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842B1 - Vending device for refrigerant pipe with capkllary tube - Google Patents

Vending device for refrigerant pipe with capkllary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842B1
KR101643842B1 KR1020150009087A KR20150009087A KR101643842B1 KR 101643842 B1 KR101643842 B1 KR 101643842B1 KR 1020150009087 A KR1020150009087 A KR 1020150009087A KR 20150009087 A KR20150009087 A KR 20150009087A KR 101643842 B1 KR101643842 B1 KR 101643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ing
base
mold
tub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정
Original Assignee
박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정 filed Critical 박재정
Priority to KR102015000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8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8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ding device. The bending device includes a base and a bending mold fixated to the base. The bending mold comprises: a bed fixated to the base where the coolant pipe around which the capillary tube is wound is seated; a protrusion-type bending di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ed, having an outer circumference where the coolant pipe around which the capillary tube adheres, supporting the adhering part of the coolant pipe when bending the coolant pipe; and a groove sheet composed of escape grooves capable of receiving the capillary tub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olant pip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illary tube is inserted into the escape groove when bending the coolant pip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bending device for the coolant pipe around which a capillary tube is wound, capable of preventing imbalances in stress when bending the coolant pipe.

Description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 {VENDING DEVICE FOR REFRIGERANT PIPE WITH CAPKLLARY TUB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ding device for a capillary tube type refrigerant tube,

본 발명은 밴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모세관 권회된 냉매관을 절곡하는 밴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nding machine for bending a capillary tube-wound refrigerant tube.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에어컨 또는 정수기 등의 냉각장치는 냉각을 위해 냉동 사이클이 제공된다. 통상의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및 응축기가 파이프로 연결되고, 응축기 및 증발기가 냉매 공급관을 거쳐 모세관으로 연결되며, 증발기 및 압축기는 흡입파이프로 연결된다.Generally, a cooling device such as a refrigerator or an air conditioner or a wate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refrigeration cycle for cooling. In a typical refrigeration cycle,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re connected by a pipe,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re connected to the capillary through the refrigerant supply pipe, and the evaporator and the compressor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이러한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 가스형태로 응축기에 유입된 후 응축기의 방열에 의해 냉각되고, 응축기의 고압을 저압으로 낮추는 모세관으로 다시 토출되어 압력이 감압되며,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In this refrigeration cycle,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compress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er in the form of gas, cooled by the heat radiation of the condenser, discharged again to the capillary for lowering the high pressure of the condenser to low pressure, As shown in FIG.

여기서, 전술한 냉동 사이클은, 모세관을 통과하는 냉매가 비교적 고온이므로 냉각 성능이 향상되도록 모세관에서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비교적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석션 파이프)을 모세관과 접촉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동이나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진 냉매관의 냉매와 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모세관의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에 모세관(P2)을 부착시켜서 모세관(P2)을 관류하는 냉매의 온도를 감온시킨다. 즉, 냉매관(P1)에 모세관(P2)이 부착된 열교환관(P)을 제조하여 냉매관(P1) 및 모세관(P2)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 온도를 감온시킨다.Here, since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apillary is relatively high, it is preferabl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vaporator from the capillary tube so as to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To this end, a method is known in which a refrigerant pipe (suction pipe) through which a coolant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flows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capillary. In this method, a capillary tube P2 is attached to the refrigerant tube P1 so that the refrigerant of the refrigerant tube made of copper or aluminum material and the refrigerant of the capillary tu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P2 is reduced. That is, a heat exchange pipe P having a capillary tube P2 attached to the refrigerant tube P1 is manufactured, and the refrigerant temperature is reduced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tube P1 and the capillary tube P2.

한편, 전술한 냉매관(P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태로 모세관(P2)이 부착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1)을 통해 원하는 곡률의 각도로 밴딩됨에 따라 절곡된 상태로 제조된다. 이때, 냉매관(P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1)의 베드(1a)에 안착된 후 일측이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금형(1)의 밴딩다이(1b)에 일부분이 걸림상태로 지지되면서 밴딩된다.1, the capillary P2 is attached in the shape of a coil as shown in FIG. 1, and then the refrigerant tube P1 is bent at an angle of a desired curvature through the mold 1 as shown in FIG. 2 And is manufactured in a bent state. 2, after the refrigerant tube P1 is seated on the bed 1a of the mold 1, a part of the refrigerant tube P1 is caught in the bending die 1b of the mold 1 as one side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Lt; / RTI >

그러나, 이러한 냉매관(P1)은 중공형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가늘게 형성된 모세관(P2)이 권회되어 있으므로 밴딩시 밴딩다이(1b)에 지지되는 모세관(P2)에 의해 일부분이 국부적으로 극심하게 가압된다. 특히, 냉매관(P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밴딩다이(1b)가 외주면이 수직(V)으로 형성되므로 모세관(P2)에 의해 더욱더 극심하게 가압된다. 이에 따라, 냉매관(P1)은 국부적인 가압에 의해 응력 불균형이 발생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P2)이 위치한 밴딩부위(P3)가 내측으로 찌그러지면서 소성변형된다. 따라서, 냉매관(P1)은 일부분의 소성변형에 의해 냉매가 원활하게 관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냉매의 관류시 맥동소음이나 맥동에 의한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발생되며, 더 나아가 소성변형된 부위의 피로강도가 저하되어 조립작업시 또는 작동시(냉매 관류시) 파열될 우려가 있으므로 매우 많은 수량이 불량으로 판정되어 폐기된다.However, since the coolant pipe P1 is made of a hollow pipe and the capillary tube P2 having a substantially equal thickness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apillary tube P2 supported on the bending die 1b The part is pressurized locally by extreme pressure.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2, the refrigerant pipe P1 is vertically pressed by the capillary P2 becau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nding die 1b is vertical. As a result, stress unbalance occurs in the refrigerant pipe P1 due to local pressurization, so that the bending portion P3 where the capillary P2 is located is plastically deformed inward as shown in Fig. Therefore, not only the refrigerant can smoothly flow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P1 due to plastic deformation but also rattle noise is generated due to pulsation noise or pulsation during refrigerant perfusion, and further, The fatigue strength of the portion is lower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rupture at the time of assembling work or operation (refrigerant perfusion), so that a very large quantity is judged to be defective and discarded.

최근에는, 이러한 불량률을 줄이고자 냉매관(P1)의 밴딩부위(P3)에 모세관(P2)을 권회하지 않고, 나머지 부분에만 모세관(P2)을 권회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모세관(P2)의 접촉면적이 사실상 감소됨에 따라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Recently, the capillary tube P2 is wound around the remaining portion without winding the capillary tube P2 around the bending portion P3 of the refrigerant tube P1 to reduce the defective rate. However, in this case, the contact area of the capillary P2 is substantially reduce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cooling efficiency is lowered.

KR 20-0386639 (김치냉장고용 흡입측 열교환기)KR 20-0386639 (Suction heat exchanger for Kimchi refrigerato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밴딩부위에 해당하는 냉매관이나 모세관의 일부를 수용하여 용이한 밴딩이 가능하고, 밴딩시 응력 불균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illary tube winding type which can easily bend and accommodate a part of a refrigerant tube or capillary tube corresponding to a bending por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nding machine for a refrigerant pipe.

특히, 냉매관 및 모세관이 수용되는 홈형태의 구성요소가 교차형성되고, 이에 더하여 냉매관의 단면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3사분면이나 4사분면에 해당하는 냉매관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냉매관의 외주면을 거의 절반 정도까지 수용할 수 있는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corresponding to the third quadrant or the fourth quadrant formed virtually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efrigerant tube, and furthermor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nding machine for a capillary tube type refrigerant tub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to about half.

