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474B1 -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 - Google Patents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474B1
KR101646474B1 KR1020150133495A KR20150133495A KR101646474B1 KR 101646474 B1 KR101646474 B1 KR 101646474B1 KR 1020150133495 A KR1020150133495 A KR 1020150133495A KR 20150133495 A KR20150133495 A KR 20150133495A KR 101646474 B1 KR101646474 B1 KR 101646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air
pipe
blow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102015013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Abstract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송풍기 및 제1관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한 후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한다. 상기 제1관은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송풍기는 날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1날개 및 제2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는 상기 제1관과 연결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1날개와 상기 제2날개는 상기 전원에 의한 상기 송풍기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날개와 상기 제2날개는 상기 송풍기의 상기 동작에 의한 회전 과정에서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동시에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동시에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배출하거나,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어느 한 날개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나머지 어느 한 날개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air circulation device and air injection dryer u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대체로 공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날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송풍기를 구비하는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회사, 흡연 부스 등에서는 실내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순환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공기순환장치는 일반적으로 벽면에 구멍을 낸 후 송풍기를 설치하고, 설치한 송풍기를 전동기로 구동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하거나 실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순환장치에 사용되는 송풍기는 흡입 기능만을 갖거나 배출 기능만을 가지므로 하나의 송풍기만으로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공기순환장치는 벽면에 추가적으로 구멍을 낸 후 흡입 기능을 갖는 송풍기와 배출기능을 갖는 송풍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이 경우, 벽면에 구멍을 여러 번 뚫어야 하므로 시공상의 비용증가와 내부공간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시공비용감소, 내부미관 유지, 효과적인 공기순환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순환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공기순환장치는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한 용도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가방, 신발 등의 생활용품은 우리의 일상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필수 아이템이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이들 생활용품은 항상 우리 곁을 떠나지 아니한다. 이들 생활용품들은 자주 사용하는 만큼 일상의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다. 특히 비가 오거나 습한 날씨에 이들 생활용품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생활용품은 축축하게 젖거나 습기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아니하면 제품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어 제대로 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신발의 경우 그 어느 생활용품에 비해서 일상에서의 사용빈도가 높고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신발을 신고 생활을 한다. 장시간 신발을 신고 있으며, 신발 안은 축축하고 습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습기는 겨울철에는 동상을 유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좀균 등 각종 세균들은 물론 피부 질환 및 냄새를 유발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신발을 건조 및 살균을 하려고 해도 신발의 구조적 특성상 신발 안은 환기 및 통풍이 잘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공기순환장치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신발을 건조하고 살균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공기주입식 건조기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공개 특허 KR 20-2012-0007196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신발 살균기’, 등록 특허 KR 10-1226262 ‘신발 건조기’, 등록 특허 KR 10-1319662 ‘신발 살균 및 건조장치’ 등이 있다. 인용 발명들은 자외선이나 발열체를 이용하여 신발 안을 살균 및 건조하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내부의 공기를 배출 한다는 점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와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 및 공기주입식 건조기는 하나의 전동기, 날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흡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용 발명들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전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날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흡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장치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송풍기 및 제1관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한 후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한다. 상기 제1관은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송풍기는 날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1날개 및 제2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는 상기 제1관과 연결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1날개와 상기 제2날개는 상기 전원에 의한 상기 송풍기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날개와 상기 제2날개는 상기 송풍기의 상기 동작에 의한 회전 과정에서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동시에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동시에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배출하거나,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어느 한 날개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나머지 어느 한 날개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송풍기 및 제1관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며,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한다. 상기 제1관은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중심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일정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제1날개,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의 단부가 내측에 고정되는 분리벽, 상기 제1날개의 상기 경사와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분리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날개 및 상기 분리벽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날개의 단부가 내측에 고정되는 외부경계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관은 상기 제1관의 상기 일단이 상기 분리벽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관은 상기 제1날개가 흡입하는 상기 외부공기 또는 상기 제1날개가 배출하는 상기 내부공기의 이동통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는 상기 전원에 의한 상기 전동기의 상기 중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지므로 상기 전동기에 의하여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가 회전할 경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어느 한 날개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나머지 어느 한 날개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는 하나의 전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날개 각도 조절이 미리 되어 있거나,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흡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를 실내공간의 공기순환 용도로 사용할 경우, 본 명세서의 공기순환장치는 하나의 전동기와 날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흡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공기순환장치가 갖는 시공상의 비용증가와 내부공간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 또는 공기순환장치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는 신발 등의 생활용품에 사용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공기주입식 건조기는 신발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기 위해서는 흡기용 팬 및 배기용 팬이 각각 결합된 흡기용 전동기 및 배기용 전동기를 함께 사용하거나, 하나의 팬으로 흡기 동작을 수행한 후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배기의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반하여 본 명세서의 공기순환장치는 하나의 전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날개 각도 조절이 미리 되어 있거나,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송풍기를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전동기만으로도 흡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는 송풍기와 연결되는 제1관을 사용한다. 