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931B1 -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931B1
KR101644931B1 KR1020150178992A KR20150178992A KR101644931B1 KR 101644931 B1 KR101644931 B1 KR 101644931B1 KR 1020150178992 A KR1020150178992 A KR 1020150178992A KR 20150178992 A KR20150178992 A KR 20150178992A KR 101644931 B1 KR101644931 B1 KR 10164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take pipe
water intake
water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삼
Original Assignee
최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삼 filed Critical 최용삼
Priority to KR102015017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취수관의 내부에 취수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확인하기 위한 유량계를 설치하고, 덮개에는 덮개를 열지않고도 유량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을 구비한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하수공에 제1취수관이 삽입되고, 상기 제1취수관 내부에는 펌프가 구비된 양수관이 삽입되어 제1취수관 내부에서 펌핑된 지하수를 취수관의 상측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취수관의 상측에서 연통되어 설치되며, 그 상측이 지면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제2취수관; ∩형의 관체로 된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2취수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양수관과 연결되는 입수구를 가지고, 타측은 제2취수관의 측면에 형성된 유도관 연결구와 연결되는 배수구를 가진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도간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제2취수관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유량계가 위치한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창이 구비된 덮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ubterranean water}
본 발명은 지하수공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수관 내부에 설치된 유량계의 관측이 용이하도록 한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나 혹은 농업 및 산업용 목적으로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시설을 설치하게 되는데, 외부로부터의 이물질로부터 취수공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오염방지장치는 등록특허 제10-0555925에 기술되어 있으며, 본 발명과 대비하기 위하여 이러한 기술적사항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지하수공을 형성하도록 매설된 제1취수관(20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취수관(200)의 상단에는 밀폐형 수밀덮개(220)를 갖는 동일 직경의 제2취수관(210)이 용착하여 일체화 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취수관(200)에는 그 제1취수관(200)에 지지되어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된 수중 펌프(244)가 내장된 구조를 채용하고 있고, 상기 펌프(244)의 구동으로 상기 제1취수관(200)의 내부에 저류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목적지까지 보내도록 하고 있다.
유도관 연결구(260)는 상기 모터펌프(244)와 연락하도록 상기 제2취수관(210)에 수밀하게 설치되어 상기 펌프(244)가 양수한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로(262)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 유도관 연결구(260)는 상기 양수관(240)과 연락되게 연결하기 위한 ㄱ자형상의 유도관인 제1연결소켓(264)과, 상기 제2취수관(210)에 일체로 수밀하게 취부되어 상기 제1연결소켓(264)과 외부와 연락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소켓(266)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및 제2연결소켓들(264,266)은 그 내부에 형성된 토출로(262)에 의하여 상기 모터펌프(244)가 양수한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유도관 연결구(260)는 고정수단(270b)에 의하여 제2취수관(210)에 균형있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소켓(264)의 유도로 상기 양수관(240)을 통해 양수되는 지하수를 상기 제2취수관(210)의 측면 외부로 토출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등록특허 제10-0555925에 따른 오염방지장치는, 자체에 유량계가 설치되지 않아서 현재 취수되는 유량을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등록특허 제10-0981985호(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에서는 지하수 양수관을 통해 수중펌프를 장입하는 관정용 케이싱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중공원통형의 케이싱연결관이 구비되고, 일측면에 지하수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 및 상기 수중펌프 전선이 인출되기 위한 전선인출구가 각각 구비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박스와, 상기 맨홀박스의 상부에서 플랜지 결합되어 상기 맨홀박스 상부를 밀폐하는 맨홀덮개로 구성되는 맨홀부가 구비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체크밸브가 부설된 수도미터기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다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각각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상기 수도미터기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입수연결관 및 출수연결관이 구비된 유량계와, 내부에 격벽이 설치되어 내부공간이 입수공간부 및 출수공간부로 양분되되, 상기 입수공간부 저부에는 중공원통형으로 돌출 개방되어 상기 지하수 양수관에 연결되는 지하수유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출수공간부) 일측에는 상기 맨홀박스의 토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지하수토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입수공간부 및 상기 출수공간부 각각의 상단부에는 상기 입수연결관 및 상기 출수연결관 각각에 연통되기 위한 입수연결구 및 출수연결구가 구비되며, 그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호 수밀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이 구비된 입출수케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맨홀덮개는 상기 맨홀박스 내부의 수도미터기 눈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유량계검침구가 구비된다.
