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367B1 -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367B1
KR101645367B1 KR1020140130319A KR20140130319A KR101645367B1 KR 101645367 B1 KR101645367 B1 KR 101645367B1 KR 1020140130319 A KR1020140130319 A KR 1020140130319A KR 20140130319 A KR20140130319 A KR 20140130319A KR 101645367 B1 KR101645367 B1 KR 10164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information
time purchase
time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571A (ko
Inventor
이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4013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3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을 통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 순서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Method, System for providing real time purchase goods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상거래의 급성장으로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매장뿐만 아니라 온라인 매장을 동일한 수준에서 판단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온라인 매장을 더 선호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 상거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단순 온라인 쇼핑몰 외에 온라인 경매 사이트, 오픈 마켓 또는 소셜 커머스 기타 다양한 형태의 구매 사이트가 온라인상에서 구현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온라인 상에서의 구매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에서도 쉽게 접근하여 상품, 티켓 기타 아이템들에 대한 접근, 방문 및 구매등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고 그 방법도 확장되는 추세이다.
다만,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온라인 상에서의 구매는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실물을 보고 비교할 수 없고,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여 화면상에 제공된 정보만을 접하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기는 용이하지 않다. 특히, 특정 사이트에 자주 방문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 또는 전자 상거래를 통한 구매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엔 더욱 그러하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상에서 구매할 수 있는 매장, 예를들면 해당 웹사이트 마다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해당 웹사이트에서 취급하는 아이템들도 많아져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에게 적절한 아이템들을 추천해 줄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즉,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들과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원활하게 취급하고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사용자 및 아이템의 수의 증가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추천 작업을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라인 구매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들에게 상품들에 대한 추천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을 통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 순서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는 상기 지역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지역 선택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역 정보는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검출된 상기 단말의 위치와 관련된 제1 지역 정보, 상기 지역 선택 입력을 기초로 검출된 제2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단말의 위치와 구매자 단말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되지 않은 경우,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된 경우,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단말의 지역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 생성을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검출된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는 상기 검출된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상품 판매자, 상품 구매자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로그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로그인 입력으로부터 검출된 회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는 상기 회원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 정보는 회원의 이름, 성별, 연령, 관심 등록 카테고리, 관심 등록 상품, 거주 지역, 배송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 정보의 항목과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항목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일치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항목의 개수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일치하는 항목의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되지 않은 경우,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된 경우,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을 통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고, 정렬 순서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역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지역 선택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위치와 관련된 제1 지역 정보를 검출하거나, 상기 지역 선택 입력을 기초로 제2 지역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단말의 위치와 구매자 단말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고,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된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단말의 지역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 생성을 반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품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상품 판매자, 상품 구매자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로그인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로그인입력에 기초하여 회원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원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회원 정보는 회원의 이름, 성별, 연령, 관심 등록 카테고리, 관심 등록 상품, 거주 지역, 배송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원 정보의 항목과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항목을 비교한 결과,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일치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항목의 개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치하는 항목의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고,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된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이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단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실시간 구매 상품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른 상품의 구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는 온라인 구매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들에게 상품들에 대한 추천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화면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추출 및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단말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화면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의 화면(10)은 하나 이상의 아이콘과 하나 이상의 정보 제공 영역을 표시한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화면은 온라인 구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온라인 구매 사이트에 접속한 단말이 상품 구매를 실행하는 경우, 구매 이력이 기록될 수 있다. 구매 이력은 구매 상품, 구매 주체, 구매 시점, 구매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은 로그인 아이콘(20), 마이페이지 아이콘(30), 검색 아이콘(41), 하나 이상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설정 아이콘(61, 71), 하나 이상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종료 아이콘(63, 73)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영역은 검색 영역(40), 판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50),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구매 상품은 온라인 구매 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구매되는 상품을 의미한다.
