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422B1 - Concrete filled tube with round angle - Google Patents

Concrete filled tube with round ang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422B1
KR101648422B1 KR1020150019960A KR20150019960A KR101648422B1 KR 101648422 B1 KR101648422 B1 KR 101648422B1 KR 1020150019960 A KR1020150019960 A KR 1020150019960A KR 20150019960 A KR20150019960 A KR 20150019960A KR 101648422 B1 KR101648422 B1 KR 101648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column
angle
angles
c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섭
강병구
Original Assignee
(주)씨지스플랜
대익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지스플랜, 대익이엔지(주) filed Critical (주)씨지스플랜
Priority to KR102015001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4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4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illed tube (CFT) column with a round angle. The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our round angles having a part bent at 90C in an arcuate shape thereon, which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vertically arranged in the corner of a tube; and four outer plates which ar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round angles to form an outer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elements are optimized for a 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 column.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optimizing use of steel material by intensively arranging a round steel formed by molding or bending in a CFT assembly to take a break from a conventional CFT column only made up of a panel and minimizing processing of the outer plate supporting the same.

Description

라운드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 {Concrete filled tube with round angle}{Concrete filled tube with round angle}

본 발명은 합성 기둥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운드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thetic colum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rete filled type synthetic column using a round angle.

최근 건축 시장은 경기 악화로 인한 발주 물량 감소와 치열한 원가 경쟁으로 인해 기존과는 다른 장점을 가진 차별화된 공법과 원가 절감 방법을 제시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공법 제안 입찰이나 V.E(Value Engineering)을 통한 설계 진행이 보편화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construction market has been in the process of proposing a differentiated construction method and a cost reduction method that have different advantages from the existing one due to the decrease in the order quantity due to the economic deterioration and intense cost competition. Progress is becoming more common.

이러한 변화에 맞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각형 강관 또는 원형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충전형 구조(이하, CFT [Concrete Filled Tube]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CFT [Concrete Filled Tube] method) in which concrete is placed inside a rectangular steel pipe or a round steel pipe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is widely used.

CFT 공법의 사용처가 여러 가지 이유로 다양해지는 가운데, 종래의 형상이나 단면으로는 이룰 수 없는 구조가 발생하고 사용성에 대한 요구는 많아지고 있으나, 이에 상응하는 디테일이나 적용 방법이 다양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While the use of the CFT method has been diversified for various reasons, a structure that can not be achieved by conventional shapes or cross sections has been generated, and the demand for usability has been increasing, but the details and application methods corresponding thereto have not been variou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CFT 기둥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CFT 기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S. 1 and 2 are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FT colum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FT column.

기존의 CFT 기둥(C) 공법은 도 1과 같이 단면 외곽부에 강재(10)를 배치하여 철골 기둥의 조립성과 콘크리트 기둥의 강성을 조합하여 만든 합성 기둥이다. 그러나 구조체의 형상이 폐쇄적인 형상을 하고 있어 기둥(C) 내부에 보강이 용이치 않고 판폭 두께비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외부 강재(10)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우며 레미콘 타설시 측압을 잘 견디지 못하는 이유로 인해 강재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특수한 현장에만 적용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최소한의 강재량으로 최대의 구조 내력과 측압을 견딜 수 있는 CFT 기둥(C)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The conventional CFT column (C) method is a composite column made by combining a steel column assembly and a concrete column rigidity by disposing a steel material (10) on an outer edge portion as shown in FIG. However, since the shape of the structure is closed, the thickness of the outer steel (10) is thicker than necessary in order to satisfy the standard of the width-to-thickness ratio without insufficient reinforcement inside the column (C) Because of the drawback that the amount of steel is increased due to the reason, it is applied only to special sit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making a CFT column (C) that can withstand the maximum structural strength and side pressure with minimum amount of steel.

