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905B1 - Common distributor fuel cell stack - Google Patents

Common distributor fuel cell st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905B1
KR101643905B1 KR1020130116552A KR20130116552A KR101643905B1 KR 101643905 B1 KR101643905 B1 KR 101643905B1 KR 1020130116552 A KR1020130116552 A KR 1020130116552A KR 20130116552 A KR20130116552 A KR 20130116552A KR 101643905 B1 KR101643905 B1 KR 10164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outlet
inle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7185A (en
Inventor
김지현
현덕수
심종수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3011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05B1/en
Publication of KR2015003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5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liquid, soli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7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전지 스택에 체결되는 본체; 본체에 엇갈림 위치되어 연료를 공급·배출하는 관통 형성된 연료극 입출구; 및 본체에 연료극 입출구와 엇갈림 위치되어 공기를 공급·배출하는 관통 형성된 공기극 입출구;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연료와 공기의 공급 및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el cell stack comprising: a main body coupled to a fuel cell stack; A fuel electrode inlet / outlet form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staggered to supply and discharge fuel;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staggered with the fuel inlet and outlet so as to supply and discharge ai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pply and discharge performance of fuel and air to the fuel cell stack while being easy to manufacture.

Description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COMMON DISTRIBUTOR FUEL CELL STACK}Fuel cell stack distributor {COMMON DISTRIBUTOR FUEL CELL STACK}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관통 형성된 연료극 입출구 및 공기극 입출구 등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연료와 공기의 공급 및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which is improved in structure such as a fuel electrode inlet and outlet and a cathode electrode inlet and outlet formed through the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capable of improving fuel cell stack distribution.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스택은 수소(H2)와 산소(O2)를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연료전지가 적층된 집합체로써, 공급된 연료(수소)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Generally, a fuel cell stack is a stacked stack of fuel cells that generate electrical energy by reacting hydrogen (H 2 ) and oxygen (O 2 ), and generate electricity using the supplied fuel (hydrogen).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방식이나 직접 연료전지 방식의 연료전지 스택으로 제작된다.The fuel cell is fabricated from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type or a direct fuel cell type fuel cell stack.

이와 같이 제작된 연료전지 스택은, 0.5V 내지 0.9V의 전기를 발생시키는 막전극 어셈블리(MEA : Membrane Electrode Assembly)(일명, '단위전지'라고도 함)를 복수개 직렬 연결하여 원하는 전압을 발생하도록 한다.The fuel cell stack thus manufactured generates a desired voltag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MEAs) (also referred to as "unit cells") for generating electricity of 0.5 to 0.9 V in series .

연료전지 스택의 전기 발생 원리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연료가 애노드(Anode)('연료극' 또는 '산화전극'이라고도 함)으로 공급되고, 공기(산소)는 캐소드(Cathode)('공기극', '산소극' 또는 '환원전극'이라고도 함)으로 공급된다. Briefly, the fuel is supplied to an anode (also referred to as an 'anode' or 'oxidation electrode') and air (oxygen) is supplied to a cathode (cathode, Quot; electrode " or " reduction electrode ").

이와 같이, 애노드로 공급된 연료는 전해질막의 양쪽에 구성된 전극층의 촉매에 의해 수소이온(Proton, P+)과 전자(Electron, E-)로 분해되고, 이 중, 수소이온이 선택적으로 양이온 교환막인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캐소드로 전달되며, 동시에 전자는 도체인 기체확산층(GDL : Gas Diffusion Layer)과 세퍼레이터(Separator : 격리판)을 통하여 캐소드로 전달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uel supplied to the anode is decomposed into hydrogen ions (Proton, P + ) and electrons (Electron, E - ) by the catalyst of the electrode lay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hydrogen ions are selectively decomposed into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the electrons are transmitted to the cathode through a gas diffusion layer (GDL) and a separator (separator), which are conductors.

캐소드에서는 전해질막을 통해 공급된 수소이온과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전달된 전자가 공기공급기에 의해 캐소드로 공급된 공기 중 산소와 만나 물을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이온의 이동에 기인하여 외부 도선을 통한 전자의 흐름으로 전류가 생성됨과 아울러 물 생성반응으로부터 열이 부수적으로 발생하게 된다.In the cathode, the hydrogen ions supplied through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electrons transferred through the separator meet with oxygen in the air supplied to the cathode by the air supplier to generate water. Due to the movement of the hydrogen ions generated in this process, The current is generated by the flow of the electrons and the heat is incidentally generated from the water production reaction.

연료전지 스택에는 연료전지 반응에 필요한 연료와 공기를 분배·공급하는 분배기가 구비된다.The fuel cell stack is provided with a distributor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fuel and air required for the fuel cell reaction.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용 분배기의 내부에는 연료공급라인·연료배출라인·공기공급라인·공기배출라인·냉각수공급라인·냉각수배출라인 등이 복잡하게 얽혀 배치되고, 각 라인들은 분배기 내에서 서브스택 단위의 각 모듈로 공급되는 반응기체들의 이동경로로서 각 모듈이 발생하는 전력을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해 모듈에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의 유량을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길이와 단면적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반응기체들의 분기점이 반응기체들의 이동경로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다.Inside the distributor for the fuel cell stack, a fuel supply line, a fuel discharge line, an air supply line, an air discharge line, a cooling water supply line, a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and the like are intricately intertwined and each line is divided into sub- In order to uniformly provide the power generated by each module, the flow path of reaction gas supplied to each module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length and cross-sectional area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module can be controlled equally, The bifurcation point of the gases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ovement path of the reaction gases.

