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316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316B1
KR100941316B1 KR1020080017032A KR20080017032A KR100941316B1 KR 100941316 B1 KR100941316 B1 KR 100941316B1 KR 1020080017032 A KR1020080017032 A KR 1020080017032A KR 20080017032 A KR20080017032 A KR 20080017032A KR 100941316 B1 KR100941316 B1 KR 100941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fram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844A (ko
Inventor
홍광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3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표시장치는 프레임;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탄성을 가지는 서포트부; 서포트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패널; 및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샤시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압력 등은 서포트부에 의해서 흡수되고, 표시패널을 더 잘 보호될 수 있다.
액정, 표시장치, 몰드프레임, 탄성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LCD, PDP 및 AMOLED 등의 표시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표시패널 등을 포함하며, 표시패널 등을 수용하며, 보호하기 위한 몰드프레임 및 샤시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몰드프레임 및 샤시는 표시패널 등을 보다 잘 보호해야 한다.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 응력 및 충격 등에 강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탄성을 가지는 서포트부; 상기 서포트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샤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고, 탄성을 가지는 제 1 서포트부;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프레임을 감싸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샤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탄성을 가지는 서포트부를 포함하게 때문에,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압력, 응력 및 충격 등은 서포트부에 인가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 응력 및 충격 등에 보다 강하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플레이트, 부, 프레임, 시트 또는 구조물 등이 각 패널, 플레이트, 부, 프레임, 시트 또는 구조물 등의 "상(on)"에 또는 "하부(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 부(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조물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구조물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몰드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II-II`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액정패널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3 서포트부가 도시되도록 액정표시장치가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발광다이오드 수납부가 도시되도록 액정표시장치가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샤시(100), 몰드프레임(200), 백라이트 어셈블리(300) 및 액정패널(400)을 포함한다.
상기 샤시(100)는 상기 몰드프레임(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샤시(100)는 상기 몰드프레임(200)을 수용한다. 상기 샤시(100)는 바텀플레이트(110) 및 상기 바텀플레이트(1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벽(120)을 포함한다.
상기 샤시(100)는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바텀플레이트(110)는 상 기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를 지지한다.
상기 몰드프레임(200)은 상기 샤시(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몰드프레임(2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300) 및 상기 액정패널(400)을 수용한다. 상기 몰드프레임(2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플라스틱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상기 몰드프레임(200)은 프레임(210), 제 1 서포트부(220), 제 2 서포트부(230), 제 3 서포트부(240), 제 4 서포트부(250) 및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10)은 사각틀 형상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 4 개의 측벽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4 개의 측벽들 중 하나는 일부가 절단되어, 발광부기판(340) 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상기 프레임(210)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상기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예를 들어, 3개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트부(220)의 제 1 상면(221)은 상기 프레임(210)의 상면(211)보다 낮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트부(220)의 제 1 하면(222)은 상기 프레임(210)의 하면(212)보다 높다. 즉,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상기 프레임(210)과 상하로 단차를 이루며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상기 샤시(100)로부터 이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프레임(210)의 하면(212)이 상기 바텀플레이트(110)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10)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프레임(210)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210)보다 더 잘 휘어진다. 상기 제 1 서포트부(220)에 소정의 압력 또는 응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휘어진다. 또한, 압력 또는 응력이 사라지면, 다시 복원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230)는 상기 프레임(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230)는 상기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서포트부(230)는 예를 들어, 3개이다.
또한, 상기 제 2 서포트부(230)는 상기 프레임(210)으로부터 상기 제 1 서포트부(220)가 연장되는 길이(L1)보다 짧은 길이(L2)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2 서포트부(23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23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220)와 이격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230)의 제 2 하면(232)은 상기 제 1 상면(221)보다 높다
상기 제 3 서포트부(240)는 상기 프레임(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서포트부(240)는 상기 프레임(210)의 모서리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 3 서포트부(240)는 상기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서포트부(240)는 예를 들어, 4개이다.