제1관은 송풍기와 연동되어 외부공기 및 실내공간의 내부공기가 이동하는 이동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관은 공기순환장치가 사용되는 대상물의 내부구조, 형상 등에 맞게 적절한 길이로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관은 접철식 구조를 가질 수 있어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다. 즉, 제1관의 길이 조절, 길이 신축 등을 통하여 제1관의 타단을 대상물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는 공기순환 대상물 내부의 소정의 원하는 위치에 제1관의 타단을 배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사용되는 송풍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사용되는 제1관 및 제2관의 다양한 실시 예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가 실내공간의 공기순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가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용도로 사용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가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결합"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대상물이라는 용어는 실내공간을 가지는 일반 가정, 회사, 흡연 부스 등의 건출물과 내부공간을 가지는 가방, 신발 등의 생활용품 등을 아우르는 표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 접철식 구조라는 용어는 다단 슬라이딩 방식의 다단 접척식 구조 이외에 주름관 방식이 접철식 구조를 포함하는 개념의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사용되는 송풍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사용되는 제1관 및 제2관의 다양한 실시 예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가 실내공간의 공기순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가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용도로 사용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가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킨다.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송풍기(110) 및 제1관(12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제2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선택적으로 덮개(140,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발열체(150,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 2)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공기순환장치(100, 100a), 가이드부(160), 제1공간확보부(170), 제2공간확보부(180) 및 지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 2)는 광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 2)는 음이온 발생기(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 2)는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블록(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 2)는 선택적으로 필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설명하기로 한다.
송풍기(11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한 후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한다. 후술하는 예시는 송풍기(110)의 일례로서 하기의 예시 이외에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송풍기(1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하기의 예시에 따른 송풍기(110)를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 내지 (d)는 각각 날개 각도 조절 전의 송풍기(110), 날개 각도 조절 후의 송풍기(110), 송풍기(110)와 연결된 제1관(120) 및 송풍기(110)와 연결된 제1관(120) 및 제2관(130)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10)는 제1날개(111), 제2날개(112), 전동기(113, 도 4 및 도 6 참조), 프레임(114) 및 분리벽(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풍기(110)는 선택적으로 외부경계벽(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풍기(110)는 선택적으로 송풍기 외곽(118, 도 4 내지 도 6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본체(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송풍기(110)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상기 전원에 의한 송풍기(110)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 각각의 날개는 날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송풍기(110)의 상기 동작에 의한 회전 과정에서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동시에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송풍기(110)의 상기 동작에 의한 회전 과정에서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동시에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송풍기(110)의 상기 동작에 의한 회전 과정에서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 중 어느 한 날개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고,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 중 나머지 어느 한 날개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날개(111)를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날개로, 제2날개(112)를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날개로 사용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일례로, 도 1의 (c)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제1날개(111)는 제1관(1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날개(111)와 연결된 제1관(120)은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대상물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기능 즉, 공급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날개(112)는 상기 대상물 내부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의 (d)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각각 제1관(120) 및 제2관(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날개(111)와 연결된 제1관(120)은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대상물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기능 즉, 공급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날개(112)와 연결되는 제2관(130)은 상기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기능 즉, 배출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날개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각각 상기 배출날개 및 상기 흡입날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날개(111)와 연결되는 제1관(120) 및 제2날개(112) 자체 또는 제1날개(111)와 연결되는 제1관(120) 및 제2날개(112)와 연결되는 제2관(130)은 각각 배출기능 및 공급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날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1날개(111) 및 상기 배출날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날개(112)가 각각 상기 배출날개 및 상기 흡입날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변경하는 과정은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날개 각도 조절이 아닌 전동기(113)의 회전방향 변경에 따른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회전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동시에 상기 배출날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날개(111)와 연결되는 제1관(120) 및 제2날개(112) 자체 또는 제1날개(111)와 연결되는 제1관(120) 및 제2날개(112)와 연결되는 제2관(130)은 동시에 배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동시에 상기 흡입날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날개(111)와 연결되는 제1관(120) 및 제2날개(112) 자체 또는 제1날개(111)와 연결되는 제1관(120) 및 제2날개(112)와 연결되는 제2관(130)은 동시에 