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919B1 - 전기변색을 이용한 광자극기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을 이용한 광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919B1
KR101643919B1 KR1020140182399A KR20140182399A KR101643919B1 KR 101643919 B1 KR101643919 B1 KR 101643919B1 KR 1020140182399 A KR1020140182399 A KR 1020140182399A KR 20140182399 A KR20140182399 A KR 20140182399A KR 101643919 B1 KR101643919 B1 KR 101643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lectrochromic film
electrochromic
optic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732A (ko
Inventor
조성준
변동학
김소희
오경환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8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19B1/ko
Priority to US14/942,945 priority patent/US20160175606A1/en
Publication of KR2016007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2005/0612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using probes penetrating tissue; interstitial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는 체내의 특정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신경신호를 얻기 위한 장치로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기 단자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다수개의 전기변색 필름이 배치되는 광선로 기판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선로 기판에 형성된 상기 전기변색 필름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단자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전기변색 필름과 연결되며, 상기 전기 변색 필름은 상기 전기 단자에 의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전기변색 필름에 도달한 광의 진행경로를 변경하여 특정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자극 지점의 신경세포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깊이 방향으로 여러 지점의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하게 신경신호의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변색을 이용한 광자극기{Optical Simulator Using Electrochromism}
본 발명은 전기변색을 이용한 방식으로, 특히 전기변색 필름을 이용하여 자극하고자 하는 신경세포로 광 경로를 변경하는 광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Optogenetics 라 불리는 광유전학은 종래의 신경과학에서 사용되던 전기 자극법의 단점을 극복한 새로운 자극법을 제시하여 현재 신경과학 또는 공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주목을 끌고 있는 기술이다. 기존의 전기 자극법은 신경부위 중에서 국소의 신경자극 관심영역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가 힘들었으나, 광유전학을 통한 신경자극법은 원하는 신경영역의 신경세포를 특정 파장의 빛에 반응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다.
유전자 변형이 일어난 신경세포는 특정 파장대의 빛에 노출되었을 때 반응하여 신경신호를 내보내게 되며, 단일 신경세포에 대하여 자극이 가능하기에 기존의 전기를 통한 신경자극 보다 더욱 국부적인 자극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한 자극 기기로써 일반적으로 광섬유, LED, OLED 등이 사용되었다. OLED와 LED의 경우 전원만 있다면 발광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빛을 발광하는 면적이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또한, 초소형 LED, OLED 제작은 제작 단가가 매우 높으며,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빛 보다 강도(intensity)가 낮아 유전자 변형이 된 신경세포의 반응 역치 값에 도달하기 어렵다.
광섬유를 이용하는 자극 장치의 경우, 광섬유 부분은 실험체에 이식이 되어있고, 외부에 laser와 같은 광원이 있으며, 자극 시에만 광섬유의 끝단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자극이 가능 한 부분은 뇌 또는 신경에 삽입이 된 광섬유 끝단이며, 이로 인해 장기(chronic) 실험을 위하여 장치를 이식한 실험체의 뇌에서 깊이에 따른 다른 위치 또는 다른 영역에서의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뇌의 깊이 위치를 변경해가며 실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단기(acute)실험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또한, 광원이 자극부위와 가까운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사용시에 발생하는 열은 신경세포에 대한 악영향과 신경신호 기록시 thermal noise를 증가시킬 가능성을 내포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광섬유를 이용한 광유전학 장치들은 광유전학의 연구 영역을 제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기간 또는 단기간 한 실험체를 통해 신경계 광유전학 연구시 단일 사이트가 아닌 깊이 방향의 여러 위치에서 신경자극을 수행할 수 있는 광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경 자극에 대한 신경신호기록을 신경세포에 대해 더욱 가까운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는 광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변색을 통해 광원의 강도조절이 가능하고, 광자극을 동일한 깊이에서도 여러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광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는 체내에 삽입되어 광의 진행에 따라 특정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신경신호를 얻기 위한 장치로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기 단자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다수개의 전기변색 필름이 배치되는 광선로 기판;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선로 기판에 형성된 상기 전기변색 필름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단자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전기변색 필름과 연결되며, 상기 전기 변색 필름은 상기 전기 단자에 의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전기변색 필름에 도달한 광의 진행경로를 변경하여 특정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는 상기 전기변색 필름은 광의 세기를 변경하는 제1 전기변색 필름과 도달된 광을 모두 반사시키는 제2 전기변색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변색 필름이 상기 광선로 