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517B1 - 니트라민 산화제를 포함하는 추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트라민 산화제를 포함하는 추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517B1
KR101649517B1 KR1020160018434A KR20160018434A KR101649517B1 KR 101649517 B1 KR101649517 B1 KR 101649517B1 KR 1020160018434 A KR1020160018434 A KR 1020160018434A KR 20160018434 A KR20160018434 A KR 20160018434A KR 101649517 B1 KR101649517 B1 KR 10164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amine
propellant
present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길
황준식
김진석
박민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1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517B1/ko
Priority to US15/156,394 priority patent/US2017023330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5/00Compositions containing a nitrated organic compound
    • C06B25/34Compositions containing a nitrated organic compound the compound being a nitrated acyclic, alicyclic or heterocyclic 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5/00Compositions containing a nitrated organic compound
    • C06B25/18Compositions containing a nitrated organic compound the compound being nitrocellulose present as 10% or more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06B25/20Compositions containing a nitrated organic compound the compound being nitrocellulose present as 10% or more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with a non-explosive or a non-explosive or a non-thermic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3/00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explosive or non-thermic constituents
    • C06B23/006Stabilisers (e.g. thermal stab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5/00Compositions containing a nitrated organic compound
    • C06B25/18Compositions containing a nitrated organic compound the compound being nitrocellulose present as 10% or more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45/00Compositions or products which are defined by structure or arrangement of component of product
    • C06B45/04Compositions or products which are defined by structure or arrangement of component of product comprising solid particles dispersed in solid solution or matrix not used for explosives where the matrix consists essentially of nitrated carbohydrates or a low molecular organic explosive
    • C06B45/06Compositions or products which are defined by structure or arrangement of component of product comprising solid particles dispersed in solid solution or matrix not used for explosives where the matrix consists essentially of nitrated carbohydrates or a low molecular organic explosive the solid solution or matrix containing an organic component
    • C06B45/10Compositions or products which are defined by structure or arrangement of component of product comprising solid particles dispersed in solid solution or matrix not used for explosives where the matrix consists essentially of nitrated carbohydrates or a low molecular organic explosive the solid solution or matrix containing an organic component the organic component containing a res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에너지-함유 추진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a)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 55-85중량%; (b) 니트라민 산화제 10-35 중량%; (c)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 1-4중량%; 및 (d) 안정제 0.5-3중량%를 포함하는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를 이용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와 니트라민 산화제 간의 물리적 친화성을 현저하게 개선시켜 압출물의 특성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저온부터 고온까지 안정한 내탄도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우수한 물성 및 안정성을 가져 총포용 추진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니트라민 산화제를 포함하는 추진제 조성물{Propellant Compositions Comprising Nitramine Oxidants}
본 발명은 고에너지-함유 추진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총포용 추진제는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에 개발된 추진제 조성은 독성이 있거나 암 발생 의심이 있는 물질을 사용한 조성이 많았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추진제 조성은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현재까지 많이 사용되는 첨가제 중 니트레이트(nitrate) 기를 가진 산화제의 안정제인 DPA(diphenylamine)는 적혈구 생성 억제, 비장 손상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독성이 있으며 발암 물질로 의심받고 있다. DNT(dinitrotoluene)는 적혈구를 파괴하여 맹독성이 있으며, DBP(Butyl Phthalate)는 가소제로 사용되며 눈, 피부 등을 자극하며 흡입하면 구토가 발생한다.
니트로셀룰로오스(화학명: 셀루로오스 니트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기 추진제가 개발되고 추진제의 에너지를 탄자의 운동에너지로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추진제 형상 설계 최적화 및 추진제 표면 코팅 등을 통하여 추진제 에너지 방출 속도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포구에너지 증대가 요구되는 무기 체계의 요구 조건에는 만족할 수 없어 분자 구조에 에너지 기를 가진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에너지 가소제를 니트로셀룰로오스에 첨가한 복기 추진제 조성을 개발하였다.
