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910B1 -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 Google Patents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910B1
KR101642910B1 KR1020150082831A KR20150082831A KR101642910B1 KR 101642910 B1 KR101642910 B1 KR 101642910B1 KR 1020150082831 A KR1020150082831 A KR 1020150082831A KR 20150082831 A KR20150082831 A KR 20150082831A KR 101642910 B1 KR101642910 B1 KR 101642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ld
lower frame
fixture
refriger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목
박영우
Original Assignee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테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5008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 또는 분리되게 상부프레임이 개폐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이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오픈(OPEN) 발포와 클로즈(CLOSE) 발포를 겸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긴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등에서의 발포 시 발포액이 주입구로부터 먼 거리에까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특성에 따른 발포 작업이 용이하고,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도어외판과 도어내판 사이에 단열을 위한 발포제의 충진시 상기 도어외판과 상기 도어내판을 각각 지지하는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 및 분리되게 동작시키기 위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에 있어서, 상기 하형금형이 상부로 결합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형금형이 하부로 결합되고 상기 상형금형이 개폐되도록 폭방향의 일측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이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의 타측단을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하는 상부프레임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체로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지상에 안착되고 상부 일단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FIXTURE FOR BUBBLING MOLD OF REFRIGERATOR DOOR FOR BOTH OPEN AND CLOSE TYPE}
본 발명은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 또는 분리되게 상부프레임이 개폐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이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오픈(OPEN) 발포와 클로즈(CLOSE) 발포를 겸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긴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등에서의 발포 시 발포액이 주입구로부터 먼 거리에까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특성에 따른 발포 작업이 용이하고,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저장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키는 전자제품으로,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된 직립형 또는 좌우로 구획되며 유효 내용적이 보다 크게 이루어진 병립형 등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시판되고 있다.
냉장고의 도어의 도어외판과 도어내판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발포제가 충진되는데, 이때 발포압력에 의해 도어외판과 도어내판이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외판과 상기 도어내판을 각각 지지하는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 및 분리되게 동작시키기 위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Fixture)가 이용된다.
도 1에는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9992호(공개일자: 1999.11.25)에 게재되어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픽스쳐(1)의 상부에는 하형홀더(12)가 장착되고, 하형홀더(12)의 내부에는 제품 특히 냉장고용 도어(2)의 도어내판(2a)이 밀착되는 하형금형(14)이 위치된다.
픽스쳐(1)에는 약 105°정도 회전하여 하형금형(14)을 개폐시키기 위한 상형금형(16)이 결합되며, 상형금형(16)의 내측에는 도어외판(2b)을 밀착시키기 위한 고정블럭(18)이 장착되고, 고정블럭(18)에는 도어(2)의 내부에 발포공정을 시작하기 전에 도어외판(2a)을 잡아주기 위하여 다수개의 마그네트(20)가 삽입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치를 사용하여 도어 내부에 발포제를 충진할 때에는, 하형금형(14)에 도어내판(2a)을 삽입하고 하형홀더(12) 내에는 도어외판(2b)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하형금형(14)을 포함한 하형홀더(12)를 설비라인에 의해 픽스쳐(1)로 이송시킨다.
그 후, 도어(2) 내에 발포제를 충진하기 전에 픽스쳐(1)에 결합된 상형금형(16)을 105°회전시켜 닫으면, 도어외판(2b)은 고정블럭(18)에 고정된 다수개의 마그네트(20)에 의해 붙게 된다.
그런 다음, 상형금형(16)을 다시 하형금형(14)에 대해 다시 개방시킨 다음 도어내판(2a)에 발포제를 주입한 상태에서 상형금형(16)을 닫고, 약 15분 정도 경과한 후 상형금형(16)을 회전시켜 발포가 완료된 냉장고용 도어(2)를 하형금형(14) 및 하형홀더(12)로부터 취출시킨다.
