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863B1 -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863B1
KR101645863B1 KR1020150037462A KR20150037462A KR101645863B1 KR 101645863 B1 KR101645863 B1 KR 101645863B1 KR 1020150037462 A KR1020150037462 A KR 1020150037462A KR 20150037462 A KR20150037462 A KR 20150037462A KR 101645863 B1 KR101645863 B1 KR 101645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distance
termi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길
이슬기
최보현
문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3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와 제2 통신 단말기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를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해당 단말기들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CALL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H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발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률이 급증하고 전자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유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손의 쥐고서 통화하는 전통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습에서 벗어나 시계에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시켜 손목에 찬 상태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는 다양하고 작은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도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사용자들은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항상 휴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만을 휴대할 수도 있는데, 이때 휴대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는 착신 상태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사용자가 보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그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상황에 따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도 전화벨이 울릴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의 제공이 요청되고 있고, 특히 일률적인 호 처리가 아니라 사용자가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 모두를 휴대하는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가 가장 만족할 수 있는 호 처리 방식의 도입이 요청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01-005949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동일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유한 경우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가장 만족할 수 있는 형태로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착신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시스템은,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와 제2 통신 단말기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를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해당 단말기들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는 별도의 제2 통신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이격 거리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호 수신부와;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된 이격 거리 정보와 기 설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와 제2 통신 단말기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를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해당 단말기들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는 별도의 제2 통신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이격 거리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된 이격 거리 정보와 기 설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를 동일한 사용자가 보유한 경우, 그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만 호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 모두를 통해 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자 만족도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호 처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단말기(210), 제2 통신 단말기(220), 발신 단말기(300), 호 처리 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통신 단말기(210), 제2 통신 단말기(220), 발신 단말기(300)는 모두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인 것을 일 예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 단말기(300)는 전화를 거는 자 즉, 발신자가 조작하는 단말기이고, 제1 통신 단말기(210) 및 제2 통신 단말기(220)는 전화를 받는 자 즉, 착신자가 구비한 단말기라고 가정한다.
즉, 착신자는 제1 통신 단말기(210) 및 제2 통신 단말기(220)를 모두 보유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통신 단말기(210)는 폴더형 피쳐폰 또는 스마트폰 형태의 단말기이고, 제2 통신 단말기(220)는 시계처럼 손목에 찬 상태로 통화할 수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통신 단말기(210)는 제2 통신 단말기(22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통신 단말기(220)와의 통신 상태 또는 제2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단말기(220)와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호 처리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는 실제 물리적인 이격 거리에 비례한 정보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단말기(210)는 제2 통신 단말기(220)에 주기적으로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제2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응답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이를 단순히 알리는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호 처리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모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구비한 경우, 제2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통신 단말기(220)의 위치 정보와 제1 통신 단말기(210) 스스로 판단한 제1 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나타내는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호 처리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통신 단말기(210)는 스스로 판단한 제1 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와 제2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별다른 연산 없이 그대로 호 처리 시스템(100)에 이격 거리 알림 정보로써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제2 통신 단말기(220)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2 통신 단말기(220)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의 통신 상태 또는 제1 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단말기(210)와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호 처리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는 각각 자신의 위치 정보만을 호 처리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호 처리 시스템(100)은 발신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호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발신망과 연계되는 장치, 착신망과 연계되는 장치,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장치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호 처리 시스템(100)의 기능블록을 나타내는데, 도 2의 기능 블록의 적어도 일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망과 연계되는 장치, 착신망과 연계되는 장치, HS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처리 시스템(100)은 등록부(110), 수신부(120)와, 호 처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등록부(110)는 제1 통신 단말기(210) 정보와 제2 통신 단말기(220) 정보를 매칭시켜 제1 통신 단말기(210)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220)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220)를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를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한다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중 어느 하나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에 동시에 발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발신 메시지는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해 전송하는 호 연결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에 대응되는 문자 메시지에 해당할 수도 있고, 기타 발신자가 착신자에 전송하는 다양한 종류의 신호 또는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에 실제 발신 메시지가 동시에 전송되기 위해서는 다른 조건 만족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수신부(120)는 제1 통신 단말기(210), 제2 통신 단말기(220)는 물론이고 발신 단말기(300)로부터 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수신부(120)는 발신 단말기(300)로부터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중 어느 하나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수신부(120)는 제1 통신 단말기(210) 제2 통신 단말기(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정보이다.
