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623B1 -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 - Google Patents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623B1
KR101644623B1 KR1020140090256A KR20140090256A KR101644623B1 KR 101644623 B1 KR101644623 B1 KR 101644623B1 KR 1020140090256 A KR1020140090256 A KR 1020140090256A KR 20140090256 A KR20140090256 A KR 20140090256A KR 101644623 B1 KR101644623 B1 KR 10164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detector
voltage
optical
current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323A (ko
Inventor
박영준
최성욱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5/026,50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95519B2/en
Priority to PCT/KR2014/010208 priority patent/WO2015065023A1/ko
Priority to DE112014004937.9T priority patent/DE112014004937B4/de
Priority to CN201480059243.0A priority patent/CN105765366B/zh
Publication of KR2015005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75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01N21/534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by measuring transmission alone, i.e. determining opac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시스템은, 검출 물질에 광학적 자극을 인가하는 광학적 액츄에이터(optical actuator)와, 광학적 자극이 인가된 검출 물질의 농도에 따라 형성되는 광학적 반응에 상응하여 스냅백(snapback) 형태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출기(photo-detector)와, 광 검출기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광학적 액츄에이터에 포지티브 피드백(positive feedback)하여 인가하는 증폭기(amplifier) 및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Water Quality Sensor Using Positive Feedback}
본 발명은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츄에이터(actuator)와 센서(sensor)를 사용하는 수질 센싱 시스템은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센서는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형성되는 매질의 변화를 검출하였다. 종래 기술에 의한 센싱 시스템은 액츄에이터, 매질 및 센서를 단일단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보다 안정적인 구성을 위하여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형태로 센싱 시스템을 형성하였다.
일 예로, 탁도 센서의 경우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매질에 액츄에이터가 일정한 광을 조사하면, 센서는 매질을 투과한 광을 센싱하고,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매질에 포함된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종래의 센싱 시스템은 제한된 검출한계(LOD, Limit Of Detection)를 가진다. 일 예로, 수질 센서로 사용하는 경우에 센싱 시스템의 검출한계 특성이 낮아가 높아 물에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이 검출한계 이하로 미량 포함된 경우에도 해당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센싱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향상된 검출 한계 특성을 가져서 보다 미량의 물질이 포함되어도 보다 높은 민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시스템은, 검출 물질에 광학적 자극을 인가하는 광학적 액츄에이터(optical actuator)와, 광학적 자극이 인가된 검출 물질의 농도에 따라 형성되는 광학적 반응에 상응하여 스냅백(snapback) 형태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출기(photo-detector)와, 광 검출기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광학적 액츄에이터에 포지티브 피드백(positive feedback)하여 인가하는 증폭기(amplifier) 및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센서로 검출할 수 없었던 정도로 낮은 농도의 검출 대상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으로 검출 물질인 BSA(Bovine Serum Albumin)을 검출할 때 광 검출기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이다.
도 4는 스냅백 구간에서 검출 대상 물질의 농도별 전류-전압 특성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센서로 측정한 BSA 측정의 결과값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실시예로 측정한 BSA 측정의 결과값을 도시한도면이다. 도 5c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의 BSA 검출 능력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270, 280, 340nm LED를 사용하여 NADH를 측정한 전류-전압 특성곡선이며, 도 6d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의 NADH측정 능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그라핀 산화물(Graphene Oxide)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에 대한 전류-전압 특성 곡선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880nm, 405nm, 280nm 적외선 LED를 각각 사용하여 탁도(turbidity)를 측정하여 얻은 전류-전압 곡선이며,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시스템을 이용한 측정 한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은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의도적으로 크기, 높이, 두께 등이 과장되어 표현되어 있으며, 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어느 구성요소는 의도적으로 축소되어 표현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의도적으로 확대되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블록도(block diagram)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은 광학적 액추에이터(optical actuator, 100)를 포함한다. 광학적 액추에이터는 바이어스(bias)를 인가받아 검출물질을 포함하는 매질(200)에 광학적 자극을 인가한다. 이하에서는 자외광, 가시광, 적외광 및 레이저 광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광학적 액추에이터라고 정의하며, 음파(sonic wave), 초음파(supersonic wave), 자기장(magnetic field), 전기장(electric field) 및 방사능(radioactivity) 등의 비광학적 자극을 인가하는 액추에이터를 비광학적 액추에이터(non-optical actuator)라고 정의한다. 일 예로, 광학적 액추에이터는 바이어스를 인가받아 광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가시광, 자외광 또는 적외광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레이저 다이오드는 270nm 내지 3330nm 대역 중 특정 대역을 가지는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센싱 시스템으로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대역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도록 광학적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질(20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으로 검출하고자 하는 검출 대상 물질을 포함한다. 검출 대상 물질은 광학적 액추에이터로부터 광학적 자극을 인가받아 광학적 반응을 형성한다. 광학적 자극에 대하여 검출 대상 물질이 생성하는 광학적 반응은 일 예로, 광학적 자극에 의한 광이 매질을 투과한 광이거나, 매질에 반사된 광이거나, 매질에 산란된 광이거나 또는 광학적 자극에 의하여 형성된 형광일 수 있다. 이러한 광학적 반응의 일 예로, BSA(Bovine Serum Albumin)는 270~280nm의 광을 흡수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BSA를 포함하는 매질에 275nm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를 조사하면 BSA는 인가된 광학적 자극에 대하여 인가된 광을 흡수하는 광학적 반응을 한다. 다만, 이는 단순히 설명을 위한 예일 따름으로, 검출물질과 검출물질에 인가하는 광학적 자극 및 검출물질에 따라 발생하는 광학적 자극에 대한 광학적 반응은 상이할 수 있다.