기판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선로 기판 상에 마련된 전기변색필름의 흡수성과 반사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연결된 전기변색필름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진행되는 광의 세기 및 진행 경로를 변경하여 여러 깊이 및 방향에 위치하는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유전학에 본 실시예를 적용함에 있어서 단일 지점의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깊이 방향으로 여러 지점의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하고 고분해성으로 선택적인 신경신호의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깊이 방향으로 광이 특정 지점으로 진행할 수 있고, 광의 진행이 변경되는 지점에 기록 전극이 배치됨으로써 타겟으로 하는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더욱 가까운 거리에서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광 자극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광량 조절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광 경로 변경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광 자극기와 실시예의 광 자극기의 광 자극 지점을 비교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광유전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광자극기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기변색(Electrochromism) 기술을 이용하여 광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광의 경로를 기판의 일지점에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광 자극기를 제안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광 자극기(10)는 본체부(13), 전기 단자(11), 광원부(12), 광선로 기판(14) 및 광선로 기판 내부에 배열된 전기변색 필름(15, 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3)의 내부에는 전극(미도시)이 배치되고,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기 단자(11)가 마련된다. 상기 각각의 전기 단자(11)에는 배선(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배선은 전기변색 필름(15, 16)이 배열되는 광선로 기판(14)을 따라 연장되어 각각의 전기변색 필름(15, 16)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전기 단자(11)는 하나의 전기변색 필름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되며, 전기 단자(11)의 갯수는 전기변색 필름(15, 16)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3)의 일측에는 광원부(12)에서 발생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을 제공하는 광선로 기판(14)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선로 기판(14)내부는 광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변색 필름(15, 16)이 구비되는 영역으로서, 실제 체내에 삽입되어 상기 광선로 기판(14)을 통과한 광이 진행 방향에 따라 타겟으로 하는 신경세포를 자극하도록 한다.
광선로 기판(14)의 선단부에는 특정한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2)에서는 광선로 기판(14)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광이 진행될 수 있다.
광선로 기판(14)의 내부에는, 광원부(12)에서 발생한 광이 지나가는 경로에 다수개의 전기변색 필름(15, 16)이 각각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어느 한면이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 필름(15, 16)의 갯수 및 각 필름이 배치되는 각도는 타겟으로 하는 신경세포의 종류 및 자극점의 설정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의 광 자극기에 구비된 광선로 기판(14)의 일부를 확대해서 살펴보면, 광선로 기판(14) 내부에는 전기변색 필름(15, 16)이 마련되는데 각각의 필름은 광의 진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 필름(15, 16)은 구체적으로 진행하는 광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전기변색 필름(16)과, 진행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전기변색 필름(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기변색 필름(16)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그 색이 변하여 진행하는 광의 강도를 변경하는 투과형 필름으로 광선로 기판(14) 내부에서 광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면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기변색 필름(15)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그 색이 변하여 진행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반사형 필름으로 광선로 기판(14) 내부에서 광의 진행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어느 한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조상의 용이함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 각각의 필름들은 서로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전기변색 필름들이 어레이를 이루는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기변색 필름(15)에 의해 반사된 광은 광선로 기판(14)을 통과하여 진행되는데, 이 때 타겟으로 하는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광의 진행 방향에 해당되는 광선로 기판(14) 상에 기록 전극(17)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광 자극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 자극기의 광선로 기판(14) 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광선로 기판(14) 내부에는 제1 전기변색 필름(16)과 제2 전기변색 필름(15a, 15b)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기변색이란, 전극 물질이 전기화학적으로 산화 또는 환원반응을 일으킬 때 가역적으로 색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WO3, TiO3, IrO2, NiO, MoO3 등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에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투명한 상태에서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불투명 상태 또는 빛을 반사시키는 금속 계열의 색으로 변화하는 필름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우선, 제1 전기변색 필름(16)은 PBEDOTPh와 같이 인가된 전위에 따라 여러가지 색으로 변화하는 성질을 갖는 투과형 고분자 전기변색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가된 전압에 따른 필름의 색상 변화는 다음의 표와 같다.
걸어준 전위
(V vs. Ag/Ag+)