상기와 같은 연료전지 스택용 분배기는 서브스택 단위의 모듈 개수와 배치에 따라 각각 다른 설계를 요구하는 바, 기존의 연료전지 스택용 분배기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요구하는 연료와 공기의 공급 및 배출 성능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distributor for a fuel cell stack as described above requires different designs depending o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modules in the sub stack unit. The conventional distributor for the fuel cell stack is difficult to manufacture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the exhaust performance is not satisfied.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관통 형성된 연료극 입출구 및 공기극 입출구 등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연료와 공기의 공급 및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capable of improving the supply and discharge performance of fuel and air to the fuel cell stack while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outlet,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는,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입구와, 배출되는 연료출구와,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출구가 형성되는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 및 배출되는 연료와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일측에 체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연료입구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극 입구와, 상기 연료출구에서 이송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극 출구를 구비하는 연료극 입출구; 상기 본체에서 상기 공기 입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극 입구와, 상기 공기출구에서 이송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극 출구를 구비하는 공기극 입출구; 본체의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 측에서 상기 공기극 입구에 연결되는 제1분배기 연결부, 상기 공기극 출구에 연결되는 제2분배기 연결부, 상기 연료극 입구에 연결되는 제3분배기 연결부, 상기 연료극 출구에 연결되는 제4분배기 연결부를 구비하는 분배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분배기 연결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공기극 입구와 출구, 상기 연료극 입구와 출구에 공급 및 배출되는 공기와 연료를 이송하는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분배기 연결부는 상기 공기극 입구와 출구, 상기 연료극 입구와 출구로 공급 및 배출되는 공기와 연료의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L'자형의 유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연료극 입출구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료입구와 연료출구로 주입 및 배출되는 연료를 안내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는 연료극 가이드홈;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공기극 입구와 공기극 출구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료전지로 주입 및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는 공기극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극 입구와 공기극 출구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입구와 공기출구와 편심된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공기극 가이드홈에 연결되고, 상기 연료극 입구와 연료극 출구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입구와 연료출구와 편심된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연료극 가이드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극 가이드홈은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극 가이드 오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comprising: a fuel cell stack including a fuel inlet to which fuel is injected, a fuel outlet to be discharged, an air inlet to which air is injected, ; A main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to guide fuel and air suppli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fuel cell stack; A fuel electrode inlet and a fuel electrode outlet for supplying fuel to the fuel inlet in the main body, and a fuel electrode outlet for discharging fuel transferred from the fuel outlet; An air inlet and air outlet having an air inlet opening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inlet in the main body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delivered from the air outlet; A first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air electrode at a side opposite to the fuel cell stack of the main body, a second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air electrode, a third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uel electrode, A distributor connection unit having a distributor connection; And a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s to transfer air and fuel suppli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electrode and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node, An L-shaped flow passage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electrode and the air and the fuel to be suppli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uel electrode, A fuel electrode guide groove extending horizontally to guide the fuel injected and discharged to the fuel inlet and the fuel outlet to reduce the flow rate; And an air electrode guide groov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inlet of the air electrode and the outlet of the air electrode toward the fuel cell stack to guide the air inject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fuel cell to reduce the flow velocity, Wherein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the fuel electrode outlet are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uel inlet and the fuel outlet of the fuel cell stack and are connected to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And is connected to the fuel electrode guide groove.
Further, the fuel electrode guide groove is equipped with a fuel electrode guide O-ring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삭제delete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면에서 상기 연료극 입구와 연료극 출구 측에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연료극 배면홈; 및 상기 연료극 배면홈에 설치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하는 연료극 배면 오링을 더 포함한다. A fuel electrode rear surface groove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fuel cell stack to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the inwardly facing grooves on the fuel electrode outlet side; And a fuel electrode rear face O-ring disposed in the rear face of the fuel electrode to prevent fluid leakage.

상기 공기극 가이드홈은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극 가이드 오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is mounted on the air electrode guide O-ring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면에서 상기 공기극 입구와 공기극 출구측에 내향 형성된 공기극 배면홈; 및 상기 공기극 배면홈에 설치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극 배면 오링을 더 포함한다.   An air electrode rear surface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toward the air electrode inlet and the air electrode outlet side; And an air electrode rear surface O-ring provided in the air electrode rear surface groove to prevent fluid leakage.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 측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볼트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볼트 그루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olt groove for providing a bolt receiving space of the fuel cell stack is provided on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 측에는 상기 볼트 그루브와 인접된 위치에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astening step for fastening the fuel cell stack to the fuel cell stack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olt groove is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 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fuel cell pack housing fastening tab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provided on a side of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fuel cell stack.

