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795B1 -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795B1
KR101645795B1 KR1020140084820A KR20140084820A KR101645795B1 KR 101645795 B1 KR101645795 B1 KR 101645795B1 KR 1020140084820 A KR1020140084820 A KR 1020140084820A KR 20140084820 A KR20140084820 A KR 20140084820A KR 101645795 B1 KR101645795 B1 KR 101645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time
image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878A (ko
Inventor
조준동
김종학
송상협
신한수
오정균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7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 영상 시스템은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이 조절되는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하고,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는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에 따라,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안경 장치는 동기화 정보로부터 식별된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며,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에 따라 생성된 입체감 설정 정보를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STEREOSCOPIC GLASS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CAPABLE OF ADJUSTING 3-DIMENSIONAL SENSATION AND METHOD FOR ADJUSTING 3-DIMENSIONAL SENSATION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스테레오스코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깊이감에 관한 것이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stereoscopic image) 기술은 대표적인 입체 영상 기술로서, 사람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분리된 두 종류의 영상들을 각각 입력하고, 사람의 두뇌가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력된 영상들을 합성하여 가상의 입체감이 느껴지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력되기 위한 두 종류의 영상들은 사람의 양안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카메라들로 촬영한 좌영상과 우영상을 기반으로 얻을 수 있다. 두 개의 카메라들에 의해 획득되는 두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은 동일한 피사체에 상응하는 픽셀들 사이에 디스패리티(disparity)를 가지는데, 디스패리티에 의해 피사체의 깊이 정보(뎁스, depth)가 생성되며, 이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이 각각 좌안과 우안에 입력되면 사용자는 서로 다른 깊이 정보를 가지는 피사체들에 의해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좌안과 우안에 각각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영상들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편광 방식, 시분할 방식 및 스펙트럼 분할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 방식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에는 좌안을 위한 좌영상 라인들에서 발산되는 빛과 우안을 위한 우영상 라인들에서 발산되는 빛을 각각 서로 직교하도록 편광시키는 편광 필터가 부착되고, 사용자는 편광 안경을 착용하여 좌영상과 우영상을 분리 인식하는 방식이다. 좌영상 라인들에서 발산하는 빛은 편광 안경의 좌안 편광 필터만을 통과하여 좌안에만 입사하고 우영상 라인들에서 발산하는 빛은 편광 안경의 우안 편광 필터만을 통과하여 우안에만 입사하므로, 사용자는 좌영상과 우영상을 결합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시분할 방식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에서 좌안을 위한 좌영상과 우안을 위한 우영상을 각각 번갈아가며 표시하고 사용자는 능동식 셔터 안경을 착용하여 좌영상과 우영상을 분리 인식하는 방식이다. 능동식 셔터 안경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와 동기되어, 좌영상이 표시될 때에는 좌안 셔터를 열어 좌안이 좌영상을 인식하게 하고 우영상이 표시될 때에는 우안 셔터를 열어 우안이 우영상을 인식하게 하며, 사용자는 좌영상과 우영상을 결합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스펙트럼 방식은 RGB 스펙트럼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스펙트럼 대역을 가지는 스펙트럼 필터를 통해 좌우 영상을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가 표시하고 사용자는 스펙트럼 필터 안경을 착용하여 좌우 영상을 분리 인식하는 방식이다.
어떤 방식의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이든,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것은 피사체의 디스패리티에 따라 깊이 정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스크린 크기, 해상도, 설치 장소나 용도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따라, 동일한 깊이 정보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이라도 입체감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라면, 상대적으로 작은 스크린을 가까이서 보는 상황이기 때문에 배경 평면과 전경 평면 사이에 깊이 간격이 좀더 커져야 어느 정도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은 운동 시차(motion parallax)와 초점 조절(accommodation) 정보가 뇌에 전달되지 않거나 뇌에서 충돌을 일으켜 이른바 입체 피로, 입체 멀미를 초래할 수 있다.
입체감을 늘리거나 입체감을 줄이는 프로세스의 핵심은 깊이 맵에서 얻어지는 깊이 평면들을 적절히 스케일링하는 것이다. 깊이 평면들의 스케일링 기법은 예를 들어, 방송공학회 논문지 2011년 제16권 제6호, pp 916-926 "깊이맵 변환을 이용한 3D 입체감 개선 방법" 등을 참조할 수 있다.