그리고, 밴딩이 가능하도록 냉매관의 밴딩부위를 지지하는 금형이 분할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분리할 수 있고, 분할된 금형들을 용이하게 일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The mold for supporting the bending portion of the refrigerant tube is divided so that the bending can be performed. If necessary, the capillary tube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bending portion, and the divided molds can be easily and integrally combined.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banding machine.

또, 금형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금형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고, 금형을 전술한 고정부재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the mold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member to which the mold is fixed, the mold can be easily moved by the fixing member, and the mold can be fixed rotatably. Is another purpose.

또한, 복수의 금형이 전술한 고정부재에 이격상태로 설치되어 냉매관의 여러 개소를 밴딩할 수 있는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nding machine for a capillary tube type refrigerant tube capable of bending a plurality of portions of a refrigerant tube by disposing a plurality of dies in a spaced relationship with the above-mentioned fixing memb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부를 이루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모세관이 나선형으로 권회된 냉매관을 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밴딩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몰드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냉매관이 일측면에 안착되는 베드; 및 상기 베드의 일측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모세관이 권회된 상기 냉매관이 외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냉매관의 절곡을 위해 밀착된 상기 냉매관의 밀착부위를 외주면으로 지지하고, 상기 냉매관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냉매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모세관을 수용하는 도피홈 및 상기 냉매관이 밀착되어 절곡되는 동안 상기 냉매관이 외주면에 구속되도록 상기 냉매관의 일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외주면에 동일체로 제각기 형성된 돌기형의 밴딩다이;를 포함한다.
상기 밴딩다이는, 상기 끼움홈이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형태로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피홈이 상기 끼움홈과 상이한 방향으로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도피홈이 상기 끼움홈에 대해 경사를 이루면서 교차되는 형태로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banding mold fixed to the base and bending a refrigerant tube spirally wound around the capillary on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banding mold is fixed to the base, and the refrigerant tube is seated on one side Bed;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And a fitting groove in which a part of the refrigerant tube is fitted so that the refrigerant tube is conf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the refrigerant tube is in close contact with and bent while the capillary tube protruding outwardly of the refrigerant tube is provided, And a bending die of a protruding shape formed in the same body.
The bending die, but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form of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tube, in which the escap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fitting groove with a different direction, the escape groove is the A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tting groov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끼움홈은, 상기 냉매관의 단면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사분면에서 3사분면이나 4사분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원호형의 곡률로 상기 밴딩다이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tting groove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at an arcuate curvature corresponding to one of quadrants or quadrants in a quadrangle formed virtually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이와 달리, 상기 끼움홈은, 상기 냉매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곡률로 상기 밴딩다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피홈과 교차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fitt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at a curvature of a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tube, and intersect with the escaping groove.

상기 밴딩다이는, 상기 끼움홈에 형성되는 가상의 센터선을 중심으로 상기 끼움홈 및 상기 도피홈과 함께 수평 분할되어 복수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The banding die needs to be constitut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ly divided portions along the imaginary center line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together with the fitting groove and the escape groove.

상기 밴딩다이는 예컨대, 상기 베드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분할된 끼움홈 및 도피홈의 일부를 갖는 고정바디; 상기 수평 분할에 의해 상기 고정바디와 별개를 이루면서 상기 분할된 끼움홈 및 도피홈의 나머지 일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바디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끼움홈 및 상기 도피홈의 일부 및 나머지 일부를 연결하는 착탈바디; 및 상기 착탈바디를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bending die may include, for example, a fixed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d, the fixed body having the split fitting groove and a part of the escape groove; And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by the horizontal division and have a remaining part of the divided fitting grooves and the escape grooves, body; And a fastener detachably fixing the detachable body to the fixed body.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착탈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astener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fastening member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fixed body through the detachable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밴딩몰드가 복수로 구성되어 이격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밴딩몰드는, 상기 베이스에 볼트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볼트는, 상기 밴딩몰드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밴딩몰드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딩몰드는, 상기 베이스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밴딩몰드가 상기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볼트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밴딩몰드에 일부분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밴딩몰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밴딩몰드에 일측이 고정된 상기 볼트의 타측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밴딩몰드에 일부분이 결합된 상기 베어링의 반대편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banding mold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bending mold is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with a bolt, and the bolt is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with one side fixed to the bending mold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base .
Wherein the bending mold is mounted on the base rotatably by a bearing, the bearing being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olt such that the bending mold rotates about the bolt, And the mold is rotatably supported.
The bas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formed as a slot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bolt fixed on one side of the banding mold is movable so as to guide movement of the bolt.
The guide rail may further include a step in which an opposite portion of the bearing coupled to the bending mold is inserted and support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냉매관에 권회된 모세관의 일부가 밴딩다이에 형성된 도피홈에 수용되므로 밴딩시 모세관에 의해 냉매관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응력 불균형으로 냉매관에 국부적인 소성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끼움홈에 냉매관의 일부가 수용되어 구속되므로 냉매관을 안정적으로 밴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pillary tube wound around the refrigerant tube is accommodated in the escape groove formed in the bending di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rigerant tube from being pressurized by the capillary tube during bend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local plastic deformation from occurring in the refrigerant pipe.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is accommodated in the fitting groove, the refrigerant pipe can be stably bent.

특히, 끼움홈이 냉매관과 평행을 이루므로 냉매관을 끼움홈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관 및 모세관이 수용되는 끼움홈 및 도피홈이 일직선의 냉매관 및 이에 권회된 모세관의 형상적인 특성에 적합하게 교차형성되므로 밴딩시 냉매관 및 모세관을 매우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냉매관의 단면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3사분면이나 4사분면에 해당하는 냉매관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될 경우 밴딩다이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냉매관의 외주면을 거의 절반 정도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될 경우 밴딩시 밴딩다이에 지지되는 냉매관의 지지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냉매관을 용이하게 밴딩할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fitting groove is parallel to the refrigerant pipe, the refrigerant pip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the fitting groove and the escape groove in which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capillary tube are accommodated can be formed into a straight refrigerant pipe and a shap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ccommodate the refrigerant tube and the capillary tube during the bending operation and also to accommod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corresponding to the third quadrant or quadrant of the refrigerant tube, The height of the bending die can be reduced. Further, when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accommod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to about half, the supporting area of the refrigerant tube supported on the bending die It is possible to easily bend the refrigerant tube.

그리고, 밴딩몰드의 밴딩다이가 분할형성될 경우 필요시 밴딩다이의 분리하여 끼움홈의 일측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끼움홈에서 냉매관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고, 밴딩다이가 고정바디 및 착탈바디로 구성될 경우 고정바디를 베드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고정바디를 베드와 별개로 제조하지 않아도 되며,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패스너를 통해 고정바디에 착탈바디가 결합되므로 착탈바디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When the bending die of the bending mold is divided, if necessary, the bending die can be separated from the bending die to completely open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Therefore, the refrigerant tub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fitting groove, The fixing body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the fixing body separately from the bed, and since the fixing body is coupled to the fixing body through the fastener made of the fastening member, have.

또, 밴딩몰드를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밴딩몰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베이스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밴딩몰드를 고정하는 볼트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에 밴딩몰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밴딩몰드가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밴딩몰드를 회전시키면서 끼움홈 및 도피홈에 냉매관 및 모세관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nding mold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the banding mol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furthermore, the bolt for fixing the banding mold can be moved through the slot formed in the base, Further, since the banding mold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the refrigerant tube and the capillary tub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the escape groove while rotating the banding mold.