상기 유량계검침구는 상기 맨홀덮개의 중앙부분에서 상하 관통된 중앙관통공과, 상기 중앙관통공 상부를 밀폐하는 검침구뚜껑으로 구성되되, 이때 상기 중앙관통공은 상기 맨홀덮개 저부에 구비된 상기 보온재의 중앙 부분까지 관통하여 미터기의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관통공은 상기 맨홀덮개의 상부로 소정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검침구뚜껑이 상기 돌출턱에 걸림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검침구뚜껑의 양측단에는 고정편이 구비되고, 상기 맨홀덮개 상단부에서 상기 고정편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고정편이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맨홀덮개는 검침구뚜껑을 개폐하여 상기 맨홀박스의 내부점검이 이루어지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수도미터기의 눈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볼트의 체결을 일일이 해제한 다음 검침구뚜껑을 제거하여야 하며, 눈금을 확인한 다음에는 다시 검침구뚜껑을 덮은 다음 볼트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검침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여, 취수관의 내부에 취수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확인하기 위한 유량계를 설치하고, 덮개에는 덮개를 열지않고도 유량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을 구비한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는,
지하수공에 제1취수관이 삽입되고, 상기 제1취수관 내부에는 펌프가 구비된 양수관이 삽입되어 제1취수관 내부에서 펌핑된 지하수를 취수관의 상측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취수관의 상측에서 연통되어 설치되며, 그 상측이 지면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제2취수관;
∩형의 관체로 된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2취수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양수관과 연결되는 입수구를 가지고, 타측은 제2취수관의 측면에 형성된 유도관 연결구와 연결되는 배수구를 가진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도간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제2취수관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유량계가 위치한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창이 구비된 덮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는
유량계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투명창;
상기 투명창의 하부면에 접촉하면서 회전축에 의재 지지되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와이퍼;
상기 덮개의 상측에 위치하고,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노브;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취수관에 유량계를 설치하여 취수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취수관의 덮개에 투명창이 구비되어 유량계의 확인이 매우 간편하며, 또한, 내외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투명창의 내측에 김서림이나 결로가 발생한 경우에 와이퍼에 의해 이를 제거할 수 있어서 유량계의 확인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된 덮개의 측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덮개의 하부면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종래의 기술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를 보인 도로서, 제2취수관(300)은 지중에 매설되어 그 상측부위가 지면(G)위로 노출되고, 그 하단에 제1취수관이 설치되는데, 제1취수관은 도4에서의 제1취수관(2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물론, 제1취수관의 내부에는 도4에서와 같이 수중펌프(244)를 갖는 양수관(24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취수관(300)은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태로 되어 있으며, 하부 측면에 외부로 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유도관 연결구(3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로부터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500)가 씌워진다.
또한 제2취수관(300)의 내측으로는 ∩형의 유도관(400)이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상기 유도관(400)의 상단은 가급적 덮개(500)의 하측부위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관(400)의 하부 일측은 입수구(410)를 가지며, 타측은 배수구(420)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입수구(410)는 제2취수관(30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게 되어 있고, 배수구(420)는 측부로 절곡되어 상기 유도관 연결구(310)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수구(410)는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양수관(240)의 상부가 지면(G)쪽으로 연장되어 접속된다.
