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530B1 -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530B1
KR101648530B1 KR1020140123491A KR20140123491A KR101648530B1 KR 101648530 B1 KR101648530 B1 KR 101648530B1 KR 1020140123491 A KR1020140123491 A KR 1020140123491A KR 20140123491 A KR20140123491 A KR 20140123491A KR 101648530 B1 KR101648530 B1 KR 10164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hydrophobic
dispersion
weight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860A (ko
Inventor
이창헌
Original Assignee
(주)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봉 filed Critical (주)태봉
Priority to KR102014012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5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가 일정 비율로 함유된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위생용품의 탑시트로 활용하는 경우, 생리혈 등의 체액이 부직포 하부의 흡수부재로 빠르게 흡수되면서도 부직포 표면이 끈적거리지 않고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non-woven fabric having adjustable absorbable property for sanita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가 일정 비율로 함유된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위생용품의 탑시트로 활용하는 경우, 생리혈 등의 체액이 부직포 하부의 흡수부재로 빠르게 흡수되면서도 부직포 표면이 끈적거리지 않고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저귀, 실금용품, 생리대 등의 위생용품(10)은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 등의 유체를 흡수하여 밖으로 새지 않게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다공성의 액체 투과성 재질의 탑시트(11), 상기 탑시트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탑시트를 통과한 유체를 흡수하는 흡수부재(12), 상기 흡수부재의 저면에 위치하여 흡수된 유체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13)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탑시트(11), 흡수부재(12), 배면시트(13)가 적층된 구조의 흡수용품을 착용하여 사용하면, 유체가 상기 탑시트(11)를 거쳐 그 저면으로 적층된 흡수부재(12)로 흡수되면서 상기 배면시트(13)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탑시트(11)에 별도의 처리가 되지 않은 일반 부직포 등을 사용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체가 흡수부재(12)에 완전히 흡수되지 못하고 탑시트(11)에 잔존하거나 흡수부재(12)에 흡수되었던 유체가 다시 탑시트(11)를 통하여 밖으로 묻어나올 수 있어 끈적거림 및 불쾌감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시트(11)에 소수성 처리를 한 제품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소수성 탑시트(11)는 체액 등을 흡수부재(12) 내에 유지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유체가 탑시트(11)를 통해 흡수부재(12) 내로 빠르게 흡수되기 어려우며, 오히려 체액이 쏟아져 나오는 유량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탑시트를 통하여 흡수부재(12) 내부로 흡수되지 못하고 탑시트(11) 밖으로 흐를 위험이 있었다.
특허공개공보 제2013-0048258호 (공개일 : 2013.05.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생용품의 탑시트로 적용되는 경우 생리혈 등의 체액이 부직포 하부의 흡수부재로 빠르게 흡수되면서도 부직포 표면이 끈적거리지 않고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섬유를 카딩 및 워터펀칭하여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의 무게에 대한 혼합비율이 2:8~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섬유는 섬유 표면에 소수성 윤활제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가한 후 열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액은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지방산 아미드 축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소수성 윤활제 30~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액 내 소수성 윤활제의 평균 입자크기가 0.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산액은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성 대전방지제를 10~5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이온성 대전방지제의 pH는 5~6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산액은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0.1~3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티탄산바륨 1~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수성 섬유는 정련 및 표백 공정에서 사용되는 정련침투제와 가성소다의 사용량을 기존 사용량 대비 10~50 wt%로 조절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법들에 의하여 제조되는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를 일정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를 제공한다.
상기 위생용품용 부직포는 200~400 메쉬의 그물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는 종래의 제품들과 달리 소수성 섬유와 소수성 처리되지 않은 일반 섬유를 일정 비율로 모두 함유하며 그물망 구조를 가짐으로써, 생리혈 등의 체액이 부직포 하부의 흡수부재로 빠르게 흡수되면서도 부직포 표면이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어 끈적거리지 않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 위생용품(생리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2 - 종래 위생용품(생리대) 탑시트의 흡수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3 - 본 발명의 그물망 구조의 부직포를 보여주는 사진
도 4 - 본 발명의 기능성 부직포를 탑시트로 사용한 경우, 표면 흡수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5 - 소수성 섬유의 함량이 높은 부직포(비교예)를 탑시트로 사용한 경우, 표면 흡수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종래의 위생용품들은 탑시트에 소수성 처리를 한 부직포를 사용하여 체액이 탑시트에 남아 끈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 소수성 처리를 한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완성된 부직포에 소수성 후가공을 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체액 등을 흡수부재 내에 유지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유체가 탑시트를 통해 흡수부재 내로 빠르게 흡수되기 어려우며, 오히려 유체가 탑시트 밖으로 흐를 위험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소수성 섬유와 소수성 처리되지 않은 일반 섬유를 일정 비율로 모두 함유한 그물망 구조의 부직포를 개발함으로써, 생리혈 등의 체액이 부직포 하부의 흡수부재로 빠르게 흡수되면서도 부직포 표면이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위생용품용 부직포는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섬유를 카딩 및 워터펀칭하여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다.
즉, 종래의 위생용품에 사용되는 부직포가 완성된 부직포에 소수성 후가공을 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데 반해, 본 발명의 위생용품용 부직포는 소수성 처리가 된 섬유와 소수성 처리가 되지 않은 일반 섬유를 혼합한 후, 이를 카딩 및 워터펀칭하여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의 무게에 대한 혼합비율은 2:8~5:5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수성 섬유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액이 흡수부재 내부로 쉽게 흡수되지 못하고 탑시트 표면에 남아 탑시트가 점착성을 가지게 되며, 상기 소수성 섬유의 혼합비율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체액이 탑시트에 잔존하거나 흡수부재에 흡수되었던 유체가 탑시트를 통하여 다시 밖으로 묻어나와 끈적거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수성 섬유는 면을 포함한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 등을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소수화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섬유 표면에 소수성 윤활제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가한 후 열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산액은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지방산 아미드 축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소수성 윤활제 30~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아미드 축합물은 섬유에 마찰성과 소수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모노 또는 디아민과 지방산 사슬(C10~C25)의 탄소원자를 기본으로 하는 지방산 아미드 축합생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소수화 처리를 위하여 상기 분산액 내 소수성 윤활제의 평균 입자크기는 0.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산액은 카딩시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성 대전방지제를 10~5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이온성 대전방지제는 섬유 표면의 부분적 산화에 따라 존재하는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그룹과 대전방지제가 반발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이온성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카딩 작업시 정전기 발생이 심하여 웹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섬유의 점착성이 높고 카딩시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 대전방지제는 산 유도 피부염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교적 높은 pH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pH가 5~6인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분산액은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0.1~3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액은 작업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티탄산바륨 1~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수성 섬유는 카딩 공정에서 강한 마찰로 인해 말림현상, 균제도 불량 등의 공정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최근 부직포 제조공정의 빠른 생산속도로 인하여 이러한 공정 트러블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방지제의 함량을 높이는 경우 공정트러블은 완화되나 소수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소수성은 유지하면서 공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유전율이 높은 무기물인 티탄산바륨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분산액은 필요에 따라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유화제, 응집 부여제 등의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수성 섬유를 제조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면섬유(cotton fiber)와 같이 정련 및 표백 공정이 필요한 섬유의 가공 공정에 있어서, 정련 및 표백에 사용되는 약품량을 조절하여 식물성 지방의 탈지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면섬유를 소수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정련 및 표백 공정에서 사용되는 정련침투제와 가성소다의 사용량을 기존 사용량 대비 10~50wt%로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정련침투제 및 가성소다의 감소량이 너무 크거나 적은 경우, 소수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정련 및 표백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들에 의하여 제조된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를 2:8~5:5의 무게에 대한 혼합비율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위생용품용 부직포는 생리혈 등의 체액이 흡수부재로 원활히 흡수되도록 도 3에서와 같이 그물망 구조를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그물망 크기는 워터펀칭 공정에서 원하는 크기의 메쉬벨트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위생용품용 부직포는 다양한 그물망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00~400 메쉬의 그물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흡수용품 11: 탑시트
12 : 흡수부재 13 : 배면시트

