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408B1 -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408B1
KR101645408B1 KR1020150085203A KR20150085203A KR101645408B1 KR 101645408 B1 KR101645408 B1 KR 101645408B1 KR 1020150085203 A KR1020150085203 A KR 1020150085203A KR 20150085203 A KR20150085203 A KR 20150085203A KR 101645408 B1 KR101645408 B1 KR 10164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ceiving
body portion
coil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금용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5008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1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끼움 삽입 과정 없이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유도전류 생산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송신코일을 포함하는 송신기가 개시된다. 또한, 송신기로부터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코일을 포함하는 배터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BATTERY}
본 발명은 2차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끼움 삽입 과정 없이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유도전류 생산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송신코일을 포함하는 송신기가 개시된다. 또한, 송신기로부터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코일을 포함하는 배터리가 개시된다.
2차 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종래에는 2차 전지를 충전기에 끼움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2차 전지의 축전부를 충전해 왔는데, 이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삽입되는 2차 전지를 회수하여 다시 충전기에 2차 전지를 끼움 삽입하는 과정을 동반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2차 전지의 규격은 다양한 규격으로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해당 규격에 맞는 충전기를 구비해야만 다양한 규격의 2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5436호는 무선 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두 쌍의 제 1 코일 및 이를 감싸는 제 2 코일이 동일한 횡방향선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흐르는 유도전류를 수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5436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차전지가 장착된 전자기기에서 2차전지만을 제거하여 충전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차전지의 규격에 맞을 충전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차전지가 어떠한 방향에 거치되더라도 효과적으로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보다 높은 효율의 충전을할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도전류를 생산하는 수신코일의 유도전류 밀도를 고루 분포시켜 어떠한 위치에 2차전지가 위치하더라도 높은 효율의 무선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된 몸체부, 몸체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송신코일 및 송신코일을 구동시키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수신기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을 포함하는 배터리이고, 배터리는 유도전류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 수신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류회로 및 정류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규격에 대응하는 충전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무선 충전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그대로 수용하여, 전자기기에서 배터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떠한 방향으로 전자기기 또는 배터리가 수용공간에 안착되더라도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 내부에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공간의 유도전류의 밀도가 고루 분포되기 때문에, 어떠한 위치에 전자기기가 위치되더라도 효과적인 무선충전을 할 수 있기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의 다양한 몸체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의 몸체부의 송신코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의 반구형 몸체부 및 페라이트층으로 인한 유도전류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의 다각형 몸체부, 원통형 몸체부 및 페라이트층으로 인한 유도전류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의 몸체부 및 송신코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의 반구형 몸체부 및 페라이트층으로 인한 유도전류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의 다각형 몸체부, 원통형 몸체부 및 페라이트층으로 인한 유도전류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의 몸체부에 구비되는 기둥부 및 기둥부로 인한 유도전류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의 몸체부의 형상에 따른 기둥부의 다양한 일례를 나타낸 단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배터리의 송신코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배터리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배터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배터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10) 및 배터리(20)의 송신기(10)는 유도전류(210)를 통해 수신코일(400)이 구비되는 수신기들을 무선충전하는 송신기(10)로서, 상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송신기(10)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100), 몸체부(100)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유도전류(210)를 송신하는 송신코일(200), 송신코일(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송신코일(200)을 구동시키는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0) 내측에 기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무선 충전되는 수신기는 배터리(20)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20)는 몸체부(100)의 송신코일(200)에서 송신되는 유도전류(210)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400), 수신코일(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전환시키는 정류회로(500) 및 정류회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으로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100)는 수신코일(400)을 구비하는 수신기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110)이 형성된다. 몸체부(10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몸체부(100)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수신기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부(101)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원통형 몸체부(101)의 경우 저면의 베이스부재(130) 및 내측의 전자기기들을 원형으로 감싸는 원형의 측벽(120)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일례로, 몸체부(100)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수신기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다각형 몸체부(102)로 구비될 수 있다. 다각형 몸체부(102)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및 오각기둥과 같이 다양한 개수의 면으로 이루어진 다각형 몸체부(102)이다. 다각형 몸체부(102)의 경우, 저면의 베이스부재(130) 및 측면의 셋 이상의 측벽(120)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일례로, 몸체부(100)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측에 수신기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반구형 몸체부(103)로 구비될 수 있다. 추가로, 반구형 몸체부(103)는 지지를 위한 지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반구형 몸체부(103)는 구형을 일례로 들지만, 포물선과 같은 쌍곡면으로 이루어진 반구형 몸체부(103)일 수 있다. 여기서, 반구형 몸체부(103)의 경우 반구형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베이스부재(130)는 구비되지 않고, 내측이 소정의 공간(110)이 형성된 측벽(120)만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베이스부재(130)가 구비되지 않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반구형 몸체부(100)를 지지하기 위해 몸체부(100) 저면에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술한 원통형 기둥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몸체부(101) 및 다각형 기둥으로 이루어진 다각형 몸체부(102)는 저면과 상면의 크기가 동일한 기둥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위와 같은 동일한 크기의 상면 및 저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저면의 넓이보다, 상면의 넓이가 더 넓거나 좁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반구형 몸체부(103)의 경우 도자기 및 옹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발명자의 발명정신에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속한다.
