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241B1 -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 Google Patents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241B1
KR101646241B1 KR1020150059281A KR20150059281A KR101646241B1 KR 101646241 B1 KR101646241 B1 KR 101646241B1 KR 1020150059281 A KR1020150059281 A KR 1020150059281A KR 20150059281 A KR20150059281 A KR 20150059281A KR 101646241 B1 KR101646241 B1 KR 101646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ring
necklace
shap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정
Original Assignee
최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정 filed Critical 최은정
Priority to KR102015005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로서, 사용자의 목에 걸어 목걸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수납부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며, 외부 통신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전기적 연결 접속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이어폰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가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에 따르면, 길이가 신축 가변되는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고, 이어폰을 구성하는 이어폰 와이어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통공 내부에서 상호 크로스 구조로 배치되고, 이어폰 와이어의 말단에 형성된 이어폰 헤드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노출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무선 이어폰의 기능을 활용함과 동시에,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자기 개성의 표현이나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불러올 수 있는 액세서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통공 내부에 이어폰의 이어폰 와이어가 상호 크로스 형태로 배치 구성되고, 이어폰 와이어의 말단에 형성된 한 쌍의 이어폰 헤드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이어폰 헤드를 잡아당겨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를 수축시킴에 따라 이어폰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이어폰에서 와이어의 엉킴에 따라 관리가 불편한 문제가 해소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A WIRELESS EARPHONE DEVICE FOR COMBINED WITH NECKLACE}
본 발명은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통신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무선 이어폰의 기능성을 활용하고, 이어폰으로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자기 개성의 표현이나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불러올 수 있는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MP3 플레이어와 같이 개인이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소지가 일반화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은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본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을 소지한 사용자는 각각의 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직접 작동 조정함으로써 사용 상태를 전환하게 되는데, 근래에는 멀리 떨어진 기기들을 단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케이블 없이 상호 운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무선기술을 적용하여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각종 음향 기기나 통신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어폰은 전형적으로 이들 기기에 연결되는 잭(jack)을 갖는 케이블이 중간에서 좌우로 분기되고, 두 분기 케이블의 단부에 이어폰 본체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은 그 사용용도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기기와 이어폰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 때문에 사용이 불편할 때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기기와 이어폰 본체 사이에 무선통신 방식을 채택하여 음향 청취를 가능하도록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케이블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어폰의 케이블을 목걸이 형태로 구성하여 음향기기 또는 통신기기의 사용 시에 목걸이 형태로 구성된 케이블에서 잭을 기기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목걸이형 이어폰은 이어폰의 케이블을 단순히 목에 걸 수 있도록 한 것에 불과하며, 사용 중에 케이블이 엉키게 되는 불편함과 함께 관리의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기존 블루투스 이어폰 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현재 보급기술상의 배터리 용량 문제로 인해 쉽게 방전되었을 때 따로 정리하여 다른 수납용품이나 의복 부속 주머니 등에 넣어 보관해야 하는 등 바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5584호는 목걸이형 이어폰에 대한 선행기술 문헌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길이가 신축 가변되는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고, 이어폰을 구성하는 이어폰 와이어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통공 내부에서 상호 크로스 구조로 배치되고, 이어폰 와이어의 말단에 형성된 이어폰 헤드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노출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무선 이어폰의 기능을 활용함과 동시에,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자기 개성의 표현이나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불러올 수 있는 액세서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통공 내부에 이어폰의 이어폰 와이어가 상호 크로스 형태로 배치 구성되고, 이어폰 와이어의 말단에 형성된 한 쌍의 이어폰 헤드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이어폰 헤드를 잡아당겨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를 수축시킴에 따라 이어폰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이어폰에서 와이어의 엉킴에 따라 관리가 불편한 문제가 해소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로서,
사용자의 목에 걸어 목걸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수납부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며, 외부 통신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전기적 연결 접속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이어폰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가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는,
