼각형(A1C1B1,A2C2B2)의 무게중심(G1,G2)에 직교됨으로써 상기 두 삼각형(A1C1B1,A2C2B2)의 각 무게중심(G1,G2)과, 각 삼각뿔에 내포되는 상기 꼭짓점(O1,O2)을 연결하는 선은 각 삼각뿔(A1C1B1O1,A2C2B2O2)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선(G1O2O1G2)상에 모두 위치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두 삼각뿔(A1C1B1O1,A2C2B2O2)에 내포되는 각 꼭짓점(O1,O2)을 지나는 무게중심선은 서로 일치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두 삼각뿔(A1C1B1O1,A2C2B2O2)은 모두 정사면체이다.
한편, 두 삼각뿔(A1C1B1O1,A2C2B2O2)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삼각형(A1C1B1,A2C2B2)은 도 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유지 로프(41)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게 될 때의 배치가 균형 조절을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배치가 된다.
하지만, 도 5에서와 같이 수평유지 로프(41)의 길이가 모두 같더라도 장시간 동안 외부에서 불균일한 하중이 가해질 경우를 대비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유지 로프(41)의 길이 변형의 보정을 위한 장력 조절기(4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두 수평유지 로프(41)는 도 6b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연결된 하나의 로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41)마다 장력 조절기가 하나씩 마련됨으로써 장력 조절기의 소요 개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 제작 방법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강성 봉이 기하학적 삼각뿔(A1C1B1O1)의 상부 꼭짓점(O1) 에서부터 시작되어 밑면(A1C1B1)의 두 변을 이루도록 두 지점(C1,B1)에서 절곡되는 형상으로 제1프레임(10)을 제작하는 제1단계와, 제1프레임과 동일한 제2프레임(20)을 제작하여 제1프레임(10)에 역방향으로 배치하되,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각 삼각뿔(A1C1B1O1,A2C2B2O2)이 한 삼각뿔 내부에 역방향 삼각뿔의 꼭짓점 하나가 내포되게 배치하고, 하중지지 로프(31)로 서로 내포되는 꼭짓점 끼리(O1-O2) 연결하는 제2단계와, 제1 및 제2프레임(10,20)으로 이루어지는 두 삼각뿔(A1C1B1O1,A2C2B2O2)에서 서로의 외부에 위치되는 밑면의 각 점 끼리(A1-B2, A1-C2, C1-A2, C1-B2, B1-A2, B1-C2) 수평유지 로프(41)로 연결하는 제3단계 및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이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위에 상판(1)을 올리는 제4단계로 기본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프레임(10,20) 각각은 강철 또는 복합재료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변형되지 않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또는 제2프레임(10,20)이 이루는 각각의 가상의 삼각뿔(A1C1B1O1,A2C2B2O2)의 어느 한 꼭짓점과 역방향 삼각뿔의 두 꼭짓점을 연결하는 상기 수평유지 로프(41)는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41) 마다 하나의 장력 조절 수단(43)을 설치하여 소요되는 장력 조절 수단(43)의 개수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프레임(10,20)이 서로 분리되는 구조로 연결되면서도 상판(1)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원리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프레임(10,20)과, 하중지지 로프(31)와, 수평유지 로프(31)와, 상판(1)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프레임(10,20)이 삼각뿔, 즉 사면체 형태를 띠는 이유는 사면체와, 육면체와 팔면체가 각각 한 면이 바닥에 접촉된 상태일 때 모두 무게는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한 면이 바닥에서 들리는 데에 드는 힘의 크기나 또는 바닥에서 일정한 거리를 끄는 데에 드는 힘의 크기가 사면체의 경우에 가장 크기 때문이다.
즉 여러 가지 다면체 중 사면체의 구조가 가장 안정적이다. 뿐만 아니라 사면체는 형상이 단순한 점에서 산뜻하고 심플한 심미감을 줄 수 있으므로 산뜻한 심미감의 측면에서도 사면체를 채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바닷가에서 방파제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테트라포드의 형상도 사면체의 내부 뼈대를 이루는 형상을 취한다.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으로 인하여 각각 삼각뿔(A1C1B1O1,A2C2B2O2)이 형성되는 원리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도면번호로 볼 때에는 제1프레임(10)이 하부에 배치되고 제2프레임(20)이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은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므로 둘 중 어느 것이 제1프레임(10)인 것인가는 중요하지 않으며 설명의 편의상 하부가 제1프레임(10)으로 도시된 것으로 정한다.
도 3에서 삼각형 A1C1B1은 삼각형 C1B1O1과 서로 다른 평면을 이룬다. 그리고 지면에 대한 관계에서 A1C1B1 으로 이루어지는 면이 지면과 접촉되고 끝단 O1은 삼각뿔에서 최상단의 꼭짓점이 된다.
