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381B1 - Portable keyboard - Google Patents

Portable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381B1
KR101647381B1 KR1020150020071A KR20150020071A KR101647381B1 KR 101647381 B1 KR101647381 B1 KR 101647381B1 KR 1020150020071 A KR1020150020071 A KR 1020150020071A KR 20150020071 A KR20150020071 A KR 20150020071A KR 101647381 B1 KR101647381 B1 KR 10164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ain body
frame
housing
assembl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2967A (en
Inventor
이승진
김기태
강동국
이호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381B1/en
Publication of KR2015002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3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휴대성이 향상된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key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keyboard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improved portability.

Description

휴대용 키보드{PORTABLE KEYBOARD}Portable Keyboard {PORTABLE KEYBOARD}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휴대성이 향상된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key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keyboard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improved portability.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동 단말기의 입력장치로서 휴대용 키보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With the recent spread of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portable keyboard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terminals.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10)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10)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1A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foldable keyboard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1B is a schematic view of a folded state of the foldable keyboard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10)는 종방향으로 분리되어 힌지(2)로 서로 연결된 5개의 몸체(제1 몸체 내지 제5 몸체)(1a, 1b, 1c, 1d, 1e)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몸체에는 복수 개의 키(3)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10)는 휴대시 제3 몸체(1c) 쪽을 향하여 상기 제3 몸체(1c)의 좌우에 힌지(2)로 연결된 제1 몸체(1a)와 제2 몸체(1b) 및 제4 몸체(1d)와 제5 몸체(1e) 접히도록 구성되어, 휴대시 책과 유사한 형상으로 접이식 키보드(1)를 이동할 수 있다.1A and 1B, a conventional foldable keyboard 10 includes five bodies (first to fifth bodies) 1a, 1b, and 1c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2 in a longitudinal direction, 1c, 1d, and 1e. Each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3). Particularly, the foldable keyboard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first body 1a and a second body 1a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body 1c toward the third body 1c by the hinge 2, 1b and the fourth body 1d and the fifth body 1e are folded so that the foldable keyboard 1 can be mov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book.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는 각각의 몸체가 종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배열에 맞게 분리된 몸체들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지그재그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연결부가 복잡해 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힌지축이 지그재그로 구성될 수 밖에 없어 휴대를 위해 접은 상태에서의 접이식 키보드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게다가, 접은 상태에서 접입식 키보드의 부피가 일반적인 책의 부피와 유사하여 휴대성 및 보관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fold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eparat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hinge shaft connecting the separated bodies according to the key arrangement is required to be zigzag, as shown in FIG. 1A,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must be complicated. Also, since the hinge axis is zigzag, the appearance of the foldable keyboard in a folded state for carrying is not goo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foldable keyboard in the folded state is similar to the volume of a general book, so that port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are poor.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A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ortable keyboard 2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FIG. 2B is a schematic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2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는 가요성 물질인 실리콘으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키(22)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는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시 권취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 휴대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었다.2A and 2B, the portable keyboard 2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main body 21 made of silicone, which is a flexibl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keys 22 integrally provided in the main body 21. [ Consists of. The portable keyboard 2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made of silicon and can be moved in a state of being wound up when carrying as shown in FIG. 2B,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는 각각의 키 또한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키를 누를 경우 키감 및 키 인식률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오타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in the portable keyboard 2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each key is also made of silic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key and key recognition rate is poor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a user has a high incidence of typo when using a port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keyboard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keyboard having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keyboard with improved portability and storag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감이 향상된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keyboard with improved aesthetic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가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고, 신장형 형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키조립체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및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채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와 상기 본체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휴대시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권취되도록 접히고, 사용시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권출되어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lign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having an elongated shape; A main body positioned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key assembly and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a mobil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e folded to be wound in a manner to surround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arried, and the main body is extended around the main body when us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상기 본체부로 전송하는 FPC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is an FPCB that transmits an input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to the main body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FPCB의 외피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및 케블러(Kevlar) 중 하나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er skin layer of the FPCB is made of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ropylene (PP), and Kevla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및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the main bod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중공형 정n각형 기둥형상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키조립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in body includes a housing having a hollow square n-post, and the housing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key assemb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이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하우징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ousing includes an opening por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opened, and a housing cover detachably disposed in the housing and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이 개방된 배터리용 개구부와,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용 개구부를 덮는 배터리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n opening for a battery having one side of the housing opened, and a battery cover detachably disposed on the housing to cover the battery open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휴대용 키보드의 ON/OFF를 조절하는 전원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버튼은 광투과성 물질 또는 반투과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버튼은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g한다.Preferably, the housing includes a power button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portable keyboar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 power button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or a semi-permeable material, (G).