삭제delete

상기 제3 및 제4분배기 연결부는, 배관과 연결되는 연료배관 연결구; 상기 연료배관 연결구에서 'L'자 타입의 유로로 연결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면의 상기 연료극 입구와 연료극 출구에 각각 연통되는 연결부 연료극 입출구 및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과 결합되는 연료극 체결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and fourth distributor connection portions include a fuel pipe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pipe; And a fuel electrode coupling hole connected to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the fuel electrode outlet at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the fuel electrode outlet at an opposit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And the like.

상기 제1 및 제2분배기 연결부는, 배관과 연결되는 공기배관 연결구와, 상기 공기배관 연결구에서 'L'자 타입의 유로로 연결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면의 상기 공기극 입구와 공기극 출구에 각각 연통되는 연결부 공기극 입출구 및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과 결합되는 공기극 체결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or connection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air pipe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piping and an L-shaped type flow path at the air piping connection port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respectively, And a cathode coupling hole that is coupled with the fuel cell pack housing fastening tab.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에 의하면, 본체에 관통 형성된 연료극 입출구 및 공기극 입출구 등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연료와 공기의 공급 및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uel cell stack distributo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s of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outlet and the air inlet and outlet formed through the body,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nd distribute fuel and air to and from the fuel cell stack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측에서 바라본 오링이 장착되기 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오링이 장착된 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분배기 연결부가 설치되기 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분배기 연결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반대측에서 바라본 오링이 장착되기 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오링이 장착된 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분배기 연결부가 설치되기 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분배기 연결부가 설치된 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와 연료전지 스택 설치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before an O-ring is viewed from a fuel cell stack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el cell stack distributor after the O-ring is mounted in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el cell stack distributor before the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in FIG. 2.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in which a distributor connection unit is installed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before the O-ring is viewed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fuel cell st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after the O-ring is mounted i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el cell stack distributor before the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in FIG. 6.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el cell stack distributor after the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in FIG. 7; FIG.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tributor and a fuel cell stack installa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는 바,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르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s synonymous with the generic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if the term used herein conflicts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like elements.

또한, 본 명세서에 게재되는 장치의 구성 또는 제어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첨언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측에서 바라본 오링이 장착되기 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오링이 장착된 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분배기 연결부가 설치되기 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분배기 연결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반대측에서 바라본 오링이 장착되기 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오링이 장착된 후의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100)에 의하면, 본체(110)와, 본체(110)에서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료극 입구(130a)와 연료극 출구(130b)를 구비하는 연료극 입출구(130)와, 본체(110)에서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극 입구(120a)와 공기극 출구(120b)를 구비하는 공기입구와 공기출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before an O-ring is viewed from a fuel cell stack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after an O-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in which a distributor connection unit is installed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after O-ring is mounted in FIG. 5;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before O-rings are mounted.
Referring to FIGS. 1 to 6,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fuel electrode inlet 130a and a fuel electrode outlet 130b formed in the main body 110 in a mutually diagonal direction, And an air inlet 120 having an air inlet 120a and a cathode outlet 120b formed in the body 110 in diagonal directions relative to each other and an air outlet 120. [

본체(110)는 연료전지 스택(200)의 일측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정 두께(t)를 이루어 연료전지 스택(2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The main body 1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20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uel cell stack 200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연료극 입출구(130)는 연료극 입구(130a)와 연료극 출구(130b)가 본체(110)에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연료전지 스택(200) 측에 대응하여 연료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료전지 스택(200)은, 도 9를 참조하면, 연료극 입구(130a)로부터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입구(221)와, 연료극 출구(130b)로 연료를 배출되는 연료출구(222)와, 공기극 입구(120a)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입구(211)와, 공기극 출구(120b)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출구(212)를 구비한다.
The fuel electrode inlet 130a and the fuel electrode outlet 130b are disposed on the body 110 in diagonal directions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fuel electrode outlet 130a and the anode electrode outlet 130b are disposed in the diagonal direction relative to the body 110, Or discharging.
9, the fuel cell stack 200 includes a fuel inlet 221 through which fuel is injected from the fuel electrode inlet 130a, a fuel outlet 222 through which fuel is discharged to the anode outlet 130b, An air inlet 211 into which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outlet 120a is injected and an air outlet 212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120b.

또한 연료극 입출구(130)는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연료전지 스택(200)을 향하는 면과 그 반대면이 연통된 구조로 마련된다.Also, the fuel electrode inlet / outlet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uel electrode inlet / outlet 130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rface facing the fuel cell stack 200 and the opposite surface.

또한 본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200)을 향하는 면의 연료극 입출구(130)와 연료전지 스택(200)의 연료입구와 연료출구(221, 222)간에 연료를 안내하도록 내향된 연료극 가이드홈(131)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is arranged to guide the fuel between the fuel inlet and outlet 130 on the face facing the fuel cell stack 200 and the fuel inlet and fuel outlets 221 and 222 of the fuel cell stack 200, An inwardly directed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1 is formed.