상기 제 3 서포트부(24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서포트부(24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220)와 이격된다. 상기 제 3 서포트부(240)의 제 3 상면(241)은 상기 제 1 상면(221)보다 낮고, 상기 제 3 서포 트부(240)의 제 3 하면(242)은 상기 제 1 하면(222)보다 낮다.
상기 제 4 서포트부(25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4 서포트부(250)는 상기 샤시(100)와 이격되며, 상기 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는 상기 프레임(210) 내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는 상기 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는 발광다이오드(330)를 수납하는 수납홈(261)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는 상기 샤시(100)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의 상면(262)은 상기 제 1 상면(221)보다 낮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는 탄성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다.
도 1, 5, 6,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상기 몰드프레임(200)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바텀플레이트(110)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광을 발생시켜서, 상기 액정패널(400)을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반사시트(310), 도광판(320), 발광다이오드(330), 발광부기판(340) 및 광학시트(35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시트(31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330)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도광판(320)은 상기 반사시트(3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320)은 입사되는 광을 산란, 굴절 및 반사 등에 의해서 상기 액정패널(400)을 향하여 출사 한다.
상기 도광판(320)의 측면은 상기 제 3 서포트부(240)에 의해서 지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서포트부(240)가 상기 도광판(320)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320)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도광판(32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320)의 측면은 상기 제 2 서포트부(23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도광판(320)의 측면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230)의 측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30)는 상기 도광판(32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30)는 상기 수납홈(261) 내측에 수납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30)는 상기 도광판(320)을 향하여 광을 출사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30)는 상기 발광부기판(340)에 실장된다.
상기 발광부기판(34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 상에 배치되며,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부기판(340)을 통해서, 상기 메인기판으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330)에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광학시트(350)는 상기 도광판(3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시트(350)는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시트(350)는 예를 들어, 편광시트,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일 수 있으며, 다수 개일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350)는 상기 광학시트(350)의 상면이 상기 제 1 상면(221)보다 낮도록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400)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인 픽셀별로 조절한다. 상기 액정패널(400)은 TFT기판, 컬러필터기판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400)은 상기 몰드프레임(2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400)은 상기 제 1 서포트부(2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400)은 상기 제 1 서포트부(220)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400)의 측면 상에 상기 제 2 서포트부(230)가 위치한다. 즉, 상기 액정패널(400)의 측면은 상기 제 2 서포트부(230)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패널(400) 및 상기 프레임(210)은 서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400) 및 상기 광학시트(350)는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광학시트(350)가 상기 액정패널(400)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광학시트(350)가 상기 액정패널(400)에 접착되고, 상기 광학시트(350)와 상기 액정패널(400)의 열팽창률 차이로 인하여, 상기 광학시트(350)가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패널(400)에 실장되어 상기 액정패널(400)을 구동하는 드라이버IC(410) 및 상기 액정패널(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420)등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패널(400)에 압력, 응력 및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압력, 응력 및 충격은 상기 제 1 서포트부(220)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휘어지고, 상기 압력, 응력 및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압력, 응력 및 충격이 사라지면 회복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압력, 응력 및 충격은 상기 발광부기판(340)을 통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에 인가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는 휘어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는 상기 압력, 응력 및 충격을 흡수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패널(400)에 보다 큰 압력, 응력 및 충격이 인가될 때, 상기 액정패널(400)은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외부의 압력, 응력 및 충격에 보다 강하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400) 및 상기 광학시트(350)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액정패널(400)의 중앙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액정패널(400)은 더 잘 휘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서포트부(220)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수납부(260)는 상기 압력에 따라서 휘어지기 때문에, 상기 액정패널(400)은 덜 휘어진다. 따라서, 액정패널(400)은 상기 제 1 서포트부(220)에 의해서 더 잘 보호된다.