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전력잔여량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ED is changed in color depending on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keyboar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연결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장착된 메인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인쇄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in body includes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input signal, And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BLUETOOTH 통신모듈, ZIGBEE 통신모듈 및 WIFI 통신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FI communication modu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단면은 정n각형이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수량은 n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ross-section of the body portion is an n-angular shape,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s 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조립체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측변과 저변 사이의 각도는 180*(n-2)/2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ross section of the key assembly is trapezoidal, and the angle between the side of the trapezoid and the base is 180 * (n-2) / 2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조립체는, 상부에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 및 복수 개의 키탑이 안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두 개의 횡방향 테두리에 결합되는 횡방향 측벽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두 개의 종방향 테두리에 구비되는 종방향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key assembly further includes a frame on which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and the plurality of key tops are seated, a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coupled to two transverse rims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provided at two longitudinal edges at an upper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방향 측벽부는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가 상기 키조립체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can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key assemb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방향 측벽부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which is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방향 측벽부는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preferably, th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is provided with a magnet insid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의 휴대시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권취되도록 접혀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e folded so as to be wound around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keyboard is carried, and are fixed in a folded stat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방향 측벽부는, 내부에서 상기 자석의 외주면 중 상기 프레임의 중심을 향하는 제1면 및 상기 프레임의 저면을 향하는 제2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자력 차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has a first surface facing the center of the fram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and a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second surface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저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rame includes a frame cov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at a bottom surface thereof.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방향 측벽부는 내부에서 상기 자석의 외주면 중 상기 프레임의 중심을 향하는 제1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자력 차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덮개는 상기 자석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석이 상기 프레임에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자력 차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toward the center of the frame, and the frame cover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And a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positioned so that the magnet does not contact the fram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키탑 각각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top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키탑이 눌러질 때 상기 키탑의 상부면이 상기 횡방향 측벽부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범위까지만 탄성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lowered only to a range where the top surface of the key top is positioned i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lateral side wall portion when the key top is push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중 전개시 상기 본체부와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키조립체의 프레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전개용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rame of the key assembly, which is farthest away from the main body when the key assembly is deployed,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는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ortable keyboard is a pentagonal keyboar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는 휴대시 신장형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도록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ortable keyboard is folded so that the portable keyboard is in the form of an elongated quadrangular pris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가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고, 신장형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에 자석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키조립체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및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채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와 상기 본체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FPCB;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휴대시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권취되도록 접히고, 사용시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권출되어 전개되며,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휴대시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linearly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each of the key assemblies having an elongated shape and a magnet at a rim; A main body part including a control part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controlling an input signal inputted from the key assembl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 FPCB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the main body unit and mechanic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to the main body unit so that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and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e folded so as to be wound in a manner to surround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arried, and the key assembly is deployed around the main body portion when used, and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e folded And is fixed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fix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조립체는, 내부에서 상기 자석의 외주면 중 상기 FPCB를 향하는 면을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감싸도록 배치되는 자력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key assembly includes a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arranged to surround a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facing the FPCB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so that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배터리 전력 잔여량에 대한 정보,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신호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휴대용 키보드에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battery power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n a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information on a type of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ortable keyboar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제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keyboard.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manufacturing speed of the portable keyboard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휴대시의 외형이 사각기둥 형상(즉, 바(bar)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휴대용 키보드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external shape of the portable keyboard when the portable keyboard is portable is a square pillar shape (i.e., a bar shape), so that the portability and storage of the portable keyboard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휴대시의 외형에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부분이 없고, 힌지 연결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휴대용 키보드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portion that ruggedly protrudes from the outer shape at the time of carrying, and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beauty of the portable keyboard.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전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체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체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본체부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배터리 덮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키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키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키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키조립체의 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FIG. 1A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foldable keyboard, and FIG. 1B is a schematic view of a folded state of a fold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2A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keyboard, and FIG. 2B is a schematic view of a folded state of a port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state of a portabl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eveloped state of a portabl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schematic views parti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ke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e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ke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rame of a ke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t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crimina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장착되어"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 mounted ", or "install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attach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also be pres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전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는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입력부(200), 상기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어하고 이렇게 제어된 입력신호를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로 전송하는 본체부와, 상기 입력부(200) 및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및/또는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3 and 4, a portable keyboard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n input unit 200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200, A main body for transmitting the controlled input signal to a mobile terminal (e.g., a smart phone, a tablet PC, etc.),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electrically and / 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input unit 200 and the main body ).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는 전체 크기를 슬림화하기 위하여 펜타그래프(pantagraph) 방식의 키보드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portable keyboard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antagraph keyboard in order to reduce the overall size.

