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629B1 -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 Google Patents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629B1
KR101643629B1 KR1020150075718A KR20150075718A KR101643629B1 KR 101643629 B1 KR101643629 B1 KR 101643629B1 KR 1020150075718 A KR1020150075718 A KR 1020150075718A KR 20150075718 A KR20150075718 A KR 20150075718A KR 101643629 B1 KR101643629 B1 KR 10164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hydration
concrete
heat
concre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택신
원철현
이성주
박헌일
곽은구
Original Assignee
(주)88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88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88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150075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경화시 발생하는 수화열을 이용하여 밀실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하되 순환수단을 이용하여 수화열을 순환시켜 수화열의 온도가 양생실에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블록 등의 강도가 균일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는 내부에 콘크리트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켜 콘크리트블록을 양생하는 양생실;과 상기 양생실 내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하여 수화열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복수개 형성된 흡입파이프와, 상기 흡입파이프와 연결형성되고 양생실 내의 하부에 복수개 설치하여 흡입파이프에서 이동하는 수화열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블로우파이프로 구성되어 콘크리트블록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을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Concrete curing apparatus using the heat of hydra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경화시 발생하는 수화열을 이용하여 밀실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하되 순환수단을 이용하여 수화열을 순환시켜 수화열의 온도가 양생실에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블록 등의 강도가 균일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내화성, 내구성, 내진성 및 경제적인 효과가 있어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타설 후 수화반응에 의해 응결이 시작되며, 수화열을 발생한다. 수화열에 의해 콘크리트의 수분이 증발하게 되고, 균열 및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화 작용을 촉진하며, 한기 및 풍우 등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보호하고 콘크리트 내에 수분조절이 이루어져 균열방지 및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양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18255호(2010년11월05일)에는 도로포장용 콘크리트 양생장치에 있어서, 콘크리트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증기를 이송하기 위한 내부유로가 형성된 커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증기를 상기 커버의 내부유로로 공급하는 증기공급관; 및 상기 커버의 내부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증기를 콘크리트블록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증기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콘크리트 양생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도로포장용 콘크리트 양생장치는 증기를 이용한 양생장치로써, 낮은 강도로 콘크리트가 제조될 수 있으며, 양생과정에서 에너지가 필요하여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70296호(2014년06월10일0에는 차폐 또는 밀폐된 양생실과 목적실내부에 전기양생장치를 포함한 발열장치를 설치하고 순환시켜서 목적제품을 양생하는 공압을 이용한 순환양생 시스템장치와 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양생 시스템장치는 발열장치의 흡입구측에 전동모터를 부착한 송풍기를 사용하지 않고 공압모터가 부착된 공압송풍기로 순환양생 하는 것과; 상기 공압송풍기의 흡입구측에는 양생실 천정상부에 배관된 흡입구를 갖는 흡입관과 양생실내부의 바닥 하단부측의 토출 공급관을 양생실내부에서만 설치하여 양생실외부로의 노출됨이 없이 순환양생 하는 것과; 상기 순환양생에는 양생실의 외부 상단면부 또는 측면부에 콤프레셔를 설치하고 콤프레셔에서 발생된 공압을 공압공급관으로 공압모터 흡입구측으로 공급하고 공압모터의 토출구측에는 공압배출관으로 배출하여 순환양생 하는 것과; 상기 공압공급관에는 저압력스위치와 고압력스위치로 공압의 공급압력을 제어하고 전동밸브의 개폐를 통하여 공압모터에 공압을 공급하여 순환양생 하는 것과; 상기 공압배출관에는 공압배출분사관과 공압배출분사노즐을 구성하여 공압모터의 출구측에서 배출되는 공압을 공압배출분사밸브의 개폐를 통하여 발열장치의 내부측으로 분사하고 방사배출관에는 방사노즐로 발열장치의 외측부에 공압을 방사하여 순환양생 하는 것과; 상기 순환양생에는 공압배출밸브의 개폐를 통하여 공압모터에서 배출되는 공압을 양생실외부 또는 내부로 배출하여 순환양생 하는 것으로서 물과 증기의 공급없이 콘크리트제품이 양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생실 또는 목적실내부에 발열장치를 설치하고 순환시켜서 목적제품을 양생하는 공압을 이용한 순환양생 시스템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압을 이용한 순환양생 시스템장치와 그 방법은 구조가 복잡하고, 순환양생 시스템장치를 이루는 부품이 많아 장치를 제조하는 비용이 비싸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잔고장이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에 콘크리트블록을 수용하여 밀폐되는 양생실과 상기 양생실 내에 흡입파이프 및 블로우파이프로 구성된 순환수단을 설치하여 양생실의 수화열을 순환시켜 양생실 내부 전체에 균일한 온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순환수단은 양생실 내에 설치되어 수화열의 압력편차 및 온도차에 의해 양생실의 수화열을 무동력으로 흡입 및 배출하여 양생실 내부 전체에 수화열 온도를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경제적인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는 내부에 콘크리트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켜 콘크리트블록을 양생하는 양생실;과 상기 양생실 내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하여 수화열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복수개 형성된 흡입파이프와, 상기 흡입파이프와 연결형성되고 양생실 내의 하부에 복수개 설치하여 흡입파이프에서 이동하는 수화열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블로우파이프로 구성되어 콘크리트블록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을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생실은 상단에 롤스크린을 구비하여 양생실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한다.