연료극 가이드홈(131)은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극 가이드 오링(132)이 장착된다. 여기서 연료극 가이드홈(13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에서 인접된 연료극 입구(130a)와 연료극 출구(130b)에 각각 연장된 홈으로 이루어져 연료극 입구(130a)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연료전지 스택(200)의 연료입구(221)로 안내하는 제1연료극 가이드홈(131a)과, 연료전지 스택(200)의 연료출구(222)에서 배출된 연료를 연료극 출구(130b)로 안내하는 제2연료극 가이드홈(13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연료극 가이드홈(131a)과 제2연료극 가이드홈(131b)은 상호 대각선 방향에서 각각 형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200)의 연료입구와 연료출구(221, 222)는 본체에 대향되는 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연료극 입구와 출구(130a, 130b)는 내측에 형성됨에 따라 연료입구와 연료출구(221, 222)와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료극 가이드홈(131)은 본체(100)에서 연료전지 스택(200) 측에 밀착되는 일면의 모서리에서 중심측으로 수평 연장됨에 따라 본체(100)의 연료극 입구와 연료극 출구(130a, 130b)와 연료전지 스택(200)의 연료입구와 연료출구(221, 222)간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연료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연료극 가이드홈(131a)은 연료극 입구(130a)를 통하여 주입된 연료를 연료전지 스택(200)의 연료입구(221)로 안내하고, 제2연료극 가이드홈(131b)는 연료전지 스택(200)의 연료출구(222)에서 배출된 연료를 본체(100)의 연료극 출구(130b)로 안내한다. 여기서 연료극 출구(130b)로 배출된 연료는 하기의 분배기 연결부(170)를 통하여 연결되는 배관(도시되지 않음)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호 대각선 방향에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료극 가이드홈(131a, 131b)은 본체(100)의 측면 모서리에서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스택전지(200)의 연료입구와 연료출구(221, 222)에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연료극 입구(130a)와 연료극 출구(130b)로 각각 연결되어 유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연료극 입출구(130)와 연료입구와 연료출구(221, 222) 사이를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 시간이 증감됨에 따라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1 is equipped with a fuel electrode guide O-ring 132 for preventing leakage of fluid. Here, the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1 is formed by grooves extending from the fuel electrode inlet 130a and the fuel electrode outlet 130b,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electrode inlet 130a, A first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1a for guiding the fuel discharged from the fuel outlet 222 of the fuel cell stack 200 to the fuel inlet 121 of the fuel cell stack 200, And a guide groove 131b.
Here, the first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1a and the second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1b are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9, the fuel inlet and fuel outlets 221 and 222 of the fuel cell stack 200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main body, and the inlet and outlet ports 130a and 130b of the fuel cell stack 200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is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uel inlet and the fuel outlets 221 and 222.
Accordingly, the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1 is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edg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fuel cell stack 200 side to the center side, so that the fuel electrode inlet 130a and the anode outlet 130b, And serves to guide the fuel supplied or discharged between the fuel inlet of the fuel cell stack 200 and the fuel outlets 221 and 222.
The first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1a guides the fuel injected through the fuel electrode inlet 130a to the fuel inlet 221 of the fuel cell stack 200 and the second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1b connects the fuel cell stack 200 to the fuel cell stack 200. [ And directs the fuel discharged from the fuel outlet 222 of the fuel cell 200 to the fuel electrode outlet 130b of the main body 100. Here, the fuel discharged to the fuel electrode outlet 130b is delivered to a piping (not shown) connected through the following distributor connection unit 170. [
The first and second fuel electrode guide grooves 131a and 131b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 extend from th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center side so that the fuel inlet and the fuel outlets 221 and 222 of the stacked battery 200, Respectively, to the fuel electrode inlet 130a and the fuel electrode outlet 130b, respectively, so as to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Accordingly, the flow rate of the fluid moving between the fuel inlet / outlet 130 and the fuel inlet and the fuel outlets 221 and 222 can be decreased or de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200) 반대면의 연료극 입구(130a) 와 연료극 출구(130b)의 외주면에서 내향된 홈으로 형성되는 연료극 배면홈(134)이 형성된다. 이는 도 5와 도 6에서 그 일예가 도시되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fuel electrode back surface groove 134 formed by grooves inwardly projec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uel electrode inlet 130a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uel electrode outlet 130b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uel cell stack 200. This is illustrated in Fig. 5 and Fig.

연료극 배면홈(134)은 본체(110)의 반대면으로 관통되는 연료극 입구(130a)와 연료극 출구(130b)에서 외주면에 각각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져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극 배면 오링(135)이 장착된다.The fuel electrode back surface groove 134 is composed of a fuel electrode inlet 130a penetrating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groove inwardly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uel electrode outlet 130b, Respectively.

