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939B1 -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 - Google Patents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939B1
KR101643939B1 KR1020150051810A KR20150051810A KR101643939B1 KR 101643939 B1 KR101643939 B1 KR 101643939B1 KR 1020150051810 A KR1020150051810 A KR 1020150051810A KR 20150051810 A KR20150051810 A KR 20150051810A KR 101643939 B1 KR101643939 B1 KR 10164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input shaft
output shaft
operation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백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Priority to KR102015005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을 편리하게 도모하는 전동기구에 있어서: 주방에 외부전원과 상시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면과 측면에 하나 이상의 수용홈과 거치홈을 노출되게 형성하는 박스형의 보관함; 상기 수용홈에 충전 가능하게 탈·장착되고, 내부에 조작의 따라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축을 구비하는 바형의 조작유닛; 상기 거치홈에 정렬되게 탈·장착되고,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어 주방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동체를 구비하는 작업유닛; 및 상기 조작유닛과 작업유닛 상에 출력축과 입력축을 원터치로 접속시키는 소켓과 플러그를 각각 구비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조작유닛으로 주방에 필요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구입비용이 저렴함과 함께 컴팩트한 크기로 보관이 용이하며 전동유닛과 작업유닛을 원터치로 신속하게 탈·장착할 수가 있어 누구나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Versatile kitchen electric appliances}
본 발명은 주방에서 요리나 설거지 및 청소 따위를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을 전동을 이용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도모하는 전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와 식재료를 파쇄하는 믹서기 및 반죽물을 혼합하는 거품기 그리고 주방용품을 건조하는 송풍기와 각종 찌든 때를 제거하는 세척기를 원하는 작업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주방에서는 식재료를 조리하여 음식을 차리는 요리, 사용한 그릇이나 컵 그리고 수저를 세척하는 설거지, 싱크대나 가스레인지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따위의 작업을 수행한다. 기존에는 주방에서의 작업을 순수 수작업을 통하여 수행해 왔으나, 오늘날 산업의 발달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하는 전동기구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713호 "주방용 전동 세척장치"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526호 "핸드 믹서" 그리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3187호 "휴대형 핸드청소기"가 대표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세척기, 믹서기, 청소기들은 전동모터를 이용하면서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어 주방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을 도모해 주었다. 그러나 전동기구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즉, 다수의 전동기구들을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므로 상당한 비용이 발생할뿐더러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동기구들이 특정 작업만 수행하도록 독립되어 있으므로 보관함으로부터 인출하고 전원을 인가해서 직접 사용하기까지의 과정이 번거로울뿐더러 유지관리가 어렵고 고장 시에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713호 "주방용 전동 세척장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526호 "핸드 믹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3187호 "휴대형 핸드청소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하나의 모터만으로 주방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을 도모하는 다양한 기기를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게 구성하여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컴팩트한 크기로 보관이 용이하고 편리한 사용으로 전반적인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방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을 편리하게 도모하는 전동기구에 있어서: 주방에 외부전원과 상시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면과 측면에 하나 이상의 수용홈과 거치홈을 노출되게 형성하는 박스형의 보관함; 상기 수용홈에 충전 가능하게 탈·장착되고, 내부에 조작의 따라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축을 구비하는 바형의 조작유닛; 상기 거치홈에 정렬되게 탈·장착되고,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어 주방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동체를 구비하는 작업유닛; 및 상기 조작유닛과 작업유닛 상에 출력축과 입력축을 원터치로 접속시키는 소켓과 플러그를 각각 구비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작동체는 입력축과 연결되어 주방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 식재료를 파쇄하는 믹서기, 반죽물을 혼합하는 거품기, 주방용품을 건조하는 송풍기, 주방용품에 찌든 때를 제거하는 세척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소켓은 조작유닛의 일단에 출력축을 수용하는 통공을 가진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상에 통공과 수직으로 연통되면서 상향으로 경사진 유동홈과, 상기 유동홈에 거치되어 슬라이드 운동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대와, 상기 탄성대와 연동하여 걸림바를 통공내로 출몰되게 작동시키는 조작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작업유닛의 일단에 입력축을 노출되게 수용하면서 통공내로 삽입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 상에 걸림바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걸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하나의 조작유닛으로 주방에 필요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구입비용이 저렴함과 함께 컴팩트한 크기로 보관이 용이하다.