또한, 종래의 CFT 기둥(C)에서는 거더(BM)와 기둥의 접합부에서 거더(BM)와 기둥(C) 간의 플랜지 하중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강재 외곽에 보강 철판(20)(30)을 도 2 및 도 3과 같이 배치해야 하중 전달을 할 수가 있어 철판의 사용량이 많았는데 이러한 불필요한 강재들도 줄일 필요가 있다. In the conventional CFT column C, it is not easy to transmit the flange load between the girder BM and the column C at the joining portion of the girder BM and the column. Therefore, the reinforcing steel plates 20 and 30 And 3 as shown in Fig. 3,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unnecessary steel materials.

또한 CFT 기둥을 2~3개 층에 동시에 시공해야 할 경우 폐쇄형 단면으로 인해 기둥 내부의 철근 배근이 어렵고 고정이 용이하지 않은 점과, 기둥과 기둥의 크기가 달라지는 변단면의 적용이 용이치 않은 점도 개선되어야 할 과제이다.In addition, when the CFT columns are to be installed in two or three layers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reinforcing bars in the columns due to the closed cross section and it is not easy to fix them, and the application of the cross- The viscosity should be improved.

한국등록특허 10-0684931 (2007.02.13.), "절곡성형 철판을 이용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 및 이의설치구조"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84931 (Mar. 23, 2007), "Prefabricated closed-type steel frame member using bending-molded steel plate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한국등록특허 제0898283호 (2009. 05. 12), "철근이 선조립된 SRC 기둥용 철골기둥 및 이를 이용한 철골조 시공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0898283 (2009. 05. 12), "Steel Column for SRC Column Assembled with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Steel Frame Construction Using the Steel Column"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성, 자립도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라운드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illed type synthetic column using a round angle which can secure workability, self-reliance, and economy.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은 90°로 절곡된 부분이 원호 형상을 한 앵글로서 기둥의 코너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라운드 앵글; 및 외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 앵글들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외측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crete-filled composite column using a round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gle formed by arcuate portions bent at 90 degrees and vertically arranged at a corner position of the column Four round angles; And four outer plat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round angles to form an outer surface.

여기서, 상기 라운드 앵글은, 양 단부에 원호 형상의 90°로 절곡된 라운드 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round angle may further include a rounded rib which is bent at 90 [deg.] In an arcuate shape at both ends.

아울러, 상기 라운드 앵글은, 상기 90°로 절곡된 부분을 1개 또는 2개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und angle may include one or two portions bent at 90 degrees.

나아가, 상기 라운들 앵글 및 상기 외측 플레이트는, 각각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round angle and the outer plate can be engaged by fastening bolts and fastening nuts, respectively.

게다가, 상기 라운들 앵글 및 상기 외측 플레이트는, 각각 용접 또는 리벳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iling angle and the outer plate may be joined by welding or riveting, respectively.

더욱이, 상기 라운들 앵글 및 상기 외측 플레이트는, 마주 보는 어느 한 쌍은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에 의해 결합하고, 마주 보는 다른 한 쌍은 용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Further, the railing angle and the outer plate may be coupled by a pair of facing fastening bolts and fastening nuts, and another pair of facing rails may be joined by welding.

또한, 상기 라운들 앵글 및 상기 외측 플레이트는, 마주 보는 어느 한 쌍은 리벳에 의해 결합하고, 마주 보는 다른 한 쌍은 용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Further, the railing angle and the outer plate may be joined by a pair of facing each other by rivets, and another pair of facing each other by welding.

또한, 상기 외측 플레이트는, 합성보가 내삽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t a position where the composite beam is inserted.

아울러, 상기 라운드 앵글의 내측에 수직 철근이 배치될 경우, 상기 라운드 앵글의 단부와 수직 철근을 결합시키는 결합 앵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disposed inside the round angle, the joining angle may further include a joining angle for joining the end of the round angle to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브 라운드 앵글 및 철근을 이용한 선조립 기둥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pre-assembled column using the rib-rounded angle and the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CFT 기둥에 최적화된 형상의 제공이 가능하고, 판재로만 이루어진 초기의 CFT 기둥 형태를 벗어나 성형이나 절곡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라운드 형강을 CFT 형상의 조립체 코너에 집중 배치하여 강재의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이를 잡아주는 외측 플레이트의 가공을 최소화 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use of steel by providing optimized shape to the CFT column and by concentrating the rounded steel of the shape formed by forming or bending to the corner of the assembly of CFT,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achining of the outer plate for holding the plate.