몸체부(100)는 몸체부(100)의 측벽(120)에 하나 이상의 송신코일(200)이 구비된다. 송신코일(200)은 유도전류(210)를 발생시켜 몸체부(100) 내측에 수용되는 송신기(10)의 수신코일(400)로 유도전류(210)를 송신하는 구성이다.
송신코일(200)의 일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 구비되는 송신코일(201)은 몸체부(100) 내측에 위치하고, 몸체부(100)의 측벽(120)을 따라 몸체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100)의 내측에 권취된다.
몸체부(100)가 원통형 몸체부(101) 또는 다각형 몸체부(102)로 구비되는 경우, 송신코일(201)은 측벽(120) 내에 위치하고, 측벽(120)의 둘레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권취된다.
몸체부(100)가 반구형 몸체부(103)로 구비되는 경우, 반구형 몸체부(103)의 측벽(120)을 내에 위치하고, 측벽(120)의 둘레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권취된다. 이때, 반구형 몸체부(103)는 원활한 유도전류(210)의 송신을 위해, 중심축 저면의 소정공간(110)을 제외한 측벽(120)에 송신코일(201)이 권취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코일(20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 구비되는 송신코일(202)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몸체부(100)의 측벽(120)에 배열된다. 복수개의 송신코일(202)은 각각 몸체부(100)에 수신기가 수용되는 소정공간(11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권취된다.
또한, 송신코일(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송신코일(200)을 구동시키는 회로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회로부는 송신코일(200)에 전류를 가해 송신코일(200)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동하는 구성으로서, 회로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의 전류를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몸체부(100)에 구비되는 송신코일(201)이 몸체부(100)의 측벽(120)을 따라 높이 방향을 향하도록 권취는 실시예인 경우, 몸체부(1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페라이트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페라이트층(300)은 송신코일(201) 보다 외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일례로 하고, 몸체부(100)의 형상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데,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원통형 몸체부(101)인 경우 원통형의 측벽(120)에 대응되는 형상의 하나의 페라이트층(300)이 구비되고, 원통형 몸체부(101)의 베이스부재(130)에 하나의 페라이트층(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각형 몸체부(102)인 경우, 복수개의 측벽(120)에 대응되는 개수로 측벽(120) 내부에 구비되며, 다각형 몸체부(102)의 저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130)에 하나의 페라이트층(300)이 더 구비된다. 반구형 몸체부(103)인 경우, 반구형 몸체부(103)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나의 페라이트층(300)가 반구형 몸체부(103) 내부에 구비된다. 반구형 몸체부(103)에 구비되는 페라이트층(300)의 경우, 반구형 몸체부(103)는 송신코일(201)이 중심축 저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페라이트 층도 송신코일(201)과 같이 중심축 저면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두 개의 페라이트층(300)을 구비하게 되면, 페라이트층(30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보다, 비교적 유도전류(210)의 밀도가 적은 원통형 몸체부(101)의 중심부에 유도전류(210)의 밀도를 높일 수 있어, 원통형 몸체부(101)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수신기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충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페라이트층(300)의 재질인 페라이트는 산화철을 포함한 자성체를 뜻하고, 다양한 종류의 페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페라이트층(300)이 유도전류(210)에 미치는 영향력과 효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10)는 몸체부(100) 내측 저면에서부터 중심축을 따라 돌출되는 기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150)는 몸체부(100)의 형상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의 기둥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기둥부(150)는 유도전류(210)의 밀도가 비교적 낮은 몸체부(100)의 중심부 방향에 기둥부(150)로 인해 수신기가 위치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다 효율이 높은 무선충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유도전류(210)를 발산하는 송신코일(200)의 경우 몸체부(100)의 측벽(120) 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100)의 중심축은 측벽(120)에서 가장 멀리 위치되기 때문에 측벽(120)에 근접한 위치의 유도전류(210)의 밀도 보다 몸체부(100)의 중심축의 유도전류(210) 밀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도전류(210)의 밀도가 비교적 낮은 몸체부(100)의 중심축에 기둥부(150)를 설치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기둥부(150)는 몸체부(100)의 중심축에서부터, 몸체부(100)의 측벽(120)까지의 거리에 따라 몸체부(100)의 넓이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몸체부(100)의 형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의 형상을 원통형 몸체부(101)를 일례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원통형 몸체부(101)인 경우 몸체부(101)의 중심축 저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기둥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원통형 몸체부(101)의 저면과 상면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기둥부(150)의 넓이도 원통형 몸체부(101)의 중심축에서부터 변화되는 측벽(120)과의 거리에 따라 변한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원통형 몸체부(101) 상면의 직경이 원통형 몸체부(101) 저면의 직경보다 넓게 구비되어 원뿔대(원뿔이 잘려진 형상)로 구비되는 경우, 원통형 몸체부(101)의 중심축 저면에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부(150)의 형상도 기둥부(150)의 상면이 기둥부(150)의 저면보다 넓게 구비된다. 