유도관(400)의 입수구(410)를 지난 위치에는 체크밸브(4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크밸브(430)는 입수구(4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입관(401)을 통해 상승하면서 거꾸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유입관(401)을 흐르는 물은 유도관(400)의 상부에서 ∩형태로 턴하여 배출관(402)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유도관(400)의 상측 즉 유입관(401)의 상측부위와 배출관(402)의 상측부위 사이에 유량계(440)가 설치되어 취수되어 유도관(400)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게 되며, 이러한 유량계(440)는 아날로그 유량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440)를 지난 물은 배수구(420)를 통해 유도관 연결구(310)로 배출되어 제2취수관(300)의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유도관 연결구(310)는 관체로 된 토출구(311)의 후단에 상측으로는 경사면(312)이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걸림턱(31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러므로, 토출구(311)의 전단이 제2취관(300)의 내측으로부터 끼워져서 외측으로 노출되며, 경사면(312)과 걸림턱(313)은 제2취수관(30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토출구(31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밀착지지부(330)는 제2취수관(300)에서 상기 유도관 연결구(310)의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는데, 사각 박스 형태의 하우징(331)이 제2취수관(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31)의 내측에서 가로방향으로 회전축(332)이 지지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32)상에는 이를 매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편(333)이 구비되는데, 상기 회동편(333)의 면은 가운데 부분이 안쪽으로 약간 절곡되도록 하여, 이후 유도관(400)의 몸체가 면 접촉되면서 쉽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편(333)의 하부에는 걸림턱(334)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이에 유도관(400)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유도관(400)의 장착시에 회동편(333)의 상부가 유도관(400)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하우징(331)의 내측에 위치하고, 회동편(333)의 하부는 하우징(331)의 외측 즉, 제2취수관(300)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회동편(333)의 하측 후면과 하우징(331)의 내측 사이에는 스프링(335)이 장착된다.
유도관(400)을 제2취수관(300)의 내부에 장착 및 탈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장착시는 유도관(400)이 제2취수관(300)의 내부에서 상부로부터 하향 이동하게 되면, 배수구(420)가 형성된 부분이 유도관 연결구(310)의 경사면(312)을 타고 후방 즉, 밀착지지부(3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밀착지지부(330)의 회동편(333)은 스프링(335)에 의하여 하부가 제2취수관(30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부는 하우징(33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유도관(400)의 후단이 간섭없이 회동편(333)의 중심부로부터 면접촉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고, 회동편(333)이 회동하여 회동편(333)의 상부가 세워지면서 유도관(400)의 후단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즉, 유도관(400)의 후단 하측이 회동편(333)의 하부를 면접촉하면서 누르게 되면, 회동편(333)의 상부가 회동되어 유도관(400)의 후단 상측을 유도관 연결구(320)쪽으로 밀게 된다.
그러므로, 유도관(400)의 배수구(420)의 선단이 토출구(311)의 내측으로 회동편(333)의 상부가 후방에서 미는 방식으로 접촉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도관(400)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유도관 연결구(310)의 걸림턱(313)과 밀착지지부(330)의 걸림턱(334)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탈착의 과정은, 유도관(400)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유도관(400)의 후단 상측이 회동편(333)의 상측을 뒤고 밀게되고, 이로 인해 회동편(333)의 하측이 회동하여 유도관(400)의 후단 하측을 상부로 밀게 된다.