둘째, 기존의 CFT와 달리 기둥 코너에 90°로 절곡된 부분이 원호 형상인 라운드 앵글을 배치하여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단면적을 가져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Second, unlike the conventional CFT, a round angle in which a portion bent at 90 degrees to a column corner is an arc-shaped portion has a structurally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to increase the strength.

셋째, 내부에 철근을 배치하고 고정하기 어려운 종래의 폐쇄형 CFT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둥 코너에 라운드 앵글을 배치하여 철근의 사용을 배제시킬 수 있다.Thir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closed type CFT which is difficult to arrange and fix the reinforcing bars therein,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reinforcing bars by disposing round angles at the column corners.

넷째, 라운드 앵글의 90°로 절곡된 부분을 2개 구비하여 기둥의 강축이나 약축에 내력이 집중될 경우 강재 사용량이 집중되는 부분에 강재를 집중시킬 수 있다.Fourth, by providing two portions bent at 90 ° of the round angle, if the strength is concentrated on the column or the weak axis of the column, the steel can be concentrated on the portion where the amount of steel used is concentrated.

다섯째, CFT의 사용처에 따라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 또는 리벳 등의 접합과 용접 접합을 병행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면, 기둥의 주요 강재가 얇아 용접으로 인한 변형이 생기는 경우나 반대로 강재가 두꺼워 용접량이 많아 열변형이 생기는 경우 상호 반대편만을 용접하므로 용접열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Fifth, if it is possible to produce jointing and welding joints of fastening bolts, clamping nuts or rivets according to the use of CFT, if the main steel material of the column is thin and deformed due to welding, or if the steel material is thick, In the case of deformation, only the opposite side is welded, so that the deformation due to the welding heat can be minimized.

여섯째, 조립성이나 내력이 허용되는 경우 전체면의 조립을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 또는 리벳 등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처에 맞는 다양성과 제작방법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다.Sixth, if assembly and strength are allowed, the entire surface can be assembled by fastening bolts, fastening nuts, rivets or the like, so that diversity and variety of manufacturing methods can be attained.

일곱째, 제품의 크기나 두께에 따른 생산 방식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단면을 제시하여 제품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Seventh, it is possible to secure diversity of products by presenting production methods according to size and thickness of products, and presenting effective cross-sections.

여덟째,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서 외측 플레이트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보를 기둥 내부에 관통시켜 시공할 수 있어 내진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Eighth, an opening is formed in the outer plate at the joint between the column and the beam so that the beam can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lumn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아홉째, 철근의 사용을 배제함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철근을 기둥 내부에 삽입을 해야하는 경우 기둥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라운드 앵글에 결합 앵글을 활용하여 수직 철근을 선고정한 후 나머지 외측 플레이트를 조립할 경우 수직 철근의 고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Ninth, even if the use of reinforcing bars is excluded, it is obligatory to insert the reinforcing bars into the columns. I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are fixed by using the connecting angles at the round angles arranged at the corner of the columns and the remaining outer plates are assembled, Can be effectively fixed.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CFT 기둥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CFT 기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의 다양한 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의 다양한 결합 방법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외측 플레이트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은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의 내측에 수직 철근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는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에 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s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FT colum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FT colum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rete filled type synthetic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filled composite column shown in FIG.
FIG. 6 is various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ncrete-filled composite columns shown in FIG.
Figs. 7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joining methods of the concrete-filled composite column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 opening formed in the outer plate;
1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at a vertical reinforcing bar is disposed inside a concrete filled type synthetic colum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beam is coupled to a concrete filled type synthetic colum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의 다양한 횡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의 다양한 결합 방법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10은 외측 플레이트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1은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의 내측에 수직 철근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2는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에 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rete-filled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filled composite column shown in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 opening formed in the outer plate,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concrete assemblies of a concrete filled type synthetic column shown in FI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beam is coupled to a concrete filled type synthetic colum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reinforcing bar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column. FIG.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라운드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은 4개의 라운드 앵글(100) 및 4개의 외측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4-12, a concrete filled composite column using a round angle includes four rounded angles 100 and four outer plates 200. As shown in FIG.