[1] 장성은 외, "깊이맵 변환을 이용한 3D 입체감 개선 방법" 방송공학회 논문지 2011년 제16권 제6호, pp. 916-9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피로도에 따라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사용자의 피로도 또는 개별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전체적인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별 사용자의 피로도 또는 개별 설정에 따라 2D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이 조절되는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는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는,
상기 동기화 정보로부터 식별된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며,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에 따라 생성된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깊이 맵을 생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깊이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상기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하며, 상기 보상된 깊이 맵을 기초로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는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는,
사용자의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입체감 없음" 설정을 포함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는,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이면,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을 함께 교번하여 차단하거나 투명하게 하고,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이 아닌 다른 설정인 경우에,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교번 시점에 맞춰 상기 좌측 셔터드 글래스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 중 어느 하나를 교번하여 차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깊이 맵을 생성하고, 외부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깊이 범위를 결정하며,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하는 깊이 정보 조절부;
상기 보상된 깊이 맵을 기초로,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입체 영상 생성부;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깊이 정보 조절부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입체감 설정 정보들의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하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산출된 입체감에 기초하여 깊이 범위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깊이 정보 조절부는,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에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에서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을 제외한 나머지 입체감 설정 정보들의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하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산출된 입체감에 기초하여 깊이 범위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입체 영상 안경 장치는,
좌측 및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서 식별된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셔터 제어부; 및
사용자의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시각적 피로도에 따라 생성한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입체감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감 설정부는,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입체감 없음" 설정을 포함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셔터 제어부는,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이면,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을 함께 교번하여 차단하거나 투명하게 하고,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이 아닌 다른 설정인 경우에,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교번 시점에 맞춰 상기 좌측 셔터드 글래스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 중 어느 하나를 교번하여 차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감 설정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감 설정부는,
사용자의 안구 방향을 향하도록 안경테에 부착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시스템을 위한 입체 영상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깊이 맵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깊이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상기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보상된 깊이 맵을 기초로,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상기 동기화 정보로부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을 식별하고,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깊이 맵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깊이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상기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수신된 복수의 입체감 설정 정보들의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하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결정된 입체감에 기초하여 상기 깊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깊이 맵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깊이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상기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에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에서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을 제외한 나머지 입체감 설정 정보들의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하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산출된 입체감에 기초하여 깊이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에 따라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는 적어도 "입체감 없음"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상기 동기화 정보로부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을 식별하고,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이면,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을 함께 교번하여 차단하거나 투명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이 아닌 다른 설정인 경우에,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교번 시점에 맞춰 상기 좌측 셔터드 글래스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 중 어느 하나를 교번하여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방향을 향하도록 안경테에 부착된 이미지 센서로부터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로도에 따라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의 피로도 또는 개별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전체적인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에 따르면, 개별 사용자의 피로도 또는 개별 설정에 따라 다른 사용자들의 입체 영상 감상을 방해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2D 영상 감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장치와 입체 영상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장치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시스템에서, 일부 사용자들의 피로도 또는 개별 설정에 따라 전체적인 입체감이 조절되는 모습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의 입체감 조절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장치와 입체 영상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 영상 시스템(10)은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각각의 사용자들이 착용할 수 있는 셔터 글래스 방식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이 조절되는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하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는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에 따라,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한다.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동기화 정보로부터 식별된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shuttered glasses)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며, 사용자의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 설정인 경우에, 좌영상 또는 우영상 중 어느 한 영상의 교번 시점에 맞춰 좌측 셔터드 글래스와 우측 셔터드 글래스를 함께 차단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처리부(110), 깊이 정보 조절부(120), 입체 영상 생성부(130), 동기화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10)는 영상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 수신된 공중파로부터 추출된 영상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 스케일링 및 그 밖에 필요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한다.
깊이 정보 조절부(120)는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깊이 맵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깊이 범위를 결정하며,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한다.
깊이 정보 조절부(120)는 수신된 복수의 입체감 설정 정보들에 대해, 소정의 정책에 따라, 예를 들어 입체감 설정 정보들의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하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입체감을 결정할 수 있다.
깊이 정보 조절부(120)는,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에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이 있는 경우에는, 수신된 복수의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에서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을 제외한 나머지 입체감 설정 정보들에 대해서만, 소정의 정책에 따라,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최저값 중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깊이 범위는, 예를 들어, 깊이 맵에서 분포된 깊이 평면들의 범위를 한꺼번에 변동할 수 있는 스케일링 비율로서, 예를 들어 보상하지 않은 깊이 맵의 깊이 평면들의 범위를 기준으로 30%, 50% 또는 100%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깊이 범위가 낮아지면 깊이감 또는 입체감도 낮아질 수 있다.