복기 추진제 조성은 추진제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는 단기 추진제에 비해 매우 높으나 탄자 충격 및 화재 발생 등에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에너지 가소제가 니트로셀룰로오스에서 석출(migration)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내탄도(internal ballistics) 특성이 바뀌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은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고 고에너지를 가진 니트라민(nitroamine)계 산화제를 첨가하는 조성이다. 이러한 조성은 복기추진제 수준으로 에너지는 높아질 뿐만 아니라 니트로글리세린의 석출 문제가 없으며 탄자충격 및 화재 발생에 대한 안정성이 복기 추진제에 비해 훨씬 뛰어남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니트라민 고체 산화제를 니트로셀룰로오스에 첨가하면 니트라민 기를 가진 고체산화제와 니트레이트 기를 가진 니트로셀룰로오스의 물리적 친화성이 부족하여 추진제 형상을 설계하여 압출 가공할 때 기포발생 또는 압출물의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제조된 추진제도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여 추진제를 상온, 고온, 저온으로 환경 처리하여 발사할 때 압력의 급격한 상승이 발생 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추진제 강도가 부족하면 저온에서 추진제가 파손되어 이로 인해 강내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저온 환경에서 사용하기 곤란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에 에너지를 함유하지 않은 가소제인 DBP(di-n-bytyl phthalate), DOA(di-2-ethylhexyl adipate), DOP(di-2-ethylhexyl phtalate), 등과 같은 가소제를 다량 첨가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연화시켜 니트라민 고체 산화제를 투입시키는 시도를 하였다. 이렇게 하면 추진제 제조 시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가소제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추진제 표면으로 이동하여 결국 추진제에서 석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추진제에서 가소제가 석출되면 추진제의 내탄도 특성이 변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추진제 조성물이 당업계에서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총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추진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를 소량 첨가하여 추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은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니트라민 산화제 간의 물리적 친화성을 향상시켜 기포 발생, 관통 구멍 막힘 같은 현상이 보이지 않는 탁월한 압출 특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탄약에 적용되는 경우 저온부터 고온까지 안정한 내탄도 특성을 부여하여 고성능 탄약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아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 55-85중량%; (b) 니트라민 산화제 10-35중량%; (c)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 1-4중량%; 및 (d) 안정제 0.5-3중량%를 포함하는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총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추진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를 소량 첨가하여 추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은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니트라민 산화제 간의 물리적 친화성을 향상시켜 기포 발생, 관통 구멍 막힘 같은 현상이 보이지 않는 탁월한 압출 특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탄약에 적용되는 경우 저온부터 고온까지 안정한 내탄도 특성을 부여하여 고성능 탄약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상적으로,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은 (i) 바인더; (ii) 산화제 또는 원료화약; 및 (iii) 첨가제를 포함한다. 종래의 추진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을 포함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탄약 제조 작업자 및 무기를 다루는 병사들의 건강을 위해 인체에 독성이 없는 원료 물질을 이용하여 고에너지 및 둔감 특성을 향상시킨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을 고안/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a)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 (b) 니트라민 산화제; (c)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 및 (d) 안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는 추진제 조성물 내에서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물질로서, 산화제 및 안정제와 같은 첨가제와 결합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추진제의 수축 팽창 환경에서 추진제의 물리적 안정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는 12 내지 14%의 질소 함량을 가지는 니트로셀룰로오스가 선호된다. 