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182B1 -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Filler X)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Filler X)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182B1
KR101647182B1 KR1020140015768A KR20140015768A KR101647182B1 KR 101647182 B1 KR101647182 B1 KR 101647182B1 KR 1020140015768 A KR1020140015768 A KR 1020140015768A KR 20140015768 A KR20140015768 A KR 20140015768A KR 101647182 B1 KR101647182 B1 KR 10164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hyaluronic acid
composition
polycaprolacton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455A (ko
Inventor
박용호
Original Assignee
박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호 filed Critical 박용호
Priority to KR102014001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1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 조성물에 있어서,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는 분자량 2,000,000 cda 이상의 제품을 용도별로 나노 분쇄하여 입자크기를 10∼200micro meter 사이로 4개 크기별로 분류하여 준비하고,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원재료를 크레이어저닉 밀(cryogenic mill)을 사용하여 얻은 것을 준비하여,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 1%를 디스틸드 워터(distilles water) 94cc와 회석하고,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5%를 혼합하여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과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을 주성분으로 하여 회석하면 흰색을 띠는 젤 형태로 조성한 필러엑스를 피부복원용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 조성물
[색인어]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디스틸드 워터(distilles water)
크레이어저닉 밀(cryogenic mill)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 엑스 조성물

Description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Filler X) 조성물{omitted}
본 발명은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과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iactone)을 주재료로 하여 주사기에 충전하여 팔자주름 교정, 이마주름 제거, 볼살 꺼진데 채우기, 콧대 올리기, 무턱교정, 애교살 만들기., 눈꺼짐, 관자놀이 꺼진곳 채우기, 입술확대 등 얼굴 복원용과 가슴확대 등 바디용으로도 사용하는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Filler X)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특허출원 제10-2006-126815호, 제10-2007-109811호, 제10-2009-20028호, 제10-2008-6515호, 제10-2010-43753호등의 피부충전제 조성물 과 제10-2004-73227호, 제10-2010-4282호, 제10-2010-57905호 등, 필러의 조성물과 제조방법 등이 출원공고 되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0-2006-126815호와 10-2007-109811호의 피부충전제 조성물을 살펴보면, '주사를 통하여 체내에 주입하여 신속히 임의의 형태를 부여할 수 있으며, 시술 전에 알러지 반응검사 등의 전처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시술에 의한 부피확대효과를 더욱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가교된 덱스트란(cross-linked dextran),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HPMC)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이고',
또한, 제10-2009-20028호 는, '(a) 환자 자신의 혈액으로부터 얻어진 혈관내피 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s)와 조혈 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의 혼합물 및 (b)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으로부터 선택된 생체-유래 피부 충전제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결함을 완화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피부 결함의 완화 또는 치료에 사용할 경우, 면역반응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생체-유래 피부 충전제의 작용지속시간을 훨씬 연장시킬 수 있다' 라는 구성으로, 제10-2010-43753호는 상기 구성과 유사하다
제10-2008-6515호는 '주사를 통하여 체내에 주입하여 신속히 임의의 형태를 부여할 수 있으며, 시술 전에 알러지 반응검사 등의 전처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시술에 의한 부피확대효과를 더욱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가교된 덱스트란(cross-linked dextran),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HPMC)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라는 구성이며,
제10-2004-73227호, 제10-2010-4282호, 제10-2010-57905호 등, 필러의 조성물과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전자의 구성은 '본 발명은 무세포 진피를 주사가능한 형태로 가공한 필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자가 폭 1mm 내지 2.3mm, 길이 4mm 내지 5.5mm 이며 유선형으로 가공된 필러를 제공한다. 유선형으로 가공된 필러 입자는 주사바늘을 용이하게 통과함으로써 주사시 주입 압력을 낮추어 시술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폭이 1mm 내지 2.3mm 범위에 포함됨으로써 필러 입자가 하나씩 16 게이지 또는 18 게이지의 주사바늘을 통과되도록 하여 균일하게 볼륨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볼륨 확장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길이가 4mm 내지 5.5 mm 범위에 포함됨으로써 안면 근육의 움직임에 자연스럽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는 구성이며,