다만, 반드시 위와 같이 기둥부(150)의 넓이가 변화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과 저면의 직경이 다른 몸체부(100)로 구비되더라도, 기둥부(150)의 상면 및 저면이 동일한 넓이로 구비되어 보다 미적으로 뛰어나도록 구비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함은 물론이다. 또한, 다각형 몸체부(102) 및 반구형 몸체부(103)의 기둥부(150)는 상술한 원통형 몸체부(101)의 기둥부(150)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 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수신기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400)을 포함하는 수신기로서,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전자기기 및 2차 전지 등 다양한 수신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수신기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400)을 포함하는 배터리(20)로서, CR123A, AA, AAA, C, D, FC-1 및 4FM 등과 같이 다양한 표준규격의 실시예로 구비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송신코일(200)을 구비하는 수신기를 AA(21) 및 FC-1(22)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20)는 유도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400), 수신코일(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류회로(500) 및 정류회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부(600)를 포함하고, 축전부(600)는 재생(충전)가능한 축전부(600)로 구비된다.
배터리(20)의 축전부(600)는 배터리(20)의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20)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축전부(600)는 배터리(20)의 외측에 형성되는 음극단자 및 양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코일(401)은 축전부(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전부(60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AA형 배터리(20)는 원통형의 표준규격을 갖는데, AA형 배터리(21)인 경우, 배터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원통형의 축전부(600)가 구비되고, 원통형의 축전부(600)를 감싸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수신코일(400)이 권취된다.
또한, FC-1(22)과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표준규격 배터리(22)인 경우, 수신코일(4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내측에 형성된 축전부(600)를 감싸도록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권취되는 수신코일(400)의 모서리는 직각이 아닌,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0)는 수신코일(401)과 축전부(600)의 사이에 페라이트코어(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페라이트코어(700)는 원태형 기둥으로 구비되고, 축전부(600) 및 수신코일(401) 사이에 원태형 기둥으로 축전부(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페라이트코어(700)를 구비하면, 유도전류(210)를 보다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코일(402)은 복수개 구비되어 배터리(20) 외측면에 배열되고, 복수개의 수신코일(402)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권취된다. 상세하게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수신코일(402)은 배터리(20)의 외면에 배열되고, 배터리(20)의 중심축에서 배터리(20)의 외면 방향을 바라보도록 권취되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0)는 복수개의 수신코일(402)에 대응되는 개수의 페라이트코어(70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페라이트 코어는 각각의 복수개의 수신코일(402)의 권취된 중심축에 위치하고, 수신코일(402)이 바라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페라이트코어(700)를 권취된 수신코일(402)의 중심축에 구비하는 경우, 유도전류(210)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 따른 수신코일(400)은, 정류회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정류회로(500)는 축전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정류회로(500)는 교류전류인 유도전류(210)를 직류전류로 전환시키는 구성으로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정류시켜 축전부(600)로 흐르게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송신기(10) 및 배터리(20)를 상술한바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다양한 형상의 각실시예로 따른 몸체부(100)로 인하여 사용자의 미(美)적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몸체부(10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몸체부(100) 내측의 소정공간(110)에 수신기(배터리, 20)를 넣음으로써, 수신기(배터리, 20)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충전을 위해, 배터리(20)를 전자기기에서 분리하고 해당 배터리(20)의 규격과 동일한 규격의 충전기에 삽입하여 충전하는 방식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측벽(120)에 구비되는 송신코일(200)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210)의 밀도가, 비교적 낮은 유도전류(210)의 밀도를 갖게되는, 몸체부(100)의 중심축의 경우, 기둥부(150)를 통해 해당 위치에 수신기(배터리, 20)가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몸체부(100)의 측벽(120)에 페라이트층(300)이 구비되기 때문에 유도전류(210)를 보다 효율적으로 밀집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수신기(배터리, 20)의 경우, 다양항 방향을 향하는 수신코일(400)이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몸체부(100)의 소정공간(110)에 배터리(20)를 넣었을 때 마다 변화되는 배터리(20)의 위치/방향에도 불구하고, 유도전류(210)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수신기(배터리, 20)의 경우, 페라이트코어(700)가 구비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유도전류(210)를 수신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송신기 20 : 수신기
100 : 몸체부 110 : 소정공간
120 : 측벽 130 ; 베이스부재
150 : 기둥부 200 : 송신코일
210 : 유도전류 300 ; 페라이트층
400 : 수신코일 500 : 정류회로
600 : 축전부 700 : 페라이트코어

Claims (10)

  1. 유도전류(210)를 통해 수신기를 무선 충전하는 송신기(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신기를 수용하는 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송신코일(200); 및