흡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출날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동시에 상기 흡입날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변경하는 과정은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날개 각도 조절이 아닌 전동기(113)의 회전방향 변경에 따른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회전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날개(111)를 상기 흡입날개로, 제2날개(112)를 상기 배출날개로, 제1관(120)을 상기 공급관으로, 제2관(130)을 상기 배출관으로 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용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전동기(113)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전동기(113)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상기 전원에 의한 전동기(113)의 중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프레임(114)은 전동기(113)의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114)에는 전동기(113)의 상기 중심축과 체결될 수 있는 홈(114a)이 형성될 수 있고, 전동기(113)은 홈(114a)에 체결되어 프레임(114)는 전동기(113)의 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분리벽(115)은 프레임(114)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날개(111)는 프레임(114)의 외측에 제1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날개(111)의 단부는 분리벽(115)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날개(112)는 분리벽(115)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날개(112)는 제2경사를 가지도록 분리벽(1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날개(111)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약 ±35°, 제2날개(112)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약 ±95°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한,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경사 각도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분리벽(115)과 이격되게 외부경계벽(116)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외부경계벽(116)은 내측이 제2날개(112)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분리벽(115)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경계벽(116)은 분리벽(115)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날개(112)의 단부가 내측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부경계벽(116)은 제2날개(112)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외부경계벽(116)은 제2관(130)과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송풍기 외곽(118)은 제2날개(112)의 단부 또는 외부경계벽(116)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 외곽(118)은 송풍기(110)를 대상물의 개방부에 배치할 경우에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상기 대상물의 상기 개방부와의 접촉 또는 마찰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 외곽(118)은 전동기(113)의 중심축이 프레임(114)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전동기(113)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 외곽(118)은 본체(10), 본체(10)의 디스플레이(11) 및 본체(10)의 전원버튼(12)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외벽(wall)에 형성된 개방부(미도시)에 송풍기(110)를 배치할 경우 송풍기 외곽(118)이 상기 개방부와 접함으로써 송풍기(110)는 상기 개방부에 배치된다. 이 과정에서 송풍기 외곽(118)은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상기 대상물의 상기 개방부와의 접촉 또는 마찰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각도 조절레일(117a, 117b)을 통하여 날개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다. 제1날개(111)의 일단은 프레임(114)의 상기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날개(111)의 단부 즉 제1날개(111)의 타단은 분리벽(115)의 내측에 형성된 각도 조절레일(117a)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날개(111)의 상기 타단의 각도 조절레일(117a)을 통한 이동을 통하여 제1날개(111)의 날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도 조절레인(117a)은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구조를 통하여 제1날개(111)의 상기 타단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날개(111)의 상기 타단이 각도 조절레인(117a)을 통하여 이동할 경우 제1날개(111)의 상기 일단은 프레임(114)의 상기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날개(111)의 상기 일단은 프레임(114)과 축결합할 수 있으며, 축결합을 통하여 제1날개(111)의 상기 타단의 각도 조절레인(117a)을 통한 이동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각도 조절레일(117a)은 프레임(114)의 상기 외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날개(111)의 상기 일단은 프레임(114)의 상기 외측에 형성된 각도 조절레일(117a)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날개(111)의 상기 타단은 분리벽(115)의 내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날개(112)의 일단은 분리벽(115)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날개(112)의 단부 즉 제2날개(112)의 타단은 외부경계벽(116)의 내측에 형성된 각도 조절레일(117b)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날개(112)의 상기 타단의 각도 조절레일(117b)을 통한 이동을 통하여 제2날개(112)의 날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도 조절레인(117b)은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구조를 통하여 제2날개(112)의 상기 타단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날개(112)의 상기 타단이 각도 조절레인(117b)를 통하여 이동할 경우 제2날개(112)의 상기 일단은 분리벽(115)의 상기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2날개(112)의 상기 일단은 분리벽(115)의 상기 외측과 축결합할 수 있으며, 축결합을 통하여 제2날개(112)의 상기 타단의 각도 조절레인(117b)을 통한 이동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각도 조절레일(117b)은 분리벽(115)의 상기 외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날개(112)의 상기 일단은 분리벽(115)의 상기 외측에 형성된 각도 조절레일(117b)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날개(112)의 상기 타단은 외부경계벽(116)의 내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날개(112)의 상기 타단은 외부경계벽(116)과 연결되지 않고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날개(112)의 각도 조절은 분리벽(115)의 상기 외측에 대한 제2날개(112)의 상기 일단의 회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필요한 경우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역할을 흡입기능 및 배출기능에서 배출기능 및 흡입기능으로 전환하거나, 흡입기능만 하도록 전환하거나 배출기능만 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벽(115)은 제1분리벽(미도시) 및 제2분리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날개(111)의 상기 단부는 상기 제1분리벽의 내측에 연결됨으로써 분리벽(115)의 상기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날개(112)는 상기 제2분리벽의 외측에 연결됨으로써 분리벽(115)의 상기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리벽 및 상기 제2분리벽은 상기 제1분리벽의 외측과 상기 제2분리벽의 내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분리벽과 상기 제2분리벽의 결합은 상기 제1분리벽의 상기 외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제2분리벽의 상기 내측에 형성된 돌기를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분리벽과 상기 제2분리벽의 결합은 상기 제2분리벽의 상기 외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제1분리벽의 상기 내측에 형성된 돌기를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분리벽과 상기 제2분리벽의 결합은 결합부를 통하여 이뤄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분리벽은 상기 제1분리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분리벽은 상기 제2분리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를 통한 상기 제1분리벽과 상기 제2분리벽의 결합은 상기 제1결합홀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통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분리벽과 상기 제2분리벽의 결합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이뤄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제1분리벽의 상기 외측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분리벽의 상기 내측에는 상기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리벽과 상기 제2분리벽의 결합은 상기 제1나사산을 상기 제2나사산에 결합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상기 제1분리벽과 상기 제2분리벽을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한 결합방법에는 그 제한이 없다.