깊이 범위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방송공학회 논문지 2011년 제16권 제6호, pp 916-926 "깊이맵 변환을 이용한 3D 입체감 개선 방법"과 같은 깊이 조절 기법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입체 영상 생성부(130)는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보상된 깊이 맵을 기초로,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시분할 입체 영상은 소정 주기로 반복하는 시구간들의 각각마다 각 다시점 영상의 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예를 들어, 좌영상과 우영상이 교번하면서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짜여진 영상이다.
동기화부(140)는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부(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동기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동기화 정보에 따라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6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2.4 GHz 대역의 무선 통신, 적외선 통신(IrDA)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며, 동기화부(140)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특히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를 예시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장치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211, 21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셔터 제어부(230) 및 입체감 설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체감 설정부(240)는 안구 검출부(241),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242) 및 입체감 결정부(243)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체감을 설정할 수 있도록 수동 설정부(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교변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를 기초로, 시분할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다시점 영상들의 각각, 즉 좌영상 또는 우영상이 각각 스크린에 교번하여 표시되는 시구간에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 중 어느 하나를 투명하게 만들고 다른 하나를 불투명하게 만듦으로써, 사용자가 시구간마다 좌영상 또는 우영상 중 어느 한 영상만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60)로부터 송출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셔터 제어부(230)에 제공한다.
셔터 제어부(230)는 동기화 정보로부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하는 시점을 식별하고, 좌영상이 표시되는 시구간에는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는 투명하게 되고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는 차단되며, 우영상이 표시되는 시구간에는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는 차단되고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는 투명하게 되도록, 교번 시점에 맞춰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 중 어느 하나를 교번하여 차단한다.
한편, 셔터 제어부(23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입체감 결정부(243) 또는 수동 설정부(244)에 의해 설정되는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 즉 2D 영상 모드에 상응하는 경우에, 좌영상 또는 우영상 중 어느 한 영상의 교번 시점에 맞춰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와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를 함께 차단한다. 즉, 셔터 제어부(230)는, 좌영상 또는 우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이 표시되는 시구간에는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와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를 함께 투명하게 하고, 나머지 영상이 표시되는 시구간에는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와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를 함께 차단한다.
입체감 설정부(240)는 안구 검출부(241), 피로도 판정부(242) 및 입체감 결정부(24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안구 검출부(241)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안구 방향을 향하도록 안경테(213)에 부착된 저해상도의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센서로 구현된 안구 검출부(241)는 사용자의 안구가 눈꺼풀에 의해 짧게 가려지는 빈도에 따라 눈깜빡임의 빈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센서로 구현된 안구 검출부(241)는 사용자의 안구가 눈꺼풀에 의해 가려진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센서로 구현된 안구 검출부(241)는 사용자의 안구가 눈꺼풀에 의해 가려지는 시간에 따라 사용자가 눈을 감고 있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242)는 안구 검출부(241)에서 검출된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시각적 피로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242)는 눈깜빡임 빈도를 수치화하고, 안구가 눈꺼풀에 가려진 비율을 수치화하며, 눈을 깜빡이는 동안 눈을 감고 있는 시간을 수치화할 수 있고, 이들 수치들과 시각적 피로도 사이의 관계에 관하여 경험적으로 획득한 관계식에 따라, 이러한 수치들로부터 입체 영상의 시청에 따른 시각적 피로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242)는 눈깜빡임 빈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높으면 눈을 자주 깜빡거린다고 판단하고, 안구가 눈꺼풀에 가려진 비율이 소정의 기준보다 높으면 눈을 찡그리고 있다고 판단하며, 눈을 깜빡이는 동안 눈을 감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기준보다 길면 눈이 피로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식별되는 증상들의 개수나 그 정도에 따라 입체 영상의 시청에 따른 시각적 피로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242)는 식별되는 증상이 하나이면 시각적 피로도를 "보통"으로, 둘 이상이면 "높음"으로 판정할 수 있다.