둘째, 조작유닛과 작업유닛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시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시에 개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셋째, 전동유닛과 작업유닛을 원터치로 신속하게 탈·장착할 수가 있어 누구나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넷째, 작업유닛을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골라서 구입할 수가 있으며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작업유닛을 추가하거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유닛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유닛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유닛이 주방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방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을 편리하게 도모하는 전동기구에 관련되며, 보관함(10)과 조작유닛(20) 및 작업유닛(30) 그리고 연결수단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이다. 본 발명의 전동기구는 동력원인 조작유닛(20)과 작업을 도모하는 작업유닛(30)을 분리되게 구성함과 함께 원터치형 연결수단을 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10)은 도 8처럼 주방의 싱크대 상에 외부전원과 상시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는 함체로써, 조작유닛(20)과 작업유닛(30)을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관함(10)에는 도 1 및 도 2처럼 조작유닛(20)으로 전원을 공급 또는 충전시키는 수용홈(11)과, 작업유닛(30)이 정렬된 상태로 거치시키는 거치홈(15)이 노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별도의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 및 조작유닛(2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된다. 여기서 보관함(10)의 형상과 모양은 사용자의 사용성과 보관성을 겸비하면서도 주방의 인테리어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유닛(20)은 도 1 및 도 2처럼 수용홈(11)에 충전 가능하게 탈·장착되고, 주방에 필요한 작업에 따라 작업유닛(30)을 작동되게 조작시킨다. 이러한 조작유닛(20)은 도 3처럼 비교적 파지가 용이한 바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조작의 따라 작동하는 모터(21)와, 모터(21)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축(25)을 구비한다. 그리고 별도의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21)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와 및 보관함(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단자가 마련된다. 여기서 모터(21)와 출력축(25) 사이에는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회전력을 조절하는 변속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유닛(30)은 도 1 및 도 2처럼 거치홈(15)에 탈·장착되고 주방에 필요한 작업에 따라 조작유닛(20)과 접속되어 작업을 도모해준다. 이러한 작업유닛(30)은 출력축(25)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31)과, 입력축(31)과 연결되어 주방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동체로 이루어진다. 입력축(31)은 출력축(25)과 암수로 접속되어 작동체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작동체는 청소기(35), 믹서기(36), 거품기(37), 송풍기(38), 세척기(39)로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35)는 내부에 입력축(31)과 직결되어 진공을 발생하는 임펠러가 장착된다. 이러한 청소기(35)는 싱크대나 가스레인지에 떨어진 작은 식재료나 양념가루 따위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행주나 걸레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가 있다. 반대로 송풍기(38)는 내부에 입력축(31)과 직결되어 공압을 발생하는 블레이드가 장착된다. 이러한 송풍기(35)는 설거지가 완료된 주방용품 또는 물청소가 완료된 싱크대나 가스레인지를 건조할 수가 있다. 따라서 마른 행주나 걸레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조시켜 얼룩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리고 믹서기(36)는 칼날로 식재료를 파쇄하고, 거품기(37)는 철망으로 반죽물을 혼합해주며, 세척기(39)는 굽힘 가능한 브러쉬로 찌든 때를 제거해준다. 이밖에도 가정용품의 나사를 잠그거나 풀 수 있는 드라이버나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은 도 2 및 도 3처럼 조작유닛(20)과 작업유닛(30)상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장착시키는 어댑터이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도 4처럼 출력축(25)과 입력축(31)을 원터치로 접속시키는 소켓과 플러그로 이루어진다. 소켓은 조작유닛(20)의 일단에 출력축(25)을 수용하는 통공(41a)을 가진 고정대(41)와, 고정대(41)상에 통공(41a)과 수직으로 연통되면서 상향으로 경사진 유동홈(42)과, 유동홈(42)에 거치되어 슬라이드 운동하는 걸림바(43)와, 걸림바(43)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대(44)와, 탄성대(44)와 연동하여 걸림바(43)를 통공(41a)내로 출몰되게 작동시키는 조작대(4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러그는 작업유닛(30)의 일단에 입력축(31)을 노출되게 수용하면서 통공(41a)내로 삽입되는 연결대(46)와, 상기 연결대(46)상에 걸림바(43)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걸림홈(47)을 구비한다. 여기서 소켓과 플러그는 서로 맞물려지는 내·외면에 회전을 방지하는 구속홈(48)과 구속돌기(49)가 형성된다.
소켓과 플러그에 의한 조작유닛(20)과 작업유닛(30)의 원터치 연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유닛(20)과 작업유닛(30)이 분리되었을 때 소켓의 상태를 살펴보면, 도 5처럼 탄성대(44)에 의해 걸림바(43)가 일측으로 전진시키고 조작대(45)의 내면을 따라 유동홈(42)에 걸리면서 통공(41a)내에 출입된 상태를 가진다.