호 처리부(130)는 수신부(120)에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 및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호 처리부(130)는 수신부(120)에서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220)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중 착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호 처리부(130)는 제1 통신 단말기(210)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경우, 그 제1 통신 단말기(210)와 함께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된 제2 통신 단말기(220)를 확인하고, 이때 제1 통신 단말기(210) 또는/및 제2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참고하여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 발신 단말기(300)의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즉, 발신 단말기(300)의 발신 메시지에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로써 제1 통신 단말기(210)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호 처리부(130)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이격 거리 알림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에만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격 거리 알림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 및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호 처리부(130)는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210)에만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는 특정 상태 값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도 있고,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의 실제 물리적 이격 거리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의 위치 좌표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호 처리 시스템(100)은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된 단말기 모두에 항상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 착신 대상으로 등록된 단말기들이 서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고려하여 그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만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된 단말기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호 처리 시스템(100)의 동작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를 보유한 사용자가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를 모두 휴대한 경우에는 그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서만 착신에 따른 벨이 울릴 수 있고(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근접 거리에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 및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서 착신에 따른 벨이 울릴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이러한 호 처리 시스템(100)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에서는 호 처리 시스템(100)이 착신망 장치(101), 발신망 장치(103), HSS(102) 로 이루어져 있고, HSS(102)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되어 있는 상태라 가정한다.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는 상호간 통신에 의해 서로 근접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1), 그 결과를 HSS(102)에 전송한다(단계 S3).
이때 근접 거리 여부의 통보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발신 단말기(300) 사용자가 제1 통신 단말기(210)로 전화를 거는 경우 발신 단말기(300)는 제1 통신 단말기(210)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망 장치(103)에 전송한다(단계 S5).
발신망 장치(103)는 HSS(102)에 제1 통신 단말기(210)에 대응되는 착신망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7).
이때 HSS(102)는 제1 통신 단말기(210)에 대응하여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된 제2 통신 단말기(220)를 확인하고(단계 S9),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근접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정보와 착신망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발신망 장치(103)에 전송한다(단계 S11).
여기서 HSS(102)가 발신망 정보에 전송하는 응답 신호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에 연결하기 위한 착신망 정보뿐만 아니라 제2 통신 단말기(220)에 연결하기 위한 착신망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발신망 장치(103)는 HSS(102)로부터 수신된 착신망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단말기(210)로의 호 연결을 착신망 장치(101)에 요청하고(단계 S13), 이에 착신망 장치(101)는 제1 통신 단말기(210)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15).
또한 발신망 장치(103)는 HSS(102)로부터 수신된 근접 거리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근접 거리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17) 제2 통신 단말기(220)로의 호 연결 요청을 수행하지 않고(단계 S19), 만일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근접 거리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17) 착신망 장치(101)에 제2 통신 단말기(220)로의 호 연결을 요청하고 이 경우 착신망 장치(101)는 제2 통신 단말기(220)에도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21).
결과적으로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근접 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에만 착신벨이 울리게 되고,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근접 거리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 착신벨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물론 착신벨 대신에 착신에 따른 진동 등이 발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 단말기(210'), 제2 통신 단말기(220'), 발신 단말기(300), 호 처리 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의 구성은 도 1에 개시된 구성과 차이가 없으나 각 장치들의 기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단말기(210'), 제2 통신 단말기(220'), 발신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두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 단말기(300)는 전화를 거는 자 즉, 발신자가 조작하는 단말기이고, 제1 통신 단말기(210') 및 제2 통신 단말기(220')는 전화를 받는 자 즉, 착신자가 구비한 단말기라고 가정한다.