입력부(200)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가요성 연결부재(300)로 연결된다. The input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e connected to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가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키 또는 키탑(211)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전체적인 형상은 신장형(elongated shape)이다. 즉, 각각의 키조립체는 일반적인 키보드에서의 가로방향 키열들을 기준으로 분리된 부분이다.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nclude a plurality of keys or keytops 211 alig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s an elongated shape. That is, each key assembly is a separate part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key sequences in a typical keyboard.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각각의 키조립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제1 키조립체(200a), 제2 키조립체(200b), 제3 키조립체(200c) 및 제4 키조립체(200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휴대용 키보드(1000)의 용도에 따라 제5 키조립체, 제6 키조립체 등의 추가 키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nclude respective key assemblies. 4,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may include a first key assembly 200a, a second key assembly 200b, a third key assembly 200c, and a fourth key assembly 200d. . Of course, this is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key assembly such as a fifth key assembly, a sixth key assembly, etc., depending on the us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휴대용 키보드(1000)의 휴대시 본체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권취되도록 접히고(도 3 참고), 휴대용 키보드(1000)의 사용시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권출되어 전개된다(도 4 참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각각은 권취되어 접힐 때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상부면이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즉, 각각의 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e folded to be wrapped around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in a wrapping manner (see FIG. 3), and are deployed around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keyboard 1000 is used ).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key assembly is wound and folded,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e., each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중 일단에 위치되는 키조립체(예를 들어, 도 4에서 제1 키조립체(200a))의 측면에는 본체부가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On the side of a key assembly (e.g., the first key assembly 200a in FIG. 4) locat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 body portion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중 타단에 위치하는 키조립체(예를 들어, 도 4에서 제4 키조립체(200d))에는 (즉,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중 전개시 상기 본체부와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키조립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전개용 돌출부(217)가 구비된다. 상기 전개용 돌출부(217)를 구비함으로써, 휴대를 위해 권취되어 접힌 상태의 휴대용 키보드(1000)에서 상기 전개용 돌출부(217)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키조립체를 용이하게 펼칠 수 있다.A key assembly (e.g., a fourth key assembly 200d in FIG. 4)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e., a key that is located farthest away from the main body during deployment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The assembly includes a deploying projection 217 projecting outwardly. By providing the development protrusion 217,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can be easily spread by using the development protrusion 217 in the folded portable keyboard 1000 for carrying.

키조립체는 테두리에 자석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휴대시 자석의 자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서로 고정될 수 있어, 휴대시 휴대용 키보드(1000)는 전개되지 않고 신장형 정n각형 기둥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key assembly has a magnet on the rim. Therefore,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can be fixed to each other in a folded stat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when carrying, so that the portable keyboard 1000 can be maintained in the form of an elongated positive n-square without being deployed.

따라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자력으로 복수 개의 키조립체들의 전개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휴대용 키보드(10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ansion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by the magnetic force without any fixing means, and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can be simplified.

본체부는 키조립체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입력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key assembl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mobile terminal.

본체부는 가요성 연결부재(300)에 의해 복수 개의 키조립체와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body portion is mechanically and /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by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300).

본체부의 단면은 정n각형이고,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수량은 n개이다. 키보드의 용도에 따라 (즉, 기능키 또는 특수키의 필요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수량이 결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수량이 결정되면 본체부의 단면 형성도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열의 횡방향 키열만이 필요한 경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4개가 구비되고, 본체부의 단면형상은 정사각형이 된다.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ortion is of an n-square shape, wherei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s 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keyboard (i.e., depending on whether a function key or a special key is required), and the number of key assemblies is determin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only four rows of transverse key columns are required, four key assemblies are provided,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a square.

상기 본체부는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횡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횡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preferably have a transvers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상부면에 각각의 키탑(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돔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 각각을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및/또는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 및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채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와 상기 본체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한다.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has a dome switc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key top 211 on its upper surface.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300 mechanically and / or electrically connects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electrically and / or mechanic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to the main body. In detail,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electric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main body is mechanically connected.

이를 위하여,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가요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FPCB는 본체부의 저면 및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저면에 장착되어 복수 개의 키조립체가 휴대용 키보드(1000)의 휴대시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즉, FPCB는 본체부와 키조립체 사이에 및 각각의 키조립체들 사이에 관절형 연결부 역할을 한다.For this purpose,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300 is flexible, and preferably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30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The FPCB may be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so that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may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abl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keyboard 1000 is carried. That is, the FPCB serves as an articulating link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key assembly and between the respective key assemblies.

상기 FPCB는 외피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피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및 케블러(Kevlar) 중 하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FPCB includes an out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y preferably be composed of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ropylene (PP), and Kevlar.

이렇게, FPCB를 사용함으로써, 종래기술과 같은 복합한 힌지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휴대용 키보드(10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도 절감할 수 있다. By using the FPCB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can be shortened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상기 본체부로 전송한다. 즉,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각각의 키조립체의 키의 누름을 감지하여 눌러진 키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본체부로 전송한다.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transmits input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to the main body. That is,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senses the depression of the key of each key assembly and transmit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pressed key to the main body.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본체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본체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본체부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배터리 덮개(104)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and 8B are schematic cross- 8a and 8b are schematic views parti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and 9b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cover 10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는 중공형 n각형 기둥형상을 구비하는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 장착되는 메인인쇄회로기판(105)(PCB)와,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105)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B)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06)를 포함한다.5 and 6, the main body includes a housing 101 having a hollow n-prismatic columnar shape,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105 (PCB) mounted inside the housing 101, And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06 formed inside the housing 101 for accommodating a battery B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105.