산화상태



1.0

P(BEDOTPh1.7+-2V2+)

transparent pale blue

0.1

P(BEDOTPh0.6+-2V2+)

bisque

-0.5

P(BEDOTPh0-2V2+)

magenta

-0.9

P(BEDOTPh0-2V+)

purple

-1.4

P(BEDOTPh0-2V0)

crimson
상기와 같이 제1 전기변색 필름(16)에 걸린 전위에 따라서 제1 전기변색 필름(16)에 나타나는 색이 변화하게 된다. 변화된 색에 따라 광의 투과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제1 전기변색 필름(16)이 소정의 전위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1 전기변색 필름(16)을 지나는 광의 강도를 조절하여 신경세포에 전달되는 광 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기변색 필름(15a, 15b)은 광을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 전기변색 필름으로서, PET 필름, ITO 필름, Liquid crystal molecules 등을 합성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형 전기변색 필름은 전위의 유무에 따라 투명색 또는 반사색으로 변하며 진행되는 광을 모두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측에 마련된 제2 전기변색 필름(15a)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며, 우측에 마련된 제2 전기변색 필름(15b)에는 소정의 전압(V1)이 인가된 상태로 광을 반사하는 상태의 색으로 변경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기변색 필름(16)에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의 전압(V2)이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은 광선로 기판(14) 내부를 따라 진행하는 도중,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제2 전기변색 필름(15a)에서 모든 광이 투과하게 되고, 제1 전기변색 필름(16)에 의해 광의 세기가 변경되며, 제2 전기변색 필름(15b)에서 모든 광이 반사되어 광선로 기판(14)에 마련된 개구부(18)를 통해 신경세포를 자극하게 된다. 이 때, 광선로 기판(14)에는 광이 진행되는 경로에 개구부(18)가 마련될 수도 있고, 광선로 기판(14)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광량 조절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부(12)에서는 일정한 세기를 갖는 광이 발생되어 광선로 기판(14)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광선로 기판(14)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전기변색 필름이 배치되는데, 전위값에 따라 특정한 색으로 변경되는 제1 전기변색 필름(16a, 16b)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필름들에는 배선이 연결되어 전극에 연결됨으로써 각 필름들의 전압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전기변색 필름(16)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으나, 도 4에서와 같이 전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해 광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면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전기변색 필름(16)과 제2 전기변색 필름(15a, 15b)을 조합하여 광 자극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신경 세포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제2 전기변색 필름(15a, 15b)이 배치 및 설계될 수 있고, 제2 전기변색 필름(15a, 15b) 사이에 제1 전기변색 필름(16)이 배치되어 광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기변색 필름(16)은 제2 전기변색 필름(15a, 15b)의 설계 방향에 따라서 광의 진행 방향에 대해 수직이거나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같은 지점의 신경세포를 자극함에 있어서, 제1 전기변색 필름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변경함으로써 신경세포에 전달되는 광의 세기를 변경할 수 있어 동일한 신경세포에 대해 여러개의 신호값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기의 광 경로 변경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원부(12)에서는 일정한 세기를 갖는 광이 발생되어 광선로 기판(14)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광선로 기판(14)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제2전기변색 필름이 배치되는데, 각각의 필름들에는 배선이 연결되어 전극에 연결됨으로써 각 필름들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a)의 도면은 우측의 제2 전기변색 필름(15a)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고, 좌측의 제2 전기변색 필름(15b)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며, (b)의 도면은 우측의 제2 전기변색 필름(15a)에도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경우이다. (a)에서 광은 우측의 제2 전기변색 필름(15a)을 모두 투과하고, 좌측의 제2 전기변색 필름(15b)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신경세포를 자극하게 되며, (b)에서 광은 우측의 제2 전기변색 필름(15a)에서 반사되어 신경세포를 자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특정한 전기변색 필름에 전압을 인가해줌으로써, 진행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신경세포의 신호값을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광 자극기에 있어서 전기변색 필름의 배치는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변색 필름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전기변색 필름 측면에 제2 전기변색 필름의 측면이 접촉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기변색 필름 하면 또는 상면에 제2 전기변색 필름 하면 또는 상면이 접촉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기변색 필름 측면에 제2 전기변색 필름의 측면이 접촉하는 경우에는 광이 기판의 측면으로 진행되며, 제1 전기변색 필름 상면 또는 하면에 제2 전기변색 필름 상면 또는 하면이 접촉하는 경우에는 광이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변색 필름들 사이에 배치된 제2 전기변색 필름이 상기 제1 전기변색 필름들의 측면, 상면, 하면에 접촉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게 되므로, 광의 진행 또한 광선로 기판의 모든 방향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광 자극기와 실시예의 광 자극기의 광 자극 지점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와 같이 종래의 광 자극기는 광선로 기판(14)의 단부에서만 광이 진행되어 A 영역에 해당되는 특정 신경세포만을 자극하였으며, 다른 신경세포를 자극하기 위해서는 광 자극기의 삽입 위치를 변경하여야 했다.
그러나, (b)와 같이 실시예의 광자극기는 기판이 삽입된 위치에서 B, C, D, E, F 영역과 같은 모든 방향에 대한 신경세포를 타겟으로 하여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광 자극기는 광선로 기판 상에 마련된 전기변색필름의 투과성과 반사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연결된 전기변색필름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진행되는 광의 세기 및 진행 경로를 변경하여 여러 깊이 및 방향에 위치하는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
또한, 광유전학에 본 실시예를 적용함에 있어서 단일 지점의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깊이 방향으로 여러 지점의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고, 동일 깊이에 대해서도 광 세기를 변경하여 신경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밀하고 고분해성으로 신경신호의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광 자극기
11: 전기 단자
12: 광원부
13: 본체부
14: 광선로 기판
15, 15a, 15b: 제1 전기변색 필름
16, 16a, 16b: 제2 전기변색 필름
17: 기록 전극
18: 개구부