또한, 복수의 밴딩몰드가 베이스에 이격상태로 설치되어 냉매관의 여러 개소를 밴딩할 수 있으므로 냉매관을 매우 용이하게 밴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딩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banding molds are installed on the bas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efrigerant pipe can be bent at several poi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bend the refrigerant tube very easily and to shorten the banding time.

도 1은 일반적인 모세관이 권회된 냉매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매관의 밴딩을 위한 밴딩몰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밴딩몰드에 의해 밴딩된 냉매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밴딩기에 적용되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밴딩몰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밴딩기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밴딩기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밴딩기에 적용되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밴딩몰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밴딩몰드의 평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밴딩몰드가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밴딩기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베이스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밴딩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밴딩기에 적용되는 제3 실시예에 의한 밴딩몰드의 측면도; 및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밴딩몰드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nt tube in which a general capillary tube is wou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ding mold for bending the refrigerant tube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nt tube bent by the banding mold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ding mol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pplied to the ba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banding machine shown in Fig. 4; Fig.
FIG. 6 is a plan view of the banding machine shown in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ding mol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pplied to the ba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lan view of the banding mold shown in FIG. 7; FIG.
FIG. 9 is a side view of a ba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nding mold shown in FIG. 7 is mounted;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ase shown in FIG. 9; FIG.
Fig.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banding machine shown in Fig. 9; Fig.
12 is a side view of a banding mol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pplied to the ba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3 is a plan view of the banding mold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bending machine for a capillary tube type refrigerant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밴딩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T), 밴딩몰드(50) 및 후술되는 그루브 시트를 포함한다. 베이스(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몰드(50)가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베이스(T)는 예컨대, 금속이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고, 도시된 바와 같은 판상의 테이블이나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T)는 전술한 테이블이나 블록에 한정되지 않으며, 밴딩몰드(50)의 설치가 가능한 부재일 경우 어떠한 것이든 족하다.The ba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T, a banding mold 50, and a groove sheet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The base T is a structure in which a bending mold 5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The base T is made of, for example, a metal or a plastic material, and can be constituted by a plate or block as shown in the figure. The base 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able or block, and may be any member provided that the banding mold 50 can be installed.

밴딩몰드(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T)에 고정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모세관(P2)이 나선형으로 권회된 냉매관(P1)을 갖는 열교환관(P)이 안착되어 밴딩된다. 밴딩몰드(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구성되어 베이스(T)에 설치될 수 있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베이스(T)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밴딩몰드(50)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51) 및 밴딩다이(53)로 구성할 수 있다. The banding mold 50 is fixed to the base T as shown and a heat exchange pipe P having a refrigerant pipe P1 spirally wound with a capillary tube P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eated and bent . The banding mold 50 may be provided in the base T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provided in the base T as shown in FIG. The bending mold 5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bed 51 and a bending die 53 as shown in Fig.

베드(5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이 일측면에 안착된다. 즉, 베드(51)는 일측면에 냉매관(P1)이 안착되는 안착면(51a)을 제공한다. 베드(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평면을 갖는 안착면을 제공한다. 베드(5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T)에 고정된다. 베드(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반원형이나 부채꼴 형태로 이루어진 원호형 또는 다각형(예: 삼각, 사각, 팔각 등)의 판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bed 51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tube P1 as shown in Figs. 5 and 6). That is, the bed 51 provides a seating surface 51a on one side of which the refrigerant tube P1 is seated. The bed 51 provides a seating surface having a generally planar surface as shown. The bed 51 is fixed to the base T as shown in Fig. 4, the bed 51 may be formed of a disk-shaped plate material, but may alternatively be formed of a circular or arcuate circular or polygonal (e.g., triangular, rectangular, octagonal, etc.) have.

밴딩다이(5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을 갖는 베드(51)의 일측면에 돌출상태로 마련된다. 밴딩다이(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51a)을 갖는 베드(51)의 일측면 보다 작은 크기(지름 또는 면적)로 형성된다. 밴딩다이(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51)와 동심원을 갖는 원형의 돌출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반원형이나 부채꼴 형태로 이루어진 원호형의 돌출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밴딩다이(53)는 냉매관(P1)의 밴딩이 가능하도록 후술되는 바와 같이 냉매관(P1)이 접촉되는 외주면에 곡률이 형성되면 족하다. 밴딩다이(53)는 냉매관(P1)이 접촉되는 부위에만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nding die 5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ed 51 having a seating surface, as shown in Figs. 4 and 5, in a projecting state. The bending die 53 is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diameter or area) than one side of the bed 51 having the seating surface 51a as shown in the figure. The bending die 53 may be formed of a circular protrusion having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bed 51 as shown in the figure. Alternatively, the banding die 53 may be formed of an arc-shaped protrusion having a semicircular shape or a fan shape. However, the bending die 53 suffices if curvatur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P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P1 can be bent. The bending die 53 may be curved only in a portion where the refrigerant pipe P1 is in contact.

밴딩다이(5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51)의 중앙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베드(51)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돌출될 수도 있다. 밴딩다이(53)는 베드(51)와 별개로 제조되어 베드(51)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베드(51)와 동일한 재질로 제조되어 베드(51)의 성형시 함께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ending die 53 is preferably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bed 51 as shown in FIGS. 4 and 5, but it may be eccentrically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bed 51. The banding die 53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bed 51 and may be mounted on the bed 51 but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ed 51 and molded together when the bed 51 is molded .

밴딩다이(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의 단면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수평의 센터선(CT)과 같거나 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밴딩다이(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평의 센터선(CT)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냉매관(P1)의 지름에 대응하거나 이러한 지름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높이는 냉매관(P1)의 재질특성이나 밴딩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밴딩다이(53)는 냉매관(P1)의 재질이 구리와 같이 연성이거나 밴딩각도가 작을 경우 높이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낮게 형성할 수 있고, 재질이 구리 보다 강성이거나 밴딩각도가 클 경우 좀더 많은 접촉면적이 요구됨에 따라 높이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높게 형성할 수 있다.The bending die 53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equal to or slightly lower than a horizontal center line CT formed virtually on the cross s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P1 as shown in FIG. 7, the bending die 53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than the horizontal center line CT described above, and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P1 or higher than the diameter . This height is selec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e bending characteristics of the refrigerant pipe P1. For example, the banding die 53 can have a relatively low height as shown in FIG. 5 when the material of the refrigerant pipe P1 is soft like copper or has a small bending angle, and the material is stiffer than copper When the bending angle is large, a larger contact area is required, so that the height can be made relatively high as shown in FIG.

밴딩다이(53)는 도 5 및 도 6,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P2)이 권회된 냉매관(P1)이 곡률을 갖는 외주면에 밀착된다. 밴딩다이(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의 일측이 당겨져서 밴딩될 경우 외주면으로 냉매관(P1)을 지지한다. 이때, 밴딩다이(53)는 외주면에 밀착된 냉매관(P1)의 밀착부위, 즉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지지한다. 따라서, 밴딩다이(53)는 냉매관(P1)을 원활하게 밴딩시킨다. 결론적으로, 밴딩다이(53)는 냉매관(P1)을 곡선으로 밴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7 and 8, the bending die 5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the curvature of the refrigerant tube P1 wound with the capillary tube P2. The bending die 53 supports the refrigerant pipe P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P1 is pulled and bent as shown in the figure. At this time, the bending die 53 supports the contact area of the refrigerant pipe P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at is, the contact area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fore, the bending die 53 smoothly bends the refrigerant pipe P1. Consequently, the bending die 53 is a component that curves the refrigerant tube P1 into a curved line.

