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398B1 -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398B1
KR101646398B1 KR1020140173923A KR20140173923A KR101646398B1 KR 101646398 B1 KR101646398 B1 KR 101646398B1 KR 1020140173923 A KR1020140173923 A KR 1020140173923A KR 20140173923 A KR20140173923 A KR 20140173923A KR 101646398 B1 KR101646398 B1 KR 101646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lass run
epdm
run channel
weathe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340A (ko
Inventor
박준철
김성수
이경환
박규식
박준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일고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일고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398B1/ko
Priority to US14/872,111 priority patent/US9598568B2/en
Publication of KR2016006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05Processes for mix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51/08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래스 런 채널(Glass Run Channel)에 사용되는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Rubber Composition for Weather Strip Glass Run Channel}
본 발명은 자동차의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Glass Run Channel)에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웨더스트립(weather strip) 글래스 런 채널(glass run channel)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체 내부 씰링(Sealing)을 주목적으로 하여, 도어 창문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자동차 부품이다. 글래스 런 채널은 풍절음, 물, 먼지 등의 외부 이물질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차단할 뿐 아니라, 자동차 유리의 승하강에 따른 이탈 방지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씰링 기능은 글래스 런 채널 제품과 창문 유리와의 밀착에 의해 이뤄지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접촉 면압 유지가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자동차의 창문 유리는 고객의 성향에 따라 빈번하게 승하강 작동이 이뤄지고 있으므로, 창문 유리와 접촉되는 글래스 런 채널 부위는 찢어짐, 마모 등이 심하게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글래스 런 채널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혼합액을 유리 접촉 부위에 코팅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도 1 참조] 상기 우레탄 혼합액의 도포는 글래스 런 채널의 연속 압출 과정에서 특정 부위에 스프레이(Spray)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연속 압출 과정에서 코팅 분사 노즐의 막힘 현상으로 불균일한 분사에 의한 코팅 두께로 산포 발생하는 문제, 자동차 창문 유리와 글래스 런 채널 제품과의 잦은 승하강 작동에 따른 우레탄 코팅 부위의 마모로 인한 승하강 작동 시 작동 불량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 글래스 런 채널 속으로 모래, 먼지 등이 유입된 상태에서 자동차 창문 유리의 승하강 작동 시 매우 높은 마찰에 의한 우레탄 코팅면이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글래스 런 채널 표면의 우레탄 혼합액 도포 상태가 불량하거나 두께가 얇을 경우, 작동함에 있어서 상대부품인 파워 윈도우 레규레이터 부품의 높은 부하로 인하여 작동 불능 등의 상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웨더스트립 스폰지의 씰링성 및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카본블랙, 실란계 화합물, 티타늄계 화합물을 보강제로 첨가하여 도어 씰링성, 내압축변형성 등의 물성을 보강시킨 웨더스트립 소재가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4 참조]
그러나 당업계에서는 여전히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 소재로서 씰링성 및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1997-0042772호 "고무용 충진제로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10-2002-0066410호 "내압축 변형성이 우수한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10-2003-0008851호 "도어 실링성이 우수한 웨더스트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한국공개특허 10-2004-0100129호 "외관 향상용 자동차 웨더스트립 조성물"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한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베이스 폴리머에 보강제, 흡습제,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가황활성제를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 80 ~ 90 중량%와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 20 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와 보강제를 혼련하여 CMB(Carbon Master Batch) 고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CMB 조성물에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혼련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혼련된 조성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가황활성제를 가하고 혼련하여 FMB(Final Master Batch)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창문 유리의 승하강시 낮은 마찰 접동 저항으로 우레탄 혼합액을 제품 표면에 코팅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며, 고무 배합 조성물로 사용됨에 따라 제품의 특성이 영구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현미경 사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EPDM 