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262B1 - 가구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가구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262B1
KR101644262B1 KR1020150007607A KR20150007607A KR101644262B1 KR 101644262 B1 KR101644262 B1 KR 101644262B1 KR 1020150007607 A KR1020150007607 A KR 1020150007607A KR 20150007607 A KR20150007607 A KR 20150007607A KR 101644262 B1 KR101644262 B1 KR 10164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andle body
opening
handle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180A (ko
Inventor
박정숙
Original Assignee
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숙 filed Critical 박정숙
Priority to KR102015000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2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본체를 압출성형할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코스트도 저렴하며, 회동커버가 효과적으로 작동되는 새로운 구성의 가구용 손잡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으로 개구부(112)가 형성된 파지홈(110)을 갖도록 길게 압출성형된 손잡이본체(100); 상기 손잡이본체(1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2)를 개폐시키는 회동커버(200); 상기 손잡이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캡(300); 및 상기 마감캡(30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2)가 폐쇄되도록 상기 회동커버(200)를 탄지하는 스프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구용 손잡이{Handle for fu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의 도어에는 흔히, 전방으로 개방되는 파지홈이 형성되도록 길게 압출성형된 손잡이본체의 양단부에 마감캡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형태의 손잡이가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손잡이는 상기 파지홈에 손가락을 걸어서 도어를 여닫는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손잡이는 파지홈이 전방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파지홈이 먼지 등으로 쉽게 오염되어 비위생적이며, 보기에도 좋지 않다.
한편,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파지홈을 개폐시키는 회동커버가 더 구비된 손잡이가 등록실용신안 제20-0251905호로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손잡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홈(12)이 형성된 손잡이본체(10)와, 파지홈(12)을 커버하도록 손잡이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커버(20)와, 회동커버(20)를 탄지하는 스프링(3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프링(30)이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회동커버(20)와 손잡이본체(10)의 배면 사이에 구비된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본체(10)의 배면 내측에 고정돌기(14)가 돌출형성되고, 이 고정돌기(14)에 스프링(30)의 일단이 결합되어 스프링(30)의 타단이 회동커버(20)의 배면에 탄지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손잡이는 손잡이본체(10)의 배면에 스프링(30)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돌기(14)가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손잡이본체(10)를 압출성형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손잡이본체(10)를 사출성형하여야 하는데, 사출성형을 위한 사출금형은 고가이며, 이러한 이유는 제품의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또한, 손잡이본체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사출금형을 준비하여 손잡이본체를 다양한 길이로 성형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손잡이본체를 단일의 길이로 성형하여 손잡이본체를 도어의 크기에 따라 잘라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자투리가 많이 발생되므로 비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손잡이는 스프링(30)의 일단이 회동커버(20)의 배면에 단순히 접촉되어 회동커버가 스프링(30)에 의해 탄지되기 때문에, 스프링(30)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에 스프링(30)이 회동커버(20)를 지지하지 못하고 하향으로 쳐지게 되고, 결국. 회동커버(20)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1905호(2001. 10. 1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본체를 압출성형할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코스트도 저렴하며, 회동커버가 효과적으로 작동되는 새로운 구성의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전면으로 개구부(112)가 형성된 파지홈(110)을 갖도록 길게 압출성형된 손잡이본체(100); 상기 손잡이본체(1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2)를 개폐시키는 회동커버(200); 상기 손잡이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캡(300); 및 상기 마감캡(30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2)가 폐쇄되도록 상기 회동커버(200)를 탄지하는 스프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400)은 코일형상을 갖는 코일부(410)와, 상기 코일부(41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탄성단부(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캡(3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일부(410)가 끼워지는 스프링결합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코일부(410)가 상기 스프링결합돌기(310)에 끼워져서, 상기 탄성단부(420) 중의 하나가 마감캡(300)의 배면을 탄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결합돌기(310)에는 나사홈(312)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홈(312)에는 나사(2)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나사(2)의 헤드부 또는 나사(2)의 헤드부와 스프링결합돌기(310)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본체(100)의 전, 후면 내측에는 손잡이본체(100)의 상, 하면에서 이격되어 손잡이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는 걸림턱(116)들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300)에는 상기 걸림턱(116)과 손잡이본체(100) 상, 하면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02)들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돌기(302)의 손잡이본체(100) 상, 하면에 접하는 면은 만곡면(303)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회동커버(200)를 탄지하는 스프링(400)이 마감캡(300)에 결합되기 때문에, 스프링(400)을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손잡이본체(100)에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손잡이본체(100)를 압출성형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코스트로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400)이 코일부(410)를 갖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마감캡(300)에는 나사홈(312)이 형성된 스프링결합돌기(310)가 형성되어, 스프링(400)의 코일부(410)를 스프링결합돌기(310)에 끼우고 나사홈(312)에 와셔(4)를 끼운 나사(2)를 체결하면 스프링(400)이 스프링결합돌기(310)에 결합되므로 조립이 용이하며, 스프링(400)이 스프링결합돌기(310)에서 이탈되지도 않는다.
