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301B1 - 스마트 귀마개 - Google Patents

스마트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301B1
KR101648301B1 KR1020150051010A KR20150051010A KR101648301B1 KR 101648301 B1 KR101648301 B1 KR 101648301B1 KR 1020150051010 A KR1020150051010 A KR 1020150051010A KR 20150051010 A KR20150051010 A KR 20150051010A KR 101648301 B1 KR101648301 B1 KR 101648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ound
microphone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이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진 filed Critical 이종진
Priority to KR102015005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재; 상기 착용부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각각에 마련되고, 귀나 귀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과 함께 사용자의 귀에 소음이 유입됨을 차단하는 이어패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리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로부터 소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필터; 상기 사운드필터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음성을 출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드라이버유닛; 및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한 소리의 수신과 상기 드라이버유닛을 통한 음성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도록 한 스마트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여러 소음을 차단하면서 작업자 간에 대화 소리가 들리도록 함으로써, 소음 차단을 위한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작업자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고,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및 산업재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귀에 대한 소음 차폐력이 우수하여 소음 차단력이 뛰어나도록 하고,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귀마개{Smart earplug}
본 발명은 스마트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차단력이 우수하며,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스마트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및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소음을 막거나 줄여서, 작업자의 난청 등과 같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단순한 기능의 귀마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단순한 기능의 귀마개는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는 있지만, 작업자 간의 대화소리까지도 차단하기 때문에 작업 중 꼭 필요한 의사소통을 할 수 없어서 수화를 하거나, 글을 종이에 쓰는 등의 불편을 야기하며,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해 더 큰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1290호의 "스마트 귀마개"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외부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폰; 상기 마이크로 폰에서 출력되는 소리 신호를 음성 신호와 소음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음성 신호와 소음 신호를 독립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 증폭부; 및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와 소음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인 이어폰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인 이어폰 구조의 채용으로 인해, 피부를 통해 소음이 여전히 전달되어 소음 차단력이 저하되고, 음성 신호의 출력 제어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짐으로써 작업 효율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여러 소음을 차단하면서 작업자 간에 대화 소리가 들리도록 함으로써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및 산업재해 발생을 방지하고, 소음차단력이 우수하며,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재; 상기 착용부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각각에 마련되고, 귀나 귀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과 함께 사용자의 귀에 소음이 유입됨을 차단하는 이어패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리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로부터 소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필터; 상기 사운드필터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음성을 출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드라이버유닛; 및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한 소리의 수신과 상기 드라이버유닛을 통한 음성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귀마개가 제공된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하우징에 외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수집관; 상기 수집관의 입구측에 전후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전측판 및 후측판; 및 상기 전측판과 상기 후측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소리가 수신됨으로써 서로 접촉 및 이격되는 상기 전측판과 상기 후측판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신호를 오디오신호로서 출력하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하우징에 외부와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외주면에 권선되고, 자기장 내에서 상기 멤브레인의 진동을 전기신호로서 오디오신호로 출력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영구자석; 및 상기 멤브레인이 소리의 수신에 의해 진동하도록 상기 멤브레인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부에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신호를 수신받아 제 1 설정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설정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제 1 설정시간의 경과를 상기 제어부에 신호로서 전달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증폭부로부터 제 2 설정시간 동안 음성신호가 출력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 2 설정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제 2 설정시간의 경과를 상기 제어부에 신호로서 전달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에 의하면,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여러 소음을 차단하면서 작업자 간에 대화 소리가 들리도록 함으로써, 소음 차단을 위한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작업자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고,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및 산업재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귀에 대한 소음 차폐력이 우수하여 소음 차단력이 뛰어나도록 하고,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의 마이크로폰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의 