    상기 송신코일(200)을 구동시키는 회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는 저면에서부터 중심축을 따라 돌출되는 기둥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송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코일(200)은 상기 몸체부(100)의 측벽(120)을 따라 높이 방향을 향하도록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송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하나 이상의 페라이트층(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송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코일(2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송신코일(200)은 각각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된 송신기(10)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송신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400)을 포함하는 배터리(20)이고,
    상기 배터리(20)는,
    유도전류(210)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400);
    상기 수신코일(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류회로(500); 및
    상기 정류회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송신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600)는 상기 배터리(20)의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400)은 상기 배터리(20)의 중심축을 따라 권취되어 상기 축전부(600)는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송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는 페라이트코어(700)를 포함하고,
    상기 페라이트코어(700)는 상기 수신코일(400)과 상기 축전부(6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송신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600)는 상기 배터리(20)의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4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20)의 내부 외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신코일(400)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송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는 하나 이상의 페라이트코어(700)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페라이트코어(700)는 상기 수신코일(400)의 권취된 중심축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송신기.
KR1020150085203A 2015-06-16 2015-06-16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 KR101645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03A KR101645408B1 (ko) 2015-06-16 2015-06-16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03A KR101645408B1 (ko) 2015-06-16 2015-06-16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408B1 true KR101645408B1 (ko) 2016-08-03

Family

ID=5670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203A KR101645408B1 (ko) 2015-06-16 2015-06-16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4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44A (ko) * 2005-04-07 2006-10-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와이어리스 충전용 배터리 및 이를 충전할 수 있는유니버설 무선 충전기
KR20140065436A (ko) 2011-09-29 2014-05-29 파워바이프록시 리미티드 무선 2차전지 및 그 구성요소들
KR20140097362A (ko) * 2011-11-15 2014-08-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폐자 루프로 유도 충전시키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44A (ko) * 2005-04-07 2006-10-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와이어리스 충전용 배터리 및 이를 충전할 수 있는유니버설 무선 충전기
KR20140065436A (ko) 2011-09-29 2014-05-29 파워바이프록시 리미티드 무선 2차전지 및 그 구성요소들
KR20140097362A (ko) * 2011-11-15 2014-08-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폐자 루프로 유도 충전시키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664691U (zh) 无线电力发送模块和包括该无线电力发送模块的电子装置
US10461543B2 (en) Wirelessly rechargeable battery and components thereof
JP6233780B2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US20200153278A1 (en) Transmitter for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US8547058B2 (en) Non-contact charging module and reception-side and transmission-side non-contact charging apparatuses using the same
US10277069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1461549B1 (ko) 비접촉 충전 모듈 및 비접촉 충전 기기
JP2010183706A (ja) 充電台
JP2012110135A (ja) 充電台、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JP2017037913A (ja) コイルユニット
EP3061175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EP3198620A1 (en) Transmitter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KR20170099861A (ko) 무선 전력 충전 스테이션
US9646752B2 (en) Magnetic field distribution control apparatus
JP2016129164A (ja) 受電装置および送電装置
JP2014187724A (ja) 二次側受電機器及び充電台と二次側受電機器
JP2013240276A (ja) 充電台
KR20180083773A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1645408B1 (ko) 무선충전 송신기 및 배터리
CN108879864A (zh) 一种通信电子设备
JP2017060347A (ja) ワイヤレス充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充電方法
US9956884B2 (en) Vehicle
KR101792512B1 (ko) 무선 충전지
US11264836B2 (en) Wireless kinetic charger
JP2013219991A (ja)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