공기극 입출구(120)는 본체(110) 상에 공기극 입구(120a)와 출구(120b)가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다. 여기서 공기극 입구(120a)는 연료극 입구(130a)와 수평방향으로 정렬되고, 공기극 출구(120b)는 연료극 출구(130b)와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다. 즉, 공기극 입출구(120)와 연료극 입출구(130)는 엇갈림 배치된다.
여기서 공기극 입구(120a)는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 입구(211)로 공급되는 공기가 주입되고, 공기극 출구(120b)는 연료전지 스택(200)의 공기출구(212)에서 배출된 공기를 본체(100)의 반대면에서 연결되는 분배기 연결부(170)로 배출시킨다.
The air pole inlet / outlet 120 is positioned on the body 110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ir pole inlet 120a and the outlet 120b. Here, the air electrode inlet 120a is aligned with the fuel electrode inlet 130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ir electrode outlet 120b is aligned with the anode outlet 130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air inlet / outlet 120 and the anode inlet / outlet 130 are staggered.
The air inlet 120a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211 of the fuel cell stack and the air outlet 120b connect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212 of the fuel cell stack 200 to the main body 100 To the distributor connection part 170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side.

즉, 공기극 입출구(120)는 연료전지 스택(200) 측에 대응하여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air pole inlet / outlet 120 serves to supply or discharge air corresponding to the fuel cell stack 200 side.

공기극 입출구(120)는 관통 형성된 구조를 이루는 바, 연료전지 스택(200)을 향하는 면과 그 반대면이 연통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air electrode inlet / outlet 120 has a through-hole structure,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surface facing the fuel cell stack 200 and an opposite surfac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연료전지 스택(200)을 향하는 면의 공기극 입출구(120) 측에는 내향된 홈으로서 연료전지 스택(200)과 공기극 입출구(120)간의 유체를 안내하도록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공기극 가이드홈(121)가 형성된다.
공기극 가이드홈(121)는 본체(100)의 반대측 모서리에서 중심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내향된 홈으로서 끝단에 공기극 입출구(120)로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극 가이드홈(121)는 공기극 입출구(120)를 통하여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200)의 공기입구와 공기출구(211, 212)는 측방향에 위치되고, 공기극 입구(120a)는 공기입구(211)와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공기극 출구(120b)는 공기출구(212)와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공기극 입출구(120)는 공기극 가이드홈(1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공기극 입구(120a)로 연장된 공기극 가이드홈(121)는 공기극 입구(120a)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연료전지 스택(200)의 공기입구(211)로 안내하거나, 반대로 공기극 출구(120b)로 연장된 공기극 가이드홈(121)은 연료전지 스택(200)의 공기출구(212)에서 배출된 연료를 공기극 출구(120b)로 전달한다. 여기서 공기극 입구와 출구(120a, 120b)로 배출된 유체(공기)는 하기의 분배기 연결부(170)를 통하여 연결되는 배관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공기극 가이드홈(121)은 본체(100)의 측면 모서리에서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스택전지(200)의 공기입구(211)와 공기출구(212)와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공기극 입구(120a)와 공기극 출구(120b)에 연결됨에 따라 유체간 이동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거리의 증가는 유체가 이동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An air electrode guide groove 121 made of an inwardly directed groove for guiding the fluid between the fuel cell stack 200 and the air pole inlet / outlet 120 is formed as an inward groove on the side of the air pole inlet / outlet 120 on the side facing the fuel cell stack 200 do.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121 is an inward groov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opposit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00 toward the center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 outlet 120 at its end.
Therefore,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121 guides the air injected or discharged through the air pole inlet / outlet 120.
9, the air inlet and air outlets 211 and 212 of the fuel cell stack 200 are position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air pole inlet 120a is positioned in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ir inlet 211 And the air electrode outlet 120b is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the air outlet 212. [ Also, the air electrode inlet / outlet 120 is connected to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121.
Therefore, for example,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121 extending to the air electrode inlet 120a guide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electrode inlet 120a to the air inlet 211 of the fuel cell stack 200, The air guide groove 121 extending to the outlet 120b transfers the fuel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212 of the fuel cell stack 200 to the cathode outlet 120b. Here, the air (air) discharged to the inlet and outlet ports 120a and 120b of the air electrode is transferred to the piping connected through the distributor connection unit 170 described below.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121 extends from th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00 toward the center and is formed with an air inlet 120a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the air inlet 211 of the stack battery 200 and the air outlet 21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luids can be increased by being connected to the air electrode outlet 120b. Such an increase in the travel distance can reduce the flow rate as the time for which the fluid travels becomes longer.

공기극 가이드홈(121)은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극 가이드 오링(122)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12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ir electrode guide O-ring 122 for preventing leakage of fluid.

본체(110)의 반대면에는 공기극 입구(120)와 공기극 출구(120b)를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극 배면 오링(125)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향된 공기극 배면홈(124)이 각각 형성된다.The air electrode rear surface groove 124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air electrode rear surface O-ring 125 can be installed to prevent ai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air electrode inlet 120 and the air electrode outlet 120b. Respectivel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본체(110)의 각 모서리 측에는 연료전지 스택(200)의 볼트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볼트 그루브(140)가 구비되도록 한다.A bolt groove 140 for providing a bolt receiving space of the fuel cell stack 200 is provided on each corner of the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또한, 본체(110)의 각 모서리 측에는 볼트 그루브(140)와 인접된 위치에 연료전지 스택(20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텝(150)이 구비된다.A fastening tab 150 for fastening the fuel cell stack 200 to the bolt groove 140 is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110.