발신 단말기(300)의 기능은 앞선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호 처리 시스템(100')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되어 있고, 이에 호 처리 시스템(100')은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중 어느 하나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호 처리 시스템(100')이 제1 통신 단말기(210') 또는 제2 통신 단말기(220')에 전송하는 발신 메시지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의 입장에서는 착신 메시지에 해당하므로 이하에서는 착신 메시지라 지칭한다.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는 착신 메시지 수신에 대한 착신 처리 방식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처리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제1 통신 단말기(210')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제2 통신 단말기(22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210')의 기능 블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 단말기(210')는 등록부(211'), 호 수신부(212'), 호 처리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등록부(211')는 제2 통신 단말기(220')와의 통신 상태와 제2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단말기(220')와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이격 거리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등록부(211')에는 소정의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미 도시함)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 단말기(210')가 제2 통신 단말기(220')와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이격 거리 정보가 호 처리 시스템(100')에 저장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되는 것이다. 특히 이격 거리 정보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 등록 및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 수신부(212')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호 처리 시스템(100')에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착신 메시지는 제1 통신 단말기(210') 및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착신 메시지는 상대방으로부터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된 신호 등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상대방이 전화를 거는 경우 수신되는 호 연결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상대방이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송하는 경우 수신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에 대응되는 문자 메시지에 해당할 수도 있다.
호 처리부(213')는 등록부(211')에서 등록된 이격 거리 정보와 기 설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호 처리부(213')는 등록부(211')에서 등록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제2 통신 단말기(220')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 여부에 상관없이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착신 알림 신호의 출력을 위해 호 처리부(213')는 스피커, 진동 모터, 발광 소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일 등록부(211')에서 등록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제2 통신 단말기(220')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즉, 근접 거리에 위치한 상태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호 처리부(213')는 제2 통신 단말기(220')보다 우선순위가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한하여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사용자에 의해 1순위로 설정된 경우에 한하여 호 처리부(213')는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호 처리부(213')는 등록부(211')에서 등록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제2 통신 단말기(220')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고 제2 통신 단말기(220')보다 우선순위가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거부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제2 통신 단말기(220')에서는 예를 들어 착신 알림 벨소리가 출력되고, 제1 통신 단말기(210')에서는 착신에 따른 아무런 반응이 없는 상태이다.
또는 호 처리부(213')는 등록부(211')에서 등록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제2 통신 단말기(220')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고 제2 통신 단말기(220')보다 우선순위가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라도,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하지는 않지만 착신 응답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제2 통신 단말기(220')에서는 예를 들어 착신 알림 벨소리가 출력되고, 제1 통신 단말기(210')에서는 착신에 따른 아무런 알림 반응은 없지만 호 연결은 이루어지는 상태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21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제1 통신 단말기(210')는 제2 통신 단말기(220')와 통신(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단계 S31) 이격 거리 정보를 등록한다(단계 S33).
예를 들어 제1 통신 단말기(210')는 제2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주기적으로 특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통신 단말기(220')가 근접 거리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이격 거리 정보로써 등록할 수 있다.
그 후, 제1 통신 단말기(210')는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단계 S35) 기 등록 또는 저장된 이격 거리 정보를 기초로 제2 통신 단말기(220')와 근접 거리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37) 착신에 따른 처리, 예를 들어 착신 벨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S41).
다른 예로써 제1 통신 단말기(210')는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단계 S35) 기 등록 또는 저장된 이격 거리 정보를 기초로 제2 통신 단말기(220')와 근접 거리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단계 S37) 제2 통신 단말기(220')보다 자신이 우선순위가 높은지를 판단한다(단계 S39).
