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366B1 -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366B1
KR101645366B1 KR1020160056221A KR20160056221A KR101645366B1 KR 101645366 B1 KR101645366 B1 KR 101645366B1 KR 1020160056221 A KR1020160056221 A KR 1020160056221A KR 20160056221 A KR20160056221 A KR 20160056221A KR 101645366 B1 KR101645366 B1 KR 101645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ring
transmission
housing
recep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혁
정준혁
이재호
Original Assignee
나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 대상인 원통형 파이프에 인입되는 프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부와, 상기 구동 모터부에 의해 프로브와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수신 슬립링 이너 및 송신 슬립링 이너와,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의 외측둘레에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수신 슬립링 아우터와, 상기 송신 슬립링 이너의 외측둘레에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송신 슬립링 아우터와,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슬립링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신 슬립링 아우터에서 보내온 신호를 자력으로 송신 슬립링 이너를 통하여 프로브에 전달하고, 프로브에서 와전류를 보내서 측정된 정보는 수신 슬립링 이너를 통하여 자력으로 수신 슬립링 아우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Eddy current nondestructive testing device using a non-contact slip ring}
본 발명은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원통형 배관의 내측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검사할 수 있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파괴 검사 방법은 시험 대상 물품 내부의 기공이나 균열과 같은 결함, 용접부의 내부 결함 등을 물품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하는 방법으로, 재료나 제품의 원형과 기능을 전혀 변화시키지 않고 재료에 물리적 에너지인 햇빛, 열, 방사선, 음파, 전기와 전기에너지 등을 인가하여 조직 이상 및 결함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의 특성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조직의 이상 여부나 결함의 정도를 알아내는 검사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비파괴 검사 방법은 시험 대상 물품을 파괴하여 결함 여부를 검사하는 파괴 검사 방법에 비해 그 활용성이 우수하여 각종 시설물에 대한 안전도 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각 적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비파괴 검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비파괴 검사 방법은 적용하는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방사선 투과법, 초음파 탐상법, 와전류 탐상법, 자분 탐상법, 광학적 탐상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사 방법 중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각종 플랜트 설비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또는 복수기에 대한 튜브 내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 방법은 일반적으로 와전류탐상법을 적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와전류 탐상법은 전도성 재질의 시험체에 와전류를 유도하고, 와전류와 시험체 사이의 상호 작용을 관찰하여 시험체의 상태를 분석하는 비파괴 검사 기술로서, 시험체에 탐촉자를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격 고속 자동검사가 가능하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 1차 계통 기기는 방사선으로 오염되어 비파괴 검사자의 접근이 제한되므로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검사자를 보호하기 위해 원격 검사가 가능한 와전류 탐상법이 열교환기 및 복수기의 튜브의 결함 검출을 위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전류 탐상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험 대상 물품에 와전류를 유도하고 유도된 와전류의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탐촉자인 프로브(Probe)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튜브에 대한 와전류 탐상 검사의 경우 튜브 안쪽 표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튜브 중심과 같은 중심을 갖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된 열교환기의 튜브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경우,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의 프로브를 튜브 내부로 삽입한 후 회전하면서 튜브에서 발생하는 와전류 신호를 취득하여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검사를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는 프로브를 회전시킴으로써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내부의 전선 케이블 등이 감기게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209182호
본 발명은 프로브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내부에서 전선 케이블 등이 감지기 않는 구조가 형성되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검사 대상인 원통형 파이프에 인입되는 프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부와, 상기 구동 모터부에 의해 프로브와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수신 슬립링 이너 및 송신 슬립링 이너와,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의 외측둘레에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수신 슬립링 아우터와, 상기 송신 슬립링 이너의 외측둘레에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송신 슬립링 아우터와,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슬립링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신 슬립링 아우터에서 보내온 신호를 자력으로 송신 슬립링 이너를 통하여 프로브에 전달하고, 프로브에서 와전류를 보내서 측정된 정보는 수신 슬립링 이너를 통하여 자력으로 수신 슬립링 아우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슬립링 하우징에는 2개의 슬립링 케이블 통로인 수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와 송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링 하우징과 수신 슬립링 아우터 사이에는 수신 코어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슬립링 하우징과 송신 슬립링 아우터 사이에는 송신 코어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 사이에는 아우터 격막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와 송신 슬립링 이너 사이에는 이너 격막링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와 송신 슬립링 이너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 코어 하우징와, 상기 내측 코어 하우징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코넥터 부재와, 상기 코넥터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코넥터 코어와, 상기 코넥터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며 코넥터 코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코넥터 지그와, 상기 코넥터 지그의 후단에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 모터부에 후단이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 코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발생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동 모터부가 회전되어도 수신 슬립링 이너와 송신 슬립링 이너만 회전되고, 수신 슬립링 아우터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는 비회전되면서 서로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꼬임이 발생되지 않으며, 케이블이 파손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해소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검사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검사본체의 일부를 분해한 개략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수신 코어 하우징과 송신 코어 하우징 등을 분해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인 슬립링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중요부분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체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내측 코어 하우징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검사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검사본체의 일부를 분해한 개략분해도이다.