제1관(120)은 일단이 송풍기(110)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된다. 제1관(120)은 제1날개(111)와 연결된다. 일례로, 도 1의 (c)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120)은 제1관(120)의 상기 일단이 분리벽(115)과 연결됨으로써 송풍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벽(115)은 제1관(120)과 연결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벽(115)과 제1관(120)의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되거나 회전 가이드 홈(미도시)이 분리벽(115) 또는 제1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관(120)은 제1날개(111)가 흡입하는 상기 외부공기 또는 제1날개(111)가 배출하는 상기 내부공기의 이동통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c)에는 흡입 기능을 수행하는 제1관(12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제2날개(112)는 상기 대상물 내부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관(120)은 도 2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관(12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를 가져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관(120)은 예로서 제1관(120)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을 기준으로 하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 접철식 구조를 가져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관(120)의 길이의 신축을 통하여 공기순환장치(100, 100a)가 사용되는 대상물의 내부구조, 형상 등이 변화하더라도 탄력적으로 상기 대상물 내부의 소정의 원하는 위치에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관(120)은 도 2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송풍기(110)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122) 및 일단이 제1연결관(122)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결관(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관(124)의 상기 일단은 제1연결관(122)의 상기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연결관(122)와 제2연결관(124)의 회전가능한 연결은 도면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제1연결관(122)의 상기 타단 및 제2연결관(124)의 상기 일단과 끼움 방식으로 각각 결합하는 속이 빈 구형의 연결구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연결관(122)의 상기 타단 및 제2연결관(124)의 상기 일단과 각각 결합하는 상기 연결구는 각각 제1연결관(122) 및 제2연결관(124)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각각 서로 연결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연결구는 회전기능 이외에 제1연결관(122) 및 제2연결관(124)의 내부통로를 이어주는 중간 연결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관(122)은 도 2의 (d)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결관(122)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 접철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연결관(122)는 예로서 제1연결관(122)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 접철식 구조를 가져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결관(124)의 상기 일단은 제1연결관(122)의 상기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제2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관(130)은 일단이 송풍기(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의 (d)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130)은 제2관(130)의 상기 일단이 외부경계벽(116)과 연결됨으로써 송풍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경계벽(116)은 제2관(130)과 연결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경계벽(116)과 제2관(130)의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되거나 회전 가이드 홈(미도시)이 외부경계벽(115) 또는 제2관(13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관(130)은 제2관(130)의 상기 일단이 송풍기 외곽(118)과 연결됨으로써 송풍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관(130)은 제2날개(112)가 흡입하는 상기 외부공기 또는 제2날개(112)가 배출하는 상기 내부공기의 이동통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d)에는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제2관(13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제2날개(112)는 상기 대상물 내부와 제2관(130)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동일방향의 경사를 가질 경우에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동시에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동시에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날개 각도 조절이 미리 되어 있거나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질 경우에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 중 어느 한 날개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고,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 중 나머지 어느 한 날개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113)에 의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제1날개(111)와 제2날개(112)는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연결된 제1날개(111)와 제2날개(112)를 전동기(113)를 통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공기의 흡입과 배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관(120)은 제1날개(111)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에 의한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분리벽(115)을 경계로 하여 제1날개(111)와 연결된 제1관(12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전동기(113)에 의하여 회전할 경우, 제1날개(111)는 제1관(120)을 경유하고, 제2날개(112)는 직접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의 (d)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관(120) 및 제2관(130)은 각각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에 의한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분리벽(115)을 경계로 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와 각각 연결된 제1관(120) 및 제2관(13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외부경계벽(116)과 연결된 제2관(13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전동기(113)에 의하여 회전할 경우,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각각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는 이중관 구조의 제1관(120) 및 제2관(130)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날개 각도 조절 또는 회전 방향 조절을 통하여 동시에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동시에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앞서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유추가능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관(130) 역시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제1관(120)의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신축, 회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덮개(140)는 송풍기(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을 상기 대상물의 내부로 안내하는 상기 대상물의 개방부를 덮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덮개(140)는 상기 외부공기,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가 제1날개(111), 제2날개(11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상기 대상물 내부로 공급되거나 상기 대상물 내부로부터 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발열체(150)는 제1관(120)의 내부 또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날개(1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로 흡입되는 상기 외부공기 또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내부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가 대상물 내부, 즉 실내공간의 공기순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실내공간의 개념도 및 실내공간 내부에 설치된 공기정화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실내공간 특히 흡연부스와 같이 밀폐된 공간의 경우 공기순환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외벽(wall)에 형성된 개방부 즉, 통풍구에 설치된 본 명세서의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제1관(120)을 통하여 공기통로(duct)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통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ventilator)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00, 100a)의 동작에 따라 상기 통풍구를 통하여 상기 실내공간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거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실내공간에 설치할 경우에 송풍기(110)의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동시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거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10)의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의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같은 