4개의 라운드 앵글(100)은 90°로 절곡된 부분(A)이 원호 형상을 한 앵글로서 기둥의 코너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된다. The four round angles 100 are angles formed by arcuate portions A bent at 90 degrees and are vertically arranged at the corner positions of the columns.

4개의 외측 플레이트(200)는 외면을 형성하도록 라운드 앵글들(100)의 외측에 각각 결합된다. The four outer plates 20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round angles 100 to form an outer surface.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은 필요에 따라 내부에 복수의 판형상의 강재가 조립된 것으로서, 단면이 격자형상인 내부 보강 조립체(L)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crete-filled composite column may have an internal reinforcing assembly L having a cross-section of a lattic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haped steels are assembled as required.

여기서,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드 앵글(100)은 양 단부에 원호 형상의 90°로 절곡된 라운드 리브(110)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6 (a), the round angle 100 may have a round rib 110 bent at 90 degrees at both ends in an arc shape.

기존의 CFT와 달리 도 6과 같이 기둥 코너에 90°로 절곡된 부분(A)이 원호 형상인 라운드 앵글(100)을 배치하여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단면적을 가져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철근을 배치하고 고정하기 어려운 종래의 폐쇄형 CFT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둥 코너에 라운드 앵글(100)을 배치하여 철근의 사용을 배제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round angle 100 having an arcuate portion A bent at 90 degrees to the columnar corner may be disposed to improve the structural strength and the sectional area.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closed type CFT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are difficult to place and fix,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reinforcing bars by arranging the round angles 100 at the column corners.

아울러,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드 앵글(100)은 90°로 절곡된 부분(A)을 1개 구비할 수도 있고, 도 6의 (c)에 도시된 것처럼 90°로 절곡된 부분(A)을 2개 구비할 수도 있다. 6 (a) and 6 (b), the round angle 100 may include one portion A bent at 90 degrees, and may have one portion 90 as shown in FIG. 6 (c) And two bent portions A may be provided.

즉 도 6의 (b)를 기본형으로 하여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드 앵글(100)의 양 단부에 원호 형상의 90°로 절곡된 라운드 리브(110)를 구비할 수도 있고, 도 6의 (c)에 도시된 것처럼 90°로 절곡된 부분(A)을 2개 구비하여 기둥의 강축이나 약축에 내력이 집중될 경우 강재 사용량이 집중되는 부분에 강재를 집중시킬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a), the rounded ribs 11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unded angle 100, As shown in (c) of FIG. 6, when the two portions A bent at 90 degrees are concentrated so that the strength is concentrated on the strong axis or the weak axis of the column, the steel can be concentrated on the portion where the amount of steel used is concentrated.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들 앵글(100) 및 외측 플레이트(200)는 마주 보는 어느 한 쌍은 체결 볼트(B) 및 체결 너트(N)에 의해 결합하고, 마주 보는 다른 한 쌍은 용접(W)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railing angle 100 and the outer plate 200 are coupled by a pair of fastening bolts B and a fastening nut N, And can be joined by welding (W).

도 7의 (a) 및 도 8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드 앵글(100)은 90°로 절곡된 부분(A)을 1개 구비하고 라운드 리브(110)를 구비한 경우 마주 보는 한 쌍을 미리 체결 볼트(B) 및 체결 너트(N)에 의해 결합시키고, 다시 마주 보는 다른 한 쌍을 용접(W)에 의해 결합시키면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7 (a) and 8 (a), the round angle 100 has one portion A bent at 90 degrees, and when the round rib 110 is provided, Are fastened together by the fastening bolts (B) and the fastening nuts (N) in advance, and another pair of the fastening bolts (B) and the fastening nuts (N) are joined together by welding (W).