상기 흡입파이프는 평면상에서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여 흡입파이프의 양측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흡입파이프는 블로우파이프와 연결형성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흡입파이프의 직경이 작아진다.
상기 양생실에 콘크리트블록을 용이하게 적재 또는 인출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운반수단은 콘크리트블록이 안착된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재하는 적재부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 하단에 위치하여 레일을 따라 전ㆍ후 이동하고 상기 몸체를 회전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에 의하면, 양생실 내에 흡입하이프 및 블로우파이프로 구성된 순환수단을 설치하여 양생실 내부 전체에 수화열 온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블록 등을 균일한 강도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온도편차에 의하여 수화열이 양생실 내부를 순환하도록 하여 수화열 순환을 무동력으로 구동되어 유지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콘크리트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화열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반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반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콘크리트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켜 콘크리트블록을 양생하는 양생실;과 상기 양생실 내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하여 수화열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복수개 형성된 흡입파이프와, 상기 흡입파이프와 연결형성되고 양생실 내의 하부에 복수개 설치하여 흡입파이프에서 이동하는 수화열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블로우파이프로 구성되어 콘크리트블록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을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생실은 상단에 롤스크린을 구비하여 양생실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파이프는 평면상에서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여 흡입파이프의 양측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파이프는 블로우파이프와 연결형성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흡입파이프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생실에 콘크리트블록을 용이하게 적재 또는 인출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반수단은 콘크리트블록이 안착된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재하는 적재부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 하단에 위치하여 레일을 따라 전ㆍ후 이동하고 상기 몸체를 회전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에서 양생되는 콘크리트블록(C)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도블럭 또는 경계석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블록(C)으로 시멘트, 물, 모래 및 혼화재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콘크리트블록(C)은 시멘트가 응결, 경화하는 과정에서 수화열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생실(100) 및 순환수단(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양생실(100)은 내부에 콘크리트블록(C)을 수용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양생실(100)의 내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롤스크린(130)이 구비된다. 양생실(100)은 콘크리트블록(C)이 경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양생실(10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110)은 콘크리트블록(C)를 복수개 안착시킨 플레이트(P)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안착부재(115)를 구비한다. 수용공간(110)은 하나의 플레이트(P)를 안착시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2개의 안착부재(115)가 한 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안착부재(115)는 다수개의 플레이트(P)가 수용공간(110)에 한꺼번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안착부재(115)는 복수개의 칸과 복수개의 열로 구비된다. 안착부재(115)는 플레이트(P) 양측면을 안착부재(115)에 안착시켜 플레이트(P)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롤스크린(130)은 양생실(100) 상단에 위치하여 수용공간(110)에 콘크리트블록(C)을 수용한 뒤 개방된 양생실(100)을 폐쇄하여 양생실(100)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롤스크린(130)은 콘크리트블록(C)의 양생과정이 끝나면 콘크리트블록(C)을 인출할 수 있도록 폐쇄된 양생실(100)을 개방한다.