여기서 플러그를 소켓으로 삽입하면, 도 6처럼 연결대(46)가 걸림바(43)를 통공(41a)외로 함몰시키면서 후퇴하다가 걸림홈(47)과 유동홈(42)과 일치되는 순간 걸림바(43)가 재 전진되어 걸림홈(47)과 맞물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출력축(25)과 입력축(31)이 접속되면서 구속홈(48)과 구속돌기(49)가 서로 치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당기더라도 걸림바(43)가 유동홈(42)에 걸려 있으므로 분리가 불가능하다. 즉, 도 7처럼 조작대(45)를 당겨서 걸림바(43)를 후퇴시키면 걸림홈(47)으로부터 이탈되어 플러그를 분리할 수가 있다. 이처럼 전동유닛(20)과 작업유닛(30)을 원터치로 신속하게 탈·장착할 수가 있어 누구나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보관함 11: 수용홈
15: 거치홈 20: 조작유닛
21: 모터 25: 출력축
30: 작업유닛 31: 입력축
35: 청소기 36: 믹서기
37: 거품기 38: 송풍기
39: 세척기 41: 고정대
41a: 통공 42: 유동홈
43: 걸림바 44: 탄성대
45: 조작대 46: 연결대
47: 걸림홈 48:구속홈
49: 구속돌기

Claims (3)

  1. 주방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작업을 편리하게 도모하는 전동기구에 있어서:
    주방에 외부전원과 상시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면과 측면에 하나 이상의 수용홈과 거치홈을 노출되게 형성하는 박스형의 보관함;
    상기 수용홈에 충전 가능하게 탈·장착되고, 내부에 조작의 따라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축을 구비하는 바형의 조작유닛;
    상기 거치홈에 정렬되게 탈·장착되고,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어 주방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동체를 구비하는 작업유닛; 및
    상기 조작유닛과 작업유닛 상에 출력축과 입력축을 원터치로 접속시키는 소켓과 플러그를 각각 구비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소켓은 조작유닛의 일단에 출력축을 수용하는 통공을 가진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상에 통공과 수직으로 연통되면서 상향으로 경사진 유동홈과, 상기 유동홈에 거치되어 슬라이드 운동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대와, 상기 탄성대와 연동하여 걸림바를 통공내로 출몰되게 작동시키는 조작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작업유닛의 일단에 입력축을 노출되게 수용하면서 통공내로 삽입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 상에 걸림바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걸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입력축과 연결되어 주방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 식재료를 파쇄하는 믹서기, 반죽물을 혼합하는 거품기, 주방용품을 건조하는 송풍기, 주방용품에 찌든 때를 제거하는 세척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
  3. 삭제
KR1020150051810A 2015-04-13 2015-04-13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 KR101643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810A KR101643939B1 (ko) 2015-04-13 2015-04-13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810A KR101643939B1 (ko) 2015-04-13 2015-04-13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939B1 true KR101643939B1 (ko) 2016-07-29

Family

ID=5661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810A KR101643939B1 (ko) 2015-04-13 2015-04-13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837B1 (ko) * 2020-06-29 2021-01-22 이상대 휴대용 청소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255A (en) * 1982-09-07 1986-03-11 Barbara Kafka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with portable unit
KR200295846Y1 (ko) * 2002-09-02 2002-11-22 김정순 다용도 조립식 자루
KR200366713Y1 (ko) 2004-08-09 2004-11-06 이정임 주방용 전동 세척장치
EP1182954B1 (en) * 1999-02-18 2005-10-05 Kenwood Marks Limited Tool storage arrangements for domestic appliances
KR20110044542A (ko) * 2009-10-23 2011-04-29 (주)마미로봇 휴대형 핸드청소기
KR200454526Y1 (ko) 2009-08-21 2011-07-11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핸드 믹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255A (en) * 1982-09-07 1986-03-11 Barbara Kafka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with portable unit
EP1182954B1 (en) * 1999-02-18 2005-10-05 Kenwood Marks Limited Tool storage arrangements for domestic appliances
KR200295846Y1 (ko) * 2002-09-02 2002-11-22 김정순 다용도 조립식 자루
KR200366713Y1 (ko) 2004-08-09 2004-11-06 이정임 주방용 전동 세척장치
KR200454526Y1 (ko) 2009-08-21 2011-07-11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핸드 믹서
KR20110044542A (ko) * 2009-10-23 2011-04-29 (주)마미로봇 휴대형 핸드청소기
KR101093187B1 (ko) 2009-10-23 2011-12-13 (주)마미로봇 휴대형 핸드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837B1 (ko) * 2020-06-29 2021-01-22 이상대 휴대용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2637B1 (en) Combined mop
US2579393A (en) Dishwashing, scouring, and polishing sink
CN101438940A (zh) 包含搅拌装置用支架的厨用家电设备
US9415359B2 (en) Electric appliance with dual speed output
KR101643939B1 (ko) 주방용 다용도 전동기구
US2795958A (en) Multi-purpose kitchen appliance
KR101762668B1 (ko) 자외선 살균 케이스를 가지는 주방용 전동기구
CN212996114U (zh) 烹饪制备家电系统及用于其的可移除的附件组件和附件架
KR101317389B1 (ko) 싱크대용 수동 디스포저
CN204380792U (zh) 一种手持式家用绞肉机
TW201733515A (zh) 組合拖把
JP2007244649A (ja) 食器洗い機
CN103799896B (zh) 一种多用食物料理机
US2255478A (en) Food working device
US2415939A (en) Combination food processing unit and home power tool
CN205284811U (zh) 一种和面机
CN209074505U (zh) 一种水槽洗碗机总成喷淋装置的可拆卸结构
CN205659958U (zh) 颜料盒自动清洗装置
KR101594463B1 (ko)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CN212165754U (zh) 一种多功能星盆台
CN203956882U (zh) 家用工具手柄转接装置
CN207870796U (zh) 一种用于与榨汁杯配合使用的多功能推料夹
TWM540690U (zh) 可手動抽真空的攪拌機
CN213588090U (zh) 一种家用厨房料理机
CN201571466U (zh) 一种豆浆机旋流刀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