또한,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드 앵글(100)이 90°로 절곡된 부분(A)을 1개 구비한 경우 마주 보는 한 쌍을 체결 볼트(B) 및 체결 너트(N)에 의해 결합시키고, 다시 마주 보는 다른 한 쌍을 용접(W)에 의해 결합시키면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7 (b) and 8 (b), when the round angle 100 is provided with one portion A bent at 90 degrees, a pair of facing bolts B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B, And the coupling nut (N), and the other pair facing each other is joined by welding (W).

도 7의 (c) 및 도 8의 (c)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드 앵글(100)이 90°로 절곡된 부분(A)을 2개 구비한 경우에도 마주 보는 한 쌍을 체결 볼트(B) 및 체결 너트(N)에 의해 결합시키고, 다시 마주 보는 다른 한 쌍을 용접(W)에 의해 결합시키면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Even if two rounded angles 100 are provided at two 90 degrees as shown in Figs. 7 (c) and 8 (c), the pair of facing bolts B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engage with each other by the coupling nut N and by coupling the other pair facing each other again by the welding W. [

도 9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들 앵글(100) 및 외측 플레이트(200)는 각각 용접(W)에 의해서만 결합할 수 있고, 도 9의 (c)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들 앵글(100) 및 외측 플레이트(200)는 각각 체결 볼트(B) 및 체결 너트(N)에 의해서만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라운들 앵글(100) 및 외측 플레이트(200)는 각각 리벳(R)에 의해서만 결합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9 (a), the rounded angle 100 and the outer plate 200 can be joined only by welding W, respectively, and as shown in Fig. 9 (c) The outer plate 100 and the outer plate 200 may be engaged only by the fastening bolts B and the fastening nuts N, respectively. Of course, the raindle angle 100 and the outer plate 200 may be combined only by a rivet R, respectively.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들 앵글(100) 및 외측 플레이트(200)는 마주 보는 어느 한 쌍은 리벳(R)에 의해 결합하고, 마주 보는 다른 한 쌍은 용접(W)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9 (b), the railing angle 100 and the outer plate 200 are joined by a pair of facing rivets R, while the other pair facing each other is welded .

이렇게 CFT의 사용처에 따라 도 7 및 도 9와 같이 체결 볼트(B) 및 체결 너트(N) 또는 리벳(R) 등의 접합과 용접(W) 접합을 병행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면, 기둥의 주요 강재가 얇아 용접으로 인한 변형이 생기는 경우나 반대로 강재가 두꺼워 용접량이 많아 열변형이 생기는 경우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볼팅이나 리베팅으로 양측의 외측 플레이트(200)를 먼저 고정한 후 나머지 두 면의 외측 플레이트(200)를 고정하여 용접(W)으로 제품을 마감할 경우 상호 반대편만을 용접하므로 용접열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7 and FIG. 9,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joints of the fastening bolts B, the fastening nuts N or the rivets R and the welding (W) joints in parallel, The outer plate 200 on both sides is fixed by bolting or riveting as shown in FIGS. 7 to 9, and then the outer sides of the remaining two surfaces are fixed When the plate (200) is fixed and the product is finished with welding (W), only the opposite side is welded, so that the deformation due to the welding heat can be minimized.

또한 도 9의 (c)와 같이 조립성이나 내력이 허용되는 경우 전체면의 조립을 체결 볼트(B) 및 체결 너트(N) 또는 리벳(R) 등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처에 맞는 다양성과 제작방법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다.
9 (c),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entire surface by using the fastening bolts B, the fastening nuts N, or the rivets R, The variety of methods can be achieved.

한편,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 플레이트(200)는 합성보(BM)가 내삽되는 위치에 개구부(2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10, the outer plate 20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210 at a position where the composite bone BM is inserted.