상기 이어폰의 이어폰 와이어가 내장되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를 당김에 따라 길이가 신축 가변되는 직물 원단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폰은,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길이가 신축 가변됨에 따라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이어폰 헤드에 연결된 이어폰 와이어의 길이가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폰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각각 연결되는 이어폰 와이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좌측을 통해 우측으로 연결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이어폰 와이어는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우측을 통해 좌측으로 연결 배치되는 상호 크로스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수납부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하되,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외부 통신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그에 대응한 플레이 조작이 구동 제어되고, 상기 수납부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성향에 맞는 펜던트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를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통신기기는,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휴대폰, 스마트폰, 퍼스널컴퓨터(PC), 및 노트북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에 따르면, 길이가 신축 가변되는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고, 이어폰을 구성하는 이어폰 와이어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통공 내부에서 상호 크로스 구조로 배치되고, 이어폰 와이어의 말단에 형성된 이어폰 헤드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노출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무선 이어폰의 기능을 활용함과 동시에,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자기 개성의 표현이나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불러올 수 있는 액세서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의 통공 내부에 이어폰의 이어폰 와이어가 상호 크로스 형태로 배치 구성되고, 이어폰 와이어의 말단에 형성된 한 쌍의 이어폰 헤드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이어폰 헤드를 잡아당겨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를 수축시킴에 따라 이어폰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이어폰에서 와이어의 엉킴에 따라 관리가 불편한 문제가 해소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의 투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의 이어폰을 인출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를 사용자가 목에 걸어 목걸이로 사용하는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를 사용자가 목에 건 상태에서 이어폰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의 투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100)는,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 블루투스 모듈(120), 및 이어폰(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 목걸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링 형태의 구성이다. 이러한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는 후술하게 될 이어폰(130)의 이어폰 와이어(131)가 내장되는 통공(111)을 형성하고, 노출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132)를 당김에 따라 길이가 신축 가변되는 직물 원단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는 이어폰(13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130)의 이어폰 와이어(131)가 최대한 노출되지 않고 이어폰 헤드(132)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에 밀착된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불러올 수 있는 목걸이의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20)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수납부(121)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며, 외부 통신기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120)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수납부(121)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하되,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외부 통신기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그에 대응한 플레이 조작이 구동 제어되고, 수납부(121)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성향에 맞는 펜던트(140)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모듈(120)은 모든 기본적인 조작을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패션 감각을 중요시하여 기존 제품과 달리 블루투스 모듈(120)의 기능을 최소화로 구성하며, 무게 중심을 위해 펜던트 교체 부분, 즉 수납부(121)에 고리만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패션 성향에 맞춰 다양한 펜던트(140)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통신기기(200)는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휴대폰, 스마트폰, 퍼스널컴퓨터(PC), 및 노트북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어폰(130)은, 블루투스 모듈(120)에 전기적 연결 접속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이어폰 와이어(131)가 연결되고, 이어폰 와이어(131)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132)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에 노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이어폰(130)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의 길이가 신축 가변됨에 따라 대응하여 한 쌍의 이어폰 헤드(132)에 연결된 이어폰 와이어(131)의 길이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어폰(130)은 블루투스 모듈(120)에 각각 연결되는 이어폰 와이어(131) 중 어느 하나의 이어폰 와이어(131)는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에 형성된 통공(111)의 좌측을 통해 우측으로 연결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이어폰 와이어(131)는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에 형성된 통공(111)의 우측을 통해 좌측으로 연결 배치되는 상호 크로스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호 크로스 구조로 배치되어 노출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132)를 잡아당겨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를 수축시키고 그에 대응하여 이어폰 와이어(131)를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의 이어폰을 인출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어폰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이어폰(13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어폰 헤드(132)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에 부착되고, 사용자가 이어폰(13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130)의 이어폰 헤드(132)를 잡아당김에 따라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가 수축되고, 그에 따라 이어폰(130)의 이어폰 와이어(131)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를 사용자가 목에 걸어 목걸이로 사용하는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를 사용자가 목에 건 상태에서 이어폰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무선 이어폰 