밴딩다이(53)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냉매관 홀더의 끼움홈(G1)이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끼움홈(G1)이 없이 곡률을 갖는 표면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V)을 이루는 돌기, 특히 원통형과 같은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밴딩다이(53)는 끼움홈(G1)이 형성된 것보다 냉매관(P1)의 밴딩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전술한 곡률이 형성되면 족하다.5 and 7, the bending die 53 may have a fitting groove G1 of a refrigerant tube hold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ternatively, the bending die 53 may have a curved surface As shown in Fig. 5, a protrusion such as a cylindrical shape may be formed. However, the banding die 53 may have the above-described curvatu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P1 can be bent more than the fitting groove G1 is formed.

한편, 그루브 시트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피홈(G2)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피홈(G2)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냉매관(P1)이 절곡되는 동안 냉매관(P1)에 권회된 모세관(P2)을 수용한다. 즉, 도피홈(G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이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밀착될 경우 냉매관(P1)에 권회되어 냉매관(P1)의 외측으로 돌출된 모세관(P2)의 일부를 수용한다. 도피홈(G2)은 모세관(P2)이 수용되도록 모세관(P2)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피홈(G2)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전술한 밴딩몰드(50)의 베드(51)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피홈(G2)은 베드(51)의 안착면(51a)에 일부분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oove sheet can be configured as an escape groove G2 as shown in Figs. 4 and 5. 6 and 8, the escape groove G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53 so that the capillary P2 wound on the refrigerant tube P1 while the refrigerant tube P1 is bent Accept. 6, the refrigerant pipe P1 is wound around the refrigerant pipe P1 whe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ing die 53, and the refrigerant pipe P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ipe P1 And accommodates a part of the capillary P2. The escape groove G2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illary P2 so as to be accommodated therein. The escape groove G2 may be formed in the bed 51 of the above-described banding mold 50 as shown in Figs. 5 and 7. Particularly, the escape groove G2 may be partially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51a of the bed 51.

그루브 시트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 홀더와 함께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냉매관 홀더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이 수용되도록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끼움홈(G1)으로 구성할 수 있다. 끼움홈(G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51)에 안착되는 냉매관(P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형태로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홈형태로 형성된다. 끼움홈(G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다이(53)의 원주방향을 따라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냉매관(P1)의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을 형성할 수 있다. 끼움홈(G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의 외경에 대응형성된다. 따라서, 끼움홈(G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이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밀착될 경우 냉매관(P1)의 일부, 즉 밀착면을 수용할 수 있다.The groove sheet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53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tube holder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refrigerant pipe holder may include a fitting groove G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53 to receive the refrigerant pipe P1. The fitting groove G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ing die 53 in a form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P1 seated on the bed 51 as shown in Figs. The fitting groove G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53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nding die 53 as shown in the drawing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tube P1 . The fitting groove G1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P1 as shown in the figure. 5 and 6, when the refrigerant tube P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nding die 53, the fitting groove G1 can receive a part of the refrigerant tube P1, that is, have.

끼움홈(G1)은 일부분(도면상 하단)이 전술한 밴딩몰드(50)의 베드(51)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끼움홈(G1)은 베드(51)의 안착면(51a)에 일부분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tting groove G1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bed 51 of the banding mold 50 described above. Particularly, the fitting groove G1 may be partially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51a of the bed 51. [

끼움홈(G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밴딩다이(53)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의 지름에 대해 대략 절반(전술한 수평의 센터선과 같거나 낮음)의 높이로 형성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의 단면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사분면에서 3사분면이나 4사분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곡률로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즉, 끼움홈(G1)은 측면상 냉매관(P1)의 하부측 외경에 대응하는 원호형의 곡률(R1)로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홈(G1)은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냉매관(P1)의 하부측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끼움홈(G1)은 냉매관(P1)의 하부측 지름 중 약 절반이 수용되므로 냉매관(P1)의 안정적인 밴딩이 가능하도록 밴딩시 냉매관(P1)을 구속하여 냉매관(P1)의 이탈을 방지한다.The fitting groove G1 is formed at a height approximately equal to half of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tube P1 as shown in Fig. 5 (equal to or lower than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center line)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53 at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quadrants or quadrants in a quadrangle formed virtually on the cross s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P1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the fitting groove G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53 with an arc-shaped curvature R1 corresponding to the lower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tube P1 on the side surface. Therefore, the fitting groove G1 can accommodate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nt tube P1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53. [ Therefore, since the fitting groove G1 accommodates about half of the lower sid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P1, the refrigerant pipe P1 is restrained at the time of bending to enable stable bending of the refrigerant pipe P1, Thereby preventing escape.

이와 달리, 끼움홈(G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다이(53)의 높이가 냉매관(P1)의 지름에 대해 절반(전술한 수평의 센터선 보다 높음)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곡률(R1, R2)로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홈(G1)은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냉매관(P1)의 대략 절반 정도(냉매관 외경의 약 5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G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의 외경이 거의 절반 정도가 구속되도록 측면상 거의 완전한 반원형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절반이 조금 안되게 냉매관(P1)이 구속되도록 완전하지 않은 반원형의 곡률로 형성될 수도 있다.7, when the height of the bending die 53 is formed to be higher than a half of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P1 (higher than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center line), the fitting groove G1 is form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ing die 53 with semicircular curvatures R1 and R2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tube P1. Therefore, the fitting groove G1 can accommodate about half of the refrigerant tube P1 (about 50%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tube)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nding die 53. [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tting groove G1 can be formed with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urvature on the side surface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tube P1 is limited to about half, but the refrigerant tube P1 is restricted It may be formed into a semi-circular curvature which is not perfect.

한편, 전술한 도피홈(G2)은 냉매관(P1)에 나선형으로 권회된 모세관(P2)이 수용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G1)과 상이한 방향으로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도피홈(G2)은 끼움홈(G1)과 직교하도록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나선형으로 권회된 모세관(P2)이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G1)에 대해 경사를 이루면서 교차되는 형태로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피홈(G2)은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P2)의 원활하게 수용되도록 모세관(P2)의 외경보다 약간 크거나 이와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escape groove G2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refrigerant pipe P1 so that the capillary P2 wound in the refrigerant pipe P1 is accommodated in the escape groove G2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tting groove G1 as shown in Fig. An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escape groove G2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ing die 53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fitting groove G1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escape groove G1 The bending die 53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53 in an inclined manner. The escape groove G2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slightly larg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illary P2 so as to smoothly accommodate the capillary P2 as shown in FIG.

도피홈(G2)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밴딩다이(53)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된다. 이때, 도피홈(G2)들은 모세관(P2)의 피치에 대응하는 거리로 밴딩다이(53)에 등간격(예: 20mm 내지 50mm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도피홈(G2)은 냉매관(P1)의 밴딩각도에 따라 단수로 밴딩다이(53)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escape grooves G2 are formed in plural as shown in Figs. 4 and 6 and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nding die 53. Fig. At this time, the escape grooves G2 are formed in the bending die 53 at equal distances (for example, 20 mm to 50 mm intervals) at distances corresponding to the pitches of the capillaries P2. However, the escape groove G2 may be formed in the banding die 53 in singular form depending on the bending angle of the refrigerant pipe P1.