즉, 기둥의 코너에 배치된 라운드 앵글(100)만을 절곡 및 성형을 하고, 외측 플레이트(200)는 별도의 가공없이 기둥의 단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기둥과 보(BM)의 접합부에서 외측 플레이트(200)에 개구부(210)를 형성하여 보(BM)를 기둥 내부에 관통시켜 시공할 수 있어 내진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력이 집중되는 외곽의 라운드 앵글(100)에 별도 가공을 하지 않고 외측 플레이트(200)를 가공하여 생산 원가를 낮출 수도 있다.
That is, only the round angle 100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column is bent and formed, and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column can be adjusted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of the outer plate 200. As shown in FIG. 10, It is possible to form the opening 210 in the outer plate 200 at the joining portion and penetrate the beam BM into the column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Also, the outer plate 200 may be machine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without separately machining the round angle 100 of the outer periphery where the internal force is concentrated.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라운드 앵글(100)의 내측에 수직 철근(VB)이 배치될 경우, 라운드 앵글(100)의 단부와 수직 철근(VB)을 결합시키는 결합 앵글(300)을 구비한다. 즉 수직 철근(VB)에 미리 결합 앵글(300)을 복수로 용접해 놓고 다시 결합 앵글(300)의 양 단부를 라운드 앵글(100)에 용접에 의해 결합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 whe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VB is disposed inside the round angle 100, the joining angle 300 joining the end of the round angle 100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VB is provided. That is, a plurality of joining angles 300 are welded to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VB in advance, and both ends of the joining angles 300 are welded to the round angles 100 to improve the workability.

이렇게 철근의 사용을 배제함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철근을 기둥 내부에 삽입을 해야하는 경우 기둥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라운드 앵글(100)에 결합 앵글(300)을 활용하여 도 11과 같이 수직 철근(VB)을 선고정한 후 나머지 외측 플레이트(200)를 조립할 경우 수직 철근(VB)의 고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11, when the reinforcing bar is forced to be inserted into the column despite the fact that the use of the reinforcing bar is excluded, the vertical angle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VB is increased by using the connecting angle 300 to the round angle 100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colum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VB can be effectively fixed when the remaining outer plate 200 is assembled.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 접합을 하다가 기둥에 보(BM)가 만나는 부분 즉 브라켓을 고정하는 부분은 도 12와 같이 측면을 용접하여 고정을 하고,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는 집중된 체결 볼트(B')나 리벳을 사용하여 조립을 하면 된다. As shown in FIG. 12, the side where the bolts are joined and the part where the bolts BM meet, that is, the part fixing the brackets, is fixed by welding the side surfaces as shown in FIG. 12, and the concentrated bolts B ' ) Or rivets.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라운드 앵글 200...외측 플레이트
300...결합 앵글
100 ... Round Angle 200 ... Outer Plate
300 ... Combined Angle

Claims (9)

90°로 절곡된 부분이 원호 형상을 한 앵글로서 기둥의 코너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라운드 앵글;
외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 앵글들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외측 플레이트; 및
밀폐된 기둥 내부에 구비되는 단면이 격자형상인 내부 보강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라운드 앵글은,
양 단부에 원호 형상의 90°로 절곡된 라운드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라운드 앵글 및 상기 외측 플레이트는,
마주 보는 어느 한 쌍은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에 의해 결합하고,
마주 보는 다른 한 쌍은 용접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라운드 앵글의 내측에 배치되는 수직 철근; 및 상기 라운드 앵글의 단부와 상기 수직 철근을 결합시키는 결합 앵글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철근의 배치는,
상기 수직 철근에 미리 결합 앵글을 복수로 용접하고,
상기 결합 앵글의 양 단부를 상기 라운드 앵글에 용접에 의해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
Four round angles in which the portions bent at 90 degrees are arched angles and are vertically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corner positions of the columns;
Four outer plat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round angles to form an outer surface; And
And an inner reinforcing assembly having a grid-like cross section provided inside the closed column,
The round-
Further comprising a rounded rib which is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in an arc shape at both ends,
Wherein the round angle and the outer plate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 pair facing each other is joined by a fastening bolt and a fastening nut,
The other pair facing is joined by welding,
A vertical reinforcing bar disposed inside the round angle; And a coupling angle coupling the end of the round angle to the vertical reinforcement,
The arrangement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A plurality of joining angles are welded to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in advance,
And both ends of the joining angle are joined to the round angle by welding. ≪ RTI ID = 0.0 > 11. <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레이트는,
합성보가 내삽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plate comprises:
Wherein an opening is further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mposite beam is inserted. ≪ RTI ID = 0.0 > 11. < / RTI >
삭제delete
KR1020150019960A 2015-02-10 2015-02-10 Concrete filled tube with round angle KR1016484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60A KR101648422B1 (en) 2015-02-10 2015-02-10 Concrete filled tube with round 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60A KR101648422B1 (en) 2015-02-10 2015-02-10 Concrete filled tube with round ang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422B1 true KR101648422B1 (en) 2016-08-16