그러므로, 쉽게 유도관(400)이 회동편(333)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취수관(300)의 몸체 측부에는 외부로부터 전선을 인입시키기 위한 전선구(45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선구(450)는 제2취수관(300)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외측으로부터 부착되고, 제2취수관(300)의 내측에서 볼트(452)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인입공(481)을 통해 외측에서 전선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전선구(450)는 전선의 교체시에 제2취수관(300)의 외측에서 전선구(450)를 분리하기 힘든 상황에서 제2취수관(300)의 내측에서 볼트(452)를 풀어 간단히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부호 '460'은 급수밸브로서 배출관(402)으로 외부의 물을 급수하기 위한 것이고, 도면부호 '470'은 압력게이지로서 유도관(400) 내부의 수압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2는 덮개(500)의 측단면 구조를 보인 도로서, 이러한 덮개(500)는 제2취수관(300)의 상부를 덮어서 밀폐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500)에는 유량계(440)와 대응되는 위치, 즉, 덮개(500)가 제2취수관(300)에 덮혔을 때 유량계(440)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투명창(51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500)는 도3에서와 같이 원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투명창(510)도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투명창(510)의 형태는 사각, 타원 등의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투명창(510)의 하부면에는 블레이드 형태의 와이퍼(520)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는데, 이러한 와이퍼(520)는 투명창(510)의 측부에서 덮개(500)에 설치된 회전축(540)에 지지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540)의 그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550)에 의해 와이퍼(520)를 투명창(510)의 하부면에 접촉시키게 되며, 그 회전축(540)은 덮개(500)를 관통하여 덮개(50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측으로 연장된 회전축(540)의 상측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노브(530)가 체결됨으로써 회전축(540)을 덮개(5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취수관 내부의 온도와 외기 온도와의 온도차에 의해 투명창(510)의 하단부위에 김서림 또는 결로가 발생하면, 노브(530)를 손으로 좌우 회전시킴으로써 와이퍼(520)에 의해 투명창(510)을 닦아 김서림 또는 결로를 제거하여 유량계(440)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회전축(540)을 중심으로써 와이퍼(520)의 전방부위는 투명창(510)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후방부위에는 핀 형태의 지지바(560)가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덮개(500)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한다.
이러한 지지바(560)는 와이퍼(5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그 지지바(560)의 하측부위가 와이퍼(520)의 하부로 노출되며, 그 하측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570)가 체결된다.
그러므로, 와이퍼(520)의 후방과 덮개(500)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와이퍼(520)의 전방이 투명창(510)에 균일한 힘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너트(570)를 회전시켜 와이퍼(520)의 밀착력을 조절하게 되며, 와이퍼(520)의 회전시에도 균일한 밀착력을 가지도록 한다.
아울러, 투명창(510)의 주변 둘레로는 덮개(50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된 복수의 바(580)가 설치되며, 그 바(580)의 상단 둘레에는 플랜지(590)가 결합되어 손잡이를 이루게 된다.
도면부호 '600'은 에어벤트로서, 취수관 내부의 압력을 가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다른 형태로서, 와이퍼(450)의 구조물을 제거하고, 투명창(510)의 하단부위에 열선을 부착시키거나 또는 자동차의 유리창에 형성된 열선과 같이 인쇄방식에 의한 열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김서림이나 결로 발생시에 열선을 구동시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300 : 취수관 310 : 유도관 연결구
330 : 밀착지지부 400 : 유도관
401 : 유입관 402 : 배출관
410 : 입수구 420 : 배수구
430 : 체크밸브 440 : 유량계
500 : 덮개 510 : 투명창
520 : 와이퍼 530 : 노브
540 : 회전축 560 : 지지바

Claims (4)

  1. 지하수공에 제1취수관이 삽입되고, 상기 제1취수관 내부에는 펌프가 구비된 양수관이 삽입되어 제1취수관 내부에서 펌핑된 지하수를 취수관의 상측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취수관의 상측에서 연통되어 설치되며, 그 상측이 지면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제2취수관;
    ∩형의 관체로 된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2취수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양수관과 연결되는 입수구를 가지고, 타측은 제2취수관의 측면에 형성된 유도관 연결구와 연결되는 배수구를 가진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도관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제2취수관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유량계가 위치한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창이 구비된 덮개;로 구성된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유량계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투명창;
    상기 투명창의 하부면에 접촉하면서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와이퍼;
    상기 덮개의 상측에 위치하고,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노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그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상기 와이퍼를 투명창의 하부면에 접촉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축은 덮개를 관통하여 덮개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그 회전축의 상측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노브가 체결됨으로써 회전축을 덮개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와이퍼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전방이 투명창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부위에는 상기 덮개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회전축의 후방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유도관 연결구는
    상기 제2취수관의 측면부에 관통되어 삽입되는 토출구와, 상기 취수관의 내측에 위치한 토출구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도관의 배수구가 걸림턱에 걸리도록 안착되어 토출구와 연통시키는 유도관 연결구;