실시간 구매 상품은 단말이 온라인 구매 사이트에 접속하는 제1 시점, 온라인 구매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가 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제2 시점,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구간, 제1 시점을 포함한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제2 시점을 포함한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을 포함한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구매된 상품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간 구매 상품은 온라인 구매 사이트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모든 단말 또는 타 단말의 구매 상품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간 구매 상품은 구매를 위한 결제가 완료된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가 진행 중인 상품, 구매를 위해 관심 상품으로 등록된 상품, 구매를 위해 선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은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60)처럼 표시될 수도 있고, 제2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70)처럼 표시될 수도 있다.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60)은 제2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70)과 따로 표시될 수도 있고, 함께 표시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온라인 구매 사이트의 홈 화면에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60) 및 제2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70)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온라인 구매 사이트의 홈 화면에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60)만 표시되고, 홈 화면이 아닌 사용자 요청 화면에 제2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70)만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60)은 화면(10)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60)은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한번에 하나씩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60)은 3초마다 1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1분 동안 60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하나씩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는 각각 배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가 3초간 표시된 다음에 제2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가 3초간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는 2 이상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와 제2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가 함께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60)의 하측에서 생성되어 상측으로 소멸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가 생성되기부터 소멸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3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제2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7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2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70)의 위치는 미리 정해진 주기를 기준으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70)은, 제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60)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한번에 하나씩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단말의 화면(10)에 도 1과 같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W)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내에 본 실시 예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이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 내에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에 오프라인을 통하여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서버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을 위해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의 서비스 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기능을 추가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는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서, 다양한 정보를 웹페이지(Web Page)로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서버란, 사설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하위 장치와 연결되어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네트워크 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서버는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또는 맥OS(MacOS)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서버로 구현되어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로 설명하겠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서버(100)는 수신부(110), 검출부(120), 제어부(130), 송신부(140),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 및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사용자 입력, GP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지역 선택 입력, 검색어 입력, 검색 이력, 로그인 입력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출부(120)는 수신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입력, GP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단말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검출부(120)는 지역 선택 입력을 기초로 지역 정보를 검출하고, 검색어 입력 또는 검색 이력을 기초로 상품 정보를 검출하고, 로그인 입력을 기초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회원 정보를 검출하고, GPS 정보를 기초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단말 정보는 지역 정보, 상품 정보, 회원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역 정보는 단말의 위치와 관련된 지역 정보, 단말의 위치와 무관한 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정보를 기초로 검출된 위치 정보는 단말의 위치와 관련된 지역 정보일 수 있고, 지역 선택 입력을 기초로 검출된 지역 정보는 단말의 위치와 무관한 지역 정보일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상품 판매자, 상품 구매자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원 정보는 회원의 이름, 성별, 연령, 관심 등록 카테고리, 관심 등록 상품, 구매 상품 카테고리, 구매 이력, 검색 카테고리, 검색 상품, 거주 지역, 배송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친구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3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단말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는 앞서 설명한 구매 시점에 구매 주체가 구매 형태에 적합한 구매를 실행한 경우, 구매된 상품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는 단말이 온라인 구매 사이트에 접속한 시점에, 온라인 구매 사이트에 접속된 모든 단말이, 구매를 위한 결제를 완료한 상품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일 수 있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항목은 실시간으로 구매된 상품의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상품 판매자, 상품 구매자 등일 수 있고, 상품 구매자 항목은 상품 구매자의 성별, 연령, 관심 등록 카테고리, 관심 등록 상품, 구매 이력, 구매 위치, 거주 지역, 배송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등록된 친구 등의 회원 정보 항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출부(120)가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130)는 단말의 위치가 포함된 지역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의 위치가 포함된 지역은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 범위를 포함하는 지역,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시, 군, 구 등의 행정 구역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신부(110)가 지역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30)는 지역 선택 입력에 따른 지역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지역 선택 입력에 따른 지역은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거리 반경 범위를 포함한 지역, 사용자가 선택한 단말의 위치가 포함된 시, 군, 구 등의 행정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의 위치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선택한 행정 구역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출부(120)가 상품 정보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130)는 검출된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출된 상품 정보의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동일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품 정보 항목은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상품 판매자, 상품 구매자 등일 수 있고, 상품 구매자 항목은 상품 구매자의 성별, 연령, 관심 등록 카테고리, 관심 등록 상품, 구매 이력, 구매 지역, 거주 지역, 배송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등록된 친구 등의 회원 정보 항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검출된 상품의 상품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 항목을 가지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검출부(120)가 회원 정보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130)는 회원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회원 정보의 각 항목과 실시간 구매 상품의 구매시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는 상품 정보의 각 항목을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일치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항목 중 상품 구매자 정보의 항목을 회원 정보의 항목과 비교할 수 있다. 회원 정보 항목은 회원의 이름, 성별, 연령, 관심 등록 카테고리, 관심 등록 상품, 구매 상품 카테고리, 구매 이력, 검색 카테고리, 검색 상품, 거주 지역, 배송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등록된 친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관심 등록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 항목을 가지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한 번 추출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실시간 구매 상품을 재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주기적으로 검출부(120)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를 다시 검출하고, 검출된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 구매 상품을 재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한다. 미리 정해진 기준은 단말이 검출된 위치와 실시간 구매 상품이 구매된 위치 사이의 거리, 검출된 상품 정보 항목과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항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항목의 개수, 검출된 회원 정보 항목과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항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항목의 개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단말이 검출된 위치와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각각이 구매된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할 수도 있고, 검출된 상품 정보 항목과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항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항목의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할 수도 있고, 검출된 회원 정보 항목과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항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항목의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정렬 순서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정렬 순서에 따른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정렬 순서에 따른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리스트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들의 표시 순서 및 표시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시간은 실시간 구매 상품별로 설정된 표시 시간 및/또는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들의 전체 표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실시간 구매 상품, 표시 순서 및 표시 시간이 각각 매치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고, 실시간 구매 상품 및 표시 순서가 매치되고 전체 표시 시간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신부(140)는 생성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단말에 송신한다. 송신부(140)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고,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에 기초하여 실시간 구매 상품 표시 정보를 하나씩 송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실시간으로 구매되는 상품 정보를 항목별로 카테고리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항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구매되는 상품의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상품 판매자, 상품 구매자, 상품 구매 개수, 상품 구매 위치 등일 수 있고, 상품 구매자 항목은 상품 구매자의 성별, 연령, 관심 등록 카테고리, 관심 등록 상품, 구매 이력, 구매 위치, 거주 지역, 배송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등록된 친구 등의 회원 정보 항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는 회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는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검출부(120)는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검출하고(S110), 제어부(13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단말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120).