본 발명인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100)는 검사 대상인 원통형 파이프(101)에 인입되는 프로브(110)와, 상기 프로브(110)의 후단에 연결되는 검사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로브(110)의 선단에는 센서부(120)가 형성되어 와전류를 파이프(101)에 전송 및 수신하는 작용을 통해 파이프(101)에 형성된 미세 균열을 감지한다.
상기 검사본체(200)는 프로브(110)를 파이프(101)의 내측에서 회전시키며,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프로브(110)가 회전되면서 비파괴 검사하는 경우에도 내부에 전선 등의 케이블(미도시)이 꼬이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2와 같이 검사본체(200)는 원통형 하우징 형태의 외측하우징(210)과, 상기 외측하우징(210)의 전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전방커버(230)와, 상기 외측하우징(210)의 후방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방커버(25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커버(230)에는 중앙에 전방커버구멍(232)이 형성되어 프로브(110)의 후단에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커버(250)에는 중앙에 후방커버구멍(252)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커버구멍(252)에는 커넥터부재(270)가 형성되어 인입된다.
상기 커넥터부재(270)의 끝단에는 플랜지부분(272)이 형성되어, 후방커버구멍(252)의 둘레에 커넥터부재(270)가 밀착되도록 작용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커버(250)의 내측으로 상기 커넥터부재(270) 중 일부가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오링(274)과 육각링(276)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하우징(210)의 내측에는 전방커버(230)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슬립링 하우징(310)과, 상기 슬립링 하우징(310)의 후단에 접하는 모터하우징(330)이 형성된다.
상기 슬립링 하우징(310)은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좌측슬립링 하우징(310a)과 우측슬립링 하우징(310b)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하우징(330)도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좌측모터하우징(330a)과 우측모터하우징(330b)으로 형성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좌측슬립링 하우징(310a)의 길이 방향 양측벽에는 케이블홈(316)이 형성되어 우측슬립링 하우징(310b)의 길이 방향 양측벽에 형성되는 케이블홈과 접하여 케이블의 통로 작용을 한다.
즉, 슬립링 하우징(310)에는 2개의 슬립링 케이블 통로(318a, 318b)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모터하우징(330a)의 길이 방향 양측벽에는 케이블홈(336)이 형성되어 우측모터하우징(330b)의 길이 방향 양측벽에 형성되는 케이블홈와 접하여 케이블의 통로 작용을 한다.
즉, 모터하우징(330)에는 2개의 모터케이블 통로(338a, 338b)인 수신모터케이블 통로(338a)와 송신모터케이블 통로(338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318a)는 수신모터케이블 통로(338a)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송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318b)는 송신모터케이블 통로(338b)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330)의 내측에는 구동 모터부(410)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3에서 수신 코어 하우징과 송신 코어 하우징 등을 분해한 개략사시도이다.
상기 슬립링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수신 코어 하우징(430)과 송신 코어 하우징(450)이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신 코어 하우징(430)의 내측에는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가 형성되고, 상기 송신 코어 하우징(450)의 내측에는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가 형성된다.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로서 자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의 외측은 수신 코어 하우징(430)의 내측에 밀착되고, 수신 코어 하우징(430)의 외측은 슬립링 하우징(310)의 내측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슬립링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수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318a)와 연결되는 수신내측구멍(317)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 코어 하우징(430)에는 상기 수신내측구멍(317)와 연통되는 수신연통구멍(433)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에 연결된 케이블은 수신연통구멍(433), 수신내측구멍(317), 수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318a) 및 수신모터케이블 통로(338a)를 통하여 커넥터부재(27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의 외측은 송신 코어 하우징(450)의 내측에 밀착되고, 송신 코어 하우징(450)의 외측은 슬립링 하우징(310)의 내측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슬립링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송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318b)와 연결되는 송신내측구멍(437)이 형성되고, 상기 송신 코어 하우징(450)에는 송신내측구멍(437)과 연통되는 송신연통구멍(439)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에 연결된 케이블은 송신연통구멍(439), 송신내측구멍(437), 송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318b) 및 송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318b)를 통하여 커넥터부재(270)와 연결된다.