터폴리머와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종래의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EPDM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자동차 창문 유리의 승하강시 현저히 낮은 마모성이 보이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우레탄 혼합액의 코팅은 필수적이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EPDM 터폴리머와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베이스 폴리머로 사용함으로써 아크릴 재질의 친화성과 실리콘 재질의 낮은 마찰저항(Frictional Resistance) 특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은 자동차 창문 유리의 승하강시 낮은 마찰 접동 저항을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은 우레탄 혼합액으로 유리 접촉부위를 코팅하지 않더라도 제품의 특성이 영구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우레탄 혼합액의 코팅 공정이 생략됨으로써 불량율 감소 효과 및 우레탄 혼합액 분사(Spray)에 따른 작업 환경 개선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카본블랙 보강제, 산화칼슘 흡습제, 가황제, 가황촉진제, 가황활성제 및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성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베이스 폴리머
본 발명의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와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 제품의 특성상 우수한 내후성(Weather Ability)이 요구되므로,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무 중에서도 내후성이 우수한 EPDM 터폴리머를 사용한다. 더 좋기로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 제품의 압출 과정에서 형상 유지에 유리하고, 제품의 물성 향상 등에 유리한 고점도(High Molecular) 및 고 에틸렌 함량을 가지는 EPDM 터폴리머를 선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EPDM 터폴리머로는 에틸렌 함량이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73 ~ 75 중량%이고, 무늬점도(Mooney Viscosity; ML1+8, 125℃)가 7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70 ~ 9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EPDM 터폴리머 내의 에틸렌 함량이 너무 적거나 무늬점도가 너무 낮으면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 제품의 물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제품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단면 형상을 유지함에 있어 많은 제약이 발생한다. 반대로, 무늬점도가 너무 높으면 높은 분자량에 의한 믹싱 가공성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 특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특정의 EPDM 터폴리머를 선택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달성에 보다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상기 EPDM 터폴리머와 함께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흰색 분말로서 평균입경이 15 ~ 45 ㎛인 구형 입자이다. 상기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의 실리콘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70 ~ 75 중량%인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실리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마찰 저항에 상대적으로 불리하며, 너무 높으면 EPDM과 상용성이 낮은 아크릴 성분이 감소하여 EPDM 성분과 혼합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일본 닛신화학공업(Nissin Chemical Industry)사의 제품인 Chaline R-170S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 80 ~ 90 중량%와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 20 중량%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때,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 제품 표면에 슬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과량으로 사용될 경우 슬립성이 현저하게 높아져서 혼련 작업성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도 있다.
2) 카본블랙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폴리머에 보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무 보강제로서 카본블랙을 포함한다.
상기 카본블랙은 압출성과 혼련 작업성을 고려하여 평균입경이 40 ~ 48 nm 범위인 양압출성(Fast Extruding Furnace) 카블블랙을 선택 사용한다. 상기 카본블랙은 평균입경이 40 nm 미만으로 작을 경우 제품 내마모성은 현저한 개선 효과가 보이나, 혼련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열 (Heat buildup)로 인하여 분산 불량 및 작업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블랙은 평균입경이 48 nm를 초과하는 경우 혼련 작업성은 양호하나, 고무 마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혼련 설비에 따라 입자경이 작은 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오히려 내마모 측면에서는 입자가 작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 6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도록 하는 바, 카본블랙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하는 고무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만족시킬 수 없고, 60 중량부를 초과시에는 고무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3) 산화칼슘(CaO)
본 발명에서는 연속 압출 가황 방식의 제조 공정 특성에 따른 흡습제(Absorbent)로서 산화칼슘(CaO)을 포함한다.
상기 산화칼슘은 CMB 조성물 또는 FMB 조성물 제조 공정 중 어디에서든 투입되어도 상관없으며, 액체 상태인 수분은 고무 내부에서 고체 상태의 흡습제와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이라는 고체 상태의 물질을 생성하게 된다.