상기 순환수단(200)은 양생실(100) 내에 설치하여 콘크리트블록(C)에서 발산하는 수화열을 순환시켜 양생실(100) 전체에 균일한 수화열 온도가 형성되도록 한다. 순환수단(200)은 양생실(100) 내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화열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210)와 양생실(100) 내의 하부에 위치하여 수화열을 배출하는 블로우파이프(2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입파이프(210)는 양생실(100) 내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하되, 수화열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양생실(100) 내의 천장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파이프(210)는 수화열이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215)가 형성된다. 흡입구(215)는 평면상에서 흡입파이프(210)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흡입구(215)를 형성하여 양측의 흡입구(215)로 양측 수화열을 흡입한다.
상기 흡입파이프(210)는 흡입하여 내부에 유입된 수화열은 블로우파이프(230)로 이동한다. 단, 흡입파이프(210)로 흡입된 수화열이 유출되지 않고 모두 블로우파이프(23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블로우파이프(230)와 연결형성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흡입파이프(210)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흡입파이프(210)는 블로우파이프(230)와 거리가 먼곳은 직경이 작고 블로우파이프(230)와 거리가 가까운 곳은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직경이 작은 흡입파이프(210)에서 흡입된 수화열이 직경이 큰 흡입파이프(210)를 따라 이동하여 블로우파이프(230)에서 수화열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로우파이프(230)는 양생실(100) 내의 하부에 복수개 설치하되, 흡입파이프(210)와 연결형성되어 흡입파이프(210)에서 흡입된 수화열이 이동되어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235)를 형성한다. 배출구(235)는 하나의 블로우파이프(230)에 두 개의 배출구(235)가 형성되어 두 개의 배출구(235)를 통해 수화열을 양생실(100) 하부로 배출한다. 배출구(235)에서 배출되는 수화열은 비교적 온도가 높은 수화열로 양생실(100)의 상부로 이동하며 양생샐(100) 전체가 균일한 온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순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생실(100)의 수용공간(110)에 콘크리트블록(C)이 안착된 플레이트(P)를 수용하고 롤스크린(130)을 가동하여 양생실(100)을 밀폐시킨다. 콘크리트블록(C)이 경화하면서 발생하는 수화열은 높은 온도로 인해 양생실(100) 상단으로 상승한다. 이때, 양생실(100) 내의 상부에 위치한 흡입구(215)를 통해 수화열이 흡입파이프(210)로 유입된다. 유입된 수화열은 흡입파이프(210)와 연결형성된 블로우파이프(230)를 따라 이동하여 양생실(100) 하부에 위치한 배출구(235)로 배출된다. 배출구(235)로 배출된 수화열을 온도편차에 의해 양생실(100) 상단으로 이동하며 양생실(100)의 온도를 균일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양생실(100) 내에서 수화열이 순환되어 양생실(100) 전체 온도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양생샐(100)에서 양생된 콘크리트블록(C)은 강한 강도를 가지며 콘크리트블록(C) 전체가 균일한 강도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생실(100)에 콘크리트블록(C)을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인출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운반수단(3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운반수단(300)은 콘크리트블록(C)이 안착된 플레이트(P)를 복수개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부재(315)가 구비된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 하단에 위치하여 레일(R)을 따라 이동하며 몸체(310)를 회전시키는 이동부재(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310)는 양생실(100)과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양생실(100)의 안착부재(115)에 플레이트(P)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적재부재(315)가 구비된다.