광 검출기(photo detector, 300)는 매질(200)에 광학적 자극이 인가되어 발생하는 광학적 반응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일 예로, 광학적 액추에 이터가 인가하는 광학적 자극에 대하여 검출 대상 물질이 생성하는 매질을 투과한 광, 매질에 반사된 광, 매질에 산란된 광 또는 광학적 자극에 의하여 매질이 형성하는 형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매질(200)에 포함된 검출물질의 농도에 따라 광학적 반응이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 검출기가 제공하는 전기적 신호도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로 광검출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포토 다이오드는 매질이 발생하는 광학적 반응으로 인한 광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에 상응하는 전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광 검출기(300)는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하는 전원(PD bias)로부터 구동 전류(ipd)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은 전원(PD bias)이 제공하는 구동 전류를 변화(sweep)시키면서 매질이 제공하는 광학적 반응을 검출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구동 전류가 변화함에 따라 광 검출기(300)는 스냅백 형태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증폭기(400)는 광 검출기가 제공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증폭된 전기적 신호는 액추에이터의 바이어스(bias)와 부가되어 액추에이터로 피드백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00), 매질(200), 광 검출기(300) 및 증폭기(400)는 포지티브 피드백 경로(positive feedback path)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로, 증폭기(400)는 포토 다이오드가 제공한 전류를 전압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컨버터(i-v converter)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전류-전압 컨버터 회로의 출력 전압은 광학적 액추에이터의 바이어스(ACT bias)와 함께 포지티브 피드백된다.
도 2에서, 광 검출기(300)가 제공하는 전류(ipd)는 증폭기(400)에 의하여 전압 신호(vpd)로 변환된다. 전압 신호(vpd)는 음전위를 가지므로, 기준 전위가 연결된 광학적 액추에이터(100)의 일단의 전위에 비하여 증폭기(400)와 연결된 타단의 전위가 더 낮아진다. 따라서, 증폭기의 전압(vpd)이 증가함에 따라 광학적 액추에이터(100)에 인가되는 바이어스는 커지므로 더 큰 광학적 자극을 인가하고, 그에 따라 매질(200)은 인가된 광학적 자극에 대하여 광학적으로 반응하며, 광학적 반응을 검출한 광 검출기(300)는 더 큰 전류(ipd)를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은 포지티브 피드백 경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검출부(500)는 광 검출기(300)가 출력한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아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매질(200) 내에 포함된 검출 대상 물질의 농도를 검출한다. 일 실시예로, 검출부(500)는 리드-아웃 회로를 구비하여 광 검출기가 제공하는 전기적 신호(OUTPUT)를 분석하여 검출 대상 물질의 농도를 검출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으로 검출 물질인 BSA(Bovine Serum Albumin)을 검출할 때 광 검출기(300)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이다. 수직축은 도 1 및 도 2의 광 검출기(300)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PD bias, ipd)의 값이며, 수평축은 광 검출기(300) 양단에 형성되는 전압값(vpd)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광 검출기에 제공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0에서 증가시키면서 광 검출기 양단의 전압의 변화를 설명하도록 한다. 광 검출기(300)에 제공되는 바이어스 전류(ipd)를 증가시키면 광 검출기 양단에 형성되는 전압(vpd)도 그에 상응하여 증가하며, 아직 광 액추에이터(100)는 턴 온(turn on)되지 않는다.