여기서, 전술한 도피홈(G2) 및 전술한 끼움홈(G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각도가 대략 90도 정도일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구간(A)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피홈(G2) 및 끼움홈(G1)은 밴딩각도가 대략 180도 정도일 경우 밴딩다이(53)의 외경에 대해 절반 정도의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피홈(G2) 및 끼움홈(G1)은 밴딩다이(53)에 형성되는 위치가 밴딩각도에 따른 밴딩구간(A)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밴딩다이(53)는 도피홈(G2) 및 끼움홈(G1)의 형성위치에 따라 원호형이나 반원형으로 제조된다.6, the escape groove G2 and the above-mentioned fitting groove G1 may be formed only in the banding section A when the banding angle is approximately 90 degrees, as shown in FIG. The escape groove G2 and the fitting groove G1 may be formed only in a half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banding die 53 when the banding angle is about 180 degrees. The position of the escape groove G2 and the fitting groove G1 formed on the bending die 53 is determined by the bending section A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The banding die 53 is formed in an arc shape or a semicircular shap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scape groove G2 and the fitting groove G1.

한편, 냉매관(P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G1)이 원호형으로 형성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하부측의 일부만이 끼움홈에 수용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G1)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거의 절반 정도가 끼움홈(G1)에 삽입된다. 이때, 모세관(P2)은 도 6 및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부분이 도피홈(G2)에 삽입된다.5, when the fitting groove G1 is formed in an arc shape as shown in FIG. 5, only a part of the lower side in the plane is accommodated in the fitting groove, as shown in FIG. 6, As shown in FIG. 8, when the fitting groove G1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lmost half of the fitting groove G1 is inserted in the fitting groove G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and FIG. 8, a part of the capillary P 2 located outside the refrigerant pipe P 1 is inserted into the escape groove G 2.

다른 한편, 밴딩몰드(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T)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밴딩몰드(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55)를 통해 베이스(T)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밴딩몰드(50)에 인서트되고, 타측이 베이스(T)를 관통하여 너트(N)가 체결됨에 따라 베이스(T)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달리, 볼트(55)는 도 9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밴딩몰드(50)를 관통하여 너트(N)로 고정되고, 타측이 베이스(T)를 관통하여 너트(N)가 체결됨에 따라 베이스(T)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볼트(55)는 밴딩몰드(50)에 인서트되지 않고, 밴딩몰드(5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질 수 있으므로 밴딩몰드(50)의 성형시 인서트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하지만, 밴딩몰드(50)는 볼트(55)로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T)에 영구적 또는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부재(예: 지그나 브래킷 등)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banding mold 50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T as shown in Fig. The banding mold 50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T via a bolt 55 as shown. One side of the bolt 55 is inserted into the banding mold 50 and the other side of the bolt 55 is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T as the nut N passes through the base T. 9, one end of the bolt 55 passes through the banding mold 50 and is fixed to the nut N. The other end of the bolt 55 passes through the base T and the nut N is fastened And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T. In this case, the bolt 55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banding mold 50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banding mold 50, so that the insert process can be omitted at the time of molding the banding mold 50. However, the banding mold 50 is not limited to being fixed by the bolts 55, and any member that can be permanently or removably fixed to the base T (for example, a jig or a bracket) can be used Do.

이러한 밴딩몰드(50)는 베이스(T)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밴딩몰드(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T)와 대면하는 하부면에 설치되고, 베이스(T)에 일부분이 지지 내지 고정되는 베어링(BR)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BR)은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밴딩몰드(50)에 결합되고, 반대편의 일부분이 베이스(T)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BR)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베이스(T)에 삽입되어 베이스(T)에 지지 내지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밴딩몰드(50)는 전술한 볼트(55)에 의해 볼트(55)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밴딩몰드(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어링(BR)이 볼트(55)의 외측에 고정됨에 따라 볼트(55)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볼트(55)가 슬러스트 베어링 역할을 할 경우 볼트(55)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banding mold 50 is preferably rotatably fixed to the base T. The banding mold 5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base T as shown in Fig. 9 and may be rotatably fixed by a bearing BR which is partly supported or fixed to the base T . The bearings BR may be partly attached to the banding mold 50 and part of the opposite side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T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At this time, a part of the bearing BR may be inserted into the base T and supported or fixed to the base T as shown in the figure. However, the banding mold 5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around the bolt 55 by the bolts 55 described above. That is, the bending mold 50 may be rotated about the bolt 55 as the bearing BR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bolt 55 as shown in FIG. 9, And may be rotated about the bolt 55 in the case of a strut bearing.

베이스(T)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볼트(55)의 이동을 위한 장공형의 가이드레일(T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Ta)은 전술한 베어링(BR)의 적어도 일부분, 즉 전술한 베어링(BR)의 반대편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단턱(ST)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레일(T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몰드(50)에 일측이 고정된 볼트(55)의 타측이 관통됨에 따라 볼트(5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The base T may be formed with a guide rail Ta having a long hole shape for moving the bolt 55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rail Ta is formed with the step ST as illustrat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bearing BR described above , that is , a part opposite to the bearing BR described above is inserted and supported. The guide rail Ta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bolt 55 as the other side of the bolt 55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banding mold 50 penetrates as shown in FIG.

한편, 베이스(T)는 냉매관(P1)의 여러 개소가 밴딩이 가능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밴딩몰드(50, 50a, 50b, 50c)가 이격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T)는 냉매관(P1)의 밴딩각도에 따라 밴딩다이(53)가 다양한 직경으로 각각 형성된 밴딩몰드(50)들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관(P1)은 복수의 밴딩몰드(50)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90도나 180도(확대도 참고) 등의 다양한 각도로 여러 개소가 절곡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anding molds 50, 50a, 50b and 50c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11, so that the base T can be bent at several points of the refrigerant pipe P1. At this time, the base (T) can be provided with the banding molds (50) in which the banding dies (53) are formed at various diameters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of the refrigerant pipe (P1). Accordingly, the refrigerant pipe P1 can be bent at various angles, such as approximately 90 degrees or 180 degrees (see enlargement), as shown through the plurality of banding molds 50. [

이러한 경우, 냉매관(P1)은 밴딩몰드(5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평의 센터선(CT) 보다 높이가 낮을 경우 끼움홈(G1)에서 용이하게 이탈된다. 하지만, 냉매관(P1)은 밴딩몰드(5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평의 센터선(CT) 보다 높이가 높을 경우 끼움홈(G1)에서 이탈될 수 없다. 왜냐하면, 냉매관(P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소의 밴딩몰드(50)에서 밴딩되는 밴딩각도가 상이하므로 어느 한 곳의 밴딩몰드(50)에서 탈거될 수 없고, 동시에 모든 밴딩몰드(50)에서 탈거되어야 밴딩이 완료된다. 그러나, 냉매관(P1)은 끼움홈(G1)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끼움홈(G1)의 상단에 상부가 걸리므로 탈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In this case, the refrigerant pipe P1 is easily detached from the fitting groove G1 when the banding mold 50 is lower in height than the horizontal center line CT as shown in Fig. However, the refrigerant pipe P1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G1 when the banding mold 50 is higher than the horizontal center line CT as shown in Fig. 11, the refrigerant pipe P1 can not be removed from any one of the bending molds 50 because the bending angles of the bending molds 5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50), the bending is completed. However, when the fitting groove G1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7, the upper portion of the fitting groove G1 is caught in the refrigerant pipe P1, so that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remove the refrigerant pipe P1.