상기 수신 코어 하우징(430)은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에 연결된 케이블이 수신연통구멍(433)을 통하여 수신내측구멍(317)으로 원할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도 통로 역할을 하며, 송신 코어 하우징(450)도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에 연결된 케이블이 송신연통구멍(439)을 통하여 송신내측구멍(437)으로 원할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도 통로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4의 일부인 슬립링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중요부분 개략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전체 개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내측 코어 하우징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슬립링 어셈블리(429)는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 이들의 전후방 부재 및 내측에 위치된 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 사이에는 아우터 격막링 부재(510)가 형성되며,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의 전방에는 아우터선단링부재(520)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선단링부재(520)의 전방에는 선단스톱퍼링부재(522)가 형성된다.
상기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의 후단에는 아우터후단링부재(530)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후단링부재(530)의 후단에는 후단스톱퍼링부재(532)가 형성된다.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의 내측에는 수신 슬립링 이너(632)가 형성되고,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의 내측에는 송신 슬립링 이너(652)가 형성되며, 수신 슬립링 이너(632)와 송신 슬립링 이너(652) 사이에는 이너 격막링 부재(730)가 형성되고,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632)의 선단에는 이너선단링부재(750)가 형성되고, 상기 송신 슬립링 이너(652)의 후단에는 이너후단링부재(770)가 형성된다.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632)의 직경은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의 직경보다 작아 수신 슬립링 이너(632)는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의 내측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송신 슬립링 이너(652)의 직경은 상기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의 직경보다 작아 송신 슬립링 이너(652)는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의 내측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아우터 격막링 부재(510), 아우터선단링부재(520), 아우터후단링부재(530), 이너 격막링 부재(730), 이너선단링부재(750) 및 이너후단링부재(770)는 자기력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632)와 송신 슬립링 이너(652)를 지지하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 코어 하우징(710)와, 상기 내측 코어 하우징(71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코넥터 부재(810)와, 상기 코넥터 부재(8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코넥터 코어(830)와, 상기 코넥터 부재(810)의 내측에 형성되며 코넥터 코어(8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코넥터 지그(850)와, 상기 코넥터 지그(850)의 후단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 코넥터(870)를 포함한다.
상기 코넥터 부재(810)는 내부둘레가 코넥터 코어(830)와 코넥터 지그(850)에 밀착되고, 외부둘레는 내측 코어 하우징(710)의 내부둘레와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코넥터 코어(830)에는 단자들이 형성되어 송신 슬립링 이너(652)에서 전달되는 케이블과 수신 슬립링 이너(632)에서 전달되는 케이블와 연결되며, 전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프로브(110)의 후단부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송신 슬립링 이너(652)에서 전달되는 전기신호는 코넥터 코어(830)를 통하여 프로브(110)로 전달되고, 프로브(110)에서 검사과정에서 감지된 결과신호는 코넥터 코어(830)를 통하여 수신 슬립링 이너(632)에 전달된다.
상기 코넥터 지그(850)는 코넥터 코어(8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내측 코어 하우징(710)의 형상은 내측은 직경이 균일한 원통형의 형상이며, 외측은 수신 슬립링 이너(632)와 송신 슬립링 이너(652)가 위치되는 중앙부분(714)의 직경이 가장 크고, 상기 중앙부분(714)의 전방으로 전방단턱(716)이 형성되고, 중앙부분(714)의 후방으로 후방단턱(718)이 형성된다.
상기 선단스톱퍼링부재(522)는 내측으로 단턱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단턱(716)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후단스톱퍼링부재(532)도 내측으로 단턱구조가 형성되어 후방단턱(718)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단스톱퍼링부재(522)와 후단스톱퍼링부재(532)는 내측 코어 하우징(710)의 전후방에 약간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내측 코어 하우징(710)의 전후방에 이동을 제한하여 원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내측 코어 하우징(710)의 외측 중앙부분(714) 둘레에는 수신 슬립링 이너(632)와 송신 슬립링 이너(652)가 각각 밀착되며, 내측 코어 하우징(710)의 내측에는 코넥터 부재(810)가 고정되고, 상기 코넥터 부재(810)의 내측에는 코넥터 코어(830)와 코넥터 지그(850)가 고정된다.