마이크로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의 요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의 드라이버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100)는 착용부재(110), 하우징(120), 이어패드(130), 마이크로폰(140), 사운드필터(150), 증폭부(160) 및 드라이버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데, 일례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밴드(111)와, 헤드밴드(111)의 양단에 힌지 결합 등에 의해 연결되는 행거(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밴드(111)의 복원력에 의해 행거(112)를 통해서 하우징(120)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착용부재(110)의 양측, 예컨대 행거(112) 각각에 힌지 결합 등에 의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패드(130)는 하우징(120) 각각에 사용자의 귀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드라이버유닛(170)이 노출되도록 귀나 귀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하우징(120)과 함께 사용자의 귀에 소음이 유입됨을 차단하도록 하며, 예컨대 밀착성을 위하여 쿠션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폰(14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리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출력하도록,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하우징(12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마이크로폰(140)은 일례로서, 하우징(120; 도 1에 도시)에 외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수집관(141)과, 수집관(141)의 입구측에 전후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전측판(142) 및 후측판(143)과, 전측판(142)과 후측판(14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과 아울러, 소리가 수신됨으로써 서로 접촉 및 이격되는 전측판(142)과 후측판(143)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신호를 오디오신호로서 출력하는 회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관(141)은 하우징(120)의 내측에 고정되되,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홀(미도시)을 통해서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전측판(142)과 후측판(143)은 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로부(144)에 의해 진동이 가능하도록 수집관(141)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마이크로폰(240)은 다른 예로서, 하우징(120; 도 1에 도시)에 외부와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멤브레인(241)과, 멤브레인(241)의 외주면에 권선되고, 자기장 내에서 멤브레인(241)의 진동을 전기신호로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코일(242)과, 코일(242)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의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영구자석(243,244)와, 멤브레인(241)이 소리의 수신에 의해 진동하도록 멤브레인(24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연결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연결부(245)는 일례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예로서 주름구조와 같이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멤브레인(241)에 연결된 상태로 본체(246)에 고정될 수 있다. 멤브레인(241)은 하우징(120)의 내측에 위치하되,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홀(미도시)을 통해서 외부와 연결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리가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필터(150)는 마이크로폰(140)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로부터 소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데, 오디오신호로부터 소음에 해당하는 신호와 음성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하여, 일례로 도 5에서와 같이, 로우패스 필터(Low pass filte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원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 즉 소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음성신호만이 증폭부(16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증폭부(160)는 도 5에서와 같이, 사운드필터(150)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드라이버유닛(170)에 전달하도록 한다.
드라이버유닛(170)은 증폭부(160)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우징(120)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마련되는데,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에 해당하는 다이어프램(171)이 사용자의 귀 측을 향하여 진동이 가능하도록 본체(175)에 설치될 수 있고, 본체(175)에 설치되는 아마추어(172)에 음성신호로서 전기신호가 수신되는 코일(173)이 권선되며, 코일(173) 측에 자기장을 인가하도록 영구자석(174)이 설치될 수 있는데, 자기장 내에서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코일(173)을 통해서 다이어프램(171)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음성이 사용자의 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피커 구조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위칭부(180)는 마이크로폰(140)을 통한 소리의 수신과 드라이버유닛(170)을 통한 음성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하우징(120)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일례로 마이크로폰(140)과 증폭부(150)에 전원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도록 하우징(120)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위칭부(180)는 하우징(120)에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의 스위치와는 다른 예로서 동작신호를 제어부(190)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80)의 동작신호를 수신받아 제 1 설정시간 동안 마이크로폰(140)과 증폭부(1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설정시간의 카운트를 위하여 타이머(191)가 마련될 수 있는데, 타이머(191)는 제 1 설정시간, 예컨대 1~5분 동안을 카운트하여 제 1 설정시간의 경과를 제어부(190)에 신호로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80)의 동작신호를 수신받아 마이크로폰(140)과 증폭부(150)를 동작시키고, 증폭부(150)로부터 제 2 설정시간 동안 음성신호가 출력되지 아니하는 경우 마이크로폰(140)과 증폭부(15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191)는 제 2 설정시간, 예컨대 30초~5분을 카운트하여 제 2 설정시간의 경과를 제어부(190)에 신호로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80)의 연속적인 동작 횟수를 감지하여 스위칭부(180)의 동작 횟수에 상응, 예컨대 비례하도록 제 1 및 제 2 설정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일례로 PCB(220)의 일부 또는 전부로 이루어져서 하우징(12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10)는 일례로 배터리로서 하우징(12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귀마개에 따르면, 기계 소리 등 작업현장에 발생되는 대부분 소음과 사람의 말소리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귀마개(100)의 내부에 주파수 대역별로 소리를 분리할 수 있는 사운드필터(150)가 마련됨으로써, 기계음 등과 같은 작업장의 소음이 사용자의 귀에 안들리게 차단하는 한편, 사람들 간의 대화는 들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여러 소음을 차단하면서 작업자 간에 대화 소리가 들리도록 함으로써, 소음 차단을 위한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작업자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고,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및 산업재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귀에 대한 소음 차폐력이 우수하여 소음차단력이 뛰어나도록 하고,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착용부재 111 : 헤드밴드