상기 배터리(B)는 하우징(101) 내부에 고정되는 내장형 배터리(B)일 수 있고, 상기 내장형 배터리(B)는 USB 등의 케이블을 통하여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B)는 하우징(101)에 삽입가능한 외장형 배터리(B)일 수도 있다.The battery B may be an internal battery B fixed inside the housing 101 and the internal battery B may be charged through a cable such as a USB. The battery B may be an external battery B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1.

메인인쇄회로기판(105)에는 입력부(200)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어하거나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되거나 처리된 입력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된다.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105 is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r processing an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controlled or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바람직하게는 BLUETOOTH 통신모듈, ZIGBEE 통신모듈 및 WIFI 통신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preferabl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FI communication module.

도 5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의 하우징(101)은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101a)와, 상기 하우징(101)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방부(101a)를 덮는 하우징 덮개(103),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면이 개방된 배터리용 개구부와, 상기 하우징(101)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용 개구부를 덮는 배터리 덮개(104)와, 상기 하우징(101)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0)의 ON/OFF를 조절하는 전원버튼(102)을 포함한다.5 to 9B, the housing 101 of the main body includes an opening 101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housing cover detachably mounted on the housing 101 and covering the opening 101a, A battery cover 104 detachably mounted on the housing 101 to cover the opening for the battery 101 and a battery cover 102 for covering the opening for the battery 101; And a power button 102 provided on a side surface thereof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본체부의 하우징(101)은 하우징(101)의 저면이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하우징(101)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하우징 덮개(103)를 포함한다. The housing 101 of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n opening por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1 is opened and a housing cover 103 detachably positioned in the housing 101 to cover the opening portion.

하우징(101)의 개방부 부근에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07)가 구비되고, 하우징 덮개(103)는 상기 걸림돌기(107)와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는 걸림턱(103b)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103b)은 하우징 덮개(103)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03a)의 단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03a)는 소정의 탄성 변형을 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덮개(103)가 하우징(101)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 및/또는 상기 걸림돌기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07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of the housing 101. The housing cover 103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103b which is detachably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07, (103b) is provided at an end of a support portion (103a)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housing lid (103).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103a is configur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Preferably, the engaging jaws and / or the engaging protrusions may be rounded so that the housing lid 103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housing 101.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 덮개(103)는 상기 하우징(101)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덮개(103)의 양측면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ousing lid 103 can be slidably mounted and / or disengaged from the opening of the housing 101. At this time,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1 so that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cover 103 can slide.

하우징 덮개(103)가 하우징(101)에 체결되는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30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 덮개(103)의 일측면에는 인출홈이 형성되어 있다.When the housing lid 103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1, the housing lid 103 is formed with a lead-out groove on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can be drawn out.

이렇게, 하우징(101)의 저면에 탈착가능한 하우징 덮개(103)를 구비함으로써, 메인인쇄회로기판(105), 제어부 및 무선통신모듈의 손상 또는 고장시,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105), 상기 제어부 및 무선통신모듈의 유지 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105, the control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re damaged or malfunctioned,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105, the control unit, And the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n be facilitated.

또한, 도 5 내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은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면이 개방된 배터리용 개구부와, 상기 하우징(101)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용 개구부를 덮는 배터리 덮개(104)를 포함한다.5 to 10A, the housing 101 includes an opening for a battery having one side of the housing 101 opened, and an opening for the battery 101, which is detachably positioned in the housing 101, And a battery cover 104 covering the battery.

배터리용 개구부는 배터리(B)가 외장형 배터리(B)인 경우 배터리(B)를 하우징(101)의 배터리 수용부(106) 내로 삽입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The opening for the battery allows the battery B to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06 of the housing 101 when the battery B is the external battery B. [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덮개(104)는 하우징(101)의 일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된다. 배터리 덮개(104)는 덮개 본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04b)와, 상기 지지부(104b)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돌출부(104c)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battery cover 104 is detachab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1. The battery cover 104 includes a support portion 104b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over body and a fixing projection 104c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4b.

배터리 덮개(104)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삽입되는 방향의 면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에 연장되어 하우징(101)의 일측면에 맞물리는 걸림면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battery cover 104, the fixing projection preferably has an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of insertion, and the engaging surface which is extended to the inclined surface and is engaged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1, .

또한, 배터리 덮개(104)의 양측면에는 배터리 덮개(104)의 탈착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탈착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홈(104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grooves 104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lid 104 to prevent sliding of the battery lid 104 when the battery lid 104 is removed and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process.

전원버튼(102)은 하우징(101)의 타측면에(즉, 배터리 덮개(104)가 장착되는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전원버튼(102)은 광투과성 물질 또는 반투과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버튼(102)의 내측면에는 LED가 구비된다.The power button 10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1 (i.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battery cover 104 is mounted). The power button 102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or a semipermeable material, and an LED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ower button 102.