예를 들어, 13.1%의 질소 함량을 포함하는 니트로셀룰로오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질소함량 12.6%의 질소 함량을 포함하는 니트로셀룰로오스와 11.3%의 질소 함량을 포함하는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13.1%의 질소함량을 포함하는 니트로셀룰로오스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는 총 중량 내에 40-9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50-90중량% 및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55-85중량%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화제는 니트라민산화제를 사용하여 총포용 추진제의 성능을 극대화시킨다. 상기 니트라민 산화제는 6 μm 이하의 평균입자 크기를 가진다. 상기 크기보다 더 커지면 둔감 특성이 떨어지며 압력이 올라가면 연소 속도가 급격히 증대하여 약실 압력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상기 니트라민 산화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6 μm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산화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시클로트리메틸렌트리니트라민(RDX), 시클로테트라메틸렌 테트라니트라민(HMX), 헥산니트로헥사아자이소우트지탄(CL-20) 및 에틸렌 디니트라민(EDNA)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니트라민 산화제는 시클로트리메틸렌트리니트라민, 시클로테트라메틸렌 테트라니트라민 및 헥산니트로헥사아자이소우트지탄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1종의 산화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산화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클로트리메틸렌트리니트라민 및 시클로테트라메틸렌 테트라니트라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산화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산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산화제는 약 3-6 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시클로트리메틸렌트리니트라민이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산화제는 전체 추진제 조성물 내에 1-4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5-35%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0-35중량%를 첨가할 수 있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와 니트라민 산화제를 포함하는 추진제 조성물의 가장 큰 문제점은 두 물질 간의 물리적 친화성이 부족하여 압출물의 형성이 어렵고, 추진제 형상 제조 후 압출하는 경우 압출물 내 기포 발생, 압출물 표면의 갈라짐, 관통 구멍의 막힘, 등과 같은 유익하지 않은 현상들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를 소량 첨가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니트레이트 기를 가짐)와 산화제(니트라민 기를 가짐) 간의 물리적 친화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현저하게 개선시켰다(참고: 실시예).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니트라민 기와 니트레이트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는 알킬 니트레이트 에틸 니트라민(알킬-NENA), 디니트록시 디에틸 니트라민(DINA), N,N'-2,5-디메틸에틸렌 디니트라민(DMEDNA), N,N'-2,5디에틸에틸렌 디니트라민(2,5-DNH) 및 N,N'-비스(2-니트라토에틸)에틸렌 디니트라민을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NENA 및 DINA를 포함하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알킬-NENA를 포함한다.
원래, NENA 화합물은 니트로글리세린을 대체하는 물질로서 탐구되었다. 상기 화합물은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분자로서, 니트로글리세린보다 충격 및 마찰에 덜 민감하고, 몇몇 물질들은 니트로글리세린보다 더 낮은 어느점을 가진다. 특히, NENA는 니트레이트와 니트라민 모이어티를 모두 가져 총포용 추진제 및 IM(insensitive munition) 로켓 추진제 조성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NENA를 추진제 조성물에 이용하는 경우, 총포 및 로켓 추진에 있어서 연소율 및 탄도 성능의 폭넓은 스펙트럼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니트레이트보다 더 낮은 어느점을 제공하여 저온에서 더 나은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알킬-NENA는 메틸-NENA, 에틸-NENA, 프로필-NENA, 부틸-NENA 및 펜틸 NENA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니트라민기와 니트레이트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는 부틸-NENA가 가장 선호된다.