입체감 결정부(243)는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에 따라 또는 수동 설정부(244)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셀렉터 위치에 따라 생성한 입체감 설정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감 결정부(243)는, 시각적 피로도가 "없음", "낮음", "보통", "높음" 중에 "높음"으로 판정될 경우에, 사용자에게 적절한 입체감에 관한 입체감 설정 정보를 "입체감 없음", "낮음", "보통", "높음" 중에 "낮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수동 설정부(244)는 사용자가 원하는 셀렉터 위치의 선택을 위해 조작할 수 있는 복수의 셀렉터 위치들을 제공한다. 수동 설정부(244)는 예를 들어, 입체감 설정 정보를 "입체감 없음", "낮음", "보통", "높음"으로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셀렉터 위치들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피로도 판정부(242) 및 입체감 결정부(243)는, 요구되는 전력 또는 연산 능력을 줄일 수 있도록,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 내에 구현되는 대신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서, 예를 들어 깊이 정보 조절부(120)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들(200)로부터 복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사용자들마다 서로 다른 입체감 설정 정보를 보내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사용자들마다 다른 입체감 설정들을 조화시킬 수 있도록, 입체감 설정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깊이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깊이 정보 조절부(120)는 복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들(2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입체감 설정 정보들의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어느 한 값에 따라 깊이 범위를 결정하며,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체감 설정 정보들의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또는 최저값이 낮아지면, 깊이 범위도 좁아지고, 보상 깊이 맵이 생성되며, 보상 깊이 맵에 따라 다시점 영상들에서 디스패리티가 조절된 입체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시스템에서, 일부 사용자들의 시각적 피로도 또는 개별 설정에 따라 전체적인 입체감이 조절되는 모습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6 명의 사용자들 중에 세 명은 시각적 피로를 약간 느끼는 중이고 한 명은 시각적 피로를 많이 느끼며, 나머지 두 명은 전혀 문제를 느끼지 못한다고 가정한다.
상부의 (a)는 입체감을 조절하기 전의 상황이고, 하부의 (b)는 입체감을 조절한 후의 상황이다. (a)의 입체 영상에 비해 (b)의 입체 영상은 배경과 전경 사이가 상당히 좁아지고 전체적으로 입체감이 크게 줄어든다.
각 사용자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들(200)은 각 사용자의 안구 상태, 눈깜박임 상태, 눈 감는 시간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생성하고,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입체감 설정 정보들에 대해, 정책에 따라,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하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입체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b)에서, 되도록 많은 수의 사용자들이 느끼는 시각적 피로를 감안하여 입체감을 맞춘다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의 최빈값이나 평균값을 기준으로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체감이 약간 줄어드는 정도에서 결정된 깊이 범위에 기초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하고, 보상된 깊이 맵에 기초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각적 피로가 가장 큰 사용자를 감안하여 입체감을 맞춘다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 최저값을 기준으로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적 피로를 느끼지 않는 사용자들에게는 입체 영상의 입체감이 많이 나빠지게 된다.
또 다른 예에서, 시각적 피로가 가장 적은 사용자를 감안하여 입체감을 맞춘다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 최고값을 기준으로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시각적 피로를 심하게 느끼는 사용자들에게, 입체 영상의 입체감이 다소 줄어드는 정도로는 입체 영상의 피로도가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다.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를 벗고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직접 보는 것도 어려운 일이지만, 단지 시각적 피로 때문에 컨텐츠 감상을 포기하기도 곤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입체감만 포기한다면 컨텐츠를 무리없이 감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셀렉터 조작 또는 피로도 판정에 따라 "입체감 없음"으로 입체감 설정 정보가 설정될 경우에, 2D 영상 감상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2D 영상 감상 모드일 경우에,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좌영상 또는 우영상 중 어느 한 영상만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좌영상 및 우영상의 교번 시점에 맞춰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와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를 함께 차단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3의 (c)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3의 (c)는 일부 사용자들의 개별 설정에 따라 개별적으로 2D 영상 감상 모드로 전환되는 모습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6 명의 사용자들 중에 한 명은 시각적 피로를 약간 느끼는 중이고 한 명은 시각적 피로를 많이 느끼며, 두 명은 셀렉터 위치를 "입체감 없음"에 놓았고, 나머지 두 명은 전혀 문제를 느끼지 못한다고 가정한다.
(a)의 입체 영상에 비해 (c)의 입체 영상은 배경과 전경 사이가 약간 더 좁아지고 전체적으로 입체감이 다소 줄어들었지만, (b)의 입체 영상보다는 정도가 덜 하다.