이때, 상기 픽스쳐(1)의 상부프레임(1a) 일측에는 힌지축(H)을 회전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되며 하부프레임(1b)과 결합 고정되기 위한 사이드클램프(1c)가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클램프(1c)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b)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상기 사이드클램프(1c)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b)에 삽입되는 경우 삽입 충격에 의해 상기 사이드클램프(1c)에 부하가 걸려 삽입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고 잦은 작동으로 상기 사이드클램프(1c)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발포 방법에 따라 크게 오픈(OPEN) 발포와 클로즈(CLOSE) 발포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때 상기 클로즈 발포 방법의 경우 발포액 주입구가 픽스쳐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고 도어의 길이가 길어 액상의 발포제를 금형 내부로 충진할 때 도어의 모서리 부분이나 주입구로부터 먼 거리에까지 발포액이 골고루 퍼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특히 SBS(Styrene-Butadiene-Styrene) TYPE 발포의 경우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고탄성이면서 변형회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발포액이 고르게 퍼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 또는 분리되게 상부프레임이 개폐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이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오픈(OPEN) 발포와 클로즈(CLOSE) 발포를 겸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특성이나 발포액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발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특히, 길이가 긴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등에서의 발포 시 발포액이 주입구로부터 먼 거리에까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고 눕혀지도록 작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 또는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하부프레임락킹수단이 구성되어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분리되도록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으로부터 개폐되는 경우 상기 하부프레임이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움직이는 등의 현상을 예방하여 부품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취출 작업 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도어외판과 도어내판 사이에 단열을 위한 발포제의 충진시 상기 도어외판과 상기 도어내판을 각각 지지하는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 및 분리되게 동작시키기 위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에 있어서, 상기 하형금형이 상부로 결합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형금형이 하부로 결합되고 상기 상형금형이 개폐되도록 폭방향의 일측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이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의 타측단을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하는 상부프레임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지상에 안착되고 상부 일단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외판과 도어내판 사이를 향하여 하방으로 발포제가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타측 방향에서 상기 상형금형 또는 하형금형의 측면을 관통하는 발포액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발포액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구개폐부가 구비되되, 상기 주입구개폐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발포액주입구와 일직선상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된 지지브라켓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브라켓에 제1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고 타단에 상기 발포액주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마개가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돌출된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회동링크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마개가 상기 발포액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실린더몸체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이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일단부에 제2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길이방향과 일직선으로 진퇴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고정 또는 고정이 해제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락킹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프레임락킹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타측 저부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이동링크와, 선단부에 경사진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링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측후크와, 상기 상부측후크에 대응하여 상호 걸림 지지되도록 선단부에 상기 상부측후크의 테이퍼면이 슬라이딩 마찰되는 테이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된 하부측후크와, 상기 상부측후크가 상기 하부측후크에 걸림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링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회동된 경우 상기 상부측후크가 상기 하부측후크에 슬라이딩 마찰되며 상기 하부측후크에 강제로 걸림 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링크가 후진 이동된 경우 상기 상부측후크가 상기 하부측후크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특히, 길이가 긴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등에서의 발포 시 발포액이 주입구로부터 먼 거리에까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하부프레임이 베이스프레임에 고정 또는 고정이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하부프레임락킹수단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로 설치된 상기 하부프레임의 작동 시 부품이 파손되는 현상 등을 예방하고, 제품의 취출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상부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상부프레임고정수단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하부프레임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주입구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클로즈(CLOSE) 발포 과정을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하부프레임락킹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이하에서는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상부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상부프레임고정수단을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하부프레임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주입구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클로즈(CLOSE) 발포 과정을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하부프레임락킹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도어외판과 도어내판 사이에 단열을 위한 발포제의 충진시 상기 도어외판과 상기 도어내판을 각각 지지하는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 및 분리되게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로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고정수단(30) 및 베이스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상기 하형금형이 상부로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40) 상부에서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합 구조는 이하의 베이스프레임(40)의 구성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프레임(20)은 상기 상형금형이 하부로 결합되고, 상기 상형금형이 개폐되도록 폭방향의 일측단이 상기 하부프레임(10)에 길이방향의 힌지축(H1)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길이방향의 힌지축(H1)을 회전중심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 및 상기 상부프레임(20)은 배경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0)이 상기 상부프레임고정수단(30)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작동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고정수단(30)은 상기 상부프레임(20)이 상기 길이방향의 힌지축(H1)을 회전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20)의 폭방향의 타측단을 상기 하부프레임(10)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사이드클램프(31)와, 