Claims (8)

  1. 체내에 삽입되어 광의 진행에 따라 특정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신경신호를 얻기 위한 장치로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기 단자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광이 진행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광선로 기판;
    상기 광선로 기판 내부에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열되는 다수개의 전기변색 필름;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선로 기판에 형성된 상기 전기변색 필름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단자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전기변색 필름과 연결되며, 상기 전기 변색 필름은 상기 전기 단자에 의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전기변색 필름에 도달한 광은 세기가 변하거나 진행 경로가 변경되어 특정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광 자극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 필름은 광의 세기를 변경하는 제1 전기변색 필름과 도달된 광을 모두 반사시키는 제2 전기변색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변색 필름이 상기 광선로 기판 내부에 배열되는 광 자극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변색 필름은 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을 갖도록 상기 광선로 기판 내부에 배치되는 광 자극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변색 필름은 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져 배치되는 광 자극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변색 필름은 상기 전기 단자에서 소정의 전압값이 인가되면 특정한 색으로 변화하여 도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며, 상기 전압값의 변화에 따라 광의 세기를 변경시키는 광 자극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변색 필름은 전위가 0일시 도달하는 모든 광을 투과시키며, 상기 전기 단자에서 소정의 전압값이 인가되면 특정한 색으로 변화하여 도달하는 모든 광을 반사시키는 광 자극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변색 필름에 의해 반사된 광이 진행하는 기판의 일면에는, 진행된 광이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발생한 신경신호를 측정하는 기록 전극이 마련되는 광 자극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변색 필름은 진행하는 광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울기에 따라 진행하는 광의 경로를 상기 광선로 기판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으로 변경하는 광 자극기.
KR1020140182399A 2014-12-17 2014-12-17 전기변색을 이용한 광자극기 KR101643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99A KR101643919B1 (ko) 2014-12-17 2014-12-17 전기변색을 이용한 광자극기
US14/942,945 US20160175606A1 (en) 2014-12-17 2015-11-16 Optical stimulator using electrochrom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99A KR101643919B1 (ko) 2014-12-17 2014-12-17 전기변색을 이용한 광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732A KR20160073732A (ko) 2016-06-27
KR101643919B1 true KR101643919B1 (ko) 2016-07-29