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제1관(120)과 상기 공기통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통풍구와 연계되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 자체를 통하여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공간에 공급하거나,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서로 다른 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제1관(120)과 상기 공기통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통풍구와 연계되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 자체를 통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실내공간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날개(111)를 통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상기 내부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벽면에 위치하는 제2날개(112) 스스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실내공간으로 유입하는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자명하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2관(130)이 제2날개(112)와 연결되어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덮개(140)를 활용하여 송풍기(110)가 배치되는 상기 외벽과 송풍기(110) 사이의 개방부를 덮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외부공기, 상기 실내공간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 및 상기 실내공간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가 제1날개(111), 제2날개(112)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상기 실내공간 내부로 공급되거나 상기 실내공간 내부로부터 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관(120)의 내부 또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날개(1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발열체(150)를 통하여 상기 실내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상기 외부공기 또는 상기 실내공간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내부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종래에는 밀폐된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벽면에 구멍을 내고 공기순환장치로서 단일 방향의 공기 주입이 가능한 송풍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송풍기의 위치가 고정되어 효과적으로 공기순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길이의 신축, 회동이 가능한 제1관(120)을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제1관(120)의 타단의 위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이동통로와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의 연결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하나의 전동기와 날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송풍기(110)를 이용하여 흡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관(120)의 타단의 위치를 원하는 곳에 배치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실내공간의 내부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길이의 신축, 회동이 가능한 제2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가방, 신발 등의 생활용품에도 상술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의 실내공간을 생활용품의 공간, 예로서 신발의 내부공간으로 치환할 수 있다. 도 3의 상기 실내공간의 상기 외벽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 즉 상기 통풍구는 신발의 발을 넣는 입구로 치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는 발을 넣는 입구에 배치될 수 있고, 제1관(120)는 신발 내부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타단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관(120)의 신축, 회전을 통하여 원하는 위치에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이 효과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날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를 갖는 송풍기(110)를 동작함으로써 신발 내부공간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이하 당업자라 함-는 앞서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공기순환장치(100, 100a)가 생활용품에도 실질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라는 것은 자명하다할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의 가방, 신발 등의 생활용품에의 적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자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구성 및 동작을 대상물로서 신발을 대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구성 및 동작을 공기순환장치(100a)를 활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적용대상을 신발 또는 특정 유형에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당업자는 대상물로서 신발을 위주로 상술한 본 명세서의 내용으로부터 신발 이외에 다른 대상물 또는 공기순환장치(100)에 대하여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가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용도로 사용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본체(10), 송풍기(110) 및 제1관(12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선택적으로 제2관(130), 덮개(140) 또는 발열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선택적으로 가이드부(160), 제1공간확보부(170), 제2공간확보부(180) 및 지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선택적으로 광원(200) 또는 음이온 발생기(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블록(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선택적으로 필터(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관(120) 및 제2관(130)을 포함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관(130)을 생략하고 제2날개(112)가 직접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 및 외부공기의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체(10)는 송풍기(110), 발열체(150), 광원(200) 및 음이온 발생기(2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체(10)의 디스플레이(11)를 통하여 송풍기(110), 발열체(150), 광원(200) 및 음이온 발생기(210)는 동작 명령 입력에 따라 각각 또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전원버튼(12)를 통하여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의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덮개(140)는 송풍기(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을 상기 대상물의 내부로 안내하는 상기 대상물의 개방부를 덮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덮개(140)는 송풍기(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동시에 제1관(120), 제2관(13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며, 제1관(120)의 상기 타단 및 제2관(130)의 상기 타단을 상기 대상물 내부로 안내하는 상기 대상물의 개방부를 덮을 수 있다. 덮개(140)의 소재로서 연성재질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덮개(140)는 상기 외부공기,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가 각각 제1관(120) 및 제2관(130)을 통해서만 상기 대상물 내부로 공급 및 상기 대상물 내부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발열체(150)는 제1관(120)의 내부 또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날개(1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다르게는, 발열체(150)는 제1관(120), 제2관(13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관의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송풍기(110)로부터 흡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상기 외부공기의 송풍에 의한 상기 대상물 내부 건조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공기의 가열에 의한 열풍 건조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발열체(150)로서 전열선이 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날개(111)와 연결되는 제1관(120)은 제1관(12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제1관(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접철식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도 4 내지 도 6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주름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 접철식 구조라는 용어는 도 2에서 상술한 다단 슬라이딩 방식의 다단 접척식 구조 이외에 주름관 방식이 접철식 구조를 포함하는 개념의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관(120)으로서 주름관 방식의 접철식 구조 대신에 슬라이딩 방식의 접척식 구조를 적용하는 것은 당업자 입장에서는 자명한 사항이라 이하 설명의 편의상 주름관 방식의 접철식 구조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날개(111)와 연결되는 제1관(120)의 상기 일단에 인접한 제1관(120)의 부분 및 제2날개(112)와 연결되는 제2관(130)의 상기 일단에 인접한 제2관(130)의 부분은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신발 목이 짧은 단화에서부터 신발 목이 긴 부츠에 이르기까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의 사용이 가능하다.