링크바(32)와, 링크바스토퍼(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클램프(31)는 상부프레임(20)의 폭 방향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 말단부에 상기 상부프레임(20)이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바(32)의 걸림구(32a)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31a)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링크바(32)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폭방향 일측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0)이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구(32a)가 상기 사이드클램프(31)의 삽입홈(31a)에 삽입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바(32)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홀(32b)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32b)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폭방향의 일측단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부재(32c)에 의해 가이드되며 전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링크바스토퍼(33)는 상기 링크바(32)의 전후진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폭방향 일측에서 상기 링크바(32)의 길이방향 일측 말단부에 소정 이격되게 돌출 고정되고, 상기 링크바(32)의 일측 말단부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링크바(32)의 걸림구(32a)가 상기 사이드클램프(31)의 삽입홈(3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더 이상의 전진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링크바(32)의 불필요한 이동에 따른 상기 사이드클램프(31)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종래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0)이 상기 하부프레임(10)으로부터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의 구성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20)이 상기 하부프레임(10)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하부프레임(1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상하 회동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10) 및 상기 상부프레임(20)이 상호 고정된 상태에서 일체로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은 상기 하부프레임(10) 및 상부프레임(20)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자중을 갖고 지상에 안착 또는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에,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은 상부 일단에 상기 하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폭방향의 힌지축(H2)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폭방향의 힌지축(H2)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0)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으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10) 및 상부프레임(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클로즈(CLOSE) 발포 방법으로 발포액을 충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 상기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타측 방향에 발포액주입구(1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회동 방향이 어느 한 방향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한 단순 설계 변경을 통해 제품의 종류에 따라 발포 작업이 유리한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 상기 하부프레임(10) 및 상기 상부프레임(2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40)으로부터 폭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포액주입구(100)는 상기 상형금형 또는 하형금형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형금형의 측판을 관통하도록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설비라인에 설치된 발포액 주입기(100')를 통해 상기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에 의해 안착 고정된 제품(R)의 도어외판과 도어내판 사이로 발포액을 충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상기 상부프레임(20)에 상기 발포액주입구(100)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구개폐부(21)가 구비되며, 상기 주입구개폐부(21)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지지브라켓(211)과, 회동링크부재(212)와, 구동실린더(213)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브라켓(211)은 상기 상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발포액주입구(100)와 일직선상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타측에서 상기 상부프레임(20)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동링크부재(212)는 상기 지지브라켓(2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기 상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지지브라켓(211)에 제1 힌지축(211a)으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의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링크부재(212)는 길이방향의 일단부측에 가깝게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소정 돌출된 연장부(212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2a)가 상기 지지브라켓(211)에 상기 제1 힌지축(211a)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소정 반경만큼 넓은 범위로 상기 회동링크부재(212)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며, 길이방향의 타단에는 상기 발포액주입구(1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마개(212b)가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돌출되어 상기 발포액주입구(100)를 막아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211) 및 상기 회동링크부재(212)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상기 구동실린더(213)의 진퇴운동을 상기 회동링크부재(212)의 회전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동실린더(213)는 실린더몸체가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의 선단이 상기 회동링크부재(21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제2 힌지축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실린더(213)의 실린더로드는 상기 상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진퇴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실린더(213)는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회동링크부재(212)의 길이방향과 일직선으로 진퇴운동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a 및 도 7b에는 이와 같은 상기 주입구개폐부(2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발포액 주입기(100')를 통한 발포액의 충진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발포액주입구(100)를 밀폐시킬 수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입구개폐부(21)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 및 상기 상부프레임(20)이 상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40)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하거나, 상기 발포액 주입기(100')를 통해 발포액을 충진하기 위해 상기 발포액주입구(10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제품의 발포 충진 작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상부프레임(20)이 상기 하부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발포액주입구(100)가 개방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주입구개폐부(21)를 통해 본 발명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이 눕혀진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에서의 클로징(CLOSE) 발포가 가능하고, 상기 상부프레임(20)이 상기 하부프레임(10)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어 열린 상태에서의 오픈(OPEN) 발포가 모두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하부프레임락킹수단(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도 9a 및 도 9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의 하부프레임락킹수단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락킹수단(50)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0)으로부터 고정 또는 고정이 해제되도록 설치된 구성으로, 이동링크(51)와, 상부측후크(52)와, 하부측후크(53)와, 탄성가압수단(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링크(51)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타측 저부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내설된다.