뿐만 아니라, 마감캡(300)에 일면이 만곡면(303)으로 된 끼움돌기(302)가 형성되어, 마감캡(300)을 손잡이본체(100)에 끼워서 결합시키기도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손잡이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2)에 의해 전방으로 개구되는 파지홈(110)을 갖는 손잡이본체(100)와, 손잡이본체(100)의 개구부(112)를 개폐시키는 회동커버(200), 손잡이본체(100)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캡(300), 마감캡(300)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커버(200)를 탄지하는 스프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본체(100)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을 갖도록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길게 압출성형되는데, 손잡이본체(100)에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110)이 전면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파지홈(110)이 손잡이본체(100)의 전면으로 개구됨에 따라 손잡이본체(100)의 전면에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2)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회동커버(200)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114)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본체(100)의 전, 후면 내측에는 손잡이본체(100)의 상, 하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걸림턱(116)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형성된다. 미 설명부호 118은 손잡이본체(100)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로서, 이들 고정돌기(118) 사이에 도어(1)의 상단부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회동커버(200)는 손잡이본체(100)의 개구부(112)를 개폐시키도록 결합되는데, 회동커버(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힌지축(114)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힌지공(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커버(200)는 상하 폭이 개구부(110)의 상하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커버(200)의 상단부가 개구부(112)의 상단 내측면에 접촉됨으로써, 회동커버(200)가 파지홈(110) 내부에서 회동된다.
한편, 상기 마감캡(3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손잡이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된다. 마감캡(300)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턱(116)과 손잡이본체(100)의 상,하면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02)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끼움돌기(302)들이 걸림턱(116)과 손잡이본체(100)의 상,하면 사이에 끼워져서 마감캡(300)이 손잡이본체(1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돌기(302)는 걸림턱(116)에 접하는 면이 평면을 이루고, 손잡이본체(100)의 상, 하면에 접하는 면이 만곡면(30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끼움돌기(302)의 손잡이본체(100) 상, 하면에 접하는 면이 만곡면(303)으로 이루어지며, 끼움돌기(302)가 걸림턱(116)과 손잡이본체(100)의 상, 하면 사이에 좀 더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이러한 마감캡(300)의 내측에는 내부에 나사홈(312)이 형성된 스프링결합돌기(310)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00)은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는 코일형상을 갖는 코일부(410)와 코일부(410)의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연장된 한 쌍의 탄성단부(420)로 구성되어, 코일부(410)가 상기 마감캡(300)의 스프링결합돌기(310)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스프링(400)이 스프링결합돌기(310)에 끼워지면 상기 탄성단부(420) 중의 하나가 회동커버(200)의 배면을 탄지하고, 이에 따라 회동커버(200)는 파지홈(110)의 개구부(112)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결합돌기(310)의 나사홈(312)에는 와셔(6)가 체결된 나사(2)가 결합된다. 따라서 스프링(400)이 상기 와셔(4)에 걸려서 스프링결합돌기(3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미 설명부호 314는 마감캡(3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스프링(400)의 탄성단부(420)들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돌기들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나사(2)를 스프링결합돌기(300)의 외경보다 큰 것 헤드부를 갖는 것으로 사용하면 와셔(4)를 사용하지 않아도 스프링(400)이 나사(2)의 헤드부에 걸려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1)를 개폐시키기 위해 손가락을 파지홈(110)에 끼우기 위해 회동커버(200)를 밀면, 회동커버(200)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홈(110)이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홈(110)에서 손가락을 빼면, 스프링(400)에 의해 회동커버(200)가 초기의 상태로 복원되어 파지홈(110)의 개구부(112)가 폐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프링(400)이 마감캡(300)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스프링(400)을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손잡이본체(100)에 형성시키기 않아도 되므로 손잡이본체(100)를 압출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프링본체(100)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 비해 코스트가 저렴하고, 제작도 용이하다.