여기서, 상기 LED는 제어부에 의해 배터리(B)의 전력잔여량에 따라 색상이 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LED는 배터리(B)의 전력잔여량이 충전량의 70% 내지 100%인 경우 전원버튼(102)은 녹색광을 방출하고, 배터리(B)의 전력잔여량이 충전량의 70% 내지 30%인 경우 황색광을 방출하고, 배터리(B)의 전력잔여량이 충전량의 30% 내지 1%인 경우 적색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LE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lor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remaining in the battery B by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when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B is 70% to 100% of the charged amount, the power button 102 emits green light, and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B is 70% to 30% , And emits red light when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B is 30% to 1% of the charged amount.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가요성 연결부재(30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하우징(101)과 하우징 덮개(103) 사이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인출되고,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상기 하우징(101) 내에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24핀 내지 30핀 커넥터를 통하여 메인인쇄회로기판(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is detachab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pecifically,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300 is drawn out through a groove formed between the housing 101 and the housing cover 103,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300 is fixed in the housing 101,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105 through a 24-pin to 30-pin connector.

도 5에 표시된 P1, P2, P3, P4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가 가요성 연결부재(300)에 연결되는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P1, P2, P3, and P4 shown in FIG. 5 indicate positions where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e connected to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부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휴대요 키보드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의 제어부는 휴대용 키보드(1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portable yaw keyboar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of the main body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such that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배터리(B) 전력 잔여량에 대한 정보,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신호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0)에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B,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ortable keyboard 1000 And may include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n the kind. Such information is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0은 본 발명의 키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키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키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키조립체의 프레임(210)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Figure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ke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e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a and 12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ke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210 of the ke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각각 상부에 가요성 연결부재(300) 및 복수 개의 키탑(211)이 안착되는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서 두 개의 횡방향 테두리에 결합되는 횡방향 측벽부(213)와,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서 두 개의 종방향 테두리에 구비되는 종방향 측벽부(215)를 포함한다. 10 to 13,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ncludes a frame 210 on which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and a plurality of key tops 211 are seated, A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213 coupled to two transverse rims and a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215 provided at two longitudinal rims at the top of the frame 210.

프레임(210)은 키조립체의 지지부로서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면에는 가요성 연결부재(300)가 안착된다.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키탑(211)이 배열된다. 상기 프레임(210)은 신장형 부재이다. The frame 210 is a support of the key assembly, and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3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10. A plurality of key tops 211 are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mber 300. The frame 210 is an elongate member.

복수 개의 키조립체 중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전개상태에서 본체부와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키조립체의 프레임(210)에는, 휴대를 위해 권취된 휴대용 키보드(1000)의 키조립체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전개용 돌출부(217)가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key assembly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that is wound up for portable purposes can be easily deployed by the user in the frame 210 of the key assembly which is located farthest from the main body in the deployed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among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a developing projection 217 is formed on the outside.

또한, 프레임(210)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키탑(211) 각각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219)가 구비된다. Fur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10,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219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key tops 211 are provided.

상기 탄성부재(219)는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링크를 포함하고, 두 개의 링크의 양단에는 키탑(211)의 저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프레임(21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단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19 includes two link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two links, a sliding member capable of slid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 top 211 and a sliding member capable of slid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frame 210 are provided. A spring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liding member.

또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탄성부재(219)는 키탑(211)의 저면과 프레임(210)의 상면에 연결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19 may be a compression spring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 top 2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19)는 상기 키탑(211)이 눌러질 때 상기 키탑(211)의 상부면이 상기 횡방향 측벽부(213)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범위까지만 탄성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즉, 탄성부재(219)는 키탑(211)이 눌러질 때 상기 키탑(211)의 상부면의 높이(h1)와 상기 횡방향 측벽부(213)의 상부면의 높이(h2)와 동일해 질 때까지만 탄성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탄성부재(219)가 전술한 두 개의 링크로 구성된 경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거리를 한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탄성부재(219)가 전술한 압축 스프링인 경우 압축 스프링의 탄성계수 및 압축률을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12A and 12B, when the key top 211 is pressed, the upper surface of the key top 211 is flush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ateral side wall portion 213 It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lowered only to the position where it is positioned. That is, the elastic member 219 is equal to the height h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key top 211 and the height h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ateral side wall 213 when the key top 211 is pressed Lt; RTI ID = 0.0 > elastically < / RTI > This can be realized by limi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sliding member when the elastic member 219 is composed of the two links described above, and by adjusting the elastic modulus and compression ratio of the compression spring when the elastic member 219 is the compression spring described above . ≪ / RTI >