Family

ID=5612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399A KR101643919B1 (ko) 2014-12-17 2014-12-17 전기변색을 이용한 광자극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75606A1 (ko)
KR (1) KR101643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9160B (zh) * 2020-08-14 2021-06-22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一种植入式神经光电极的后端连接结构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6072A1 (en) 2000-08-16 2005-09-29 Vanderbilt University System and methods for optical stimulation of neural tissues
JP2011525130A (ja) 2008-06-17 2011-09-15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レランド スタンフォード ジュニア ユニバーシティ 光伝送素子を用いた標的細胞の光刺激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9098A (en) * 1978-12-18 1984-09-04 Davi Samantha K Apparatus for and method of utilizing energy to excise pathological tissue
US4372641A (en) * 1980-06-27 1983-02-0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Optical waveguide termination
US6252638B1 (en) * 1995-05-23 2001-06-26 Colorlink, Inc. Color controllable illumination device, indicator lights, transmissive windows and color filters employing retarder stacks
JP4235862B2 (ja) * 1999-07-19 2009-03-11 ソニー株式会社 光学装置
US6464692B1 (en) * 2000-06-21 2002-10-15 Luis Antonio Ruiz Controllable electro-optical patternable mask, system with said mask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L157837A (en) * 2003-09-10 2012-12-31 Yaakov Amitai Substrate-guided optical device particularly for three-dimensional displays
CN100471464C (zh) * 2004-10-05 2009-03-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辐射发射防护的皮肤处理设备
US8792978B2 (en) * 2010-05-28 2014-07-2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Laser-based nerve stimulators for, E.G., hearing restoration in cochlear prostheses and method
US20080125838A1 (en) * 2006-08-10 2008-05-29 Medtronic, Inc. Implantable Devices With Photocatalytic Surfaces
US7747318B2 (en) * 2006-12-07 2010-06-29 Neuropace, Inc. Functional ferrule
US20100079992A1 (en) * 2006-12-15 2010-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device and light therapy device associated therewith
EP1935452A1 (en) * 2006-12-19 2008-06-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chromic device and photodynamic treatment device comprising such an electrochromic device
US8366652B2 (en) * 2007-08-17 2013-02-0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including infection-fighting and monitoring shunts
EP2349478A4 (en) * 2008-10-16 2012-04-25 Carl Frederick Edman METHOD AND DEVICE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PHOTOTHERAPEUTIC INTERVENTION
US8585627B2 (en) * 2008-12-04 2013-11-1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including catheters configured to monitor biofilm formation having biofilm spectral information configured as a data structure
US8396570B2 (en) * 2009-01-02 2013-03-12 Cochlear Limited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al neural stimulation
US20100312312A1 (en) * 2009-06-09 2010-12-09 Gary Wayne Jones Method for selective photodynamic therapy and light source for implementation thereof
MX2012003156A (es) * 2009-09-14 2012-09-28 Sloan Kettering Inst Cancer Aparato, sistema y metodo para proporcionar la direccion y enfoque de laser para incision, escision y ablacion de tejido en cirugia minimamente invasiva.
US20110105847A1 (en) * 2009-11-05 2011-05-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e including a variable state optical member