제10-2010-4282호는, '혈액을 구성하고 있는 혈장의 성분을 혈액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혈장을 더욱 농축시켜서 인체에 친화적인 필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플라즈마 겔을 이용한 생체필러 제조방법은 주사기로 혈액을 채취하는 단계와, 채취된 혈액을 분리키트에 주입하고 분리키트를 원심 분리하여 혈액 중에서 혈장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혈장을 추출하여 농축키트에 주입하고 농축키트를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농축하는 단계와, 농축된 혈장을 섭씨 70 내지 90도의 물에 약 9분간 담궈서 농축혈장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섭씨 70 내지 90도의 물에 약 9분간 담궈서 온도가 상승된 농축혈장을 섭씨 4 내지 12도의 물에 담궈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 된 것이다
또한 후자의 제10-2010-57905호 구성은, '세라믹 비드(ceramic beads)의 표면을 음이온 화하여 세라믹 비드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주사제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주입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부피확대 효과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세라믹 비드를 이용한 피부 충전용 필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비드, 바이오글라스 비드, 칼슘 카보네이트 비드,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비드, 바륨 설페이트(BaSO4) 비드, 알루미나(Al2O3) 비드, 지르코니아(ZiO2) 비드와 같은 세라믹 비드의 표면에 음이온성 고분자를 흡착 또는 공유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 으로 한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에 알려진 필러들은, 주사기에 충전하여 팔자주름 교정, 이마주름 제거, 볼살 꺼진데 채우기, 콧대 올리기, 무턱교정, 애교살 만들기., 눈꺼짐, 관자놀이 꺼진곳 채우기, 입술확대 등 얼굴 복원용과 가슴확대 등 바디용으로도 사용하는 피부조직 수복용으로 사용 하는데, 아래와 같이 크게 5개 부류로 분류 된다
1). hyaluronic acid 필러(이하 ha 필러라함)
2). plla 필러-스컬트라
3). 새로나온 pcl 필러-엘란세
4). 칼슘 필러-래디어스
5). 폴리 라크릴 아마이드 필러 계통-?旼藉틜絹?, 인터폴
등이 있으며,
첫째 : 1)의 ha필러 외에는 모두 제거가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시술 후 유효기간이 6∼18개월로서 유지기간이 짧다
둘째 : 2)의 plla 스컬트라는 장시간 지속되는 장점이 있으나 제거가 불가능하며, 실제 필러를 많이 사용하는 의사들이 1)의 ha 필러를 사용하는 이유는 제거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제거가 불가능 할 경우 절개 수술로서 제거해야 함으로 부담이 있다 특히, 시술 후 의 효과가 8주 후에 나오기 때문에 시술결과를 즉시 파악 할 수 없고, 물과 회석하여 사용하는 필러이기 때문에 처음 주사한 위치와 다른 곳에서 볼륨이 생기며, 또한 시술 8주 후 피부밑으로 덩어리(nodule)가 만져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시술부위가 입과 눈 주위, 이마 등에는 시술 할 수 가 없다
셋째 : 3) 의 pcl 필러는 장시간 지속되는 이점이 있으나, 제거 불가능으로 인하여 눈, 이마, 입주위에는 시술하지 못하는 시술 부위가 한정되는 결점이 있다
넷째 : 4)의 칼슘필러는 장점이 그다지 없으면서 제저가 불가능하다 시술한 부위에 수술을 할 경우 예를 들어 코에 시술할 경우 나중에 코 수술할 때 기존 필러 제거가 어려운 결점이 있다
다섯째 : 5)의 폴리 아크릴 아마이드 필러(일명 반영구 필러라고 불림)는 장점은 없고, 안정성 미확보와 제거가 불가능 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필러는 제거가 불가능하고, 다른 종류의 필러와 일부를 섞어서 사용하지 못하며, 유지기간이 짧아서 오래지속이 되지 못하며, 임의로 제조하지 못하고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여 국내에서는 제조상의 곤란함과 사용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러 엑스 조성물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95% 정도의 시술 후 제거가 가능하고(기존 ha필러를 95% + pcl 필러를 일부 섞어서 제거가 가능하며, 특히 유지기간이 2∼4년 정도로 지속되며, 국내에서 제조가 가능함으로서, 팔자주름 교정, 이마주름 제거, 볼살 꺼진데 채우기, 콧대 올리기, 무턱교정, 애교살 만들기., 눈꺼짐, 관자놀이 꺼진곳 채우기, 입술확대 등 얼굴 복원용과 가슴확대 등 바디용으로도 사용 가능하게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 엑스(Filler X) 조성물은, 95% 정도의 시술 후 제거가 가능하고(기존 ha필러를 95% + pcl 필러를 일부 섞어서 제거가 가능하며, 특히 유지기간이 2∼4년 정도로 지속되며, 국내에서 제조가 가능함으로서, 팔자주름 교정, 이마주름 제거, 볼살 꺼진데 채우기, 콧대 올리기, 무턱교정, 애교살 만들기. 눈 꺼짐, 관자놀이 꺼진곳 채우기, 입술확대 등 얼굴 복원용과 가슴확대 등 바디용으로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 엑스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공정
먼저,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 분자량 2,000,000 cda 이상의 제품을 용도별로 나노 분쇄하여 입자크기를 10∼200micro meter 사이로(A:10~50㎛ , B:50~100㎛ , C:100~150㎛ , D:150~200㎛) 4개 크기별로 분류하여 준비하고,
제2공정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원재료를 크레이어저닉 밀(cryogenic mill)을 사용하여 얻은 것을 준비 한다
제3공정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 1%를 디스틸드 워터(distilles water)94cc와 회석하고,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5%를 혼합하여 조성 한다
즉,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과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을 주성분으로 하여 회석하면 흰색을 띠는 젤 형태의 조성물이 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필러 엑스를 주사기에 1cc 를 주입하여 팔자주름 교정, 이마주름 제거, 볼살 꺼진데 채우기, 콧대 올리기, 무턱교정, 애교살 만들기. 눈꺼짐, 관자놀이 꺼진 곳 채우기, 입술확대 등 얼굴 복원용과 가슴확대 등 바디용으로 주사하여 피부의 꺼진 부분을 복원하면 상기한 종래의 것들과 달리 2∼4년의 복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Claims (1)