이어서, 제어부(130)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추출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고(S130),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면, 송신부(140)가 단말에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송신한다(S140).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로그인하지 않은 경우의 서버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검출부(120)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S210), 제어부(13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출된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 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220).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도면 부호 S220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수신부(110)가 지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S221), 제어부(13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선택된 지역 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223).
수신부(110)가 지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S221), 제어부(13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미리 정해진 지역 내 실시간 구매 상품을 추출한다(S225).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30)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추출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한다(S230).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도면 부호 S230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30)는 검출된 단말의 위치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추출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한다(S231).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에 제한이 없는 경우(S233), 제어부(130)는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S235).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S233), 제어부(130)는 일부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S237).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송신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단말에 송신한다(S240).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S250), 다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S210).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S250), 다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220).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갱신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수신부(110)가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S310), 검출부(120)는 사용자 입력 정보로부터 상품 정보를 검출한다(S320). 제어부(13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출된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330).
이어서, 제어부(130)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추출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고(S340),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면, 송신부(140)가 단말에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송신한다(S350).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의 서버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수신부(110)가 단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고(S410), 검출부(120)는 로그인 정보로부터 회원 정보를 검출한다(S420). 제어부(130)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출된 회원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S430),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추출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한다(S440).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도면 부호 S430 단계 및 S440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추출 및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제어부(130)는 회원 정보의 항목과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항목을 비교하여(S431), 1 이상의 항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3).
제어부(130)는 회원 정보의 항목과 1 이상의 항목이 일치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S435).
이어서, 제어부(130)는 회원 정보의 항목과 일치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항목의 개수를 기준으로 추출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한다(S441).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에 제한이 없는 경우(S443), 제어부(130)는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S445).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S443), 제어부(130)는 일부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S447).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송신부(140)는 단말에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송신한다(S45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200)은 송신부(210), 수신부(220), 표시부(230), 사용자 입력부(240), 제어부(250) 및 메모리부(260)를 포함한다.
송신부(210)는 서버(100)에 단말 정보를 송신한다.
수신부(220)는 서버(100)로부터 단말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수신한다.
표시부(230)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 상품의 구매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단말(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지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 검색어 입력, 검색 이력, 로그인 입력, 표시된 실시간 구매 상품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50)는 송신부(210), 수신부(220), 표시부(230), 사용자 입력부(240), 메모리부(26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메모리부(260)는 사용자 검색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단말(200)이 서버(100)에 접속하면, 제어부(250)는 송신부(210)가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사용자 검색 이력 정보를 서버(1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단말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200)의 송신부(210)가 서버(100)에 단말 정보를 송신하고(S510), 수신부(220)가 서버(100)로부터 단말 정보와 관련된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수신한다(S520).