아울러, 본체(110)의 연료전지 스택(200) 반대 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16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fuel cell stack housing fastening tab 160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200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이러한,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160)은 다수개로 마련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fuel cell pack housing fastening tabs 160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한편, 본체(110)의 연료전지 스택(200) 반대 측에는 연료극 입출구(130) 또는 공기극 입출구(120)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분배기 연결부(170)가 설치된다. The main body 110 has a separator connecting portion 170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200 to the fuel electrode input / output port 130 or the air electrode input / output port 120.

분배기 연결부(170)는 본체의 공기극 입구(120a)에 연결되는 제1분배기 연결부(170a)와, 본체의 공기극 출구(120b)에 연결되는 제2분배기 연결부(170b), 본체의 연료극 입구(130a)에 연결되는 제3분배기 연결부(170c)와, 본체의 연료극 출구(130b)에 연결되는 제4분배기 연결부(170d)를 구비한다.
제1내지 제4분배기 연결부(170a~170d)는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100)의 본체(110)에 체결될 수 있는 조건하에서 다양한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The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170 includes a first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170a connected to the air electrode inlet 120a of the main body, a second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170b connected to the air electrode outlet 120b of the main body, And a fourth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170d connected to the fuel electrode outlet 130b of the main body.
The first to fourth distributor connection portions 170a to 170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tructures under conditions that can be fastened to the main body 110 of the fuel cell stack distributor 100. [

분배기 연결부(170)는 연료극 입출구(130) 및 공기극 입출구(120)와 연통되는 2가지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distributor connection unit 170 may be provided in two types that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fuel electrode input / output port 130 and the air electrode input / output port 120.

본체(110)의 반대면에서 연료극 입출구(130)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분배기 연결부(170c, 170d)는 연료배관 연결구(175)와, 연료배관 연결구(175)와 연통되는 연결부 연료극 입출구(176)와,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160)과 볼트 등으로 결합하기 위한 연료극 체결홀(17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and fourth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s 170c and 170d provided at the fuel electrode inlet / outlet 1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110 are connected to the fuel pipe connecting hole 175 and the connecting fuel electrode inlet / 176, and a fuel electrode coupling hole 177 for coupling with the fuel cell pack housing fastening tab 160 by bolts or the like.

연료배관 연결구(175)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배관과 연결된다.The fuel pipe connection port 175 is connected to a pip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lthough not shown.

연결부 연료극 입출구(176)는 내측에서 'L'자 타입으로 관통된 유로를 통하여 연료배관 연결구(175)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L'자 타입의 유로는 연료의 이송거리를 연장시키기 때문에 주입 또는 배출되는 연료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fuel electrode inlet / outlet 176 is connected to the fuel pipe connector 175 through an oil passage penetrating from the inner side in an 'L' shape.
Such an "L" -shaped flow path can reduce the flow rate of injected or discharged fuel because it extends the fuel transfer distance.

연결부 연료극 입출구(176)는 연료전지 스택(200) 반대면의 연료극 입출구(130)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The connecting portion fuel electrode inlet / outlet 176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fuel electrode inlet / outlet 1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200.

공기극 입구(120a)와 공기극 출구(120b)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분배기 연결부(170a, 170b)는 공기배관 연결구(171)와, 공기배관 연결구(171)와 연통되는 연결부 공기극 입출구(172)와,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160)과 볼트 등으로 결합하기 위한 공기극 체결홀(1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or connection portions 170a and 170b connected to the air electrode inlet 120a and the air electrode outlet 120b respectively include an air piping connection port 171 and a connection port air port connection port 172 communicating with the air piping connection port 171. [ And a cathode coupling hole 173 for coupling with the fuel cell pack housing fastening tab 160 by bolts or the like.

공기배관 연결구(171)는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배관과 연결된다.The air pipe connection port 171 is connected to a pip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연결부 공기극 입출구(172)는 내측에서 'L'자 타입의 유로로 연장되어 공기배관 연결구(171)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연결부 공기구 입출구(172)는 'L'자 타입의 유로가 공기를 안내함에 따라 공기의 이송거리를 연장시켜서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air cathode inlet / outlet 172 extends from the inside to an L-shaped type flow path and is connected to the air piping connector 171. Likewise, the connection portion air inlet / outlet 172 may extend the distance of air conveyance as the 'L' -shaped flow path guides the air to decelerate the flow velocity.