광 검출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증폭기가 광 액추에이터에 턴 온 전압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여 광 액추에이터를 턴 온 시킨다. 턴 온된 광 액추에이터는 매질(200)에 광학적 자극을 인가하며, 매질이 광학적 반응으로 광을 제공하는 경우에, 광 검출기는 이러한 광을 검출하여 전류로 변화하여 출력한다. 광 액추에이터가 턴 온되는 시점에서, 광 검출기가 일정한 전류를 흘리기 위해서는 광학적 반응에 의하여 매질이 발광하는 광에 의한 전류 보상하기 위해 광 검출기 양단의 전압이 줄어들어야 한다. 따라서 전압은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전원이 광 검출기에 인가하는 전류값을 증가시켜도 광 검출기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오히려 감소하는 음 저항(negative resistance)의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광 검출기로 인가되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광 검출기 양단 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을 스냅백 현상이라 하고, 스냅백 현상이 일어나는 시작점을 스냅백 포인트(SB point), 스냅백 현상에 의하여 전류가 증가하여도 전압이 감소하는 구간을 스냅백 구간이라고 한다.
광 검출기의 바이어스 전류를 더욱 증가시키면 광 검출기 양단의 전압이 0에 근접하는 정도로 감소한다. 이때를 포화 포인트(SAT point, saturation point)이라 하고, 포화 포인트 이후를 포화 구간이라 한다.
포화는 광 검출기의 바이어스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포지티브 피드백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더 큰 광학적 자극을 받은 매질이 더 많은 광학적 반응에 의한 광을 광 검출기에 제공하는데, 광 검출기는 증가한 광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류를 보상하기 위하여 그 양단 전압을 감소시켜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계속적으로 바이어스 전류를 증가시킴에 따라 광 검출기 양단의 전압은 이 지점 부근에서 유지 되고, 전류를 올려도 전압의 변화가 거의 없다. 다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이 수 V 정도로 상승할 수 있으나, 광 검출기 양단 전압을 대략 100V 정도로 확장하여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포화 구간에서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전압 변화는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곡선은 포지티브 피드백 경로없이 개방 루프로 신호 경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얻어진 전류-전압 특성 곡선이다. 점선으로 도시된 곡선과 대비하여 보면, 광학적 액추에이터, 매질, 광 검출기 및 증폭기가 포지티브 피드백 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스냅백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스냅백 구간에서 검출 대상 물질의 농도별 전류-전압 특성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으로,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I)에 검출 대상 물질인 BSA를 각각 1ng, 10ng, ..., 1mg을 첨가한 매질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으로 검출하여 얻은 전류-전압 곡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검출기에 대략 2.1μA 내지 2.15μA의 전류를 인가하면 스냅백 현상이 발생하고, 2.17μA 내지 2.21μA의 전류에서 대략 0V의 전압으로 포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검출 대상 물질의 농도에 따라 스냅백 구간에서의 전류 전압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검출부(500)는 광 검출기 바이어스 전류를 고정하고 광 검출기 양단 전압을 읽거나, 광 검출기 양단 전압을 고정한 후, 광 검출기 바이어스 전류의 값을 읽어서 검출 대상 물질의 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부는 광 검출기 바이어스 전류를 2.15μA로 고정한 후, 광 검출기 양단의 전압이 66V로 읽히면 검출 대상 물질의 농도를 1ng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검출부는 광 검출기 양단 전압을 40V로 고정한 후, 광 검출기 바이어스 전류가 2.18μA로 읽히면 검출 대상 물질의 농도를 100ng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스냅백 구간을 지나 포화 포인트에서의 전류, 전압값을 측정하여 검출 대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구현예 및 실험결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의 구현예와 구현예를 이용하여 검출 대상 물질을 검출한 결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 구현예의 회로도로, 광 검출기(300)에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은 애질런트사(Agilent)의 모델 4156이며, 광 검출기로는 어드밴스드 포토닉스(Advanced Photonix) 사의 자외선 증강 포토 다이오드(UV Enhanced Silicon Photodiode) 모델 100-13-23-222를 사용하였고, 연산 증폭기는 버브라운(Burr Brown)사의 고전압 고전류용 연산 증폭기 OPA544를 사용하였다. 증폭기에 포한된 피드백 저항은 6.1Mohm 이다. 광 액추에이터는 측정하고자 하는 검출 대상 물질별로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LED를 사용하였다.