가이드부(160)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가이드부(160)와 연결되는 제1관(120)으로서 꺾인 형상을 갖는 제1관(12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꺾인 형상을 갖는 제1관(120)은 처음부터 꺾인 고정형이거나,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제2연결관(124)의 회전방식으로 얻어진 가변형일 수 있다. 가이드부(160)와 제1관(120)의 상기 타단과의 연결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60)와 제1관(120)의 상기 타단을 직접 연결하여 얻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체(10), 송풍기(110), 제1관(120) 및 제2관(130)을 지지하는 몸체(미도시)에 가이드부(160)를 연결함으로써 가이드부(160)와 제1관(120)을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관(120)의 상기 타단과 직접 연결된 가이드부(160)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대상물 내부에 제1공간확보부(170), 제2공간확보부(180) 및 가이드부(160)의 삽입 또는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160)의 소재로 탄성재질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공간확보부(170)는 가이드부(16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공간확보부(170)는 가이드부(16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가이드부(160)에 형성된 고정부(162)와 소정의 수단(미도시)을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공간확보부(180)는 일측이 제1공간확보부(17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공간확보부(180)의 상기 일측이 제1공간확보부(170)와 축 결합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지지부(190)는 일측이 제2공간확보부(18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가이드부(160) 또는 제1공간확보부(17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지지부(190)의 상기 일측이 제2공간확보부(180)와 축 결합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가이드부(16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19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지지부(190)는 제1공간확보부(17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제1공간확보부(170), 지지부(19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면, 신발의 길이에 따라 제1공간확보부(170)를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160)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신발의 발등 부분의 높이에 따라 지지부(190)를 가이드부(160)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190)에 의해 제2공간확보부(180)는 신발의 발등 부분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신발 내부, 즉 건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공간확보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간확보부(180)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분지체들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90)는 지지부(190)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부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지체들은 각각 일대일로 상기 복수의 연결부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연결부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연결부의 일측이 상기 복수의 분지체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분지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분지체들이 각각 일대일로 상기 복수의 연결부들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90)는 가이드부(160) 또는 제1공간확보부(170)를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복수의 분지체들이 각각 일대일로 상기 복수의 연결부들과 결합됨으로써 지지부(19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연결부들도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지체들 각각은 제2공간확보부(180)의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제1공간확보부(170)와 경사를 이루어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90)의 이동 거리, 이동 시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 등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지체들 각각이 이루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즉, 지지부(190)의 이동 거리, 이동 시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 등이 커짐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지체들 각각이 이루는 각도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지지부(190)의 이동 거리, 지지부(190)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 등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수직 공간뿐만 아니라 수평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광원(200)은 제1공간확보부(170) 또는 제2공간확보부(180)에 배치되며, 본체(10)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를 건조하거나 살균할 수 있다. 광원(200)으로는 레이저, 형광등, UV램프, 발광다이오드(LED)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200)은 약 180nm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광원(200)은 상기 대상물 내부의 살균을 위하여 약 180nm 내지 약 28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을 통하여 상기 대상물로서 신발 내부의 무좀균 등의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원(200)은 상기 대상물 내부의 건조를 위하여 약 700nm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적외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음이온 발생기(210)는 제1공간확보부(170) 또는 제2공간확보부(180)에 배치되며, 본체(10)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 음이온을 생성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광원(200) 및 음이온 발생기(2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은 가이드부(160), 제1공간확보부(170) 및 제2공간확보부(180)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전기배선(미도시)을 통하여 본체(1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딩블록(220)은 가이드부(160) 또는 제1공간확보부(17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가이드부(16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블록(22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슬라이딩블록(220)은 제1공간확보부(17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부(190)의 상기 타측은 슬라이딩블록(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160) 또는 제1공간확보부(17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160) 또는 제1공간확보부(170)는 고정부(162)를 포함하고, 슬라이딩블록(220)은 걸림부(222)를 포함하여 고정부(162)가 걸림부(222)에 걸림으로써 지지부(190)의 상기 타측이 가이드부(160) 또는 제1공간확보부(170)에 고정되어 지지부(190)의 이동에 따라 확보된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이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가이드부(160)에 형성된 고정부(16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고정부(160)와 걸림부(222)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이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공간확보부(170) 내부에는 탄성체(예로서, 스프링)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제1공간확보부(170)의 내측면과 제1공간확보부(170)의 상기 내측면을 삽입 이동하는 가이드부(16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가이드부(16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가이드부(160)에 반발력을 제공하여 가이드부(160)가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우측으로 후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지부(190)가 후퇴하여 제1공간확보부(170)와 제2공간확보부(180)가 이루는 각이 작아지게 된다. 이를 통하여 날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를 통한 상기 대상물 내부의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대상물 내부로부터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를 외부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필터(250)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송풍기(1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송풍기(11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필터(25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필터(250)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의 동작과정에서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의 동작을 통하여 송풍기(110)로부터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에 의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이물질이 비산될 수 있고, 비산된 상기 이물질은 제2관(130)을 통하여 송풍기(1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기(110)로 유입되는 상기 이물질은 송풍기(110)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필터(250)는 송풍기(110)로 유입되는 상기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어 송풍기(110)의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한 필터(25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가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2)는 송풍기(110) 및 제1관(12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2)는 선택적으로 제2관(130), 덮개(140) 또는 발열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2)는 선택적으로 탄성부(230) 및 모양형성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2)는 선택적으로 광원(200) 또는 음이온 발생기(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2)는 선택적으로 필터(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공기순환장치(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2)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공기순환장치(100)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2)의 동작을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공기순환장치(100)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2)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원(200)은 모양형성부(240)에 배치되며, 본체(10)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를 건조하거나 살균할 수 있다.