제어부(250)는 표시부(230)에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표시하고(S530), 사용자 입력부(240)가 실시간 구매 상품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S540), 표시부(230)에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구매 화면을 표시한다(S55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화면
20: 로그인 아이콘
30: 마이페이지 아이콘
40: 검색 영역
41: 검색 아이콘
50: 판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
60, 70: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
61, 71: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설정 아이콘
63, 73: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영역 종료 아이콘

Claims (20)

  1. 단말을 통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지역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지역 정보에 따른 지역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검출된 위치와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이 구매된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 순서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은 실시간으로 타 단말을 통해 구매된 상품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지역 선택 입력 및/또는 GPS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역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와 관련된 제1 지역 정보 및/또는 상기 단말의 위치와 무관한 제2 지역 정보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된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지역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내지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은 구매를 위한 결제가 완료된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가 진행 중인 상품, 구매를 위해 관심 상품으로 등록된 상품, 및 구매를 위해 선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는 온라인 구매 사이트의 홈 화면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8. 단말을 통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검색어 입력 또는 검색 이력을 기초로 상품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와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상품 판매자, 및 상품 구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일치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항목이 일치하는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 순서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은 실시간으로 타 단말을 통해 구매된 상품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구매자 항목은 상품 구매자의 성별, 연령, 관심 등록 카테고리, 관심 등록 상품, 구매 이력, 구매 지역, 거주 지역, 배송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등록된 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0. 단말을 통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지역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지역 정보에 따른 지역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이 검출된 위치와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이 구매된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고, 정렬 순서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은 실시간으로 타 단말을 통해 구매된 상품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지역 선택 입력 및/또는 GPS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지역 선택 입력 및/또는 상기 GPS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역 정보를 검출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와 관련된 제1 지역 정보 및/또는 상기 단말의 위치와 무관한 제2 지역 정보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복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고,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개수가 제한된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지역 정보를 다시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다시 생성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은 구매를 위한 결제가 완료된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가 진행 중인 상품, 구매를 위해 관심 상품으로 등록된 상품, 및 구매를 위해 선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는 온라인 구매 사이트의 홈 화면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7. 단말을 통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검색어 입력 또는 검색 이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검색어 입력 또는 상기 검색 이력을 기초로 상품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상품 정보와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상품 판매자, 및 상품 구매자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일치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항목이 일치하는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정렬하고, 정렬 순서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은 실시간으로 타 단말을 통해 구매된 상품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구매자 항목은 상품 구매자의 성별, 연령, 관심 등록 카테고리, 관심 등록 상품, 구매 이력, 구매 지역, 거주 지역, 배송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등록된 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9. 단말이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지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지역 정보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실시간 구매 상품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른 상품의 구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리스트는 상기 단말이 검출된 위치와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에 따른 실시간 구매 상품이 구매된 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가 정렬되며,
    상기 실시간 구매 상품은 실시간으로 타 단말을 통해 구매된 상품인,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2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130319A 2014-09-29 2014-09-29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164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319A KR101645367B1 (ko) 2014-09-29 2014-09-29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319A KR101645367B1 (ko) 2014-09-29 2014-09-29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571A KR20160037571A (ko) 2016-04-06
KR101645367B1 true KR101645367B1 (ko) 2016-08-03

Family

ID=5579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319A KR101645367B1 (ko) 2014-09-29 2014-09-29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017B1 (ko) 2022-11-02 2023-09-12 김민호 소비자를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658B1 (ko) * 2012-02-16 2013-05-15 김수현 클라이언트 패널을 이용한 실시간 쇼핑 트랜드 확인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669A (ko) * 2009-02-11 2010-08-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상거래 서비스에서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
KR101366369B1 (ko) * 2012-07-17 2014-02-21 변성우 위치 기반 실시간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658B1 (ko) * 2012-02-16 2013-05-15 김수현 클라이언트 패널을 이용한 실시간 쇼핑 트랜드 확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017B1 (ko) 2022-11-02 2023-09-12 김민호 소비자를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571A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37513A1 (en) Passive check-in
KR101654924B1 (ko) 로컬 숍 내에서 관심 아이템의 탐지
EP2304619B1 (en) Correlated information recommendation
US102423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based product recommendation
US20070136140A1 (en) Provision of shopping information to mobile devices
JP6320288B2 (ja) 名寄せ装置、名寄せ方法及び名寄せプログラム
JP2008139928A (ja) ブログ又はクエリ・クリックを利用したアフィニティ装置
CN108885526A (zh) 在检测到移动计算装置上的退出意图时动态提供信息的系统和方法
AU2021277746A1 (en) Beacon based campaign management
KR101740148B1 (ko) 고객의 오프라인활동 데이터에 기반한 온라인쇼핑상품 추천방법
US105656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695570B1 (ko) 키워드 추출에 의한 온라인 쇼핑 장바구니의 자동 생성 방법
JP669215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979237B1 (ko)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00573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JP6543576B2 (ja) ユーザの買い物履歴、小売業者のid及び小売業者が販売促進する物品に基づいて、カスタマイズされた検索結果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45367B1 (ko) 실시간 구매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WO2018061297A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70060885A (ko) 사용자 단말에서 위시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604687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17719A1 (en) Determining customer intent in an online retail environment
KR102342199B1 (ko) 빅데이터에 기반한 고객 관리 및 고객 성향 분석 시스템
WO2017126707A1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KR101655372B1 (ko)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03918B1 (ko)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