상기 상부측후크(52)는 및 상기 하부측후크(53)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호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부측후크(52)는 상기 하방의 선단부에 경사진 테이퍼면(52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링크(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측후크(53)는 상기 상부측후크(5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측후크(52)와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40) 상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방의 선단부에 상기 하부측후크(53)의 테이퍼면(52a)과 슬라이딩 마찰되는 경사진 테이퍼면(53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측후크(52)가 접촉되며 걸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탄성가압수단(54)은 상기 상부측후크(52) 및 상기 하부측후크(53) 각각의 상기 경사진 테이퍼면(52a,53a)끼리 상호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동링크(51)를 탄성 가압하는 구성이다.
상기 탄성가압수단(54)은 상기 이동링크(51)의 길이방향 말단부에서 일단이 상기 이동링크(51) 말단에 설치된 고정블럭(54a)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외측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상부측후크(52)가 상기 하부측후크(53)에 걸림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링크(51)를 탄성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가압수단(54)은 완전하게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측후크(52) 및 상기 하부측후크(53) 각각의 상기 경사진 테이퍼면(52a,53a)이 상하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같이 구성된 상기 하부프레임락킹수단(50)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0)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동된 경우 상기 하부프레임(10) 및 상부프레임(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상부측후크(52)가 상기 하부측후크(53)에 슬라이딩 마찰되며 상기 이동링크(51)와 함께 일시적으로 후진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마찰이 끝난 경우 상기 상부측후크(52)가 상기 하부측후크(53)에 걸리게 된다. 즉, 상기 상부측후크(52) 및 상기 하부측후크(53)의 마찰에 의해 상기 탄성가압수단(54)의 탄성 가압력을 극복하며 서로 걸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0)을 상기 베이스프레임(40)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가압수단(54)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동링크(51)가 후진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한 경우 상기 하부측후크(53)가 상기 상부측후크(52)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프레임락킹수단(50)의 간편한 작동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1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0)에 고정 또는 고정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40) 상부로 설치된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잦은 작동에도 상기의 힌지(H1) 등과 같은 부품이 파손되는 현상 등을 방지함은 물론, 그로 인한 제품의 취출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40)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이 하방으로 회동된 경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호 맞닿는 각각의 댐퍼(15a,15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댐퍼(15a,15b)를 통해 일정 중량을 갖는 상기 하부프레임(10) 및 상부프레임(2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완충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제품(R)이 픽스쳐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하부프레임
20 상부프레임
21 주입구개폐부
211 지지브라켓
212 회동링크부재
213 구동실린더
30 상부프레임고정수단
31 사이드클램프
31a 삽입홈
32 링크바
32a 걸림구
33 링크바스토퍼
40 베이프레임
50 하부프레임락킹수단
51 이동링크
52 상부측후크
53 하부측후크
54 탄성가압수단

Claims (4)

  1. 도어외판과 도어내판 사이에 단열을 위한 발포제의 충진시 상기 도어외판과 상기 도어내판을 각각 지지하는 상형금형 및 하형금형이 상호 형합 및 분리되게 동작시키기 위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에 있어서,
    상기 하형금형이 상부로 결합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형금형이 하부로 결합되고 상기 상형금형이 개폐되도록 폭방향의 일측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이 하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의 타측단을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하는 상부프레임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지상에 안착되고 상부 일단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힌지축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외판과 도어내판 사이를 향하여 하방으로 발포제가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타측 방향에서 상기 상형금형 또는 하형금형의 측면을 관통하는 발포액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발포액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구개폐부가 구비되되,
