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525B1 - 데이터 입력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525B1
KR101643525B1 KR1020160032441A KR20160032441A KR101643525B1 KR 101643525 B1 KR101643525 B1 KR 101643525B1 KR 1020160032441 A KR1020160032441 A KR 1020160032441A KR 20160032441 A KR20160032441 A KR 20160032441A KR 101643525 B1 KR101643525 B1 KR 101643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keyboard
data input
keys
li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2016003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25B1/ko
Priority to PCT/KR2016/012749 priority patent/WO2017159953A1/ko
Priority to US15/573,132 priority patent/US20180129298A1/en
Priority to CN201680009572.3A priority patent/CN10740797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08Character or syllable selected by means of keys or keyboards of the typewriter type
    • B41J5/10Arrangements of keyboards, e.g. key button dis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a keyboard, e.g. pivoting le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Casings portable; hand h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엄지손가락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직립된 벽체 구조의 벽면에 복수의 키가 마련된 엄지용자판부(10); 및 엄지 이외의 나머지 네손가락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엄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방으로 연장되고 표면에 복수의 키가 마련된 사지용자판부(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직립된 벽체 구조의 엄지용자판부를 마련하여 엄지손가락의 좌우 유동에 대응되도록 직립 벽체에 복수의 키를 배치하여 엄지손가락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기존에 엄지손가락의 사용이 거의 없이 주로 네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작업을 수행하였던 것에 비해 엄지손가락을 포함한 다섯손가락 모두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키보드 입력속도의 향상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데이터 입력기{DATA KEYBOARD}
발명은 데이터 입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직립된 벽체 구조의 엄지용자판부를 마련하여 엄지손가락의 좌우 유동에 대응되도록 직립 벽체에 복수의 키를 배치하여 엄지손가락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킨 데이터 입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문자를 입력하여 컴퓨터의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키보드는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일체형 자판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주로 엄지손가락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키보드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키보드는 그 크기가 커서 책상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여 서류를 배치하기가 어렵게 되며, 따라서, 키보드 양측으로 서류를 배치할 수밖에 없어 작업자가 고개를 옆으로 돌린 채 키보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키보드가 양측으로 분리되는 분리형 키보드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리형 키보드는 사용자의 좌우 원하는 위치로 키보드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류를 중앙의 공간부에 배치하여 고개를 돌리지 않고 키보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좌우 분리형 키보드 역시 키보드는 양측으로 분리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엄지손가락에 대한 활용도는 낮아서 나머지 네손가락만을 주로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4-0020198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사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직립된 벽체 구조의 엄지용자판부를 마련하여 엄지손가락의 좌우 유동에 대응되도록 직립 벽체에 복수의 키를 배치하여 엄지손가락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기존에 엄지손가락의 사용이 거의 없이 주로 네손가락(4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작업을 수행하였던 것에 비해 엄지손가락을 포함한 다섯손가락 모두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데이터 입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기는 엄지손가락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직립된 직벽 구조의 벽면에 복수의 키가 마련된 엄지용자판부; 및 엄지 이외의 나머지 네손가락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엄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방으로 연장되고 표면에 복수의 키가 마련된 사지용자판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엄지용자판부의 하단에서 상기 사지용자판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에 복수의 키가 마련된 보조연장부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엄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안착된 상태로 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엄지안착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사지용자판부는 상기 엄지용자판부에 대해서 축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기에 있어서, 상기 사지용자판부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측 키배열과 후방측 키배열을 손가락의 감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구분홈이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기는 사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직립된 벽체 구조의 엄지용자판부를 마련하여 엄지손가락의 좌우 유동에 대응되도록 직립 벽체에 복수의 키를 배치하여 엄지손가락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기존에 엄지손가락의 사용이 거의 없이 주로 네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작업을 수행하였던 것에 비해 엄지손가락을 포함한 다섯손가락 모두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키보드 입력속도의 향상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데이터 입력기에 손연결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기는 엄지용자판부(10)와 사지용자판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엄지용자판부(10)는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엄지손가락의 특성에 맞게 엄지손가락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직립된 벽체 구조의 벽면에 복수의 키(1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키는 좌우로 2개 상하로 3개가 배열된 배열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엄지용자판부(10)의 엄지손가락이 접촉되는 일측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안착된 상태로 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엄지손가락의 외주면 형상에 맞게 오목하게 패인 엄지안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엄지용자판부(10)의 하단에서 상기 사지용자판부(20)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에 복수의 키(13)가 마련된 보조연장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엄지용자판부(10)와 보조연장부(14)는 대략 니은자 구조를 가지며, 키 개수는 엄지용자판부에 상하방향으로 2열 3개가 마련되고 보조연장부에 2열 1개가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엄지용자판부와 보조연장부에 모두 2열2개씩 배치시킬 수도 있다.