상기 내측 코어 하우징(7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부분 절개부(712)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712)를 통하여 수신 슬립링 이너(632)에 연결된 케이블이 코넥터 코어(830)에 연결되고, 송신 슬립링 이너(652)에 연결된 케이블이 코넥터 코어(830)에 연결된다.
드라이브 샤프트 코넥터(870)는 후단에 인입홈(872)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872)에 인입되는 드라이브 샤프트 지그(880)가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 지그(880)는 구동 모터부(410)에 연결된다.
상기 인입홈(872)과 드라이브 샤프트 지그(88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구동 모터부(41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드라이브 샤프트 코넥터(870)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부(410)가 구동되면 드라이브 샤프트 지그(880)를 통해 드라이브 샤프트 코넥터(870)가 회전되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 코넥터(870)와 연결된 코넥터 지그(850)를 통해 코넥터 부재(810)와 내측 코어 하우징(710) 및, 수신 슬립링 이너(632)와 송신 슬립링 이너(652)가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코넥터 코어(830)의 전단에 연결되는 프로브(110)가 같이 회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구동 모터부(410)가 회전되어도 수신 슬립링 이너(632)와 송신 슬립링 이너(652)만 회전되고,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는 회전되지 않으면서 자기력에 의해 신호만 전달할 수 있어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에서 보내온 신호를 송신 슬립링 이너(652)를 통하여 프로브(110)의 센서에 전달하고, 프로브(110)에서 와전류를 보내서 측정된 정보는 수신 슬립링 이너(632)를 통하여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에 전달되어 외부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 모터부(410)가 회전되어도 수신 슬립링 이너(632)와 송신 슬립링 이너(652)만 회전되고, 수신 슬립링 아우터(432)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452)는 비회전되면서 서로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꼬임이 발생되지 않으며, 케이블이 파손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해소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110: 프로브
120: 센서부 200: 검사본체
210: 외측하우징 230: 전방커버
250: 후방커버 270: 커넥터부재
310: 슬립링 하우징 316: 케이블홈
330: 모터하우징 430: 수신 코어 하우징
432: 수신 슬립링 아우터 450: 송신 코어 하우징
452: 송신 슬립링 아우터 510: 아우터 격막링 부재
520: 아우터선단링부재 522: 선단스톱퍼링부재
530: 아우터후단링부재 532: 후단스톱퍼링부재
632: 수신 슬립링 이너 652: 송신 슬립링 이너
710: 내측 코어 하우징 830: 코넥터 코어

Claims (5)

  1. 검사 대상인 원통형 파이프에 인입되는 프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부와,
    상기 구동 모터부에 의해 프로브와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수신 슬립링 이너 및 송신 슬립링 이너와,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의 외측둘레에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수신 슬립링 아우터와,
    상기 송신 슬립링 이너의 외측둘레에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송신 슬립링 아우터와,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슬립링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신 슬립링 아우터에서 보내온 신호를 자력으로 송신 슬립링 이너를 통하여 프로브에 전달하고, 프로브에서 와전류를 보내서 측정된 정보는 수신 슬립링 이너를 통하여 자력으로 수신 슬립링 아우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 하우징에는 2개의 슬립링 케이블 통로인 수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와 송신 슬립링 케이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 하우징과 수신 슬립링 아우터 사이에는 수신 코어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슬립링 하우징과 송신 슬립링 아우터 사이에는 송신 코어 하우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신 슬립링 아우터와 송신 슬립링 아우터 사이에는 아우터 격막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와 송신 슬립링 이너 사이에는 이너 격막링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신 슬립링 이너와 송신 슬립링 이너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 코어 하우징와,
    상기 내측 코어 하우징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코넥터 부재와,
    상기 코넥터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코넥터 코어와,
    상기 코넥터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며 코넥터 코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코넥터 지그와,
    상기 코넥터 지그의 후단에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 모터부에 후단이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 코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KR1020160056221A 2016-05-09 2016-05-09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KR101645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21A KR101645366B1 (ko) 2016-05-09 2016-05-09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21A KR101645366B1 (ko) 2016-05-09 2016-05-09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366B1 true KR101645366B1 (ko) 2016-08-05

