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242B1 - 디스플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242B1
KR101646242B1 KR1020090067747A KR20090067747A KR101646242B1 KR 101646242 B1 KR101646242 B1 KR 101646242B1 KR 1020090067747 A KR1020090067747 A KR 1020090067747A KR 20090067747 A KR20090067747 A KR 20090067747A KR 101646242 B1 KR101646242 B1 KR 10164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chassis portion
fixing
fixing member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278A (ko
Inventor
박세환
정해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2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제1섀시부; 상기 제1섀시부의 상기 측벽의 내면에 배열되는 제2섀시부; 상기 제1섀시부와 제2섀시부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LCM, LCD모듈, 섀시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조광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한 것으로서, 휴대전화, PMP, PDA 등의 전자제품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몰드 프레임에 수납하고, 몰드 프레임의 외측면에 섀시를 체결함으로써, 하나의 모듈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몰드 프레임은 백라이트 유닛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섀시는 몰드 프레임의 외형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몰드 프레임의 외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섀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표시패널 혹은 백라이트 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섀시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실시예는 강성이 보강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제1섀시부; 상기 제1섀시부의 상기 측벽의 내면에 배열되는 제2섀시부; 상기 제1섀시부와 제2섀시부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제1섀시부; 상기 제1섀시부의 상기 측벽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2섀시부와 상기 제2섀시부를 상기 제1섀시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갖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강성이 보강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 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패널(20)과, 표시패널(20)의 후방으로 설치되어 표시패널(20)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30)과, 표시패널(20) 및 백라이트 유닛(30)이 수납되는 제1섀시부(10)와, 제1섀시부(10)의 측벽(13) 내면에 안착되어 제1섀시부(10)의 강성을 보강하는 몰드 프레임부(4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20)은 투명한 상/하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되는 화면의 개수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표시패널(20)의 양면에는 입사되는 광을 각각 편광시켜 주기 위해 상/하부 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은 발광부, 도광판, 광학 시트류 및 반사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은 발광부에서 출광된 광을 평면광으로 변환하여 표시패널(20)을 조광한다.
제1섀시부(10)는 바닥면(15)과 바닥면(15)의 각 외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연장된 측벽(13)들을 포함하여 표시패널(20) 및 백라이트 유닛(30)의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제1섀시부(10)는 표시패널(20)과 백라이트 유닛(30)을 고정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철 혹은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섀시부(10)는 바닥면(15)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몰드 프레임부(40)는 제1섀시부(10)의 수납공간의 측벽(13) 내면에 형성되어 제1섀시부(10)에 수납된 백라이트 유닛(30) 혹은, 표시패널(20)과 백라이트 유닛(3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몰드 프레임부(40)는 제1섀시부(1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몰드 프레임부(40)가 장착된 영역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따르면, 제1섀시부(10)의 측벽(13) 내면에 제2섀시부(50)와 재2섀시부(50)와 일체형으로 몰딩되어 제2섀시부(50)를 제1섀시부(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한다.
제2섀시부(50)는 제1섀시부(10)의 측벽(13)과 평행한 면을 가지고 있어 제1섀시부(10)의 측벽(1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섀시부(50)의 경우, 측벽(13)과 평행한 섀시의 상부면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1섀시부(10)의 바닥면(15)과도 평행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2섀시부(50) 자체의 강성도 증가할 수 있으며, 제1섀시부(10)의 측벽(13)뿐 아니라 바닥면(15)의 강성 또한 보강할 수 있다.
고정부재(60)는 제2섀시부(50)와 일체형으로 몰딩되어, 내부에 제2섀시부(50)를 포함하는 사각 틀 형상의 몰드 프레임부(40)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60) 및 제2섀시부(5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장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제1섀시부(10)와 제2섀시부(50)에는 각각 고정홀(12, 5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고정홀(12, 52)에는 고정부재(60)가 충전되어 제1섀시부(10) 및 제2섀시부(5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60)는 합성 수지 혹은 실리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부(40)와 제1섀시부(10)의 결합방법은, 제1섀시부(10)의 측벽(13) 영역에 제2섀시부(50)를 배열한 후, 제1섀시부(10)와 제2섀시부(50)의 이격 공간에 액체상태의 수지를 주입한다. 수지가 경화되어 고정부재(60)가 형성되면 제1섀시 및 제2섀시가 상호 고정되어, 제1섀시부(10)에 몰드 프레임부(40)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섀시부(50)를 포함하는 고정부재(60)가 사각 틀 형상의 몰드 프레임부(40)를 형성하여 제1섀시부(10)에 결합된다. 이에, 제1섀시부(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섀시부(10)에 안착된 백라이트 유닛(30)의 이탈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몰드 프레임부(40)가 장착된 영역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2섀시부(70)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섀시부(70)는 제1섀시부(10) 의 측벽(13)과 평행한 면이 백라이트 유닛(30) 측에 배열되고, 제2섀시부(70)의 상부면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섀시부(70)의 측벽(13)과 제1섀시부(10)의 측벽(13) 사이에 배열된다.
고정부재(60)는 제2섀시부(70)와 일체형으로 몰딩되어 몰드 프레임부(4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섀시부(10)와 제2섀시부(70)에는 각각 고정홀(12, 7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고정홀(12, 72)에는 고정부재(60)가 충전되어 제1섀시부(10) 및 제2섀시부(7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몰드 프레임부(40)가 장착된 영역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2섀시부(90)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2섀시부(90)는 제1섀시부(10)의 측벽(13) 및 바닥면(15)과 동일한 형태로 절곡되어 제1섀시부(10)의 모서리부에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고정부재(60)는 제2섀시부(90)와 일체형으로 몰딩되어 몰드 프레임부(4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섀시부(10)와 제2섀시부(90)에는 각각 고정홀(12, 9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고정홀(12, 92)에는 고정부재(60)가 충전되어 제1섀시부(10) 및 제2섀시부(90)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제1섀시부(10)의 측벽(13)에 고정홀(12)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고정부재(60)와 밀착되는 바닥면(15)에도 고정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표시패널(20)과 백라이트 유닛(30)이 수납되는 제1섀시부(10)의 내 측면에, 제2섀시부(90)와 고정부재(60)가 일체형으로 몰딩된 몰드 프레임부(40)를 구비하여 제1섀시부(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요부 확대 단면도.