KR101304338B1 (ko) * 2010-10-21 2013-09-11 주식회사 엠아이텍 액정폴리머 기반의 전광극 신경 인터페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0422B1 (ko) * 2010-10-26 2012-06-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사면을 구비한 광자극 탐침
EP2766994B1 (de) * 2011-10-10 2019-05-01 Saint-Gobain Glass France Scheibe mit beleuchteter schaltfläche
US8888829B2 (en) * 2012-02-14 2014-11-18 Anthony Robert Ward Hand held system for antifungal treatment
JP2013252185A (ja) * 2012-06-05 2013-12-19 Canon Inc 内視鏡及び内視鏡装置
KR101448673B1 (ko) * 2012-12-07 2014-10-08 주식회사 엔케이이씨 전기 변색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26927A1 (en) * 2013-02-13 2014-08-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Injectable and implantable cellular-scale electronic devices
CN105265025B (zh) * 2013-04-04 2017-09-01 瑟卡蒂安齐尔克莱特有限公司 保护昼夜神经内分泌功能的照明系统
DE102013009791A1 (de) * 2013-06-12 2014-12-18 Audi Ag Leucht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ITTO20130603A1 (it) * 2013-07-17 2015-01-18 Fond Istituto Italiano Di Tecnologia Strumento optogenetico per l'indirizzamento multiplo ed indipendente di finestre ottiche pattern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6072A1 (en) 2000-08-16 2005-09-29 Vanderbilt University System and methods for optical stimulation of neural tissues
JP2011525130A (ja) 2008-06-17 2011-09-15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レランド スタンフォード ジュニア ユニバーシティ 光伝送素子を用いた標的細胞の光刺激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5606A1 (en) 2016-06-23
KR20160073732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ng et al. Mesh electronics: a new paradigm for tissue-like brain probes
Pisanello et al. Micro-and nanotechnologies for optical neural interfaces
McAlinden et al. Optogenetic activation of neocortical neurons in vivo with a sapphire-based micro-scale LED probe
KR101081360B1 (ko) 어레이형 광 자극 장치
EP3021738B1 (en) Optogenetic tool for multiple and independently addressing of patterned optical windows
US10695581B2 (en) Multicolor neural optoelectrode
US20200229704A1 (en) Optoelectronic device to write-in and read-out activity in brain circuits
KR102587956B1 (ko) 빔 스티어링 소자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Bi et al. A flexible, micro-lens-coupled LED stimulator for optical neuromodulation
KR101643919B1 (ko) 전기변색을 이용한 광자극기
Stocking et al. Intracortical neural stimulation with untethered, ultrasmall carbon fiber electrodes mediated by the photoelectric effect
US20150148688A1 (en) Neural probe array having waveguide member with improved waveguide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477780B (zh) 植入式神经刺激与记录的光电极及其制造方法
JP6348477B2 (ja) 生体用高機能電極
KR101150422B1 (ko) 반사면을 구비한 광자극 탐침
KR101032269B1 (ko) 생체 무선 전기 자극 장치
US20160004349A1 (en) Method for forming an electrode structure for a capacitive touch sensor
Horváth et al. Hist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evidence on the safe operation of a sharp-tip multimodal optrode during infrared neuromodulation of the rat cortex
US20220032296A1 (en) Microfluidic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devices
US1137589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biometric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Jeon et al. Multi‐wavelength light emitting diode‐based disposable optrode array for in vivo optogenetic modulation
KR102241309B1 (ko) 전기습윤 구동 방식의 광자극기
Kielar et al. Optogenetic Stimulation and Spatial Localization of Neurons Using a Multi-OLED Approach
Maglie et al. Tapered optical fibers for optogenetics: Ray tracing modeling
KR101781152B1 (ko) 프로브형 광 자극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자극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