물 속의 단백질 검출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10pM에서 100uM까지의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지는 BSA를 측정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센서로 측정한 결과값은 도 5a와 같으며, 본 실시예로 측정한 결과 값은 도 5b와 같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지티브 피드백에 의하여 스냅백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 측정 결과를 토대로 BSA 검출 능력을 정리하면 도 5c과 같다.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센서로 측정할 수 없었던 10~ 103pM 농도를 가지는 BSA 단백질을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수중 미생물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하여 NADH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는 세포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조효소로, NADH는 NAD의 환원 형태이고, 세포 대사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반응 식을 따라 발생하는 물질이다.
NAD+ + 환원 물질 (2e- + 2H+ ) ⇔ NADH + H+ + 산화물질
따라서 NADH의 존재 여부를 측정하면 물 속의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NADH는 뉴클레오타이드가 기본 골격이기 때문에 흡수 극대파장이 260nm로 DNA와 같다. 340nm의 파장은 NADH만이 잘 흡수하기 때문에, 탈수조효소의 활성도를 340nm LED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실험예에서는 NADH를 270, 280, 340nm LE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각각 파장에 대한 전류-전압 특성은 각각 도 6a, 6b 및 6c와 같다. 또한, 위 측정 결과를 토대로 NADH측정 능력을 정리하면 도 6d와 같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을 이용하면 10nM까지의 NADH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중 독성 물질 중 하나인 그라핀 산화물(Graphene Oxide)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 결과에 대한 전류-전압 특성 곡선은 도 7과 같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4ng/ml 농도까지 검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에 의한 스펙트로미터(spectrometer)를 사용하면 수 ug/ml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 의한 센싱 시스템의 성능이 우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물 속 부유물을 검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880nm, 405nm, 280nm 적외선 LED를 각각 사용하여 탁도(turbidity)를 측정하였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 파장별 스냅백 구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시스템을 이용한 측정 한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880nm 파장대에서 가장 정밀하고 낮은 농도까지 측정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측정 결과를 토대로 검출 한계를 검토하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0.01NTU까지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를 위한 실시예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광학적 액츄에이터 200: 검출 대상 물질을 포함한 매질
300: 광 검출기 400: 증폭기
500: 검출부

Claims (11)

  1. 센싱 시스템에 있어서,
    검출 물질에 광학적 자극을 인가하는 광학적 액츄에이터(optical actuator);
    광학적 자극이 인가된 검출 물질의 농도에 따라 형성되는 광학적 반응에 상응하여 스냅백(snapback) 형태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출기(photo-detector);
    광 검출기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광학적 액츄에이터에 포지티브 피드백(positive feedback)하여 인가하는 증폭기(amplifier);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시스템은 상기 광 검출기에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액츄에이터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기는 광 다이오드(photo-diode)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기는 광학적 액츄에이터가 인가한 광학적 자극이 검출 물질에 조사되어 형성된 반사광, 투과광, 산란광 및 형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전류 신호를 인가받아 그에 상응하는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인 센싱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백 형태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는,
    스냅백 포인트(smapback point)으로부터 광 검출기 양단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감소하는 스냅백 구간과, 광 검출기 양단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증가하는 정상 구간을 포함하며, 스냅백 구간과 정상 구간은 회복 포인트(recovery point)를 거쳐 연결되는 센싱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스냅백 구간에서 일정한 광 검출기에 일정한 전류를 제공될 때 광 검출기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센싱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스냅백 구간에서 일정한 광 검출기에 일정한 전압이 제공될 때 광 검출기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검출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센싱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회복 포인트에서의 전류, 전압값을 검출하여 검출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센싱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정상 구간의 전류, 전압의 비를 검출하여 검출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센싱 시스템.