    상기 유도관 연결구와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되어 유도관이 회동편의 면을 따라서 하향 이동시에 회동편의 회동에 의하여 유도관 연결구쪽으로 유도관을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밀착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지지부는,
    제2취수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져 회동편을 수용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축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의 하측에서 돌출형성되어 유도관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걸림턱;
    상기 회동편의 하측 후면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KR1020150178992A 2015-12-15 2015-12-15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KR10164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92A KR101644931B1 (ko) 2015-12-15 2015-12-15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92A KR101644931B1 (ko) 2015-12-15 2015-12-15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931B1 true KR101644931B1 (ko) 2016-08-08

Family

ID=5671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992A KR101644931B1 (ko) 2015-12-15 2015-12-15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9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974B1 (ko) * 2017-08-31 2018-02-08 물과지열 주식회사 김서림 방지 및 제거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1840639B1 (ko) * 2017-08-24 2018-03-21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밀 유지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1905029B1 (ko) * 2017-11-01 2018-10-08 최용삼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KR20190111502A (ko) * 2018-03-23 2019-10-02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366Y1 (ko) * 1994-01-19 1998-10-15 박일렬 내부확인투시창을 형성한 버트플라이밸브
KR100890815B1 (ko) * 2007-11-09 2009-03-27 큰산기술 주식회사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KR20100013710A (ko) * 2008-07-31 2010-02-10 주식회사 남도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시건 장치
KR100981985B1 (ko) * 2009-11-17 2010-09-13 명진기공(주)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366Y1 (ko) * 1994-01-19 1998-10-15 박일렬 내부확인투시창을 형성한 버트플라이밸브
KR100890815B1 (ko) * 2007-11-09 2009-03-27 큰산기술 주식회사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KR20100013710A (ko) * 2008-07-31 2010-02-10 주식회사 남도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장치용 커버의 시건 장치
KR100981985B1 (ko) * 2009-11-17 2010-09-13 명진기공(주)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639B1 (ko) * 2017-08-24 2018-03-21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밀 유지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1825974B1 (ko) * 2017-08-31 2018-02-08 물과지열 주식회사 김서림 방지 및 제거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1905029B1 (ko) * 2017-11-01 2018-10-08 최용삼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KR20190111502A (ko) * 2018-03-23 2019-10-02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2072114B1 (ko) * 2018-03-23 2020-03-02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931B1 (ko)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EP2749860B1 (de)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 Wasserleitungsnetz
CN101755163A (zh) 具有集成式过滤器和流量检测器的管联接件
GB2490898A (en) Removing magnetic particles from a fluid flow
US91280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s in a fluid filled vessel
EP1774266B1 (en) Tangential meter for liquids
US9752916B2 (en) Probe for monitoring the surface level of a fluid in a vessel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probe in the vessel
US7784341B2 (en) Liquid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containers
KR101905029B1 (ko)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KR101840639B1 (ko) 수밀 유지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1304488B1 (ko) 수위제어식 강수량계
KR100890815B1 (ko)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US20180371731A1 (en) Valve Fitting for Filling a Sanitary Cistern, and Sanitary Cistern Comprising a Valve Fitting of This Kind
KR101106525B1 (ko) 일체형 지하수공의 상부 보호장치
CN101462015A (zh) 过滤器壳体
KR101644930B1 (ko)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KR101825974B1 (ko) 김서림 방지 및 제거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EP2141465A1 (fr) Agencement de fixation d'un module de tele releve sur le capot d'un compteur de fluide
ES2712715T3 (es) Un dispositivo para apertura y cierre de los orificios de salida de una válvula distribuidora de fluido
KR100702141B1 (ko)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CN205373779U (zh) 智能电子冷热水表装置
US20150362349A1 (en) Throughflow measurement device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N212228161U (zh) 一种轻便易拆装的变压器油位计
KR101873958B1 (ko)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JP5166361B2 (ja) 水噴霧ノズル及びトンネル用水噴霧設備の点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