연결부 공기극 입출구(172)는 연료전지 스택(200) 반대면의 공기극 입출구(120)와 연통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The connecting portion air electrode inlet / outlet 172 is formed in a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 outlet 1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200.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100)에 의하면, 본체(110)에 관통 형성된 연료극 입출구(130) 및 공기극 입출구(120) 등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연료전지 스택(200)에 대한 연료와 공기의 공급 및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fuel cell stack distribu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fuel electrode inlet / outlet port 130 and the air pole inlet / outlet port 120 formed in the main body 110 is improv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pply and discharge performance of fuel and air to the stack 200 can be impro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100 :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110 : 본체,
120 : 공기극 입출구, 120a : 공기극 입구
120b : 공기극 출구 121 : 공기극 가이드홈,
122 : 공기극 가이드 오링, 124 : 공기극 배면홈,
125 : 공기극 배면 오링, 130 : 연료극 입출구,
130a : 연료극 입구 130b : 연료극 출구
131 : 연료극 가이드홈 132 : 연료극 가이드 오링,
134 : 연료극 배면홈, 135 : 연료극 배면 오링,
140 : 볼트 그루브, 150 : 체결텝,
160 :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
170 : 분배기 연결부, 171 : 공기배관 연결구,
172 : 연결부 공기극 입출구, 173 : 공기극 체결홀,
175 : 연료배관 연결구, 176 : 연결부 연료극 입출구,
177 : 연료극 체결홀, 200 : 연료전지 스택.
211 : 공기입구 212 : 공기출구
221 : 연료입구 222 : 연료출구
100: fuel cell stack distributor, 110: main body,
120: inlet / outlet of air pole, 120a: inlet of air pole
120b: air electrode outlet 121: air electrode guide groove,
122: air electrode guide o-ring, 124: air electrode back surface groove,
125: O-pole back surface O-ring, 130:
130a: anode electrode inlet 130b: anode electrode outlet
131: fuel electrode guide groove 132: fuel electrode guide o-ring,
134: anode side groove of the anode, 135: anode side o-ring of the anode,
140: bolt groove, 150: fastening tab,
160: fuel cell pack housing fastening tab,
170: distributor connection, 171: air connection,
172: connection port air inlet / outlet, 173: air electrode connection hole,
175: fuel piping connector, 176: connecting portion,
177: fuel electrode tightening hole, 200: fuel cell stack.
211: air inlet 212: air outlet
221: fuel inlet 222: fuel outlet

Claims (11)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입구와, 배출되는 연료출구와,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출구가 형성되는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 및 배출되는 연료와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일측에 체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연료입구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극 입구와, 상기 연료출구에서 이송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극 출구를 구비하는 연료극 입출구;
상기 본체에서 상기 공기 입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극 입구와, 상기 공기출구에서 이송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극 출구를 구비하는 공기극 입출구;
상기 본체의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 측에서 상기 공기극 입구에 연결되는 제1분배기 연결부, 상기 공기극 출구에 연결되는 제2분배기 연결부, 상기 연료극 입구에 연결되는 제3분배기 연결부, 상기 연료극 출구에 연결되는 제4분배기 연결부를 구비하는 분배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분배기 연결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공기극 입구와 출구, 상기 연료극 입구와 출구에 공급 및 배출되는 공기와 연료를 이송하는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분배기 연결부는 상기 공기극 입구와 출구, 상기 연료극 입구와 출구로 공급 및 배출되는 공기와 연료의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L'자형의 유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연료극 입출구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료입구와 연료출구로 주입 및 배출되는 연료를 안내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는 연료극 가이드홈;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공기극 입구와 공기극 출구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료전지로 주입 및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는 공기극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극 입구와 공기극 출구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입구와 공기출구와 편심된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공기극 가이드홈에 연결되고,
상기 연료극 입구와 연료극 출구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입구와 연료출구와 편심된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연료극 가이드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A fuel cell stack in which a fuel inlet to which fuel is injected, a fuel outlet to be discharged, an air inlet to which air is injected, and an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exhausted are formed;
A main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to guide fuel and air suppli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fuel cell stack;
A fuel electrode inlet and a fuel electrode outlet for supplying fuel to the fuel inlet in the main body, and a fuel electrode outlet for discharging fuel transferred from the fuel outlet;
An air inlet and air outlet having an air inlet opening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inlet in the main body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delivered from the air outlet;
A first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air electrode at a side opposite to the fuel cell stack of the main body, a second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air electrode, a third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uel electrode, A distributor connection having a 4-splitter connection; And
And a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distributor connecting portions for transferring air and fuel suppli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electrode and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node,
Wherein the first to fourth distributor connection portions are formed with an L-shaped flow passage for reducing the flow rate of air and fuel suppli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electrod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node,
The body
A fuel electrode guide groove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outlet in a plane facing the fuel cell stack to guide the fuel injected and discharged to the fuel inlet and the fuel outlet to reduce the flow rate; And
And an air electrode guide groov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inlet of the air electrode and the outlet of the air electrode to guide the air inject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fuel cell to reduce the flow velocity,
Wherein the air electrode inlet and the air electrode outlet are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of the fuel cell stack and connected to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Wherein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the fuel electrode outlet are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uel inlet and the fuel outlet of the fuel cell stack and are connected to the fuel electrode guid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극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하는 연료극 가이드 오링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uel electrode guide O-ring provided in the fuel electrode guide groove to prevent fluid leak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면에서 상기 연료극 입구와 연료극 출구 측에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연료극 배면홈; 및 상기 연료극 배면홈에 설치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하는 연료극 배면 오링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uel electrode rear surface groove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fuel cell stack to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the inwardly facing grooves on the fuel electrode outlet side; And a fuel electrode rear surface O-ring provid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fuel electrode to prevent fluid leak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극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하는 공기극 가이드 오링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thode guide O-ring installed in the air electrode guide groove to prevent fluid leak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면에서 상기 공기극 입구와 공기극 출구측에 내향 형성된 공기극 배면홈; 및
상기 공기극 배면홈에 설치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극 배면 오링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ir electrode rear surface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uel cell stack toward the air electrode inlet and the air electrode outlet side; And
Further comprising an air electrode rear surface o-ring provided in the air electrode rear surface groove to prevent fluid leak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 측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볼트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볼트 그루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lt groove for providing a bolt receiving space of the fuel cell stack is provided on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 측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And a fastening step for fastening the fuel cell stack to the fuel cell stack is provided on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 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fuel cell stack housing fastening tab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uel cell stack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분배기 연결부는,
배관과 연결되는 연료배관 연결구;
상기 연료배관 연결구에서 'L'자 타입으로 관통형성된 유로로 연결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면의 상기 연료극 입구와 연료극 출구와 각각 연통되는 연결부 연료극 입출구; 및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과 결합되는 연료극 체결홀;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distributor connections comprise:
A fuel piping connection to the piping;
A connecting portion fuel electrode inlet and outlet connected to the fuel electrode inlet and the fuel electrode outlet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uel cell stack, respectively; And
And a fuel electrode tightening hole that is coupled with the fuel cell pack housing fastening ta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배기 연결부는,
배관과 연결되는 공기배관 연결구;
상기 공기배관 연결구와 'L'자 타입의 유로로 연결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반대면의 상기 공기극 입구와 상기 공기극 출구에 각각 연통되는 연결부 공기극 입출구; 및
연료전지 팩 하우징 체결용 텝과 결합되는 공기극 체결홀; 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or connections comprise:
An air piping connection to the piping;
An inlet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air piping connector through an L-shaped flow path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of the air electrode and the outlet of the air outlet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uel cell stack, respectively; And
A cathode coupling hole coupled with the fuel cell pack housing fastening tab; And a fuel cell stack distributor.
KR1020130116552A 2013-09-30 2013-09-30 Common distributor fuel cell stack KR101643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552A KR101643905B1 (en) 2013-09-30 2013-09-30 Common distributor fuel cell st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552A KR101643905B1 (en) 2013-09-30 2013-09-30 Common distributor fuel cell st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85A KR20150037185A (en) 2015-04-08
KR101643905B1 true KR101643905B1 (en) 2016-07-29