CaO (Solid) + H2O(Liquid) → Ca(OH)2 (Solid)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상기 흡습제는 고무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고온의 연속 가황 공정에서 기화되어 내부 기포(Porosity)가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산화칼슘은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고무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 ~ 1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도록 하는 바, 탄산칼슘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내부 기포가 발생되는 현상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게 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분산 불량 및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4) 가황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황제로는 유황(S)을 사용하며, 상기 가황제는 쇄상의 고무 고분자들을 3 차원의 망상구조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황제는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 5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며, 0.5 중량부 미만 시 부분적으로 미가교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져 경도가 떨어짐과 동시에 기계적 물성도 떨어지고, 5 중량부 초과하면 과도한 가교가 발생하여 가공의 어려움 및 경도가 높아져 제품 제조 시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5) 가황촉진제
본 발명에서는 가황제의 가교 시간을 단축시켜주기 위하여 가황촉진제를 사용한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예를 들면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ZnBDC), 2-머캅토벤조티아졸 (MBT), 에틸렌 티우람 (ETU), 디티오디몰포린 (DTDM), 머캅토벤조티아졸 설파이드(MBTS),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술페이드 (TMTD)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며, 1 중량부 미만 시 가교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재할 수 없고, 5 중량부 초과하면 과도한 가교가 발생하여 가공의 어려움 및 경도가 높아져 제품 제조 시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6) 가황활성제
본 발명에서는 가교촉진제를 활성화시켜서 촉진반응을 한층 더 촉진시키기 위하여 가황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황활성제의 선택에 특별한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며, 상기 가황활성제는 산화아연(ZnO) 및 스테아린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좋기로는 산화아연과 스테아린산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황활성제는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 1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며, 이때 가교활성제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가교활성제를 첨가량이 적어서 가교촉진제의 활성 효과가 미비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7) 첨가제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오일, 흐름개선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각 조성성분들을 혼합하기 이전에 또는 혼합하는 도중에 개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오일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파라핀계 오일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 방향족 나프텐계 오일, 지방족 파라핀계 오일, 또는 파라핀계/나프텐계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 4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흐름개선제는 고무 조성물의 흐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흐름개선제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의 선택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국 스트룩톨(Struktol)사의 WB-16 제품 (칼슘비누와 포화지방산 아미드의 혼합물)과 (주)동남합성의 PEG400 제품(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다. 상기 흐름개선제는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 1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 보강제, 흡습제 및 통상의 첨가제를 혼련하여 CMB(Carbon Master Batch) 고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CMB 조성물에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혼련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혼련된 조성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가황활성제를 가하고 혼련하여 FMB(Final Master Batch)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먼저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 보강제, 흡습제 이외에도 통상의 첨가제를 믹싱하고, 20 ~ 30 시간동안 숙성(1차)시켜 CMB 고무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CMB 고무 조성물을 충분히 숙성시키지 않으면 이후에 첨가되는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CMB 고무 조성물에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투입하고 다시 20 ~ 30 시간동안 숙성시켜 준다. 이때도 역시 충분히 숙성(2차)시켜 EPDM 터폴리머와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첨가제들이 고루 분산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가황활성제를 투입하고 믹싱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2.