사지용자판부(20)는 엄지 이외의 나머지 네손가락의 상하 유동에 맞게 네손가락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엄지용자판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방으로 수평 연장되고 표면에 복수의 키(2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지용자판부(20)는 대략 팔각기둥 형상의 자판본체(22)가 한 쌍 마련되고, 이들 한 쌍의 자판본체(22)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서로의 양단부가 별도의 연결대(23)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지용자판부(20)는 팔각면 중 3개의 면에 복수의 키(21)가 배열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3개의 면 중 실질적으로 작동되는 키는 2개의 면의 키에만 적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키(21)들이 평판 형상으로 펼쳐지는 구조 대신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의 구부러지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배열되어 다양한 손가락 자세로 키보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23)와 자판본체(22)는 별도의 체결구(24)로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접착 연결시킬 수도 있으며, 다양한 연결방법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자판본체(22)의 일단부에 오목홈(25)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엄지용자판부(10)의 배면에 볼록돌기(15)가 마련되어 별도의 부시(16)를 개재시켜 상기 볼록돌기(15)를 오목홈(25)에 삽입함으로써, 엄지용자판부(10)에 대해서 상기 사지용자판부(20)가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렇게 사지용자판부(20)가 원하는 각도만큼 축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위치에 따라 필요한 만큼 사지용자판부(20)를 축 회전시켜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로의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25는 별도의 손연결구(미도시)의 커넥터의 관통돌기가 관통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구로 체결되어 데이터 입력기와 손연결구 서로 간이 연결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엄지용자판부(30)의 배면에 사각판 형상의 사지용자판부(40)의 일단부가 볼조인트(50)로 연결되어 엄지용자판부(30)에 대해 사지용자판부(40)의 축회전은 물론 접고 펴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키 배열 구조는 엄지용자판부(30)가 2열 배치 구조인데 비해 사지용자판부(40)는 4열 배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지용자판부(4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전후방측 키배열을 손가락의 감각으로 확인하기 위한 구분홈(41)이 마련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42는 별도의 손연결구(미도시)의 커넥터의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어 데이터 입력기와 손연결구 서로 간이 연결되도록 하는 결합홈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는 엄지용자판부(60)가 직판 구조로 되어 있고, 이 엄지용자판부(60)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평판 구조의 사지용자판부(70) 및 이 상기 엄지용자판부(60)의 하단에서 사지용자판부(7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구조의 보조연장부(6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키 배열 구조는 엄지용자판부(60)가 2열 배치 구조인데 비해 사지용자판부(70)는 4열 배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사지용자판부(7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측키배열과 후방측키배열을 손가락의 감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구분홈(7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엄지용자판부(60)는 그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이동용 걸림편(62)이 마련되어 있다.
즉, 작업자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엄지용자판부(60)가 위치되도록 하는 키보드 입력작업을 수행하다가 데이터 입력기 전체를 소정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손을 그대로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단의 걸림편(62)이 손등에 걸려 들어 올려져서 데이터 입력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62)은 엄지용자판부(60)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또는, 착탈식으로 조립 가능하게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엄지용자판부와 사지용자판부의 내부에는 회로기판(미도시)이 내장되고 이들 회로기판을 전선(미도시)으로 연결하여 서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기의 사용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좌우 손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여 한 쌍의 데이터 입력기를 마련한다.