따라서, 밴딩다이(5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어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밴딩다이(53)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G1)에 형성되는 가상의 센터선(CT)을 중심으로, 즉 냉매관(P1)에 형성되는 가상의 센터선(CT)을 중심으로 끼움홈(G1) 및 도피홈(G2)과 함께 수평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bending die 53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ending dies as shown in Fig. This banding die 53 is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imaginary center line CT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G1 as shown in Fig. 12 (a) It is preferably horizontally divided along the fitting groove (G1) and the escape groove (G2) around the center (CT).

밴딩다이(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될 경우, 제조상의 편의성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후 전술한 센터선(CT)을 중심으로 수평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밴딩다이(53)는 반원형의 끼움홈(G1) 및 도피홈(G2)이 형성된 밴딩몰드(50)의 제조가 완료된 후 밴딩몰드(50)를 전술한 센터선(CT)을 중심으로 절개함에 따라 수평으로 분할된다. 하지만, 밴딩다이(53)는 베드(51)와 별개로 구성될 경우 끼움홈(G1) 및 도피홈(G2)이 외주면에 완전한 형태로 형성된 후 전술한 센터선(CT)을 중심으로 절개됨에 따라 수평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When the banding die 53 is divid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ing die 53 is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7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and is horizontally divided about the center line C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bending die 53 is formed by cutting the bending mold 50 around the above-mentioned center line CT after completion of manufacturing the bending mold 50 having the semicircular fitting groove G1 and the escape groove G2. As shown in FIG. However, when the banding die 53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bed 51, the fitting groove G1 and the escape groove G2 are formed in a perfect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fter the center line CT is cut off It may be divided horizontally.

밴딩다이(53)는 분할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디(53b) 및 착탈바디(53a)로 구성된다. 고정바디(53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51)와 일체를 이루고, 분할된 끼움홈(G1) 및 도피홈(G2)을 갖는다. 즉, 밴딩다이(53)는 일부의 끼움홈(G1) 및 도피홈(G2)을 갖는다. 그리고, 착탈바디(53a)는 분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나머지의 끼움홈(G1) 및 도피홈(G2)을 갖는다. 착탈바디(53a)는 패스너를 통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디(53b)에 결합된다. 이때, 착탈바디(53a)는 결합시 분할되었던 끼움홈(G1) 및 도피홈(G2)의 일부 및 나머지 일부를 일체적으로 연결시킨다.The bending die 53 is divided into a fixed body 53b and a detachable body 53a as shown in Fig. The fixed body 53b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d 51 as shown in the figure and has a split fitting groove G1 and an escape groove G2. That is, the bending die 53 has a part of the fitting groove G1 and the escaping groove G2. Then,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has the remaining fitting groove G1 and the escaping groove G2, which are divided as shown by the dividing. The detachable body 53a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53b through the fastener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integrally connects a part of the fitting groove G1 and the part of the escaping groove G2, which have been divided at the time of fitting, and the remaining part.

한편, 전술한 패스너는 착탈바디(53a)를 고정바디(53b)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필요시 착탈바디(53a)를 고정바디(53b)에서 분리시킨다. 따라서, 냉매관(P1)은 도 11과 같이 밴딩되어도 착탈바디(53a)가 고정바디(53b)에서 분리됨에 따라 밴딩몰드(50)에서 용이하게 탈거된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fastener detachably fixes the detachable body 53a to the fixed body 53b, and separates the detachable body 53a from the fixed body 53b, if necessary. 11, the refrigerant pipe P1 is easily detached from the banding mold 50 as the detachable body 53a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53b.

패스너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몰드(50)에 형성된 키홈(Kh)을 통해 착탈바디(53a)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바디(53b)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K)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K)는 착탈바디(53a)나 고정바디(53b)에 체결되면서 키결합이나 스플라인결합되는 통상의 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부재(K)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면서 착탈바디(53a)나 고정바디(53b)에 체결된다. 따라서, 착탈바디(53a)는 고정바디(53b)에 결합되어도 복수의 체결부재(K)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The fastener may be a fastening member K that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fixed body 53b through a detachable body 53a through a key groove Kh formed in the banding mold 50 as shown in FIG. Can be configu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member K is constituted by a conventional key which is fastened to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or the fixed body 53b and is key-engaged or splined. These fastening members K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K as shown in FIG. 12 and are fastened to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and the fastening body 53b while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refore, even when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53b, rotation of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is prevented by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K.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밴딩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a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밴딩몰드(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P2)이 권회된 냉매관(P1)이 베드(51)에 안착되어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밴딩몰드(50)는 밴딩다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홈(G1) 및 도피홈(G2)을 통해 냉매관(P1) 및 모세관(P2)의 일부를 수용한다. 밴딩다이(53)는 일직선을 이루는 냉매관(P1)의 일측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겨질 경우, 즉 냉매관(P1)이 절곡되는 동안 도피홈(G2)이 없는 외주면을 통해 냉매관(P1)의 밀착부위를 지지한다. 따라서, 냉매관(P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후 밴딩다이(53)의 상부 또는 측방으로 탈거된다. 이러한 냉매관(P1)은 도피홈(G2)으로 모세관(P2)이 삽입됨에 따라 모세관(P2)에 의한 가압이 방지되어 밴딩시 종래와 같은 응력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모세관(P2)이 위치한 부위가 찌그러지지 않는다.5, the refrigerant tube P1 in which the capillary tube P2 is wound is seated on the bed 51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ding die 53.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banding mold 50 accommodates a part of the refrigerant tube P1 and the capillary tube P2 through the fitting groove G1 and the escape groove G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nding die 53. 6, the bending die 53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not shown) throug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no escape groove G2 while the refrigerant pipe P1 is being bent, that is, whe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P1, P1). Accordingly, the refrigerant pipe P1 is bent as shown in Fig. 6, and then the upper side or the side of the bending die 53 is removed. The refrigerant tube P1 is prevented from being pressurized by the capillary tube P2 as the capillary tube P2 is inserted into the escape groove G2 and stress unbalance as in the prior art is not generated during bending, It does not collapse.

밴딩몰드(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다이(53)의 끼움홈(G1)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냉매관(P1)을 대략 예각의 각도로만 밴딩할 수 있다. 만약, 밴딩몰드(50)는 냉매관(P1)이 도 1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둔간의 각도로 밴딩될 경우 냉매관(P1)이 끼움홈(G1)의 상부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밴딩몰드(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냉매관(P1)의 여러 개소를 함께 밴딩할 경우 더욱더 냉매관(P1)을 끼움홈(G1)에서 이탈시킬 수 없다. 하지만, 밴딩몰드(50)는 냉매관(P1)의 어느 한 곳만 둔각으로 밴딩될 경우 도 8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을 밴딩다이(53)의 측방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The banding mold 50 can bend the refrigerant pipe P1 only at an approximately acute angle when the fitting groove G1 of the banding die 53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If the refrigerant tube P1 is bent at an oblique angl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in FIG. 11, the refrigerant tube P1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tting groove G1.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1, the banding mold 5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ending molds 50, so that when the refrigerant pipe P1 is bent at several points together, the refrigerant tube P1 can not be further released from the fitting groove G1. However, when the bending mold 50 is bent at an obtuse angle to any one of the refrigerant pipes P1, the refrigerant pipe P1 can be released to the side of the bending die 53 as shown by arrows in Fig.