112 : 행거 120 : 하우징
130 : 이어패드 140 : 마이크로폰
141 : 수집관 142 : 전측판
143 : 후측판 144 : 회로부
150 : 사운드필터 160 : 증폭부
170 : 드라이버유닛 171 : 다이어프램
172 : 아마추어 173 : 코일
174 : 영구자석 175 : 본체
180 : 스위칭부 190 : 제어부
191 : 타이머 210 : 전원공급부
220 : PCB 240 : 마이크로폰
241 : 멤브레인 242 : 코일
243 : 제 1 영구자석 244 : 제 2 영구자석
245 : 탄성연결부 246 : 본체

Claims (6)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재;
    상기 착용부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각각에 마련되고, 귀나 귀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과 함께 사용자의 귀에 소음이 유입됨을 차단하는 이어패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리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로부터 소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필터;
    상기 사운드필터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음성을 출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드라이버유닛;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한 소리의 수신과 상기 드라이버유닛을 통한 음성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신호를 수신받아 제 1 설정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 1 설정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제 1 설정시간의 경과를 상기 제어부에 신호로서 전달하는 타이머;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증폭부로부터 제 2 설정시간 동안 음성신호가 출력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 2 설정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제 2 설정시간의 경과를 상기 제어부에 신호로서 전달하는 타이머;
    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하우징에 외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수집관;
    상기 수집관의 입구측에 전후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전측판 및 후측판; 및
    상기 전측판과 상기 후측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소리가 수신됨으로써 서로 접촉 및 이격되는 상기 전측판과 상기 후측판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신호를 오디오신호로서 출력하는 회로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귀마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부에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귀마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51010A 2015-04-10 2015-04-10 스마트 귀마개 KR101648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010A KR101648301B1 (ko) 2015-04-10 2015-04-10 스마트 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010A KR101648301B1 (ko) 2015-04-10 2015-04-10 스마트 귀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301B1 true KR101648301B1 (ko) 2016-08-12

Family

ID=5671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010A KR101648301B1 (ko) 2015-04-10 2015-04-10 스마트 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69A1 (ko) * 2016-01-05 2017-07-13 주식회사 수현테크 스마트 귀마개, 가스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귀마개 및 이들을 이용한 알림 메시지 전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028A (ko) * 2003-01-21 2004-07-30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커넥션 링과 진동판 링이 하나로 성형된 콘덴서 마이크로폰
JP2006197283A (ja) * 2005-01-14 2006-07-27 Audio Technica Corp 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10985A (ko) * 2006-05-16 2007-11-21 크레신 주식회사 마이크 기능을 가진 밀폐형 헤드폰 및 그 사용방법
KR20150021290A (ko) * 2013-08-20 2015-03-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마트 귀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028A (ko) * 2003-01-21 2004-07-30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커넥션 링과 진동판 링이 하나로 성형된 콘덴서 마이크로폰
JP2006197283A (ja) * 2005-01-14 2006-07-27 Audio Technica Corp 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10985A (ko) * 2006-05-16 2007-11-21 크레신 주식회사 마이크 기능을 가진 밀폐형 헤드폰 및 그 사용방법
KR20150021290A (ko) * 2013-08-20 2015-03-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마트 귀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69A1 (ko) * 2016-01-05 2017-07-13 주식회사 수현테크 스마트 귀마개, 가스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귀마개 및 이들을 이용한 알림 메시지 전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048B2 (en) Controlling own-voice experience of talker with occluded ear
CN101795143B (zh) 内置骨骼传导麦克风的头戴式送受话器
US9288569B2 (en) Earphone with noise reduction
US20170111728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 and bone conduction earphones having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s
KR100934273B1 (ko) 진동형 이어폰
JP2004205839A (ja) 補聴器具
CN104853282A (zh) 带骨传导功能的智能穿戴设备及音频输出处理方法
KR20110121012A (ko) 난청 예방 헤드셋
KR101377418B1 (ko) 골전도 헤드폰
JP2018093516A (ja)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CN216600066U (zh) 扬声器以及声音输出装置
EP2811755B1 (en) Audio processing device
KR101790954B1 (ko) 스마트 귀마개
KR101648301B1 (ko) 스마트 귀마개
KR101366001B1 (ko) 진동기능이 있는 헤드폰
CN111328451B (zh) 通信系统、呼吸面罩和头盔
JP2009302800A (ja) ノイズキャンセル型ヘッドホン
JP6085541B2 (ja) イヤースピーカ装置
KR101723423B1 (ko) 스마트 귀마개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 전달 시스템
KR102167509B1 (ko) 안경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
KR20120000147A (ko) 방음 마이크 헤드셋
WO2018139088A1 (ja) 音響出力装置
EP3866484B1 (en) Throat headset system
KR101945769B1 (ko) 골전도 블루투스 증폭기
RU2800623C1 (ru) Слуховой аппар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