음이온 발생기(210)는 모양형성부(240)에 배치되며, 본체(10)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 음이온을 생성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탄성부(230)는 제1관(120)의 상기 타단과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탄성부(230)로서 코일 형상의 탄성체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탄성력을 제공하고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는 한 탄성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도면에는 탄성부(230)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이 표현되어 있다. 상기 전선은 본체(10)로부터 전기에너지, 전기 신호 등을 광원(200), 음이온 발생기(21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양형성부(240)는 탄성부(23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모양형성부(240)는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며, 탄성부(230)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 모양형성부(240)를 삽입 또는 배출하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구부러져 모양형성부(240)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배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 2)는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 각각의 날개의 날개 각도 조절, 회전방향 조절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제1관(120) 및 제2날개(112) 스스로 또는 제1관(120) 및 제2관(130)을 경유하여 동시에 외부공기를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동시에 상기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배출하거나,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 2)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가 전동기(113)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가이드부(160), 제1공간확보부(170), 제2공간확보부(180) 및 지지부(190)를 통하여 건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순환장치(100, 100a)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2)는 탄성부(230)를 통하여 모양형성부(240)의 상기 대상물 내부로의 삽입 또는 배출을 용이하게 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 2 : 공기순환장치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
10 : 본체
11 : 본체의 디스플레이
12 : 본체의 전원버튼
100, 100a : 공기순환장치
110 : 송풍기
111 : 제1날개
112 : 제2날개
113 : 전동기
114 : 프레임
114a : 프레임 홈
115 : 분리벽
116 : 외부경계벽
117a, 117b : 각도조절레일
118 : 송풍기 외곽
120, 120a, 120b, 120c : 제1관
122 : 제1연결관
124 : 제2연결관
130 : 제2관
140 : 덮개
150 : 발열체
160 : 가이드부
162 : 고정부
170 : 제1공간확보부
180 : 제2공간확보부
190 : 지지부
200 : 광원
210 : 음이온 발생기
220 : 슬라이딩블록
230 : 탄성부
240 : 모양형성부
250 : 필터

Claims (10)

  1.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한 후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중심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제1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제1날개;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의 단부가 내측에 연결되는 분리벽; 및
    제2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분리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는 상기 전원에 의한 상기 전동기의 상기 중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되,
    상기 분리벽의 내측에는 각도 조절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의 상기 단부는 상기 분리벽의 상기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각도 조절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날개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날개의 상기 단부의 슬라이딩 방식을 통한 이동 및 상기 제1날개의 상기 프레임의 상기 외측에서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1날개의 날개 각도는 조절되며,
    상기 제1날개의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가 동일방향의 경사를 가질 경우에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는 동시에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동시에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제1날개의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가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질 경우에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어느 한 날개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나머지 어느 한 날개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는 공기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1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관은 상기 제1관의 상기 일단이 상기 분리벽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관은 상기 제1날개가 흡입하는 상기 외부공기 또는 상기 제1날개가 배출하는 상기 내부공기의 이동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순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내측이 상기 제2날개의 단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분리벽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경계벽; 및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2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관은 상기 제2관의 상기 일단이 상기 외부경계벽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2관은 상기 제2날개가 흡입하는 상기 외부공기 또는 상기 제2날개가 배출하는 상기 내부공기의 이동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순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날개의 단부가 내측에 연결되는 외부경계벽; 및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2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관은 상기 제2관의 상기 일단이 상기 외부경계벽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2관은 상기 제2날개가 흡입하는 상기 외부공기 또는 상기 제2날개가 배출하는 상기 내부공기의 이동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순환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은 상기 제1관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 접철식 구조를 가져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관의 상기 타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순환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은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 및 일단이 상기 제1연결관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관은 상기 제1연결관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 접철식 구조를 가져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관의 상기 타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연결관의 상기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관의 상기 타단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순환장치.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제1관의 상기 타단을 상기 대상물 내부로 안내하는 상기 대상물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외부공기,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제1날개, 상기 제2날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상기 대상물 내부로 공급되거나 상기 대상물 내부로부터 상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의 내부 또는 상기 제1관의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를 통하여 흡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가열하는 발열체를 더 포함하는 공기순환장치.