KR1020140090256A 2013-10-29 2014-07-17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 KR10164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26,506 US10295519B2 (en) 2013-10-29 2014-10-28 Water quality sensor using positive feedback
PCT/KR2014/010208 WO2015065023A1 (ko) 2013-10-29 2014-10-28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
DE112014004937.9T DE112014004937B4 (de) 2013-10-29 2014-10-28 Messsystem zum Erfassen einer Konzentration einer Zielerfassungssubstanz in einem Medium
CN201480059243.0A CN105765366B (zh) 2013-10-29 2014-10-28 使用正反馈的水质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9131 2013-10-29
KR1020130129131 2013-10-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234A Division KR101663289B1 (ko) 2016-07-20 2016-07-20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323A KR20150050323A (ko) 2015-05-08
KR101644623B1 true KR101644623B1 (ko) 2016-08-01

Family

ID=5338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256A KR101644623B1 (ko) 2013-10-29 2014-07-17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95519B2 (ko)
KR (1) KR101644623B1 (ko)
CN (1) CN105765366B (ko)
DE (1) DE11201400493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9575A4 (en) * 2017-09-13 2021-12-01 Giparang Co., Ltd. SENSOR WITH IMPROVED DETECTION CAPAC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0992B2 (en) 1997-11-25 2006-08-15 Ut-Battelle, Llc Bioluminescent bioreporte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estrogen
WO2010090391A2 (ko) 2009-02-03 2010-08-12 (주)동양화학 소수성 졸-겔로 개질된 고분자막을 갖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WO2013032138A2 (ko) 2011-08-26 2013-03-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학적 가스농도 계측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7990A (en) 1965-05-03 1967-10-18 Vickers Ltd Measurement of absorption by a substance of radiation
US4077724A (en) * 1973-02-09 1978-03-07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Optical density measurement
DE2814441A1 (de) 1978-04-04 1979-10-18 Bosch Gmbh Robert Schaltungsanordnung zum zuenden eines thyristors
US4270046A (en) * 1978-11-02 1981-05-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wo-terminal optical sensor
JP4523143B2 (ja) 2000-11-10 2010-08-11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濃度測定装置及び糖度測定装置
KR100747768B1 (ko) * 2005-05-31 2007-08-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파장 변조 방법을 이용한 유해 가스 측정 장치
KR100954092B1 (ko) 2008-01-24 2010-04-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가스 측정을 위한 광센서 및 혼합가스 측정 방법
CN201628679U (zh) * 2010-03-04 2010-11-10 吕佳桐 水质监测器
US8866064B2 (en) * 2011-07-26 2014-10-2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ulti-directional proximity sensor
KR101482624B1 (ko) * 2013-05-16 2015-01-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계 내 표적 유해물질 연속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671400B1 (ko) * 2015-03-18 2016-11-02 주식회사 지파랑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센싱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0992B2 (en) 1997-11-25 2006-08-15 Ut-Battelle, Llc Bioluminescent bioreporte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estrogen
WO2010090391A2 (ko) 2009-02-03 2010-08-12 (주)동양화학 소수성 졸-겔로 개질된 고분자막을 갖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WO2013032138A2 (ko) 2011-08-26 2013-03-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학적 가스농도 계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38581A1 (en) 2016-08-18
CN105765366B (zh) 2019-03-08
DE112014004937T5 (de) 2016-07-21
CN105765366A (zh) 2016-07-13
US10295519B2 (en) 2019-05-21
DE112014004937B4 (de) 2021-09-16
KR20150050323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0704493D0 (en) Target tracking device and method
KR101663289B1 (ko)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
KR101644623B1 (ko)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
KR101592759B1 (ko)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센싱 시스템
TWI325494B (en) Optical measuring system
Krause et al. Scanning photo-induced impedance microscopy—resolution studies and polymer characterization
WO2015065023A1 (ko)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수질 센서
KR101671400B1 (ko)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센싱 시스템
JP4441381B2 (ja) 表面キャリア再結合速度の測定方法
CN111220667A (zh) 一种光寻址电化学传感器及其制备方法和检测方法
KR102170285B1 (ko) 향상된 검출 능력을 가지는 센서
Akiba Low-noise and high-speed photodetection system using optical feedback with a current amplification function
KR101707629B1 (ko)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센싱 시스템
US20230341321A1 (en)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o2 content in a given environment
De Marcellis et al. Photodiode bridge-based differential readout circuit for high-sensitivity measurements of energy variations of laser pulses for optoelectronic sensing systems
EP3131125A1 (en) Light emitt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using the same
CN220305144U (zh) 一种可变量程的气体浓度检测系统
Miyajima et al. Gas-phase biosensor with high sensitive & selective for formaldehyde vapor: Monitoring of residential air quality for indoor public health
TH180258A (th) การกำหนดค่ากระแสของเลเซอร์โดยยึดตามระดับการกล้ำในการวัดด้วย ตัวตรวจรู้กำลังแสง
Budiyanto et al. Efficiency of Optical Sensors with Quasi Gaussian Beam for Determining Cholesterol Concentration
CN117728804A (zh) 一种自适应量子级联激光器脉宽调制驱动系统
Kudo et al. NADH-fluorometric biochemical gas sensor (bio-sniffer) for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CN114567273A (zh) 一种基于光敏三极管的微弱光信号采集放大电路
Louro et al. Characterization of a monolithic device for detection of FRET signals
CZ303501B6 (cs) Zarízení pro optické snímání elektrické aktivity živé tká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