Claims (10)

  1.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벽들을 포함하는 제1섀시부;
    상기 제1섀시부의 상기 측벽의 내면에 배열되는 제2섀시부; 및
    상기 제1섀시부와 제2섀시부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섀시부는,
    상기 제1섀시부의 측벽과 이격되고 평행한 면과 상기 평행한 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와 평행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섀시부와 일체형이고 사각의 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측벽의 내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섀시부는 L자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섀시부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섀시부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섀시부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1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섀시부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2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홀 및 상기 제2고정홀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홀 및 상기 제2고정홀은 서로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090067747A 2009-07-24 2009-07-24 디스플레이 모듈 KR10164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747A KR101646242B1 (ko) 2009-07-24 2009-07-24 디스플레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747A KR101646242B1 (ko) 2009-07-24 2009-07-24 디스플레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78A KR20110010278A (ko) 2011-02-01
KR101646242B1 true KR101646242B1 (ko) 2016-08-05

Family

ID=4377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747A KR101646242B1 (ko) 2009-07-24 2009-07-24 디스플레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2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646A (ja) * 2001-08-10 2003-02-2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759673B1 (ko) * 2006-07-0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646A (ja) * 2001-08-10 2003-02-2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759673B1 (ko) * 2006-07-0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78A (ko)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709B2 (en) Backlight module
KR101793229B1 (ko) 수납 모듈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2011010270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467011B2 (en) Display device
CN102540519A (zh) 显示设备
CN106896554B (zh) 显示器设备
EP2607946B1 (en) Display apparatus
KR101396733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8343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1213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69891A (ko) 표시장치
KR101646242B1 (ko) 디스플레이 모듈
JP2008129474A (ja) 表示装置
KR1008625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67525Y1 (ko) 수납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10018593A (ko) 디스플레이 모듈
KR20110046707A (ko) 디스플레이 모듈
KR101646250B1 (ko) 디스플레이 모듈
KR101604485B1 (ko) 디스플레이 모듈
US8752999B2 (en) Back fram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system
KR100941316B1 (ko) 표시장치
KR102520367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I643333B (zh) 顯示裝置及其組裝與拆卸方法
CN107861270B (zh) 显示设备及其组装与拆卸方法
KR20220014379A (ko) 백라이트 장치용 커버버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