본 발명에서 니트라민 기와 니트레이트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로서 사용되는 부틸-NENA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너지를 포함하는 다른 가소제, 예컨대 글리세롤-2,4-디니트로페닐에테르 디니트레이트, 트리메릴롤에틸메탄 트리니트레이트, 니트로글리세린, 1,2,4-부탄트리올 트리니트레이트(BTTN), 트리메타놀에탄 트리니트레이트(TMETN),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니트레이트(DiPEHN),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니트레이트(TMPTN) 및 디에틸렌글리콜 디니트레이트(DEGDN)보다 에너지가 낮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니트라민기와 니트레이트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는 전체 추진제 조성물 내에 1-1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5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4중량% 첨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니트로셀룰로오스, 가소제, 등에 포함되어 있는 니트레이트 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분해되는데, 이에 따라 생성되는 분해산물이 상기 니트레이트 기의 분해를 더욱 촉진시켜 최종적으로 발화하는 현상을 유발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정제는, 상기 분해산물과 먼저 반응하여 추가적인 니트레이트 기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로서 당업계에 알려진 어떠한 안정제도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정제는 디페닐아민(DPA), 2-니트로페닐아민(2-NPA), 2-니트로디페닐아민(2-NDPA), 4-니트로디페닐아민(4-NDPA), 파라-N-메틸니트로아닐린(MNA), 파라-니트로-N-메틸메톡시아닐린(pNMA), 에틸 센트랄라이트(centralite), 메틸 센트랄라이트, 아카다이트(Akadite) I, 아카다이트 II 및 카르바마이트(carbamite)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정제는 인체에 유해성이 적은 에틸 센트랄라이트 또는 아카다이트 II가 선호된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정제는 전체 추진제 조성물 내에 0.1-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5-3중량%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 환경에 따라 안정제의 함유량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미량(예컨대, 3중량% 미만)의 첨가제, 예를 들어, 황화칼륨 및 질산칼륨과 같은 소염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따라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다. 간략하게는,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각 구성성분을 혼화한 후 압출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때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와 산화제 간의 물리적 친화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를 첨가하여 기포 발생 및 압출물 표면의 갈라짐 현상 같은 추진제 형상 제조 시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들을 탁월하게 개선하였고, 최종 가공 후 40 mm 탄약에 적용하였을 경우 광범위한 온도 범위(예컨대, -40℃, 21℃, 52℃, 등)에서 탁월한 내탄도(interior ballistics) 특성을 나타냈다(참고: 표 1).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총포용 화약에 저온 내지 고온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2℃의 온도 범위에서 안전한 내탄도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고에너지-함유 추진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ii)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a)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 55-85중량%; (b) 니트라민 산화제 10-35중량%; (c)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 1-4중량%; 및 (d) 안정제 0.5-3중량%를 포함하는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이다.
(iii)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를 이용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와 산화제 간의 물리적 친화성을 현저하게 개선시켜 압출물의 특성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저온부터 고온까지 안정한 내탄도 특성을 가진다.
(iv) 따라서, 본 발명의 추진제 조성물은 우수한 물성 및 안정성을 가져 총포용 탄약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조성물 1 및 2 추진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7공 원통형의 압출물을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추진제 조성물의 제조
용매로서 아세톤(대정화금, 대한민국), 에틸 아세테이트(대정화금, 대한민국), 디에틸에테르(대정화금, 대한민국)등을 시그마 블레이드 혼합기(화인기계공업, 대한민국)에 넣은 후, 니트로셀룰로오스((주)한화, 대한민국)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용해가 완료되면, 미리 준비된 니트라민 고체산화제, 가소제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혼합기에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시켰다. 적당한 점도를 가질 때까지 용매를 증발시킨 후, 혼합물을 밀폐시켜 추가적인 용매의 증발을 막았다. 반죽된/얻어진 혼합물을 추진제 금형이 장착된 RAM PRESS(부영정밀기계, 대한민국)에 넣고 압력을 가하여 압출시켰다. 압출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그레인(grain) 형태로 만든 후 상온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킨 후, 50-60℃에서 약 3일 동안 추가 건조시켰다. 추진제 그레인의 정전기 발생을 막기 위해 추진제 그레인 표면에 흑연(Asbury 사, 미국)을 건식 코팅하였다.
2. 추진제 조성물의 구성 및 이의 특성 탐구
상기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 1 및 조성물 2, 그리고 대조군(기준추진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a) 조성물 1 - 니트로셀룰로오스 85%, RDX((주)한화, 대한민국) 10%, BuNENA((주)한켐, 대한민국) 3%, 아카다이트(Akadite) II(Synthesia 사, 체코) 2%;
(b) 조성물 2 - 니트로셀룰로오스 75%, RDX 20%, BuNENA 3%, 아카다이트 II 2%; 및
(c) 대조군(기준추진제) - 니트로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단기추진제.