이렇게, 키탑(211)이 눌러질 때 상기 키탑(211)의 상부면이 상기 횡방향 측벽부(213)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범위까지만 탄성적으로 하강하도록 탄성부재(219)를 구성함으로써, 키탑(211)을 누를 때 손톱이 횡방향 측벽부(213)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손톱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key top 211 is pushed, the elastic member 219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lowered only to a range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key top 211 is positioned i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lateral side wall portion 21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ail from hitting the lateral side wall portion 213 when the key top 211 is press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user's convenience and damage to the nail.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는 중공형 정n각형 기둥형상을 구비하는 하우징(101)을 포함하고, 상기 키조립체는 정n각형 기둥형상의 하우징(101)을 둘러싸서 휴대시의 휴대용 키보드(1000)가 정n각형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키조립체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측벽과 저변 사이의 각도(β)는 180*(n-2)/2n가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includes a housing 101 having a hollow square n-type post, and the key assembly surrounds the housing 101 of a square n-type column, So that it can have a square n-type columnar shape. To this end, the cross section of the key assembly has a trapezoidal shape. As shown in FIG. 14A, an angle beta between the trapezoidal side wall and the base is 180 * (n-2) / 2n.

여기서, 키조립체의 단면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과 횡방향 측벽부(213)와 키탑(211)이 결합된 부분에서의 단면일 수 있고, 프레임(210)에 구비된 종방향 측벽부(215)에서의 단면일 수 있다. 프레임(210)과 횡방향 측벽부(213)와 키탑(211)이 결합된 부분에서의 단면은 키탑(211)이 눌러졌을 때 종방향 측벽부(215)의 단면부와 동일한 단면이 된다. 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key assembly may be a cross section at a portion where the frame 210, the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213, and the key top 211 are coupled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Section at th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215 provided. The cross section at the portion where the frame 210, the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213 and the key top 211 are joined becomes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215 when the key top 211 is pushed.

예를 들어, 도 3, 도 4,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가 정사각 기둥형상(즉, n=4인 경우)을 가지는 경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수량은 4개가 되며, 키조립체의 단면(즉,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의 측변과 저변 사이의 각도(β)는 45°가 되도록 키조립체의 단면형상이 결정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4, 12A and 12B, when the body portion has a square column shape (i.e., when n = 4),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s fou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key assembly is determined so that the angle [beta] between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cross section of the key assembly (i.e., the cross-section of the trapezoid) is 45 [deg.].

프레임(210)의 상부에서 프레임(210)의 좌우방향 테두리(즉, 횡방향 테두리)에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횡방향 측벽부(213)가 상기 프레임(210)에 고정된다. Two transverse sidewall portions 213 facing each other are fixed to the frame 2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ame (i.e., the lateral frame) of the frame 21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210.

이때, 상기 횡방향 측벽부(213)는 가요성 연결부재(300)가 키조립체 내로 인입 및/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결합된다(도 12a의 도면번호 214 참고). 예를 들어, 상기 횡방향 측벽부(213)의 양단부만이 프레임(21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 측벽부(213)의 나머지 부분은 소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213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10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can be drawn into and / or taken out of the key assembly No. 214). For example, only the opposite ends of the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213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10, an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transverse side wall portions 2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횡방향 측벽부(213)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213a)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부(213a)는 휴대용 키보드(1000)의 휴대를 위해 본체부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키조립체를 권취하여 접을 때 복수 개의 키조립체들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이룬다. 상기 경사부(213a)의 경사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키조립체의 단면인 사다리꼴 형상의 측벽과 저변 사이의 각도(β)이며, 180*(n-2)/2n가 된다.The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213 has an inclined portion 213a inclined outwardly and the inclined portion 213a is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ound the main body portion for carrying the portable keyboard 1000 When folded,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form a portion where they contact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213a is an angle? Between the trapezoidal sidewall of the key assembly and the base, and is 180 * (n-2) / 2n.

프레임(210)의 상부에서 프레임(210)의 상하 방향 테두리(즉, 종방향 테두리)에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종방향 측벽부(215)가 상기 프레임(2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종방향 측벽부(215)는 내부에 자석 수용부(216)를 구비하고, 상기 자석 수용부(216)에는 자석이 수용된다. 즉,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0)의 휴대시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권취되도록 접혀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wo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s 215 facing each other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frame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i.e.,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ame) of the frame 21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210. Th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215 has a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216 therein and a magnet is accommodated in the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216. That is,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may be folded to be wound in a manner to surround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keyboard 1000 is carried, and may be fixed in a folded stat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s.

종방향 측벽부(215)는 내부에서 상기 자석의 외주면 중 상기 프레임(210)의 중심을 향하는 제1면 및 상기 프레임(210)의 저면을 향하는 제2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자력 차폐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력 차폐부재는 금속성 물질로 구성된 판형부재이다. 상기 자력 차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복수 개의 키조립체들을 권취된 채로 고정하는 자석의 자력이 FPCB인 가요성 연결부재(300)에 의해 전달되는 전기신호에 악영향(예를 들어, 키인식률 저하 또는 인식 키 오류 또는 외란 등)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215 has a first surface facing the center of the frame 21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210, Respectively. Preferably, the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is a plate-shaped member made of a metallic material. By providing the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hat fixes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n a wound state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by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300 that is FPCB (for example, Error, disturbance, or the like).