  1.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 조성물에 있어서,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는 분자량 2,000,000 cda 이상의 제품을 용도별로 나노 분쇄하여 입자크기를 10∼200micro meter 사이로 4개 크기별로 분류하여 준비하고,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원재료를 크레이어저닉 밀(cryogenic mill)을 사용하여 얻은 것을 준비하여,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 1%를 디스틸드 워터(distilles water)94cc와 회석하고,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5%를 혼합하여
    히알루론 산(Hyaluronic acid)과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을 주성분으로 하여 회석하면 흰색을 띠는 젤 형태로 조성한 필러엑스 조성물 피부복원용으로 사용케 함을 특징으로 한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 조성물
KR1020140015768A 2014-02-10 2014-02-10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Filler X) 조성물 KR101647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768A KR101647182B1 (ko) 2014-02-10 2014-02-10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Filler X)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768A KR101647182B1 (ko) 2014-02-10 2014-02-10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Filler X)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55A KR20150094455A (ko) 2015-08-19
KR101647182B1 true KR101647182B1 (ko) 2016-08-23

Family

ID=5405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768A KR101647182B1 (ko) 2014-02-10 2014-02-10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Filler X)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744A1 (ko) * 2019-03-08 2020-09-17 주식회사 지씨에스 복합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1095A1 (en) 2011-03-31 2012-10-04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filler product and at least one bioresorbable and biodegradable silica-based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1095A1 (en) 2011-03-31 2012-10-04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filler product and at least one bioresorbable and biodegradable silica-based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55A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hillon et al. Orthobiologics and platelet rich plasma
JP5555292B2 (ja) 組織増大に用いるための植え込み組成物
CN103505377B (zh) 一种具皮肤活性的多肽组合物
CN106421929B (zh) 一种可注射磷酸钙/天然高分子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017119805A (ru) Дермальный филлер на основе поперечносшитой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карбоксиметилцеллюлозы в качестве лубриканта
US20220193116A1 (en) Cross-linked hyaluronic acids and combinations with prp/bmc
KR102269612B1 (ko) 미용적 유방 충전을 위해 또는 안면 충전 및/또는 회생을 위해 체외 확장 지방조직-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지방 충전물
JP2007532173A (ja) 軟組織増大用の粒子
UA123822C2 (uk) Нові форми стандартизації та медичні пристрої для отримання тромбоцитарно-збагаченої плазми (prp) або фугату кісткового мозку (вмс) окремо або в комбінації з гіалуроновою кислотою
ES2732317T3 (es) Material de relleno dermocosmético y usos del mismo para fines estéticos
CA2923742A1 (en) Method for obtaining an injectable hydrogel based on hyaluronic acid containing lidocaine added in powder form, and an alkaline agent, sterilized with heat
BR112020015616B1 (pt) Composição de biotinta para folha de regeneração de derme, método para fabricar folha de regeneração de derme customizada usando a mesma e folha de regeneração de derme customizada fabricada usando o método de fabricação
Gontijo-de-Amorim Fat grafting for facial contouring using mechanically fraction-enriched stromal lipotransfer vascular
KR101647182B1 (ko) 피부조직 복원용 필러엑스(Filler X) 조성물
Sheykhhasan et al. Plasma-rich in growth factor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ES2688977T3 (es) Formulación novedosa de mezclas de soluciones fisiológicas de quitosano-sal inorgánica/sangre para la reparación de tejidos
EP3643332A1 (en) Preparation method and usage method for cartilage tissue recovery collagen
CN104232570B (zh) 建立单克隆间充质干细胞的方法及其应用
Hirsch et al. Soft tissue augmentation
Tasman et al. The diced cartilage glue graft for radix augmentation in rhinoplasty
RU2582948C1 (ru) Способ волюмизации мягких тканей с помощью термически обработанной тромбоцитарной аутологичной плазмы
Boymuradov et al. Method for Elimination of Deformation of the Maxillofacial Region
Douglas et al. Collagen fillers in facial aesthetic surgery
Scarano et al. Perioral rejuvenation and lip augmentation with hyaluronic acid
KR102179155B1 (ko) 옥추출물을 이용한 골세포 분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