Family

ID=5671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221A KR101645366B1 (ko) 2016-05-09 2016-05-09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3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9623A (zh) * 2017-12-27 2019-07-05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用于回转体零件内表面无损检测的扫查器
CN114252664A (zh) * 2020-09-22 2022-03-29 细美事有限公司 探针台
KR102535101B1 (ko) 2022-12-09 2023-05-26 황세훈 파이프 내경 검사용 와전류탐상 검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3494A (ja) * 1995-05-16 1996-11-29 Genshiryoku Eng:Kk 渦電流探傷プローブ
KR20020016972A (ko) * 2000-08-28 2002-03-07 정명세 금속제 피측정 물품의 표면이나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을측정하기 위한 개폐형 와전류 탐촉자
KR20050038739A (ko) * 2003-10-22 2005-04-29 한국원자력연구소 핵연료 조사시험용 원격 계장 리그 장치
KR200385366Y1 (ko) * 2005-01-27 2005-05-27 한라정공 주식회사 원자로 발전소 핵 계측용 중성자 검출기의꼬임방지장치를 구비한 이중색인 통로선택기
KR101209182B1 (ko) 2011-08-08 2012-12-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와류전류센서를 이용한 원자로헤드관통관 표면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3494A (ja) * 1995-05-16 1996-11-29 Genshiryoku Eng:Kk 渦電流探傷プローブ
KR20020016972A (ko) * 2000-08-28 2002-03-07 정명세 금속제 피측정 물품의 표면이나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을측정하기 위한 개폐형 와전류 탐촉자
KR20050038739A (ko) * 2003-10-22 2005-04-29 한국원자력연구소 핵연료 조사시험용 원격 계장 리그 장치
KR200385366Y1 (ko) * 2005-01-27 2005-05-27 한라정공 주식회사 원자로 발전소 핵 계측용 중성자 검출기의꼬임방지장치를 구비한 이중색인 통로선택기
KR101209182B1 (ko) 2011-08-08 2012-12-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와류전류센서를 이용한 원자로헤드관통관 표면검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9623A (zh) * 2017-12-27 2019-07-05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用于回转体零件内表面无损检测的扫查器
CN114252664A (zh) * 2020-09-22 2022-03-29 细美事有限公司 探针台
CN114252664B (zh) * 2020-09-22 2024-02-20 细美事有限公司 探针台
KR102535101B1 (ko) 2022-12-09 2023-05-26 황세훈 파이프 내경 검사용 와전류탐상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1986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sensor for detecting multi-mode electromagnetic acoustic and magnetic flux leakage
JP3669706B2 (ja) 磁気歪センサーを用いたパイプ及びチューブの非破壊評価
AU2005238857B2 (en) ID-OD discrimination sensor concept for a magnetic flux leakage inspection tool
KR101645366B1 (ko) 비접촉 슬립링을 이용한 와전류 비파괴 검사 장치
US70195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orsional wave inspection of heat exchanger tubes
US5256966A (en) Method for detecting flaws in a steam generator tube using a flexible eddy current probe having coil bank switching
US20180113177A1 (en) Defect detection device enabling easy removal of magnetic impurities
CN104198580B (zh) 磁致伸缩导波传感器及含有传感器的换热管缺陷检测系统
CN109115867B (zh) 平面旋转涡流检测传感器及检测方法
CN104122329B (zh) 基于磁致伸缩导波的检测传感器、检测系统及应用
CN202159035U (zh) 一种油套管用缺陷定量无损检测设备
KR101346309B1 (ko)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US20090261846A1 (en) Method for the Capacitive Detection of Flaws in Polymer Tubes, and Device
KR101977921B1 (ko) 나선 방향 전류 유도 수단을 구비한 비파괴 검사 장치
KR100768390B1 (ko)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열교환기 검사장치
KR101053802B1 (ko) 센터링 수단이 구비된 보빈형 와전류 탐촉자
KR20220042220A (ko) 관 부재의 검사 시스템 및 관 부재의 검사 방법
KR100360978B1 (ko) 비파괴식 이중관 검사 장치
KR200303105Y1 (ko) 자기편향 와전류탐촉자
KR200268717Y1 (ko) 전력설비에 있어서 열교환기 튜브의 이중여자 코일방식형원격장 탐촉자
Imagawa et al. Ultrasonic guided wave testing system for piping
CN106290555B (zh) 钻具外螺纹应力检测装置
KR20230161079A (ko) 튜브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튜브 검사 방법
Kim et al. Electromagnetic testing of bleed air duct tubes in aging aircrafts
RU66479U1 (ru) Внутритрубный дефектоско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