예를 들어 사용자 등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가 1순위로 설정된 경우 제1 통신 단말기(210')는 착신을 알리는 벨소리를 출력할 수 있고(단계 S41), 예를 들어 우선순위 정보가 2순위로 설정된 경우 제1 통신 단말기(210')는 착신 거부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에 동일한 발신자로부터 걸려온 전화 즉, 착신 메시지가 도달하는 경우,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서로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모두에서 착신에 따른 처리(예를 들어 착신 벨소리 출력 또는 착신 호 연결 등)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가 서로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서만 착신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제1 통신 단말기(210')와 제2 통신 단말기(220')를 모두 휴대한 경우에는 그 중 어느 하나에서만 착신 벨소리가 출력되므로 복수의 단말기 모두에서 착신 벨소리가 출력됨에 따른 종래의 불편이 해소되고, 또한 제1 통신 단말기(210')만을 휴대한 경우에는 비록 제2 통신 단말기(220')로 걸려온 전화도 제1 통신 단말기(210')에서 착신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제2 통신 단말기(220')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이격 거리 정보 등록 과정이 착신 메시지 수신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격 거리 정보 등록 과정이 착신 메시지 수신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100' : 호 처리 시스템 210,210' : 제1 통신 단말기
220,220' : 제2 통신 단말기 300 : 발신 단말기
110 : 등록부 120 : 수신부
130 : 호 처리부 211' : 등록부
212' : 호 수신부 213' : 호 처리부

Claims (16)

  1. (a)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와 제2 통신 단말기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를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해당 단말기들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상기 착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는 별도의 제2 통신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이격 거리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이격 거리 정보와 기 설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보다 우선순위가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보다 우선순위가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거부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보다 우선순위가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로 착신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0.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와 제2 통신 단말기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를 동시 착신 대상으로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해당 단말기들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이격 거리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착신 단말기로 하는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모두에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이격 거리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중 상기 착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발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시스템.
  12.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는 별도의 제2 통신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이격 거리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호 수신부와;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된 이격 거리 정보와 기 설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보다 우선순위가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보다 우선순위가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거부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한 이격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보다 우선순위가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메시지에 대한 착신 알림 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로 착신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150037462A 2015-03-18 2015-03-18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5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462A KR101645863B1 (ko) 2015-03-18 2015-03-18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462A KR101645863B1 (ko) 2015-03-18 2015-03-18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863B1 true KR101645863B1 (ko) 2016-08-05

Family

ID=5671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462A KR101645863B1 (ko) 2015-03-18 2015-03-18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8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495A (ko) 1999-12-30 2001-07-06 윤종용 휴대폰의 착신 알림모드 자동전환방법
KR20070091768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인티큐브 착신단말의 현재상태를 기반으로 한 프레즌스 메시징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495A (ko) 1999-12-30 2001-07-06 윤종용 휴대폰의 착신 알림모드 자동전환방법
KR20070091768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인티큐브 착신단말의 현재상태를 기반으로 한 프레즌스 메시징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50229781A1 (en) Ringtone caller id
JP2016533111A (ja) 電話発信識別方法、電話発信識別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113336B2 (en) Software application for intercepting phone call and text messages from specific contacts
JP5661107B2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295147B2 (ja) 通信端末
EP210616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ubscriber identity code notification apparatus
KR101475857B1 (ko) 발신측 제어 착신 벨소리 전환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1187B1 (ko) 대표전화번호를 이용한 그룹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1790896B1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5863B1 (ko)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호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96162A (ko)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7184158A (ja) 呼処理システム及び呼処理方法
KR200700880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방법
KR101939896B1 (ko) 다양한 설정 모드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11904B1 (ko) 발신자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57728A (ko) 이동 단말의 벨소리 상태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0590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전환 방법
KR102393653B1 (ko) 호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82575A (ko) 위치 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JP2007082089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1621406B1 (ko) 주소록 기반의 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87656B1 (ko) 발신자 정보의 호 데이터를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1396876B1 (ko) 이동단말 통화자 간 위치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이동단말
JP2006115382A (ja) 着信音声システム,交換機及び着信音声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