한편, 베이스(T)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P1)의 여러 개소를 함께 밴딩할 경우 복수의 밴딩몰드(50)가 이격상태로 장착된다. 이때, 베이스(T)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밴딩몰드(50)가 장착된다. 이러한 분할형의 밴딩몰드(50)는 냉매관(P1)의 각 개소가 밴딩된 후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바디(53a)가 패스너의 체결부재(K)를 통해 고정바디(53b)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냉매관(P1)은 착탈바디(53a)가 분리되어 끼움홈(G1)의 상측이 제거됨에 따라 밴딩몰드(50)에서 용이하게 탈거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when several points of the refrigerant pipe P1 are bended together, the base T is mounted with a plurality of the banding molds 50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base T is mounted with the divided banding mold 50 as shown in FIG. 12 (b), after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refrigerant tube P1 are bent,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dy K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K of the fastener, (53b). Therefore, the refrigerant tube P1 is easily detached from the banding mold 50 as the upper side of the fitting groove G1 is removed by removing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밴딩몰드(50)는 냉매관(P1)이 탈거된 후 착탈바디(53a)가 다시 체결부재(K)에 의해 고정바디(53b)에 결합된다. 따라서, 밴딩몰드(50)는 또 다른 냉매관(P1)을 밴딩할 수 있다. 이러한 밴딩몰드(50)는 복수의 체결부재(K)로 착탈바디(53a)가 고정바디(53b)에 결합될 경우, 밴딩시 체결부재(K)에 의해 착탈바디(53a)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냉매관(P1)을 밴딩한다.The banding mold 50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53b by the fastening member K again after the refrigerant tube P1 is removed. Therefore, the banding mold 50 can bend another refrigerant pipe P1. When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53b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K, the banding mold 50 is easily rotated by the fastening member K during bending because the attaching / detaching body 53a is not rotated The refrigerant pipe P1 is bent.

여기서, 전술한 복수의 밴딩몰드(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T)에 장공형의 가이드레일(Ta)이 구비될 경우, 고정위치가 소망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다. 이때, 밴딩몰드(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T)를 관통한 볼트(55)가 가이드레일(Ta)을 따라 이동하므로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밴딩몰드(50)는 가변된 위치에서 냉매관(P1)의 설정된 부위를 밴딩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anding molds 50 described above can easily be changed to a desired position when the guide rail Ta having the elongated shape is provided on the base T as shown in FIG. . At this time, since the bolt 55 passing through the base T moves along the guide rail Ta as shown in FIG. 9, the position of the banding mold 50 can be changed. Therefore, the banding mold 50 can bend the set portion of the refrigerant tube P1 at the variable position.

그리고, 밴딩몰드(50)는 볼트(55)가 풀릴 경우 베이스(T)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T)와 별개로 보관되거나 또 다른 베이스(T)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T)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밴딩몰드(5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banding mold 50 can be separated from the base T or mounted on another base T since the banding mold 50 can be detached from the base T when the bolts 55 are loosened. Accordingly, the base T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banding mold 50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as needed.

한편, 밴딩몰드(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경우 냉매관(P1)의 밀착시 또는 밴딩시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밴딩몰드(50)는 냉매관(P1)에 권회된 모세관(P2)이 밴딩다이(53)의 도피홈(G2)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만약, 모세관(P2)은 밴딩몰드(50)가 회전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에 의해 일일이 도피홈(G2)에 삽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모세관(P2)은 밴딩몰드(50)가 회전될 경우 냉매관(P1)을 밴딩다이(53)의 끼움홈(G1)에 밀어넣기만 하여도 도피홈(G2)에 저절로 삽입된다. 이때, 밴딩몰드(50)는 약간 회전되면서 모세관(P2)의 위치에 도피홈(G2)을 대응시켜서 도피홈(G2)에 모세관(P2)을 삽입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nding mold 5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s shown in FIG. 11, the banding mold 50 rotates when the refrigerant pipe P1 is closely attached or when the banding is performed. Thus, the banding mold 5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escape groove G2 of the banding die 53 by the capillary tube P2 wound around the refrigerant tube P1. If the banding mold 50 is not rotated, the capillary P2 must be inserted into the escaping groove G2 by the operator. However, the capillary P2 is inserted into the escape groove G2 by itself only by pushing the refrigerant tube P1 into the fitting groove G1 of the banding die 53 when the banding mold 50 is rotated. At this time, the banding mold 50 slightly rotates to correspond the escape groove G2 to the position of the capillary P2, thereby inserting the capillary P2 into the escape groove G2.

다른 한편, 밴딩몰드(50)는 냉매관(P1)의 재질이나 밴딩각도 또는 밴딩시 요구되는 접촉면적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다이(53)의 높이가 낮은 것이 사용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다이(53)의 높이가 높은 것이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refrigerant pipe P1, the bending angle, or the contact area required for bending, the banding die 50 may be used as shown in Fig. 5,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anding die 53 having a high height is used.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 partial omission, or supplement).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combine some or many of the features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s or combination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s of these structures and configur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50, 50a, 50b, 50c: 밴딩몰드 51: 베드
51a: 안착면 53: 밴딩다이
53a: 착탈바디 53b: 고정바디
55: 볼트 CT: 센터선
G1: 끼움홈 G2: 도피홈
K: 체결부재 N: 너트
P: 열교환관 P1: 냉매관
P2: 모세관 ST: 단턱
T: 베이스 Ta: 가이드레일
50, 50a, 50b, 50c: a banding mold 51:
51a: seat surface 53: banding die
53a: detachable body 53b: fixed body
55: Bolt CT: Center line
G1: Fitting groove G2: Escape groove
K: fastening member N: nut
P: Heat exchange tube P1: Refrigerant tube
P2: capillary ST: step
T: Base Ta: Guide rail

Claims (7)