또한, 회동커버(200)에 의해 파지홈(110)이 커버되므로 파지홈(110)에 먼지 등으로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회동커버(200)의 색상을 손잡이본체(100)와 다르게 형성하면 손잡이를 좀 더 다채롭게 형성할 수 있으며, 손쉽게 제품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회동커버(200)의 하단부가 손잡이본체(100)에 힌지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회동커버(200)의 상다부가 손잡이본체(100)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Claims (4)

  1. 전면으로 개구부(112)가 형성된 파지홈(110)을 갖도록 길게 압출성형된 손잡이본체(100);
    상기 손잡이본체(1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2)를 개폐시키는 회동커버(200);
    상기 손잡이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캡(300); 및
    상기 마감캡(30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2)가 폐쇄되도록 상기 회동커버(200)를 탄지하는 스프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400)은 코일형상을 갖는 코일부(410)와, 상기 코일부(410)의 양측 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탄성단부(4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캡(3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일부(410)가 끼워지는 스프링결합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코일부(410)가 상기 스프링결합돌기(310)에 끼워져서, 상기 탄성단부(420) 중의 하나가 마감캡(300)의 배면을 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결합돌기(310)에는 나사홈(312)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홈(312)에는 나사(2)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나사(2)의 헤드부 또는 나사(2)의 헤드부와 스프링결합돌기(310)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본체(100)의 전, 후면 내측에는 손잡이본체(100)의 상, 하면에서 이격되어 손잡이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는 걸림턱(116)들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300)에는 상기 걸림턱(116)과 손잡이본체(100) 상, 하면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02)들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돌기(302)의 손잡이본체(100) 상, 하면에 접하는 면은 만곡면(30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KR1020150007607A 2015-01-15 2015-01-15 가구용 손잡이 KR10164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607A KR101644262B1 (ko) 2015-01-15 2015-01-15 가구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607A KR101644262B1 (ko) 2015-01-15 2015-01-15 가구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180A KR20160088180A (ko) 2016-07-25
KR101644262B1 true KR101644262B1 (ko) 2016-07-29

Family

ID=5661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607A KR101644262B1 (ko) 2015-01-15 2015-01-15 가구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556U (ko) * 2017-08-23 2019-03-06 박광호 가구용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573B1 (ko) * 2020-06-24 2020-11-30 김두철 가구용 손잡이
KR102377871B1 (ko) * 2021-11-29 2022-03-24 (주)코아스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391Y1 (ko) 1995-08-31 1999-06-15 전주범 텔레비디오 프론트도어 개폐장치의 텐션스프링 지지구조
US20110169389A1 (en) * 2010-03-19 2011-07-14 Austin Hardware & Supply, Inc. Drawer relea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05Y1 (ko) 2001-07-14 2001-11-17 박상욱 가구용 손잡이
KR20090002538U (ko) * 2007-09-10 2009-03-13 주식회사 영일산업 서랍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391Y1 (ko) 1995-08-31 1999-06-15 전주범 텔레비디오 프론트도어 개폐장치의 텐션스프링 지지구조
US20110169389A1 (en) * 2010-03-19 2011-07-14 Austin Hardware & Supply, Inc. Drawer rele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556U (ko) * 2017-08-23 2019-03-06 박광호 가구용 손잡이
KR200489012Y1 (ko) * 2017-08-23 2019-04-16 박광호 가구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180A (ko)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714B2 (en) Replacement door handle
KR101644262B1 (ko) 가구용 손잡이
US7083354B2 (en) Cosmetics case having receipt drawing toilet set
US7963420B2 (en) Case for a cosmetic product
US9915088B2 (en) Door stop assembly with decorative member
US20070114891A1 (en) Toothbrush holder
KR200454552Y1 (ko) 도어 손잡이
KR101846272B1 (ko) 모발 파지력에 의해 모발 빠짐이 방지되는 헤어클립
KR101900592B1 (ko) 붙박이장의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
KR20120011515A (ko) 도어 손잡이
US20150361706A1 (en) Door Stop Assembly with Decorative Member
CA2149100A1 (en) Device for securing a closure such as a window
KR200412670Y1 (ko) 가구 손잡이 마감캡
KR101295340B1 (ko) 가구용 개폐 핸들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139097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안전 손잡이
KR200251905Y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225608Y1 (ko) 도어용 손잡이
KR200424501Y1 (ko) 가구용 도어 손잡이 구조
KR200480622Y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KR101482773B1 (ko) 차량의 도어 키이 홀 커버 조립체
KR200266376Y1 (ko) 우산손잡이
KR20140001123U (ko) 칫솔 케이스
KR100518413B1 (ko) 냉장고의 도어손잡이
CN217842904U (zh) 一种按键结构和淋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