상기 자석은 종방행 측벽부 이외에 횡방향 측벽부(213)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transverse side wall portion 213 other than the longitudinally moving side wall portion.

변형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저면에는 프레임 덮개(212)가 상기 프레임(2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덮개(212)는 하나의 종방향 측벽부(215)에서 다른 하나의 종방향 측벽부(215)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 덮개(212)의 저면 테두리에는 상기 프레임 덮개(212)를 안내하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될 수 있다. 13, a frame cover 212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21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210. As shown in FIG. The frame cover 212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a sliding manner in the direction of on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215 from on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215. To this end, a sliding groove for guiding the frame cover 212 may be provided on a bottom edge of the frame cover 212.

상기 프레임 덮개(212)를 구비함으로써, 자석 수용부(216) 내로의 자석의 삽입 및 교체가 용이하여,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자석의 자력이 약화된 경우 자석의 교체가 용이하여 휴대용 키보드(100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frame cover 212, it is easy to insert and replace the magnet into the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216,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can be simplified, and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s weakened, So that the maintenance of the portable keyboard 1000 can be facilitated.

이 경우, 자력 차폐부재는 제1 자력 차폐부재 및 제2 자력 차폐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자력 차폐부재는 종방향 측벽부(215)의 내부에서 자석의 외주면 중 상기 프레임(210)의 중심을 향하는 제1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자력 차폐부재는 프레임 덮개(212)의 내부에서 자석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석이 상기 프레임(210)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된다.In this case, the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is constituted by a first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and a second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and the first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215 in the center of the frame 210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inside the frame cover 212 so that the magnet does not contact the frame 210 Respectively.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구성부분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힌지방식의 연결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가요성인 가요성 연결부재가 이를 대체함), 휴대시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고정돌기 및 고정홈 등과 같은 고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자석이 이를 대체함), 휴대용 키보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제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keyboar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hinge-type connection part (the flexible flexible connection member replaces this) in order to connect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portable keyboard, and, for example, And a fixing device such as a fixing groove are not required (a magnet is substituted for this),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keyboard can be simplified.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manufacturing speed of the portable keyboard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휴대시의 외형이 사각기둥 형상(즉, 바(bar)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휴대용 키보드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external shape of the portable keyboard when the portable keyboard is portable is a square pillar shape (i.e., a bar shape), so that the portability and storage of the portable keyboard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휴대시의 외형에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부분이 없고, 힌지 연결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휴대용 키보드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portion that ruggedly protrudes from the outer shape at the time of carrying, and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beauty of the portable keyboard.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0 : 휴대용 키보드 100 : 본체부
101 : 하우징 101a : 저면 개방부
102 : 전원버튼 103 : 하우징 덮개
103a : 지지부 103b : 걸림턱
104 : 배터리 덮개 104a : 홈
104b : 지지부 104c : 고정돌출부
105 : 메인인쇄회로기판 106 : 배터리 수용부
107 : 걸림돌기 200 : 입력부
200a : 제1 키조립체 200b : 제2 키조립체
200c : 제3 키조립체 200d : 제4 키조립체
210 : 프레임 211 : 키탑
212 : 프레임 덮개 213 : 횡방향 측벽부
213a : 경사부 215 : 종방향 측벽부
216 : 자석 수용부 217 : 전개용 돌출부
219 : 탄성부재 300 : 가요성 연결부재
1000: portable keyboard 100: main body part
101: housing 101a: bottom opening
102: power button 103: housing cover
103a: Support portion 103b:
104: battery cover 104a: groove
104b: Support portion 104c: Fixed protrusion
105: main printed circuit board 106: battery receiving part
107: Locking unit 200: Input unit
200a: first key assembly 200b: second key assembly
200c: Third key assembly 200d: Fourth key assembly
210: frame 211: key top
212: frame cover 213: lateral side wall portion
213a: inclined portion 215: longitudinal side wall portion
216: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217: developing protrusion
219: elastic member 300: flexible connecting member