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로 혼합하여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즉, 인터날 믹서(Internal Mixer)에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 PEG400, WB-16을 투입하고 소련(素練 : Mastication) 한 후, 카본블랙(FEF), 파라핀 계열의 프로세스 오일, 산화칼슘(CaO)을 투입하고 믹싱한 후에 24시간동안 숙성시켰다. 1차 숙성된 혼합물에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투입하고 2차 믹싱한 후에, 다시 2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2차 숙성된 혼합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가황활성제를 투입하고 믹싱하여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 성분]
(1) EPDM
① KEP 5770: 금호폴리켐사 제품, 에틸렌 함량 75.6 중량%, ENB 함량 5.3 중량%, 무늬점도(ML1+8, 125℃) 75
② KEP 510: 금호폴리켐사 제품, 에틸렌 함량 71 중량%, ENB 함량 5.7중량%, 무늬점도(ML1+8, 125℃) 23
(2) Chaline R-170S :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 닛신화학공업(Nissin Chemical Industry)사 제품, 실리콘 함량이 70 중량%, 평균입경 30 ㎛인 구형 입자
(3) 카본블랙: 오리온(주) 제품, Corax N500, 양압출성(Fast Extruding Furnace) 카블블랙, 평균입경 40~48 nm
(4) 가황촉진제:
① ZnBDC :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② MBT : 2-머캅토벤조티아졸
③ ETU : 에틸렌 티우람
④ DTDM : 디티오디몰포린
⑤ MBTS : 머캅토벤조티아졸 설파이드
(5) 흐름개선제:
① PEG#4000: (주)동남합성 제품,
② WB-16: 미국 스트룩톨(Struktol)사 제품, 칼슘비누와 포화지방산 아미드의 혼합물
구분 고무 조성물 (g)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EPDM KEP 5770 83 100
KEP 510 83
Chaline R-170S 17 17 -
카본블랙 FEF 58.3 58.3 58.3
흡습제 CaO 4.0 4.0 4.0
가황제, S 1.46 1.46 1.46
가황
촉진제
①ZnBD 0.63 0.63 0.63
②MBT 0.42 0.42 0.42
③ETU 0.42 0.42 0.42
④DTDM 0.42 0.42 0.42
⑤MBTS 0.42 0.42 0.42
가황
활성제
ZnO 6.4 6.4 6.4
스테아르산 1.28 1.28 1.28
파라핀 오일 30.4 30.4 30.4
흐름개선제 PEG#4000 2.12 2.12 2.12
WB-16 1.67 1.67 1.67
탄산칼슘 25.0 25.0 25.0
[실험예]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 2에서 제조한 고무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항목의 물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2에서 노화물성은 기본물성을 상온 (대략 20℃)에서 측정한 결과와 70℃ x 70hr 노화 조건에서 측정한 값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구 분 측정 방법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기본
물성
쇼어경도 KS M 6518 72 71 72
인장강도
(kg/㎠)
134.6 115.5 176.3
신장율
(%)
387.6 290.5 378.6
모듈러스
(M100, kg/㎠)
33.8 35.4 43.68
노화
물성
(변화율)
쇼어경도 KS M 6518
70℃ x 70hr
0 0 0
인장강도
(%)
+ 5.4 + 4.5 + 8.2
신장율
(%)
- 4.1 - 4.9 - 1.5
압축영구줄음율 (%) JIS K 6301
70℃ x 22hr
11.0 13.8 9.8
내오존성 JIS K 6301
50±5pphm x 40℃ x 20% x 200hr
Crack
미발생
Crack
미발생
Crack
미발생
NBS 내마모(회) KS M 6625 132 100 120
동마찰 계수 2.16 3.08 3.46
상기 표 2에 따르면, 비교예 1의 조성물은 저점도 EPDM 터폴리머를 사용한 경우로, 기본 물성, 내마모 및 동마찰계수가 실시예 1에 비교하여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의 조성물은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로, 인장강도는 우수하였으나 제품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마모성 및 동마찰 계수가 실시예 1에 비교하여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베이스 폴리머에 보강제, 흡습제,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가황활성제를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 80 ~ 90 중량%; 및
    실리콘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이고, 입자 크기가 15 ~ 45 ㎛인 구형 입자인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 20 중량%;
    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는 에틸렌 함량이 70 중량% 이상이고, 무늬점도(ML1+8, 125℃)가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평균입경이 40 ~ 48 nm 범위인 양압출성(Fast Extruding Furnace) 카블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산화칼슘(Ca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6. a)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터폴리머, 보강제, 흡습제, 및 통상의 첨가제를 혼련하고 20 ~ 30 시간동안 숙성하여 CMB(Carbon Master Batch) 고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CMB 조성물에 실리콘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이고, 입자 크기가 15 ~ 45 ㎛인 구형 입자인 실리콘-아크릴릭에스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가하여 혼련하고 20 ~ 30 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숙성된 조성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가황활성제를 가하고 혼련하여 FMB(Final Master Batch)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173923A 2014-12-05 2014-12-05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KR101646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23A KR101646398B1 (ko) 2014-12-05 2014-12-05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US14/872,111 US9598568B2 (en) 2014-12-05 2015-09-30 Rubber composition for weather strip glass run ch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23A KR101646398B1 (ko) 2014-12-05 2014-12-05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40A KR20160068340A (ko) 2016-06-15