시각적 피로를 많이 느낀 사용자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와, 셀렉터 위치를 "입체감 없음"에 놓은 사용자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들(200)은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생성하고,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 경우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을 다른 입체감 설정 정보들과 다르게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감 없음"으로 설정된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좌영상 또는 우영상만으로 된 2D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므로, 이들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더 이상 입체감에 관한 조절에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에서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을 제외한 나머지 입체감 설정 정보들에 대해서만, 정책에 따라,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최저값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 최빈값이나 평균값을 기준으로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체감이 약간 줄어드는 정도에서 결정된 깊이 범위에 기초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하고, 보상된 깊이 맵에 기초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b)와 비교하면, "입체감 없음"으로 설정된 사용자들을 제외한 사용자들 중에 시각적 피로가 가장 큰 사용자를 감안하여 입체감을 맞추더라도,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남은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 최저값을 기준으로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의 (c)에 예시된 경우에서, 약간의 시각적 피로를 느끼는 사용자 한 명과 시각적 피로를 전혀 느끼지 않는 사용자 두 명만 감안하여 입체감을 조절하므로, 시각적 피로를 느끼지 않는 두 사용자들에게 조정된 입체 영상의 입체감이 약간 나빠질 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체 영상의 입체감 조절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각각의 사용자들이 착용할 수 있는 셔터 글래스 방식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들(200)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시스템(10)을 위한 입체 영상의 입체감 조절 방법으로서, 단계(S41)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S41)에서,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한다.
단계(S42)에서,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깊이 맵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깊이 범위를 결정하며,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한다.
단계(S43)에서,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보상된 깊이 맵을 기초로,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
단계(S44)에서,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에 따라,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한다.
단계(S45)에서,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가, 동기화 정보로부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을 식별하고,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이면,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211, 212)을 함께 교번하여 차단하거나 투명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211, 212)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 설정인 경우에, 좌영상 또는 우영상 중 어느 한 영상의 교번 시점에 맞춰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와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를 함께 차단한다. 즉,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좌영상 또는 우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이 표시되는 시구간에는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와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를 함께 투명하게 하고, 나머지 영상이 표시되는 시구간에는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와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를 함께 차단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는,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이 아닌 다른 설정인 경우에,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영상이 표시되는 시구간에는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는 투명하게 되고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는 차단되며, 우영상이 표시되는 시구간에는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는 차단되고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는 투명하게 되도록, 교번 시점에 맞춰 좌측 셔터드 글래스(211)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212) 중 어느 하나를 교번하여 차단한다.
단계(S46)에서, 입체 영상 안경 장치(200)가,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입체감 없음" 설정을 포함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입체 영상 시스템
100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0 영상 처리부
120 깊이 정보 조절부
130 입체 영상 생성부
140 동기화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통신 인터페이스
200 입체 영상 안경 장치
211, 212 셔터드 글래스
220 통신 인터페이스부
230 셔터 제어부
240 입체감 설정부
241 안구 검출부
242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
243 입체감 결정부
244 수동 설정부

Claims (20)

  1.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깊이 맵을 생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깊이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상기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하며, 상기 보상된 깊이 맵을 기초로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는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는,
    사용자의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적어도 "입체감 없음" 설정을 포함하도록 생성된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며,
    만약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 설정이면, 상기 동기화 정보로부터 식별된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을 함께 교번하여 차단하거나 투명하게 하고,
    만약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 설정이 아닌 다른 설정인 경우에, 상기 동기화 정보로부터 식별된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맞춰 상기 좌측 셔터드 글래스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 중 어느 하나를 교번하여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는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 통신 인터페이스부, 셔터 제어부 및 입체감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감 설정부는 안구 검출부,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 및 입체감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는 눈깜빡임 빈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높으면 눈을 자주 깜빡거린다고 판단하고, 안구가 눈꺼풀에 가려진 비율이 소정의 기준보다 높으면 눈을 찡그리고 있다고 판단하며, 눈을 깜빡이는 동안 눈을 감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기준보다 길면 눈이 피로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식별되는 증상들의 개수나 그 정도에 따라 입체 영상의 시청에 따른 시각적 피로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좌측 및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서 식별된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셔터 제어부; 및