Claims (20)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종단에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와 나란하게 위치되고, 상기 키조립체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본체부;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및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각각에 구비된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수량은 n개이고 상기 본체부는 n각형의 기둥형상이며,
각각의 키조립체의 상부면이 상기 본체부의 각면에 접하면서 권취되는 휴대용 키보드.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ncluding a frame and a plurality of keys seated in the frame;
A main body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t the end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processing input signals input from the key assemblies;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the main body and coupling the frame to the frame; And
And a first magnet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Wherei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s n, and the main body portion is in the form of an n-
Wherein an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key assemblies is woun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respective surfaces of the main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키 조립체가 상기 본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때에, 상기 제1 자석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제2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magnet provided on the main body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when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두 개의 횡방향 테두리에 결합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두 개의 종방향 테두리에 구비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ey assembly includes:
A first side wall portion coupled to two transverse rims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second side wall portion provided at two longitudinal rims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의 휴대시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권취되도록 접혀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magnet is located inside the first sidewall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re folded to be wound in a manner to surround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keyboard is carried, and are fixed in a folded stat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제1 자석에서 상기 프레임의 중심 방향에 위치하는 자력 차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side wall part further comprises a magnetic force shielding member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in the first magn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자석이 배치되는 자석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저면에서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magnet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bottom surface opened and the first magnet disposed therein, and the frame includes a frame cover detachably mount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키조립체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key assemb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outward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키탑 각각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tops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키탑이 눌러질 때 상기 키탑의 상부면이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범위까지만 탄성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lowered only to the extent that the top surface of the key top is positioned in the same plane as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when the key top is pus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중 전개시 상기 본체부와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키조립체의 프레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전개용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is provided in a frame of a key assembly which is farthest from the main body when the key assembly is deplo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및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가 빈 다각형의 기둥형상이며, 상기 키조립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장착된 메인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A housing having an interior hollow polygonal columnar shape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key assembly;
And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signal,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to connect the connection member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인쇄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for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a mobile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이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하우징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n opening por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opened, and a housing cover detachably disposed in the housing and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휴대용 키보드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키보드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배터리 전력 잔여량에 대한 정보,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신호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휴대용 키보드에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A display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that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an external terminal,
Th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portable keyboard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ortable keyboard by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portable keyboard is a portable key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조립체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측변과 저변 사이의 각도는 180*(n-2)/2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ey assembly has a trapezoidal cross section and an angle between the side of the trapezoid and the base is 180 * (n-2) / 2n.
복수 개의 키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키조립체;
상기 복수개의 키조립체 중 일측 단부에 배치된 제1 키조립체와 인접하게 배치된 본체부; 및
상기 복수개의 키조립체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제1 상태일 때에, 상기 복수 개의 키탑의 상면은 제1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제2 상태일 때에, 상기 복수개의 키탑의 상면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A plurality of key assemblies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tops;
A body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a first key assembly dispos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And
And a connecting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key assemblies to the main body,
Wherein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in the first state,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key tops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first st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key tops face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in the second state.
KR1020150020071A 2015-02-10 2015-02-10 Portable keyboard KR1016473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71A KR101647381B1 (en) 2015-02-10 2015-02-10 Portable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71A KR101647381B1 (en) 2015-02-10 2015-02-10 Portable keyboar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103A Division KR101531524B1 (en) 2011-10-31 2011-10-31 Portable key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67A KR20150022967A (en) 2015-03-04
KR101647381B1 true KR101647381B1 (en) 2016-08-10

Family

ID=5302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071A KR101647381B1 (en) 2015-02-10 2015-02-10 Portable key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3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876A (en) * 2017-01-04 2017-01-24 김종한 system for composing text messages with text-icon combinations and system that creates passwords using a combination of text and icons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which a text-icon combination creation system is applied
CN109901724A (en) * 2019-03-07 2019-06-18 江苏开放大学(江苏城市职业学院) A kind of folding-type portable CAD drawing keyboard
CN110174959A (en) * 2019-06-25 2019-08-27 深圳市恒怡多精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input device that mouse is dual-purpo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74760U (en) 2011-02-27 2011-09-14 王旭剑 Wireless folding optical energy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234A (en) * 2010-01-30 2011-08-05 이일태 Portable input device using flexible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74760U (en) 2011-02-27 2011-09-14 王旭剑 Wireless folding optical energy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67A (en)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524B1 (en) Portable keyboard
KR101356309B1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Using Variable Chargeable Battery
KR101647381B1 (en) Portable keyboard
EP2797093B1 (en) Slidable charging transmitter position adjusting structure of wireless charging device
US10842237B2 (en) Electronics stand
CN103294203A (en) Portable keyboard and portable device
KR102255710B1 (en) Mobile terminal
KR20140090921A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KR20120059849A (en) Battery PAck
CN104183936A (en) Dual-card holder and mobile handheld device to which dual-card holder is applied
KR100506314B1 (en) Battery charger for mobile phone
KR101233709B1 (en) Camera lens assembly
US20190151697A1 (en) Floor mat structure and floor mat assembly
US20150070834A1 (en) Tablet computer
US9412532B2 (en) Portable power source
KR102217989B1 (en) The Remote Controller Battery separation structure
KR101779430B1 (en) Portable keyboard
US9991926B2 (en) Cover set
US9990051B2 (en) Portable keyboard
KR20220079396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otection member
CN103185218A (en) Lamp
KR101201910B1 (en) Mobile terminal
US8885351B2 (en) Portable terminal
KR20170000026U (en) Sub battery and charger
US8167447B2 (en) Adjustable desk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