장치(100)를 목에 걸고 이어폰(13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로서, 이어폰(130)의 이어폰 와이어(131)가 최대한 노출되지 않고 이어폰 헤드(132)가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에 밀착된 형태를 유지하고,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불러올 수 있는 목걸이의 액세서리로 활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은 사용자가 외부 통신기기(200)와 블루투수 통신을 수행하면서 이어폰(130)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는, 무선 이어폰의 기능성을 활용함과 동시에 평상시, 즉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기 개성의 표현이나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불러올 수 있는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기존 블루투스 이어폰 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현재 보급기술상의 배터리 용량 문제로 인해 쉽게 방전되었을 때 따로 정리하여 다른 수납용품이나 의복 부속 주머니 등에 넣지 않으면서 바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사용자층만이 아닌 아직 블루투스 이어폰을 쓰지 않는 여성과 노약자들이 사용 시 분실의 위험도 없고 또 장식으로도 활발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장치
110: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 111: 통공
120: 블루투스 모듈 121: 수납부
130: 이어폰 131: 이어폰 와이어
132: 이어폰 헤드 140: 펜던트
200: 외부 통신기기

Claims (6)

  1.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100)로서,
    사용자의 목에 걸어 목걸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수납부(121)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며, 외부 통신기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120);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120)에 전기적 연결 접속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이어폰 와이어(131)가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 와이어(131)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132)가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이어폰(130)을 포함하되,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는,
    상기 이어폰(130)의 이어폰 와이어(131)가 내장되는 통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132)를 당김에 따라 길이가 신축 가변되는 직물 원단재질로 구성하며, 상기 이어폰(13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어폰 와이어(131)가 노출되지 않고 이어폰 헤드(132)와 밀착된 형태를 유지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120)은,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수납부(121)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하되,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외부 통신기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그에 대응한 플레이 조작이 구동 제어되고, 상기 수납부(121)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성향에 맞는 펜던트(140)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를 구성하며,
    상기 이어폰(130)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120)에 각각 연결되는 이어폰 와이어(13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에 형성된 통공(111)의 좌측을 통해 우측으로 연결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이어폰 와이어(131)는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에 형성된 통공(111)의 우측을 통해 좌측으로 연결 배치되는 상호 크로스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130)은,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의 길이가 신축 가변됨에 따라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이어폰 헤드(132)에 연결된 이어폰 와이어(131)의 길이가 상기 링 형태의 목걸이 부재(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기기(200)는,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휴대폰, 스마트폰, 퍼스널컴퓨터(PC), 및 노트북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KR1020150059281A 2015-04-27 2015-04-27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KR101646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281A KR101646241B1 (ko) 2015-04-27 2015-04-27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281A KR101646241B1 (ko) 2015-04-27 2015-04-27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241B1 true KR101646241B1 (ko) 2016-08-10

Family

ID=5671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281A KR101646241B1 (ko) 2015-04-27 2015-04-27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2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773A (ko) * 1999-08-05 1999-11-05 이규상 이어폰내장형 목걸이
KR20010035803A (ko) * 1999-10-04 2001-05-07 정담 이어폰을 구비한 목걸이
KR200432370Y1 (ko) * 2006-08-22 2006-12-04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773A (ko) * 1999-08-05 1999-11-05 이규상 이어폰내장형 목걸이
KR20010035803A (ko) * 1999-10-04 2001-05-07 정담 이어폰을 구비한 목걸이
KR200432370Y1 (ko) * 2006-08-22 2006-12-04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410B1 (en) Tethered electrical components for eyeglasses
US8060031B2 (en) Hands-free cell phone jewelry
US9301037B1 (en) Wireless phone accessory
JP4231525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KR101686205B1 (ko) 넥밴드형 휴대폰용 블루투스 이어셋
US20050107131A1 (en) Wireless apparatus with detachable element
WO2014104926A1 (ru) Гарнитура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2003145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earpiece
KR200480696Y1 (ko) 목걸이형 이어셋
CN107027078B (zh) 可穿戴式的耳机配件、无线耳机以及耳机产品
KR101646241B1 (ko) 목걸이와 결합된 무선 이어폰 장치
CN104471959A (zh) 一种终端设备
KR101109018B1 (ko) 사용성이 향상된 핸즈프리 장치
WO2015196246A1 (en) Wearable communication interface
JP2001169382A (ja) イヤホン装置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CN204906644U (zh) 一种项链式蓝牙耳机
KR101283552B1 (ko) 오디오 출력 및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KR100500218B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KR101134366B1 (ko) 이어폰
KR20160118480A (ko) 팔찌형 스테레오 블루투스 이어셋
KR200181929Y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핸드프리 이어폰
CN208241829U (zh) 可分离式耳机及耳机
KR200414159Y1 (ko) 휴대전화 핸즈프리 기능이 내장된 파우치
KR19990078773A (ko) 이어폰내장형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