    사용자의 안구 방향을 향하도록 안경테에 부착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사용자의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시각적 피로도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적어도 "입체감 없음" 설정을 포함하도록 생성한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입체감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제어부는,
    만약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 설정이면,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을 함께 교번하여 차단하거나 투명하게 하고,
    만약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 설정이 아닌 다른 설정인 경우에,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상기 교번 시점에 맞춰 상기 좌측 셔터드 글래스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 중 어느 하나를 교번하여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입체감 설정부는 안구 검출부,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 및 입체감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적 피로도 판정부는 눈깜빡임 빈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높으면 눈을 자주 깜빡거린다고 판단하고, 안구가 눈꺼풀에 가려진 비율이 소정의 기준보다 높으면 눈을 찡그리고 있다고 판단하며, 눈을 깜빡이는 동안 눈을 감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기준보다 길면 눈이 피로하다고 판단하고, 식별되는 증상들의 개수나 그 정도에 따라 입체 영상의 시청에 따른 시각적 피로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안경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시분할 방식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입체 영상 안경 장치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시스템을 위한 입체 영상의 입체감 조절 방법으로서,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좌영상 및 우영상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깊이 맵을 생성하고, 만약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에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입체감 설정 정보들 중에서 "입체감 없음"에 상응하는 입체감 설정 정보들을 제외한 나머지 입체감 설정 정보들의 평균값, 최빈값,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하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산출된 입체감에 기초하여 깊이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깊이 범위에 따라 상기 깊이 맵을 보상하여 보상된 깊이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보상된 깊이 맵을 기초로, 상기 다시점 영상들로부터 시분할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교번 시점에 관한 동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교번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방향을 향하도록 안경테에 부착된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눈깜빡임 빈도, 눈꺼풀 비율, 또는 눈 감은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정된 시각적 피로도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입체감 없음"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만약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 설정이면, 상기 동기화 정보로부터 식별된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셔터드 글래스들을 함께 교번하여 차단하거나 투명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 영상 안경 장치가, 만약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가 "입체감 없음" 설정이 아닌 다른 설정인 경우에, 상기 동기화 정보로부터 식별된 상기 시분할 입체 영상의 교번 시점에 맞춰 상기 좌측 셔터드 글래스 또는 우측 셔터드 글래스 중 어느 하나를 교번하여 차단하고 다른 하나를 투명하게 하도록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적 피로도의 판정은 눈깜빡임 빈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높으면 눈을 자주 깜빡거린다고 판단하고, 안구가 눈꺼풀에 가려진 비율이 소정의 기준보다 높으면 눈을 찡그리고 있다고 판단하며, 눈을 깜빡이는 동안 눈을 감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기준보다 길면 눈이 피로하다고 판단하고, 식별되는 증상들의 개수나 그 정도에 따라 입체 영상의 시청에 따른 시각적 피로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시스템을 위한 입체 영상의 입체감 조절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84820A 2014-07-07 2014-07-07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 KR101645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20A KR101645795B1 (ko) 2014-07-07 2014-07-07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20A KR101645795B1 (ko) 2014-07-07 2014-07-07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878A KR20160005878A (ko) 2016-01-18
KR101645795B1 true KR101645795B1 (ko) 2016-08-16

Family

ID=5530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820A KR101645795B1 (ko) 2014-07-07 2014-07-07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7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451A (ja) * 1995-07-05 1997-01-21 Sanyo Electric Co Ltd 感性応答制御装置
KR101385480B1 (ko) * 2012-05-29 2014-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시청 피로를 저감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878A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0733B (zh) 一种基于人眼跟踪的裸眼3d显示方法
JP5515301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WO2011108702A1 (ja) 立体視映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視映像表示装置の動作方法
JP5148016B2 (ja) 立体映像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1193460A (ja) 3d映像画質調整方法、3dディスプレイ装置、3dメガネ及び3d映像提供システム
JP2012213633A (ja) 視標呈示装置
JP201121002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10114257A (ko)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드 설정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TW201143369A (en) Glasses for viewing stereo images
JP2014500674A (ja) 適応的な両眼差をもつ3d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20139455A (ko) 3d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이상자의 시기능 훈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기능 훈련방법
US20120099195A1 (en) Eyewea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allowing viewing of image
US2015007047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1376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3d 영상 인식 진단 방법
JP2013128181A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3225745A (ja)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立体映像投射装置、アクティブシャッターメガネおよび視差量制御方法
KR101320477B1 (ko) 카메라 간격 및 이동속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US20140347451A1 (en) Depth Adaptation for Multi-View System
KR20120070363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45795B1 (ko)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안경,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감 조절 방법
JP5402070B2 (ja) 画像提示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提示方法
US106597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136326A (ko) 삼차원 입체안경의 수평각 정보를 반영한 삼차원 스테레오스코픽 렌더링 시스템
US20130021330A1 (en) Display apparatus with 3-d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06253A (ja) 立体画像処理装置、立体画像処理方法、及び立体画像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