Family

ID=5685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960A KR101648422B1 (en) 2015-02-10 2015-02-10 Concrete filled tube with round ang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4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841A (en) * 2020-03-31 2021-10-01 中国地质大学(北京) Combined cross-shaped section colum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442A (en) * 2003-10-16 2006-04-13 Nippon Steel Corp Pillar member assembled with channel-shaped metal member
KR100588393B1 (en) * 2004-12-06 2006-06-09 대한주택공사 Tied column using y shape ties formed with steel sheet
KR100684931B1 (en) 2006-02-28 2007-02-22 염경수 Closed type inflected steel me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KR100898283B1 (en) 2007-08-10 2009-05-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teel-frame for SRC-frame that steel reinforcement is pre-assembled and Steel-frame structure execution method by using the steel-frame
KR20100127902A (en) * 2009-05-27 2010-12-07 주식회사 한구조엔지니어링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KR101432260B1 (en) * 2013-02-28 2014-08-21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442A (en) * 2003-10-16 2006-04-13 Nippon Steel Corp Pillar member assembled with channel-shaped metal member
KR100588393B1 (en) * 2004-12-06 2006-06-09 대한주택공사 Tied column using y shape ties formed with steel sheet
KR100684931B1 (en) 2006-02-28 2007-02-22 염경수 Closed type inflected steel me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KR100898283B1 (en) 2007-08-10 2009-05-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teel-frame for SRC-frame that steel reinforcement is pre-assembled and Steel-frame structure execution method by using the steel-frame
KR20100127902A (en) * 2009-05-27 2010-12-07 주식회사 한구조엔지니어링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KR101432260B1 (en) * 2013-02-28 2014-08-21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841A (en) * 2020-03-31 2021-10-01 中国地质大学(北京) Combined cross-shaped section colum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791B1 (en) Steel composite concrete beam-column joint structure
KR101295740B1 (en) Joint of Steel Column
KR101620096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for bending performance improving and building method for corrugated stee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1437859B1 (en) Concrete filled octagonal steel column
JP2014518972A (en) Frame connecting device for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s
KR101615126B1 (en) Outer insulation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of outer wall using it
KR20130139029A (en) Modular column joint structure using h shape steel plate
KR101926389B1 (en) Framed rebar concrete column
JP5914174B2 (en) Compression buckling stiffening structure
KR101661542B1 (en) Pre-fabricated column with ribbed round angle and reinforcing b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393516B2 (en) Heterogeneous steel beam joint structure
KR101404513B1 (en) Steel Reinforced Concrete with Steel Angles or T Bars
JP5635734B2 (en) Beam-column joints and reinforcement hardware for beam-column joints
KR101904115B1 (en)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KR101557380B1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KR101648422B1 (en) Concrete filled tube with round angle
JP4052479B2 (en) Steel structure column / beam joint structure
JP5656065B2 (en) Structural member of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KR102122889B1 (en) Pre-fabricated column with angle-type reinforcing bar
KR101946500B1 (en) Hinged connected CFT column
KR20170085216A (en) Sturcture of composite beam using wire tension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22165B1 (en) Concrete filled steel tube
KR20090125228A (en) A panel fabrication device for circular pipe
KR102007936B1 (en) Fix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steel frame assembly and permanent form panel
KR200486761Y1 (en) Corner angle for connecting form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