이때 A1C1B1 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무게 중심이 G1일 경우 삼각뿔의 최상단의 꼭짓점인 O1에서 A1C1B1 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을 연결하는 수직선을 그을 경우 상기 수직선은 바람직하게는 A1C1B1 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무게중심인 G1과 만나게 된다.
따라서 O1은 하부 삼각형(A1C1B1)의 무게중심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며, 이럴 경우 A1C1B1O1 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삼각뿔의 무게 중심은 G1O1 으로 이루어지는 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외부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삼각뿔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삼각뿔에서 상부의 꼭짓점이 삼각뿔 전체의 수직 무게중심 선 상에 있게 되면 상부의 꼭짓점으로부터 모든 방향에 대하여 무게 분포가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O1이 G1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는 경우가 외부의 힘에 대하여 가장 안정적이다.
제2프레임(20)도 제1프레임(10)과 동일한 형상이므로 그 구조도 동일하다. 그리고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은 서로 대향되므로 A1C1B1 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과 A2C2B2 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은 서로 대향되면서 서로 평행이다.
특히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프레임(10)의 무게중심선인 G1O1과 제2프레임(20)의 무게중심선인 G2O2는 하나의 직선상에 둘 다 위치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O1지점과 O2지점을 하중지지 로프(31)로 서로 연결하는 경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 전체의 무게 중심선이 서로 일치되어 삼각형 A2C2B2 위에 놓이는 상판(10)이 안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서는 측면의 수평유지 로프(41)가 없더라도 상판(1)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게 되어 테이블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나 상판(1) 위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O1과 O2를 연결하는 하중지지 로프(31)가 기울게 되면서 상판(1)이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수평유지 로프(41)가 설치되어야 한다.
도 4와 도 5에는 수평유지 로프(41)가 설치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수평유지 로프(41)가 설치되는 원리가 입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서는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평면도로 볼 경우 각 수평유지 로프(41)가 연결되는 지점이 쉽게 파악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이 서로 겹쳐 보이며, 삼각형 A1C1B1의 각 꼭짓점은 삼각형 A2C2B2의 인접되는 각 꼭짓점에 연결된다.
참고로 도 5에서는 삼각형 A1C1B1의 각 꼭짓점에 인접되는 삼각형 A2C2B2의 꼭짓점 사이의 거리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삼각형 A1C1B1의 각 꼭짓점에 인접되는 삼각형 A2C2B2의 꼭짓점 사이의 거리가 모두 동일할 경우 제2프레임(20)의 균형이 유지되기가 더욱 용이해진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평유지 로프(41) 마다 장력 조절 수단(4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a와 도 6c에는 장력 조절 수단(43)이 공지의 턴버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턴버클 이외에도 공지의 다른 장력 조절 수단(43)이 있다면 얼마든지 채택 가능하다.
장력 조절 수단(43)이 필요한 이유는 테이블을 장시간 사용하게 될 경우 수평유지 로프(41)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하여 수평유지 로프(41)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 상판(1)에 pc 모니터나 화분 또는 책 등을 장기간 올려놓을 경우 하중이 가해짐으로 인하여 압축이 아닌 인장력이 걸리는 쪽의 수평유지 로프(41)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늘어난 길이만큼 수평유지 로프(41)의 길이를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도 6a에서는 장력 조절 수단(43)이 각 꼭짓점과 꼭짓점 사이마다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수평유지 로프(41)와 꼭짓점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장력 조절 수단(43)은 두 군데의 수평유지 로프(41) 중 하나에만 구비 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즉 도 6b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유지 로프(41)가 각 꼭짓점에 연결될 경우에는 장력 조절 수단(43)은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꼭짓점 사이에 하나씩 구비되어야 하나, 도 6b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유지 로프(41)가 각 꼭짓점에 연결될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되는 로프는 하나의 로프인 것이 되므로 도 6a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장력 조절 수단(43)은 2개가 아니라 하나만 구비되어도 족하게 된다.
즉 도 6b의 (a)에서는 점과 점 사이에 각각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41)가 배치되지만, 도 6b의 (b)에서는 인접하는 두 개의 수평유지 로프(41)가 이어지는 하나의 로프인 것이다.