그리고, 엄지용자판부(10)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위치되도록 하고 사지용자판부(20)가 사용자의 네손가락에 위치되도록 하여 키보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형상이나 위치에 대응하여 사지용자판부(20)를 원하는 위치로 축 회전시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지용자판부(40)를 엄지용자판부(30)로 접어 겹치게 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키보드 작업 중 데이터 입력기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손만 그대로 들어 올려 걸림편(62)에 손등이 걸린 상태로 데이터 입력기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입력기들은 사용자의 손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책상 등의 상면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만약, 별도의 손연결구를 이용한다면 상기 데이터 입력기를 손에 연결하여 이동 중에도 데이터 입력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키보드 작업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1은 별도의 손연결구(80)를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기에 연결시키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손연결구(80)는 일정간격 이격된 4개의 봉대(81)가 서로 연결되어 두개의 봉대(81)는 사용자의 손목에 위치되고 나머지 두 개의 봉대(81)는 손목 인접부의 두툼한 부분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에 견고히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연결구(80)의 커넥터(82)가 상기 데이터 입력기와 연결되어 이 데이터 입력기를 손 근처에 위치시킨 상태로 이동 중에도 키보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기는 사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직립된 벽체 구조의 엄지용자판부를 마련하여 엄지손가락의 좌우 유동에 대응되도록 직립 벽체에 복수의 키를 배치하여 엄지손가락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기존에 엄지손가락의 사용이 거의 없이 주로 네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작업을 수행하였던 것에 비해 엄지손가락을 포함한 다섯손가락 모두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키보드 입력속도의 향상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발명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엄지용자판부 11 : 키
12 : 엄지안착부 13 : 키
14 : 보조연장부 15 : 볼록돌기
16 : 부시 20 : 사지용자판부
21 : 키 22 : 자판본체
23 : 연결대 24 : 체결구
25 : 관통공 30 : 엄지용자판부
40 : 사지용자판부 41 : 구분홈
42 : 결합홈 50 : 볼조인트
60 : 엄지용자판부 61 : 보조연장부
62 : 걸림편 70 : 사지용자판부
71 : 구분홈 80 : 손연결구
81 : 봉대 82 : 커넥터

Claims (5)

  1. 엄지손가락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직립된 벽체 구조의 벽면에 복수의 키가 마련된 엄지용자판부; 및
    엄지 이외의 나머지 네손가락만이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엄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방으로 연장되고 표면에 복수의 키가 마련된 사지용자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지용자판부는 상기 엄지용자판부에 대해서 축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용자판부의 하단에서 상기 사지용자판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에 복수의 키가 마련된 보조연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용자판부의 일측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안착된 상태로 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엄지안착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지용자판부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측 키배열과 후방측 키배열을 손가락의 감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구분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기.