상기 적재부재(315)는 몸체(310)에 복수개 형성되되 안착부재(115)에 대응하는 높이, 너비 및 개수로 형성되어 레일(R)을 따라 운반수단(300)이 이동하여 한번에 안착부재(115)에 복수개의 플레이트(P)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320)는 레일(R)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되며, 몸체(310)를 회전시킴으로써 적재부재(315)의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플레이트(P)의 인출 및 적재가 용이하다. 이동부재(320)는 양생실(100) 내에서 전ㆍ후 이동이 가능하며, 콘크리트블록(C)이 안착된 복수개의 플레이트(P)를 한번에 적재 및 인출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양생실 110 : 수용공간 115 : 안착부재
130 : 롤스크린 200 : 순환수단 210 : 흡입파이프
215 : 흡입구 230 : 블로우파이프 235 : 배출구
300 : 운반수단 310 : 몸체 315 : 적재부재
320 : 이동부재 C : 콘크리트블록 P : 플레이트
R : 레일

Claims (6)

  1. 내부에 콘크리트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켜 콘크리트블록을 양생하는 양생실;과
    상기 양생실 내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하여 수화열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복수개 형성된 흡입파이프와, 상기 흡입파이프와 연결형성되고 양생실 내의 하부에 복수개 설치하여 흡입파이프에서 이동하는 수화열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블로우파이프로 구성되어 콘크리트블록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을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양생실 상단에는 상기 양생실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롤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파이프는 일정한 간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여 흡입파이프의 양측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입파이프는 블로우파이프와 연결형성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흡입파이프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생실에 콘크리트블록을 용이하게 적재 또는 인출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운반수단은 콘크리트블록이 안착된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재하는 적재부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 하단에 위치하여 레일을 따라 전ㆍ후 이동하고 상기 몸체를 회전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6. 삭제
KR1020150075718A 2015-05-29 2015-05-29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KR101643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18A KR101643629B1 (ko) 2015-05-29 2015-05-29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18A KR101643629B1 (ko) 2015-05-29 2015-05-29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629B1 true KR101643629B1 (ko) 2016-08-01

Family

ID=5670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718A KR101643629B1 (ko) 2015-05-29 2015-05-29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6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0912A (zh) * 2021-11-01 2021-12-31 福建省京舜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施工用混凝土养护装置
CN116922558A (zh) * 2023-08-12 2023-10-24 浙江正大管桩有限公司 一种预应力混凝土管桩养护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935A (ko) * 2009-11-27 2011-06-02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방법, 그 저감장치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
KR101105095B1 (ko) * 2010-10-26 2012-01-16 김찬한 물과 증기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양생시스템과 전기양생장치
KR20130084802A (ko) * 2012-01-18 2013-07-26 케이에스지티(주) 콘크리트 양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935A (ko) * 2009-11-27 2011-06-02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방법, 그 저감장치 및 그 저감방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
KR101105095B1 (ko) * 2010-10-26 2012-01-16 김찬한 물과 증기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양생시스템과 전기양생장치
KR20130084802A (ko) * 2012-01-18 2013-07-26 케이에스지티(주) 콘크리트 양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0912A (zh) * 2021-11-01 2021-12-31 福建省京舜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施工用混凝土养护装置
CN116922558A (zh) * 2023-08-12 2023-10-24 浙江正大管桩有限公司 一种预应力混凝土管桩养护装置及使用方法
CN116922558B (zh) * 2023-08-12 2024-03-08 浙江正大管桩有限公司 一种预应力混凝土管桩养护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915B1 (ko) 3d 조형물의 후처리 장치
KR101938157B1 (ko) 콘크리트 블록 양생실
CN104061764B (zh) 带可移动送风系统的烘干房
KR101643629B1 (ko)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US10488115B2 (en) Multi-chamber heat treatment device
US9746239B2 (en) Device for drying wood
KR101617183B1 (ko)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KR102056944B1 (ko) 슬러지 팰릿 건조장치
CN109501320A (zh) 一种适用于固化航天复合材料的固化炉
KR20170014302A (ko) 열풍을 이용한 건조기 본체의 가열방법 및 그 장치
KR100803038B1 (ko) 건조 장치
KR101883313B1 (ko) 자연 채광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장치
CN107741125A (zh) 热能设备生产的烘干装置
CN110900805A (zh) 一种灰渣混凝土蒸养窑控制系统及其蒸养方法
KR20100091809A (ko) 라디에이터 커버용 실리콘 부착시스템
CN103666491A (zh) 旋转床干馏炉
CN103052857B (zh) 用于在清洁过程之后干燥工件的设备
CN105246846A (zh) 真空玻璃的真空抽取车及真空玻璃生产线
CN209255081U (zh) 一种汽车车漆表面喷涂修复装置
KR20150135800A (ko) 가스의 상향 분산 공급식 수평형 열처리장치
JP2002086437A (ja) コンクリート養生装置
CN110468272B (zh) 一种变容可移动式的大型热处理炉
JP2018047597A (ja) 三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
CN219338042U (zh) 一种大型养护窑
CN209336130U (zh) 一种适用于固化航天复合材料的固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