참고로 도 6a 와 도 6b에는 연결 고리(42)에 의하여 수평유지 로프(41)가 각 꼭짓점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 고리(42)이외의 공지의 다른 연결 수단이 있다면 얼마든지 채택 가능하며, 연결 고리(42)에 의한 연결의 경우에도 연결 고리(42)의 형태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공중부양 테이블의 제작 방법은 앞에서 설명된 내용과 대부분 중복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이루는 강성 봉의 재질은 강철이나 또는 강철 이상의 인장 변형 저항성이 있는 재질이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변형이 최대한 억제되어야 하므로 인장 변형이 쉽게 일어나 가공성이 좋은 금속 보다는 인장 변형이 최대한 일어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크립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좋아야 한다. 장시간의 응력으로 인한 변형이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제작에서는 인장 가공에 의한 성형보다는 주물 제작의 방식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재질로서 인장 변형에 강한 복합재료가 선택될 수도 있다. 특히 복합재료의 선택에 따라서는 인장변형에 강하면서도 크랙에 의한 파괴에도 강할 수 있다.
한편, 상판은 전체 균형을 위하여 제2프레임(20) 중 A2B2C2를 지나는 강성 봉으로 형성되는 삼각형(A2B2C2)의 무게중심(G2)이 상판(1)의 무게중심과 일치 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판(1)의 저면에는 제2프레임(20)의 상부면, 즉 제2프레임(20)이 이루는 삼각뿔(A2C2B2O2)이 직립될 경우의 밑면(A2C2B2)과 접촉되는 부위에 상기 밑면(A2C2B2)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A2C2B2)과 동일한 모양의 삼각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A2C2와 B2C2 부위만 삽입되는 홈이 아니라 삼각형의 홈이 형성되면 상판(1)을 제2프레임 위에 올릴 때 특정한 하나의 방향이 아니라 세 가지 방향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상판(1)의 설치가 좀 더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A,B,C,O: 삼각뿔의 각 꼭짓점 G: 삼각뿔의 무게 중심
A1,B1,C1,O1: 제1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삼각뿔의 각 꼭짓점
G1: A1B1C1 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무게중심
A2,B2,C2,O2: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삼각뿔의 각 꼭짓점
G2: A2B2C2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무게중심
1: 상판 10: 제1프레임
20: 제2프레임 31: 하중지지 로프
32: 하중지지 고리 41: 수평유지 로프
42: 연결 고리 43: 장력 조절 수단

Claims (11)

  1.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강성 봉이 두 지점(C1,B1)에서 절곡되고, 상기 두 지점(B1,C1)을 경계로 제1 부위(O1B1), 제2 부위(B1C1), 제3 부위(C1A1)로 연속되어 나누어지되, 상기 제1 부위(O1B1)는, 밑면(A1C1B1)과 꼭짓점(O1)을 가지는 가상의 삼각뿔(A1C1B1O1)에서, 꼭짓점(O1)으로부터 밑면(A1C1B1)에 이르는 하나의 모서리(O1B1)에 상응하고, 제1 부위(O1B1)에 연결되는 제2 부위(B1C1)와 제3 부위(C1A1)는 상기 삼각뿔(A1C1B1O1)의 밑면을 형성하는 삼각형(A1C1B1)의 두 변(A1C1,C1B1)에 상응함으로써 일체의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10)과;
    제1 프레임(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으로서, 제1 프레임(10)과 역방향으로 상부에 배치되되, 제1 프레임(10)에 대응되는 꼭짓점(O2)이 제1 프레임(10)의 꼭짓점(O1)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20)과;
    제1 프레임(10)의 꼭짓점(O1)과 제2 프레임(20)의 꼭짓점(O2)을 연결하는 하중지지 로프(31)와;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의 마주보는 각 밑면(A1C1B1,A2C2B2)의 꼭짓점을 서로 마주보는 밑면의 두 개의 인접 꼭짓점과 연결(A1-B2, A1-C2, C1-A2, C1-B2, B1-A2, B1-C2)하는 여섯 개의 수평유지 로프(41)와;
    제2 프레임(20)의 밑면(A2C2B2)으로 저면이 지지되는 상판(1);을 포함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 로프(31)는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가상의 삼각뿔(A1C1B1O1,A2C2B2O2)의 각 밑면(A1C1B1,A2C2B2)에서 각각의 무게중심(G1,G2)을 서로 연결하는 직선(G1O2O1G2)상에 위치되며, 상기 무게중심(G1,G2)을 서로 연결하는 직선(G1O2O1G2)은 상기 각 밑면(A1C1B1,A2C2B2)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상의 삼각뿔(A1C1B1O1,A2C2B2O2)은 정사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유지 로프(41)는 길이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수평유지 로프(41) 마다 장력 조절기(4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수평유지 로프(41) 한 쌍이 서로 연결된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결된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41)마다 장력 조절기(43)가 하나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8.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강성 봉이 기하학적 삼각뿔(A1C1B1O1)의 상부 꼭짓점(O1) 에서부터 시작되어 밑면(A1C1B1)의 두 변을 이루도록 두 지점(C1,A1)에서 절곡되는 형상으로 제1프레임(10)을 제작하는 제1단계;