KR101646398B1 true KR101646398B1 (ko) 2016-08-05

Family

ID=5609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923A KR101646398B1 (ko) 2014-12-05 2014-12-05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98568B2 (ko)
KR (1) KR101646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8210B (zh) * 2022-05-06 2023-06-06 北京市城南橡塑技术研究所 一种耐高低温、耐酸碱腐蚀的隔音门窗密封条及制备方法
WO2024075857A1 (ko) * 2022-10-04 2024-04-11 유일고무 주식회사 Uhmwpp를 이용한 글라스 런 코너 성형부 표면 엠보싱 효과가 있는 epdm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글라스 런 제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83B1 (ko) 2011-03-22 2011-05-26 (주)하이코리아 고내열성 고무발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7004A (en) 1931-12-17 1935-04-09 Moore Drop Forging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nd nitriding a ferrous article
JPH0820683A (ja) 1994-07-08 1996-01-23 Sumitomo Chem Co Ltd 加硫性ゴム組成物および加硫ゴム
JP4088429B2 (ja) 2000-07-05 2008-05-21 三井化学株式会社 加硫可能なゴム組成物
US6749086B2 (en) 2000-12-01 2004-06-15 Applied Materials Inc. Pressurized liquid delivery module
US6544562B2 (en) 2001-06-25 2003-04-08 Blistex Inc. Acne treatment including dual-package system
US6693145B2 (en) * 2001-08-30 2004-02-17 Cooper Technology Services, Llc EPDM compounds for dynamic applications
US20040100129A1 (en) 2002-11-26 2004-05-27 Palajac Patrick M. Removable composite roof panel system
JP2009506177A (ja) 2005-08-31 2009-02-12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極めて良好な引っ掻き抵抗性及び柔らかい触感を有する充填剤強化熱可塑性材料から構成される成形組成物
KR101345385B1 (ko) * 2007-12-18 201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인쇄용 전극 조성물, 이로부터 얻어진 전극 및이차전지
KR101509772B1 (ko) * 2009-05-04 201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연분말 충전 웨더스트립 및 글래스런 조성물
EP2508559B1 (en) 2011-04-01 2013-11-13 Evonik Degussa GmbH Rubber mix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83B1 (ko) 2011-03-22 2011-05-26 (주)하이코리아 고내열성 고무발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40A (ko) 2016-06-15
US9598568B2 (en) 2017-03-21
US20160160018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498B1 (ko) 에틸렌-알파-올레핀-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고무 조성물
KR101836638B1 (ko) 웨더스트립 스폰지용 epdm 고무 조성물
EP0246745B2 (en) Elastomeric composition
KR101000593B1 (ko) 엔진 마운트용 방진고무 조성물
CN103201336A (zh) 氯丁二烯橡胶组合物及其硫化物和成型体
KR101646398B1 (ko) 웨더스트립 글래스 런 채널용 고무 조성물
EP1990360A1 (en) Nbr composition
KR20160083324A (ko) 글라스 런용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5420A (ko)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발포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1509772B1 (ko) 아연분말 충전 웨더스트립 및 글래스런 조성물
KR20210066954A (ko)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KR101776413B1 (ko) 나노 산화 아연 충전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KR101491166B1 (ko) 웨더스트립 조성물
KR101755840B1 (ko) 바디 실러 조성물
KR101190733B1 (ko) 셀룰로오스 분말 충전 웨더스트립 조성물
KR20230040084A (ko) 피로내구성이 향상된 서스펜션 부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서스펜션 부시용 고무
KR101110496B1 (ko) 도어 사이드 조인트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JPWO2019188339A1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混練機表面への粘着性の低減方法
KR102326573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KR102440703B1 (ko) 저비중 웨더스트립 조성물
CN111065677B (zh) 氢化nbr组合物
JP2006241392A (ja) 高強度ゴム組成物
JPH0820683A (ja) 加硫性ゴム組成物および加硫ゴム
KR20240047073A (ko) Uhmwpp를 이용한 글라스 런 코너 성형부 표면 엠보싱 효과가 있는 epdm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글라스 런 제품
KR20230057536A (ko) 가황제-프리 웨더스트립용 epdm 고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