    상기 주입구개폐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발포액주입구와 일직선상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된 지지브라켓과,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브라켓에 제1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고 타단에 상기 발포액주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마개가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돌출된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회동링크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마개가 상기 발포액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실린더몸체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이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일단부에 제2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길이방향과 일직선으로 진퇴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고정 또는 고정이 해제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락킹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프레임락킹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타측 저부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이동링크와, 선단부에 경사진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링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측후크와, 상기 상부측후크에 대응하여 상호 걸림 지지되도록 선단부에 상기 상부측후크의 테이퍼면이 슬라이딩 마찰되는 테이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된 하부측후크와, 상기 상부측후크가 상기 하부측후크에 걸림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링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회동된 경우 상기 상부측후크가 상기 하부측후크에 슬라이딩 마찰되며 상기 하부측후크에 강제로 걸림 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링크가 후진 이동된 경우 상기 상부측후크가 상기 하부측후크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KR1020150082831A 2015-06-11 2015-06-11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KR10164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31A KR101642910B1 (ko) 2015-06-11 2015-06-11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31A KR101642910B1 (ko) 2015-06-11 2015-06-11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910B1 true KR101642910B1 (ko) 2016-08-10

Family

ID=5671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831A KR101642910B1 (ko) 2015-06-11 2015-06-11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9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537B1 (ko) * 2021-05-07 2022-06-08 고모텍주식회사 냉장고의 발포주입용 토글클램프
KR102476851B1 (ko) 2022-05-04 2022-12-09 주식회사 광원이엔지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46B1 (ko) * 2013-04-09 2014-04-01 에이테크솔루션(주) 프레임변형방지수단이 구비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KR101379945B1 (ko) * 2013-04-09 2014-04-01 에이테크솔루션(주) 클램프락이 구비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KR101379948B1 (ko) * 2013-04-09 2014-04-01 에이테크솔루션(주) 롤베어링 타입의 링크바스토퍼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KR101461528B1 (ko) * 2014-08-21 2014-11-13 에이테크솔루션(주) 핸들고정부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용 발포 금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46B1 (ko) * 2013-04-09 2014-04-01 에이테크솔루션(주) 프레임변형방지수단이 구비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KR101379945B1 (ko) * 2013-04-09 2014-04-01 에이테크솔루션(주) 클램프락이 구비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KR101379948B1 (ko) * 2013-04-09 2014-04-01 에이테크솔루션(주) 롤베어링 타입의 링크바스토퍼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KR101461528B1 (ko) * 2014-08-21 2014-11-13 에이테크솔루션(주) 핸들고정부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용 발포 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537B1 (ko) * 2021-05-07 2022-06-08 고모텍주식회사 냉장고의 발포주입용 토글클램프
KR102476851B1 (ko) 2022-05-04 2022-12-09 주식회사 광원이엔지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476B1 (ko) 냉장고의 가변 선반 장치
EP3023719B1 (en) Refrigerator
US11112123B2 (en) Food cooking oven
KR20030061672A (ko) 냉장고
KR101642910B1 (ko) 오픈/클로즈 타입 겸용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CN113879705A (zh) 一种间充质干细胞外秘体的储存装置
KR101379945B1 (ko) 클램프락이 구비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KR20140097787A (ko) 냉장고
CN105509396B (zh) 冰箱
EP4098831A1 (en) Hinge and refrigeration apparatus
EP2431691A1 (en) Refrigerator
KR100804272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의 개폐구조
KR20130119274A (ko) 냉장고용 도어 힌지
CN208269483U (zh) 一种防反锁的冷库
KR101659957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20030002535A (ko) 도어 장치
US11571063B2 (en) Adjustable organizer shelf system
EP1684039B1 (en) Refrigerated cabinet with an apparatus for keeping the door ajar
KR102264375B1 (ko)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KR100621113B1 (ko) 냉장고
KR101461528B1 (ko) 핸들고정부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용 발포 금형
RU2406948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облегченным открыванием двери
CN215447066U (zh) 冰箱
CN216341562U (zh) 门窗的启闭控制装置及隐藏式防火窗
CN219346893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