기부를 이루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모세관이 나선형으로 권회된 냉매관을 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밴딩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몰드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냉매관이 일측면에 안착되는 베드; 및
상기 베드의 일측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모세관이 권회된 상기 냉매관이 외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냉매관의 절곡을 위해 밀착된 상기 냉매관의 밀착부위를 외주면으로 지지하고, 상기 냉매관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냉매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모세관을 수용하는 도피홈 및 상기 냉매관이 밀착되어 절곡되는 동안 상기 냉매관이 외주면에 구속되도록 상기 냉매관의 일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외주면에 동일체로 제각기 형성된 돌기형의 밴딩다이;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다이의 상기 도피홈은,
상기 밴딩다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냉매관이 절곡되는 동안 상기 모세관을 수용하여 상기 냉매관의 일부분이 상기 모세관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밴딩다이는,
상기 끼움홈이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형태로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피홈이 상기 끼움홈과 상이한 방향으로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도피홈이 상기 끼움홈에 대해 경사를 이루면서 교차되는 형태로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밴딩몰드는,
상기 베이스에 볼트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볼트는,
상기 밴딩몰드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밴딩몰드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밴딩몰드는,
상기 베이스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밴딩몰드가 상기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볼트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밴딩몰드에 일부분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밴딩몰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밴딩몰드에 일측이 고정된 상기 볼트의 타측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
A base for making donations; And
And at least one banding mold fixed to the base and bending a coolant tube spirally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illary,
The banding mold comprises:
A bed fixed to the base, the refrigerant tube being seated on one side; And
A capillary tube having a capillary tu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illary tube, the capillary tub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illary tube, An escape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capillary protruded outward of the refrigerant pipe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can be closely contacted and a fitting groove in which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is fitted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is constra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the refrigerant pipe is closely contacted and bent, And a bending die of a protruding type formed individually of the same body,
Wherein the escape groove of the banding die comprises:
The capillary tube being configured to receive the capillary while the refrigerant tube is being bent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ending die to prevent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tube from being pressed by the capillary tube,
Wherein the banding die comprises: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shap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escap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tting groove ,
Wherein the escap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escape groove intersects the inclined groove with respect to the fitting groove ,
The banding mold comprises:
Wherein the base is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by bolts,
The bolt
Wherein the banding mold is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as one side is fixed to the banding mold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base,
The banding mold comprises:
A base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The bearing
Wherein the banding mold is installed outside the bolt so as to rotate about the bolt and the banding mold is rotatably supported as a part of the banding mold is coupled to the banding mold,
The base includes:
And a guide rail formed as a slot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bolt fixed on one side of the banding mold is movabl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olt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다이는,
상기 끼움홈이 상기 냉매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곡률로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피홈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
The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curvature of a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tube so as to intersect the escaping groove .
기부를 이루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모세관이 나선형으로 권회된 냉매관을 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밴딩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몰드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냉매관이 일측면에 안착되는 베드; 및
상기 베드의 일측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모세관이 권회된 상기 냉매관이 외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냉매관의 절곡을 위해 밀착된 상기 냉매관의 밀착부위를 외주면으로 지지하고, 상기 냉매관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냉매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모세관을 수용하는 도피홈 및 상기 냉매관이 밀착되어 절곡되는 동안 상기 냉매관이 외주면에 구속되도록 상기 냉매관의 일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외주면에 동일체로 제각기 형성된 돌기형의 밴딩다이;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다이의 상기 도피홈은,
상기 밴딩다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냉매관이 절곡되는 동안 상기 모세관을 수용하여 상기 냉매관의 일부분이 상기 모세관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밴딩다이는,
상기 끼움홈이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형태로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피홈이 상기 끼움홈과 상이한 방향으로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도피홈이 상기 끼움홈에 대해 경사를 이루면서 교차되는 형태로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밴딩다이는,
상기 끼움홈에 형성되는 가상의 센터선을 중심으로 상기 끼움홈 및 상기 도피홈과 함께 수평 분할되어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밴딩다이는,
상기 베드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분할된 끼움홈 및 도피홈의 일부를 갖는 고정바디;
상기 수평 분할에 의해 상기 고정바디와 별개를 이루면서 상기 분할된 끼움홈 및 도피홈의 나머지 일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바디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끼움홈 및 상기 도피홈의 일부 및 나머지 일부를 연결하는 착탈바디; 및
상기 착탈바디를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몰드는,
상기 베이스에 볼트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볼트는,
상기 밴딩몰드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밴딩몰드를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밴딩몰드는,
상기 베이스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밴딩몰드가 상기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볼트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밴딩몰드에 일부분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밴딩몰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밴딩몰드에 일측이 고정된 상기 볼트의 타측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
A base for making donations; And
And at least one banding mold fixed to the base and bending a coolant tube spirally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illary,
The banding mold comprises:
A bed fixed to the base, the refrigerant tube being seated on one side; And
A capillary tube having a capillary tu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illary tube, the capillary tub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illary tube, An escape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capillary protruded outward of the refrigerant pipe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can be closely contacted and a fitting groove in which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is fitted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is constra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the refrigerant pipe is closely contacted and bent, And a bending die of a protruding type formed individually of the same body,
Wherein the escape groove of the banding die comprises:
The capillary tube being configured to receive the capillary while the refrigerant tube is being bent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ending die to prevent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tube from being pressed by the capillary tube,
Wherein the banding die comprises: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shap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escap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tting groove ,
Wherein the escap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escape groove intersects the inclined groove with respect to the fitting groove ,
Wherein the banding die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ly-divided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imaginary center line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with the fitting groove and the escape groove.
Wherein the banding die comprises:
A fixed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d, the fixed body having the split fitting groove and a part of the escape groove;
And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by the horizontal division and have a remaining part of the divided fitting grooves and the escape grooves, body; And
And a fastener detachably fixing the detachable body to the fixed body,
The banding mold comprises:
Wherein the base is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by bolts,
The bolt
Wherein the banding mold is detachably fixed to the base as one side is fixed to the banding mold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base,
The banding mold comprises:
A base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The bearing
Wherein the banding mold is installed outside the bolt so as to rotate about the bolt and the banding mold is rotatably supported as a part of the banding mold is coupled to the banding mold,
The base includes:
And a guide rail formed as a slot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bolt fixed on one side of the banding mold is movabl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olt .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착탈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권회형 냉매관을 위한 밴딩기.
6. The fastener according to claim 5 ,
And a fastening member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fixed body through the detachable body.
KR1020150009087A 2015-01-20 2015-01-20 Vending device for refrigerant pipe with capkllary tube KR1016438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87A KR101643842B1 (en) 2015-01-20 2015-01-20 Vending device for refrigerant pipe with capkllar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87A KR101643842B1 (en) 2015-01-20 2015-01-20 Vending device for refrigerant pipe with capkllary tu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842B1 true KR101643842B1 (en) 2016-07-28

Family

ID=5668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87A KR101643842B1 (en) 2015-01-20 2015-01-20 Vending device for refrigerant pipe with capkllary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84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32B1 (en) * 2003-01-22 2005-05-17 로크산업 주식회사 bending machine for bar steel
KR200386639Y1 (en) 2005-03-15 2005-06-16 박재정 Heat exchanger of suction side for kimchi refrigerator
JP3696913B2 (en) * 1995-01-13 2005-09-21 株式会社オプトン Bending machine
JP5364300B2 (en) * 2008-06-13 2013-12-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Bending machine
JP7110381B2 (en) * 2018-03-28 2022-08-01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Balanced optical receiver and method for detecting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sign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913B2 (en) * 1995-01-13 2005-09-21 株式会社オプトン Bending machine
KR100489932B1 (en) * 2003-01-22 2005-05-17 로크산업 주식회사 bending machine for bar steel
KR200386639Y1 (en) 2005-03-15 2005-06-16 박재정 Heat exchanger of suction side for kimchi refrigerator
JP5364300B2 (en) * 2008-06-13 2013-12-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Bending machine
JP7110381B2 (en) * 2018-03-28 2022-08-01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Balanced optical receiver and method for detecting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sig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2179B2 (en) Holder for pipe in heat exchanger,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using said holder, and air conditioner and/or outdoor unit having said heat exchanger
EP2354746B1 (en) Cooling member,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same
US9656355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grip member for insertion tube in heat exchanger, manufacturing method for heat exchanger using said grip member, and air conditioner and/or outdoor unit having said heat exchanger
WO201703896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 pipe
KR101794953B1 (en) Refrigerants pipe expan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frigerants pipe using thereof
KR101643842B1 (en) Vending device for refrigerant pipe with capkllary tube
KR101053172B1 (en)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949224B (en) The washer stationary fixture and compressor fixing means of compressor
US20050133209A1 (en) End plate for heat exchangers,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998255B2 (en)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bes with fins for heat exchangers
WO2005026641A1 (en) Refrigerant distribu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42862B1 (en) fan 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is the bell mouth
CN108286844B (en) Annular evaporato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refrigeration equipment
CN218798414U (en) Refrigerant pipe bending device
KR101687587B1 (en)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70896B1 (en) Heat exchanger
CN215355545U (en) Copper pipe processing equipment for installing central air conditioner
KR100659314B1 (en) Accumulator jig
KR102066347B1 (en) Apparatus for expanding pipe using fluid pressure
KR102272704B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orifice
US11656036B2 (en) Heat exchanger and associated tube sheet
KR20020089544A (en) Tube bending machine
KR20170059865A (en) Turn fin condenser for refrigerator
KR101391300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iral condens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00116916A (en) Turn-fin tub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turn-fin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urn-fin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