KR1020160032441A 2016-03-18 2016-03-18 데이터 입력기 KR10164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41A KR101643525B1 (ko) 2016-03-18 2016-03-18 데이터 입력기
PCT/KR2016/012749 WO2017159953A1 (ko) 2016-03-18 2016-11-07 입력장치
US15/573,132 US20180129298A1 (en) 2016-03-18 2016-11-07 Input device
CN201680009572.3A CN107407971A (zh) 2016-03-18 2016-11-07 输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41A KR101643525B1 (ko) 2016-03-18 2016-03-18 데이터 입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525B1 true KR101643525B1 (ko) 2016-07-28

Family

ID=5668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441A KR101643525B1 (ko) 2016-03-18 2016-03-18 데이터 입력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29298A1 (ko)
KR (1) KR101643525B1 (ko)
CN (1) CN107407971A (ko)
WO (1) WO201715995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198A (ko) 1993-02-08 1994-09-15 이만희 좌우분리 컴퓨터 키보드
JP2015176596A (ja) * 2014-03-12 2015-10-05 和宏 諫崎 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903802A1 (en) * 1989-10-23 1991-04-24 Microsoft Corp Pointing device with adjustable clamp attachable to a¹keyboard
EP0752639A1 (en) * 1995-07-07 1997-01-08 Sun Microsystems, Inc. Chordic keyboard with integral mouse
JP4118462B2 (ja) * 1999-07-19 2008-07-16 株式会社リコー 携帯電子機器
US6164853A (en) * 1999-09-09 2000-12-26 Foote; Lisa L. Ergonomic housing for a handheld device
AU2001225419A1 (en) * 2000-01-20 2001-07-31 Oliver Kauk Data input device
US20040196264A1 (en) * 2002-09-03 2004-10-07 Criscione John C. Keypad input device
US20050275625A1 (en) * 2004-06-15 2005-12-15 Koenig Douglas W Ergonomic computer input device having pistol-type grip
US20060227101A1 (en) * 2005-03-30 2006-10-12 Kackman Chester T Hand-held screen-interface device
US8142287B2 (en) * 2005-10-11 2012-03-27 Zeemote Technology Inc. Universal controller for toys and games
KR20060020696A (ko) * 2006-01-21 2006-03-06 육심국 엄지로 시프트키를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
TWM335100U (en) * 2007-12-19 2008-06-21 Mobinnova Hong Kong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062740A (ko) * 2009-12-04 2011-06-10 권철휘 엄지로 조작하는 마우스가 키보드 위에 장착된 마우스 일체형 키보드
US8528822B2 (en) * 2010-07-09 2013-09-10 Wis International Hand-held data collector with detachable scanner
TW201209648A (en) * 2010-08-24 2012-03-01 Hon Hai Prec Ind Co Ltd Mouse
CN103150025A (zh) * 2011-12-07 2013-06-12 常州市福驰电动车辆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大量检索能力的手持式复合按钮键盘
US9740302B2 (en) * 2013-03-14 2017-08-22 Sten Michael Chapin Svensson Ambidextrous chord keying device for use with hand-held computer
CN203243464U (zh) * 2013-04-17 2013-10-1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手柄式全键盘遥控器
US9606633B2 (en) * 2015-05-08 2017-03-28 John W. Downey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US10386922B2 (en) * 2015-12-30 2019-08-20 Facebook Technologies, Llc Handheld controller with trigger button and sensor retaine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198A (ko) 1993-02-08 1994-09-15 이만희 좌우분리 컴퓨터 키보드
JP2015176596A (ja) * 2014-03-12 2015-10-05 和宏 諫崎 入力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azer Orbweaver Master Guid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7971A (zh) 2017-11-28
US20180129298A1 (en) 2018-05-10
WO2017159953A1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7083B2 (en) Ergonomically designed computer gaming device
US5923317A (en) Two-handed controller for video games and simulations
US7828489B1 (en) Keyboard with a pair of pivotable keying modules
KR920704258A (ko) 통합키보드 및 커서 제어장치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
CN104142735B (zh) 鼠标摇摆按键结构
KR101643525B1 (ko) 데이터 입력기
JPH0768052A (ja) ゲーム装置のハウジ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ゲーム装置
US9256296B2 (en) Integrated, one-handed, mouse and keyboard
US11270856B2 (en) Input device
KR101374881B1 (ko) 컴퓨터용 마우스
CN1517841A (zh) 鼠标键盘
JP3108313U (ja)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CN204374895U (zh) 新型防尘键盘
CN208172733U (zh) 机械键盘及计算机
US20080316172A1 (en) Manual input device
CN218129912U (zh) 一种游戏控制手柄
RU411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CN208173470U (zh) 键帽及使用该键帽的机械键盘
TWM573462U (zh) Computer device
KR101194930B1 (ko) 인체공학적 키보드 또는 노트북
JP5259735B2 (ja) 人間工学的マウス
JP3217436U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ーの制御ユニット
JP3459427B2 (ja) 立体キーボード
TW202324046A (zh) 可調整手感之滑鼠結構
CN207856288U (zh) 一种游戏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