또한, 상기 제 2 서포트부(230)에 의해서, 상기 액정패널(400)은 상기 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보다 잘 휘어질 수 있고, 상기 액정패널(400)은 보다 잘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트부(220)는 상기 제 4 서포트부(250) 및 상기 샤시(100) 사이의 간격(D2) 만큼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서포트부(250) 및 상기 샤시(100) 사이의 간격(D2)이 상기 액정패널(400) 및 상기 광학시트(350) 사이의 간 격(G)보다 크면, 상기 액정패널(400)이 더 효율적으로 보호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4 서포트부(250) 및 상기 샤시(100) 사이의 간격(D2)은 상기 액정패널(400) 및 상기 광학시트(350) 사이의 간격(G)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300)가 변형될 수 있는 두께의 합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서포트부(250) 및 상기 샤시(100) 사이의 간격(D2)은 상기 액정패널(400) 및 상기 광학시트(350) 사이의 간격(G)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트부(220) 및 상기 샤시(100)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액정패널(400) 및 상기 광학시트(350) 사이의 간격(G)보다 크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몰드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II-II`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액정패널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3 서포트부가 도시되도록 액정표시장치가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발광다이오드 수납부가 도시되도록 액정표시장치가 절단된 단면도이다.

Claims (1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탄성을 가지는 제 1 서포트부;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서포트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 3 서포트부;
    상기 제 1 서포트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샤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부 및 상기 샤시는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부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는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서포트부의 상면은 상기 제 1 서포트부의 상면보다 낮고, 상기 제 3 서포트부의 하면은 상기 제 1 서포트부의 하면보다 낮은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표시패널은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
  8.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탄성을 가지는 제 1 서포트부;
    상기 제 1 서포트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패널;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샤시; 및
    상기 제 1 서포트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샤시로부터 이격되는 제 4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샤시 사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 1 서포트부 및 상기 샤시는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는 표시장치.
  1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고, 탄성을 가지는 제 1 서포트부;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서포트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 3 서포트부;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프레임을 감싸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샤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부 및 상기 샤시는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서포트부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 4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광원을 수납하며, 탄성을 가지는 광원 수납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80017032A 2008-02-26 2008-02-26 표시장치 KR10094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032A KR100941316B1 (ko) 2008-02-26 2008-02-26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032A KR100941316B1 (ko) 2008-02-26 2008-02-26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844A KR20090091844A (ko) 2009-08-31
KR100941316B1 true KR100941316B1 (ko) 2010-02-05

Family

ID=4120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032A KR100941316B1 (ko) 2008-02-26 2008-02-26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7459B (zh) * 2015-10-21 2017-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504A (ko) * 1996-07-25 1998-04-30 가네꼬 하사시 액정 디스플레이
JP2003215546A (ja) * 2002-01-24 2003-07-3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374165Y1 (ko) 2004-11-12 2005-01-2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KR20070051148A (ko) * 2005-11-14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504A (ko) * 1996-07-25 1998-04-30 가네꼬 하사시 액정 디스플레이
JP2003215546A (ja) * 2002-01-24 2003-07-3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374165Y1 (ko) 2004-11-12 2005-01-2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KR20070051148A (ko) * 2005-11-14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844A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2677B2 (ja) 液晶表示装置
JP5432729B2 (ja) 表示装置
JP5878976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US8696182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for improving uniformity of brightness
KR102266008B1 (ko) 표시 장치
KR20220103082A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N107219659B (zh) 显示模块和具有该显示模块的显示装置
KR20090115523A (ko) 표시장치
KR20090069891A (ko) 표시장치
KR1014636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41316B1 (ko) 표시장치
US9927569B2 (en) Display device
KR10101446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7552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25173A (ko) 표시장치
KR200462146Y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68457Y1 (ko) 액정표시장치
KR101552719B1 (ko) 표시장치
KR101510889B1 (ko) 표시장치
KR1016678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00011817A (ko) 표시장치
KR200463673Y1 (ko) 표시장치
KR200466966Y1 (ko) 표시장치
KR10165167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01670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