Family

ID=5303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552A KR101643905B1 (en) 2013-09-30 2013-09-30 Common distributor fuel cell st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9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447A (en) 2016-11-11 2018-05-23 세방전지(주) Bi-polar plate inspection apparatus for fuel cell st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9895A (en) * 2018-12-20 2019-03-22 中国地质大学(武汉) A kind of solid oxide fuel ce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6071A (en) * 2008-08-01 2010-03-11 Nippon Soken Inc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07B1 (en) * 2009-09-21 2011-06-09 한국전력공사 A separating plate of solid oxide fuel cell stack
KR101230992B1 (en) * 2010-11-18 2013-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 single body type distribution block integrated with end-plate and fuel cell stack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6071A (en) * 2008-08-01 2010-03-11 Nippon Soken Inc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447A (en) 2016-11-11 2018-05-23 세방전지(주) Bi-polar plate inspection apparatus for fuel cell st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85A (en)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4271B1 (en) Fuel cell stack with even distributing gas manifolds
US10141583B2 (en) Bipolar plate and fuel cell comprising a bipolar plate of this type
KR20190002548A (en) A bipolar plate having a reactant gas channel with variable cross-sectional area, a fuel cell stack, and a vehicle with such a fuel cell stack
CN104813527B (en) Bipolar plates for fuel cell
WO2017003116A1 (en) Separation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uel cell stack comprising same
US11682775B2 (en) Bipolar plate, fuel cell, and motor vehicle
CN102005594B (en) Fuel cell stack
US11108058B2 (en) Bipolar plate and fuel cell
EP2860807A1 (en) Fuel cell stack
CN114784349A (en) Air distribution assembly, fuel cell module and vehicle
EP2267829B1 (en) Fuel cell system and stack thereof
KR101643905B1 (en) Common distributor fuel cell stack
US20120034545A1 (en) Fuel cell apparatus
CN114744235A (en) Fuel cell module, fuel cell system, fuel cell power system, and vehicle
KR101241016B1 (en) Seperator for fuel cell
US9065088B2 (en) Modification to stampable flowfields to improve flow distribution in the channels of PEM fuel cells
KR20150017402A (en) Fuel cell stack with excellent circulating performance
US10158141B2 (en) Fuel cell system including multiple fuel cell stacks
CN114744229B (en) Fuel cell module, fuel cell system, fuel cell power system, and vehicle
KR20190130306A (en) Separator for feul cell
CN108075151B (en) Bipolar plate, fuel cell stack and motor vehicle
EP3576200B1 (en) Fuel cell stack
JP5358473B2 (en) Fuel cell structure and separator plate for use in this structure
KR20200086531A (en) Fuel cell stack
CN214411255U (en) Fuel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