  9.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순환장치;
    상기 공기순환장치의 상기 제1관의 상기 타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모양형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양형성부는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 상기 모양형성부를 삽입 또는 배출하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구부러져 상기 모양형성부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배출 가능하게 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10.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물 내부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한 후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중심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제1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제1날개;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날개의 단부가 내측에 연결되는 분리벽;
    제2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분리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날개; 및
    상기 분리벽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날개의 단부가 내측에 연결되는 외부경계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는 상기 전원에 의한 상기 전동기의 상기 중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되,
    상기 외부경계벽의 내측에는 각도 조절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의 상기 단부는 상기 외부경계벽의 상기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각도 조절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날개는 상기 분리벽의 상기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날개의 상기 단부의 슬라이딩 방식을 통한 이동 및 상기 제2날개의 상기 분리벽의 상기 외측에서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2날개의 날개 각도는 조절되며,
    상기 제2날개의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가 동일방향의 경사를 가질 경우에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는 동시에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거나, 동시에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제2날개의 날개 각도 조절을 통하여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가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질 경우에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어느 한 날개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나머지 어느 한 날개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는 공기순환장치.
KR1020150133495A 2015-09-22 2015-09-22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 KR101646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495A KR101646474B1 (ko) 2015-09-22 2015-09-22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495A KR101646474B1 (ko) 2015-09-22 2015-09-22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474B1 true KR101646474B1 (ko) 2016-08-08

Family

ID=5671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495A KR101646474B1 (ko) 2015-09-22 2015-09-22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4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8293A (en) * 1987-05-11 1988-09-06 Kaffka Michael G Footwear drying apparatus
KR20090005511U (ko) * 2007-12-03 2009-06-08 정재구 폴더형 신발건조기
KR20110008934A (ko) * 2009-07-21 2011-01-2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송풍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JP5640101B2 (ja) * 2006-03-13 2014-12-10 シュー ケア イノベ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靴滅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8293A (en) * 1987-05-11 1988-09-06 Kaffka Michael G Footwear drying apparatus
JP5640101B2 (ja) * 2006-03-13 2014-12-10 シュー ケア イノベ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靴滅菌装置
KR20090005511U (ko) * 2007-12-03 2009-06-08 정재구 폴더형 신발건조기
KR20110008934A (ko) * 2009-07-21 2011-01-2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송풍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862B1 (ko) 공기주입식 건조기
KR102196725B1 (ko) 순환구조 공기조화장치
KR101265064B1 (ko) 신발 살균 건조기
KR101938420B1 (ko) 살균, 건조 및 탈취 기능을 가지는 신발장
US20180156477A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CN208464720U (zh) 消毒柜烘干装置及消毒柜
KR101646474B1 (ko)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식 건조기
KR101035243B1 (ko) 접이식 발 건조기
JP2003190072A (ja) 乾燥装置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US20230321292A1 (en) Shoe care apparatus
KR200187262Y1 (ko) 위생 신발장
KR101517298B1 (ko) 신발용 건조기
US20230212811A1 (en) Hanger device
KR200471579Y1 (ko) 애완견 드라이 장치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KR101654998B1 (ko)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KR101620974B1 (ko) 신발 건조장치
KR20180039823A (ko) 이중날개의 신발 살균장치
CN105725905A (zh) 一种干脚机
KR20050102047A (ko) 신발 건조장치
KR200335026Y1 (ko) 신발살균 및 건조장치
KR101595511B1 (ko) 가변형 건조 살균기
KR102373174B1 (ko) 신발장용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