Claims (10)

  1.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섬유를 카딩 및 워터펀칭하여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수성 섬유가, 정련 및 표백 공정에서 사용되는 정련침투제와 가성소다의 사용량을 기존 사용량 대비 10~50 wt%로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와 비소수성 섬유의 무게에 대한 혼합비율이 2:8~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가,
    섬유 표면에 소수성 윤활제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가한 후 열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은,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지방산 아미드 축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소수성 윤활제 30~7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액 내 소수성 윤활제의 평균 입자크기가 0.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은,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성 대전방지제 10~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양이온성 대전방지제의 pH가 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은,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0.1~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은, 분산액 100 중량%를 기준으로 티탄산바륨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10. 제9항에 있어서,
    200~400 메쉬의 그물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KR1020140123491A 2014-09-17 2014-09-17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648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91A KR101648530B1 (ko) 2014-09-17 2014-09-17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91A KR101648530B1 (ko) 2014-09-17 2014-09-17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860A KR20160032860A (ko) 2016-03-25
KR101648530B1 true KR101648530B1 (ko) 2016-08-17

Family

ID=5564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491A KR101648530B1 (ko) 2014-09-17 2014-09-17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4591A4 (en) * 2018-12-27 2022-09-28 Kuraray Co., Ltd. SCRATCHED IMITATION LEATH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7561B1 (en) * 1983-02-28 1990-11-07 Kuraray Co., Ltd. Fibrous structure having roughened surfac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WO1995019465A1 (en) * 1994-01-14 1995-07-20 Danaklon A/S Cardable hydrophobic polyolefin fibres comprising cationic spin finishes
JP3667935B2 (ja) * 1997-04-04 2005-07-06 大和紡績株式会社 開孔不織布
US8969652B2 (en) 2010-09-21 2015-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KR101215488B1 (ko) * 2011-05-06 2012-12-26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저온안정성이 우수한 소핑유연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860A (ko) 2016-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7157B1 (en) Treated three-dimensional apertured liners
AU2013213905B2 (en) Treated apertures
JP2018520837A5 (ko)
JP5528022B2 (ja)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CN1658911A (zh) 包含皮肤护理组合物的吸收制品
CN107205853A (zh) 不含合成表面活性剂的面漆、具有不含合成表面活性剂的面漆的片层、具有包含不含合成表面活性剂的面漆的片层的制品和相关方法
US20120289917A1 (en) Enhanced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KR20150013552A (ko) 개선된 개인 위생 흡수 용품
AU2016412809B2 (en) Absorbent article with an oil composition and an oil protecting layer
KR101648530B1 (ko) 흡수성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품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6611651B2 (ja) 不織布、および吸収性物品用不織布
EP3267959B1 (en) Sanitary article comprising a ph control composition,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AU2017329216B2 (en) Absorbent article with PH controlled topsheet
WO2018225253A1 (ja) 表面処理用組成物
US11236465B2 (en) Wool treatment process and products
JP2007125375A (ja) 吸収性物品
CN110612085B (zh) 具有皮肤ph值调节作用的吸收性物品
WO2017003459A1 (en) Enhanced absorbent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