제조된 조성물 1 및 조성물 2 추진제는 원료 혼합 시 반죽물의 부스러짐 등과 같은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고 7공 원통형으로 압출 시 압출물 표면이 매끈하게 압출되었다. 또한, 압출물을 절단하여 그레인 형상을 만들 때 압출물 단면은 기포 발생, 관통 구멍(perforation hole) 막힘 등과 같은 이상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참고: 도 1).
이후,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 1 및 조성물 2 추진제 그레인을 이용하여 40 mm 탄약에 추진제를 충전하여 온도에 따른 내탄도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 추진제와 기존의 단기추진제의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 비교.
구분 -40℃ 21℃ 52℃
조성물 1 추진제 중량 390 g
포구속도 (m/s)
약실 최대압력 (Mpa)

1250
300

1300
334

1330
351
조성물 2 추진제 중량 390 g
포구속도 (m/s)
약실 최대압력 (Mpa)

1320
351

1360
386

1380
413
기준추진제
(단기조성)
추진제 중량 390 g
포구속도 (m/s)
약실 최대압력 (Mpa)

1250
305

1290
344

1320
364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조성물 1 및 조성물 2 추진제는 테스트된 온도(-40℃, 21℃ 및 52℃) 모두에서 약실 압력 이상 증가 등 이상 현상이 없는 안정한 내탄도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추진제 그레인 약량을 390 g으로 동일하게 탄약에 충전하였을 때, 조성물 1 추진제는 단기 조성인 기준 추진제에 비해 시험한 모든 온도에서 최대압력이 낮고 포구속도가 높은 총포용 추진제로 바람직한 내탄도 결과를 얻었다. 또한, 조성물 2 추진제는 상온 조건(21℃)에서 기준 추진제에 비해 포구속도가 현저히 증가된 고에너지 추진제 조성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조성물 1 및 조성물 2 추진제의 내탄도 특성은 고성능 탄약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추진제 조성물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일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 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a)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 55-85중량%; (b) 니트라민 산화제 10-35중량%; (c)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 1-4중량%; 및 (d) 안정제 0.5-3중량%를 포함하는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로서, 상기 추진제 조성물은 -40℃ 내지 52℃의 온도에서 안정한 내탄도 특성을 가지는 것인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로셀룰로오스 바인더 내 질소함유량이 12-14중량%인 것인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6 μm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니트라민 산화제인 것인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라민 산화제는 시클로트리메틸렌트리니트라민(RDX), 시클로테트라메틸렌 테트라니트라민(HMX), 헥산니트로헥사아자이소우트지탄(CL-20) 및 에틸렌 디니트라민(EDN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니트라민 산화제인 것인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레이트 기와 니트라민 기를 동시에 가지는 가소제는 알킬-니트레이트 에틸 니트라민(알킬-NENA)인 것인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디페닐아민(DPA), 2-니트로페닐아민(2-NPA), 2-니트로디페닐아민(2-NDPA), 4-니트로디페닐아민(4-NDPA), 파라-N-메틸니트로아닐린(MNA), 파라-니트로-N-메틸메톡시아닐린(pNMA), 센트랄라이트 I, 센트랄라이트 II, 아카다이트 I, 아카다이트 II 및 카르바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총포용 추진제 조성물.