    제1프레임(10)과 동일한 제2프레임(20)을 제작하여 제1프레임(10)에 역방향으로 상부에 배치하되, 제2프레임(10)의 소정의 꼭짓점(O2)이 제1프레임(10)의 상부 꼭짓점(O1)의 하부에 위치되게 배치하고, 하중지지 로프(31)로 상기 제2프레임(10)의 소정의 꼭짓점(O2)과 제1프레임(10)의 상부 꼭짓점(O1)을 연결하는 제2단계;
    제1 및 제2프레임(10,20)으로 이루어지는 두 삼각뿔(A1C1B1O1,A2C2B2O2)의 마주보는 각 밑면(A1C1B1,A2C2B2)의 꼭짓점을 서로 마주보는 밑면의 두 개의 인접 꼭짓점과 수평유지 로프(41)로 연결(A1-B2, A1-C2, C1-A2, C1-B2, B1-A2, B1-C2)하는 제3단계; 및
    제2프레임(20) 위에 상판(1)을 올리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프레임(10,20) 각각은 강철 또는 복합재료로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제작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수평유지 로프(41)는 한 쌍씩 서로 연결된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제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수평유지 로프(41) 마다 하나의 장력 조절 수단(43)을 설치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부양 테이블 제작 방법.
KR1020150033120A 2015-03-10 2015-03-10 공중부양 테이블 KR101649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20A KR101649617B1 (ko) 2015-03-10 2015-03-10 공중부양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20A KR101649617B1 (ko) 2015-03-10 2015-03-10 공중부양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617B1 true KR101649617B1 (ko) 2016-08-22

Family

ID=5685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120A KR101649617B1 (ko) 2015-03-10 2015-03-10 공중부양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3834A (zh) * 2019-12-23 2020-04-10 九江学院 一种环境艺术设计专业建筑室内设计用多功能绘图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3143U (ja) * 1991-03-07 1992-11-06 ラフユーマ・ソシエテ・アノニム 簡易家具
KR200413274Y1 (ko) 2006-01-04 2006-04-06 최승관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60099642A (ko) 2005-03-14 2006-09-20 안태국 다리없는 미용의자
KR101458745B1 (ko) 2014-05-21 2014-11-05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3143U (ja) * 1991-03-07 1992-11-06 ラフユーマ・ソシエテ・アノニム 簡易家具
KR20060099642A (ko) 2005-03-14 2006-09-20 안태국 다리없는 미용의자
KR200413274Y1 (ko) 2006-01-04 2006-04-06 최승관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1458745B1 (ko) 2014-05-21 2014-11-05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3834A (zh) * 2019-12-23 2020-04-10 九江学院 一种环境艺术设计专业建筑室内设计用多功能绘图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2095B (zh) 一种高大跨度幕墙的桁架支撑结构
US9615681B2 (en) Arrangement with a base plate and a covering hood for a screen
KR101649617B1 (ko) 공중부양 테이블
CN109235230A (zh) 兼具建筑美学造型和结构安全受力合理的白鹭塔斜拉桥
CN201648952U (zh) 一种桥梁用抗震挡块
KR20130097249A (ko) 현수교의 원리를 이용한 빌딩
ITMI20001371A1 (it) Suppoto per pavimentazioni smontabili e pavimenti utilizzanti detto supporto.
CN205475897U (zh) 双层自平衡拉索恒温幕墙系统
CN105544823A (zh) 双层自平衡拉索恒温幕墙系统
CN106065626A (zh) 脱离式基坑钢支撑体系
CN109898659A (zh) 一种螺旋上升式多空间结构体系
CN106477428A (zh) 一种减震装置
CN208395639U (zh) 索塔与斜塔斜拉桥
CN208430751U (zh) 一种稳定性强的建工架
CN103321138A (zh) 一种多层桥面悬索桥
CN107761332B (zh) 一种长方形阳台的衣服晾晒架
CN205773102U (zh) 一种动感平台
CN112048986A (zh) 一种倾斜拱塔斜拉桥
ITMC20070004U1 (it) Bancone frigorifero corredato di vaschette per gelato realizzate in materiale trasparente.
CN206390588U (zh) 一种新型卧室柜
CN205875401U (zh) 一种连接内外筒的多层密框结构
CN206346518U (zh) 一种组装式看台
CN214831929U (zh) 一种力学与美学相结合的索塔
CN2932568Y (zh) 显示器支座升降导引改良结构
JP3168682U (ja) スツ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