  7. 삭제
KR1020160018434A 2016-02-17 2016-02-17 니트라민 산화제를 포함하는 추진제 조성물 KR101649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34A KR101649517B1 (ko) 2016-02-17 2016-02-17 니트라민 산화제를 포함하는 추진제 조성물
US15/156,394 US20170233306A1 (en) 2016-02-17 2016-05-17 Propellant compositions comprising nitramine oxid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34A KR101649517B1 (ko) 2016-02-17 2016-02-17 니트라민 산화제를 포함하는 추진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517B1 true KR101649517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434A KR101649517B1 (ko) 2016-02-17 2016-02-17 니트라민 산화제를 포함하는 추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233306A1 (ko)
KR (1) KR1016495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95B1 (ko) 2019-05-17 2019-12-04 국방과학연구소 155mm 곡사포용 저호 모듈형 장약 추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530894A (ja) * 2017-06-23 2020-10-29 シンメル・ディフェーザ・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SIMMEL DIFESA S.p.A. 銃弾用シングルベース推進粉末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そのような組成物で提供される銃弾
KR20210028384A (ko)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한화 Rdx계 추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7178B2 (en) * 2015-04-21 2019-06-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Optimized subsonic projectile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8166A (en) * 1991-09-20 1993-06-08 Mei Corporation Modified nitrocellulose based propellant composition
KR20130025274A (ko) * 2011-09-01 2013-03-11 국방과학연구소 이중경화시스템을 이용한 고체 추진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7469A1 (fr) * 2004-03-15 2005-09-16 Alliant Techsystems Inc Compositions reactives contenant un metal, et leur procede de production
PL1857429T3 (pl) * 2006-05-19 2013-08-30 Nitrochemie Wimmis Ag Układ napędowy do przyspieszania pocisków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8166A (en) * 1991-09-20 1993-06-08 Mei Corporation Modified nitrocellulose based propellant composition
KR20130025274A (ko) * 2011-09-01 2013-03-11 국방과학연구소 이중경화시스템을 이용한 고체 추진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0894A (ja) * 2017-06-23 2020-10-29 シンメル・ディフェーザ・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SIMMEL DIFESA S.p.A. 銃弾用シングルベース推進粉末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そのような組成物で提供される銃弾
JP6998625B2 (ja) 2017-06-23 2022-01-18 シンメル・ディフェーザ・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銃弾用シングルベース推進粉末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そのような組成物で提供される銃弾
KR102051995B1 (ko) 2019-05-17 2019-12-04 국방과학연구소 155mm 곡사포용 저호 모듈형 장약 추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8384A (ko)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한화 Rdx계 추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33306A1 (en)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i et al. Energetic plasticizers for gun & rocket propellants
KR101649517B1 (ko) 니트라민 산화제를 포함하는 추진제 조성물
US6059906A (en) Methods for preparing age-stabilized propellant compositions
US4216039A (en) Smokeless propellant compositions having polyester or polybutadiene binder system crosslinked with nitrocellulose
US6364975B1 (en) Ammonium nitrate propellants
Szala Polymer-bonded secondary explosives
EP2978730B1 (en) Insensitive munition propellants
US3953259A (en) Pressure exponent suppressants
EP2978731B1 (en) Non-phthalate propellants
US3878003A (en) Composite double base propellant with HMX oxidizer
WO1998023558A1 (en) Ammonium nitrate propellants with molecular sieve
GB2512346A (en) Non-phthalate propellants
EP2784054A1 (en) Insensitive munition propellants
US3943209A (en) High volumetric energy smokeless solid rocket propellant
AU756188B2 (en) Dinitrotoluene (DNT)-free single base propellant
EP3642175B1 (en) Composition for single-base propelling powder for ammunition and ammunition provided with such composition
EP2784053A1 (en) Non- phthalate propellants
US3996080A (en) Ballistic modifiers
US3116189A (en) Plastic explosive composition
US3953258A (en) Polynitroamine oxidizer containing propellant
JP6402899B2 (ja) トリプルベース発射薬組成物
JP5987446B2 (ja) トリプルベース発射薬組成物
Chavez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manufacturing technologies for energetic materials
GB2512345A (en) Insensitive munition propellants
DE102022001613A1 (de) Treibmittel umfassend polymere Haftvermittler für ADN-basierte Raketentreibstof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